KR19990052885A - 백색의 이축배향된 삼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백색의 이축배향된 삼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2885A
KR19990052885A KR1019970072418A KR19970072418A KR19990052885A KR 19990052885 A KR19990052885 A KR 19990052885A KR 1019970072418 A KR1019970072418 A KR 1019970072418A KR 19970072418 A KR19970072418 A KR 19970072418A KR 19990052885 A KR19990052885 A KR 19990052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lm
thickness
biaxially oriented
str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2827B1 (ko
Inventor
김문선
Original Assignee
장용균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균,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용균
Priority to KR1019970072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2827B1/ko
Publication of KR19990052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2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4Antista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색의 이축배향된 삼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용융지수가 1 내지 20(g/10분)이고 용융점이 140 내지 180℃인 프로필렌 수지를 중심층으로 하고 상기 프로필렌 수지에 평균입경 0.1 내지 2μ의 백색 무기입자를 0.1 내지 10 중량% 첨가한 수지를 양쪽 표면층으로 하여 공압출성형시킨 시트를 종방향으로 연신한 후, 종연신된 필름의 한 면위에는 10 내지 50 중량%의 아크릴계 수지 수용액을, 다른 면위에는 1 내지 10 중량%의 4급 암모늄염의 수용액을 각각 100 내지 300Å 및 200 내지 600Å의 두께로 도포하고, 이어 횡방향으로 연신하여 열고정시킴으로써 표면특성, 은폐성, 제전성 및 인쇄성이 우수한 이축배향된 삼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필름은 은폐성과 백색도를 요구하는 각종 포장재로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백색의 이축배향된 삼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이축배향된 삼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백색 무기입자를 포함시킨 표면층을 양쪽으로 갖고, 표면층의 한 면위에 아크릴계 수지를 도포하고 다른 면위에 4급 암모늄염을 도포함으로써 표면특성, 은폐성, 제전성 및 인쇄성이 우수한 삼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산업적으로 다양한 소재 및 기재로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폴리프로필렌을 비롯하여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이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포장용에 있어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가격이 저렴하고 인쇄 증착, 합지 등 다양한 포장재 적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무색무취해서 환경친유성이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 은폐성, 백색도, 제전성 및 인쇄성 등 다양한 고기능의 표면 물성을 가진 백색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91-166234 호, 제 92-148928 호 및 제 93-156039 호에서는 무기입자를 혼용함으로써 은폐성을 개선시키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90-103214 호 및 제 93-132571 호에서는 에틸렌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접착성과 은폐성을 동시에 개선시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백색 무기입자들을 중심층에 첨가함으로써 표면의 광택도는 개선하고 있으나, 다량의 무기입자를 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고 기계적 특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특히 연신시 고속 및 고배율 공정에서 파단이 발생하는 등 생산에 문제를 유발하고 있으며, 또한 에틸렌 공중합체를 표면층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착성을 개선할 수는 있으나,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슬립성이 떨어지고 인쇄가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94-240014 호에서는 알칸술폰산 염 등을 첨가하여 제전성을 개선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기대할 수 있는 제전효과가 미비하고, 많은 양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표면에 피시아이(fish-eye)라고 불리는 움푹 파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계속한 결과, 이축배향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삼층으로 하여 양쪽 표면층에 백색 무기입자를 포함시키고, 표면층의 한 면위에는 아크릴계 수지를 도포하고 다른 면위에는 4급 암모늄염을 도포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특성, 은폐성, 제전성 및 인쇄성이 우수한 백색의 이축배향된 삼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축배향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용융지수가 1 내지 20(g/10분)이고 용융점이 140 내지 180℃인 프로필렌 수지를 중심층으로 하고 상기 프로필렌 수지에 평균입경이 0.1 내지 2μ인 백색 무기입자를 0.1 내지 10 중량% 첨가한 수지를 양쪽 표면층으로 하여 공압출성형시킨 시트를 종방향으로 연신한 후, 종연신된 필름의 한 면위에는 10 내지 50 중량%의 아크릴계 수지 수용액을, 다른 면위에는 1 내지 10 중량%의 하기 화학식 1의 4급 암모늄염의 수용액을 각각 100 내지 300Å 및 200 내지 600Å의 두께로 도포하고, 이어 횡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축배향된 삼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식에서,
R1은 C10-C20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이고;
R2는 선형의 C1-C3알킬기 또는 하이드록시알킬기이고;
R3및 R4는 C1-C4알킬기이고;
X-는 상대 음이온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필름의 중심층 및 표면층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기재 수지로 한다. 통상적으로, 폴리프로필렌은 범용되는 플라스틱 중에서 밀도가 0.90 내지 0.92g/cm3으로 가장 가볍고 투명하며 내열강도, 전기절연성, 내약품성 및 내굴곡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무해, 무독하여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나 내한 충격강도가 약한 결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런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에틸렌 및 기타 올레핀계의 단량체를 공중합시키고 있으며, 이 저분자 공중합체의 유무와 구조에 따라 단독 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및 임팩트 공중합체로 크게 분류된다. 단독 중합체는 결정성 및 용융점이 높고 강성이 좋으며, 랜덤 공중합체는 투명도는 좋으나 결정성, 용융점 및 강성이 낮고, 임팩트 공중합체는 내충격성이 특히 뛰어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어느 종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사용목적에 따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연신된 필름의 물성 및 요구수준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용융지수가 1 내지 20(g/10분)이고 용융점이 140 내지 180℃인 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에틸렌 성분 0.1 내지 3 몰% 포함)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에서 표면층은 중심층의 양쪽에 위치하며, 표면층은 기재 수지에 백색 무기입자를 첨가하여 사용한다. 백색 무기입자의 예로는 이산화티탄, 황산바륨, 탄산칼슘, 카올린, 정장석, 실리카 및 알루미나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기입자의 평균입경은 0.1 내지 2μ,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μ이며, 0.1μ보다 작으면 광택도가 너무 높아 눈부심 현상이 심해지고 입자간의 응집현상이 심화되어 필름 표면에 얼룩현상이 발생하고, 2μ보다 크면 수지 압출시 필터압이 상승하여 압출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필름 두께가 불균일하게 된다. 또한, 이의 첨가량은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이며,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은폐성 및 백색도의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기계적 특성인 강도가 떨어지고 필름 표면의 표면장력이 떨어져 인쇄성 또는 접착력이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쪽 표면층중 한쪽 표면층을 아크릴계 수지로 도포하여 인쇄적성을 개선시키고, 다른쪽 표면층을 4급 암모늄염으로 도포하여 제전성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에서 물에 용해시켜 수용액으로 사용하는 아크릴계 수지는 30 내지 100℃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며,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마이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비닐아세테이트 또는 그 유도체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량체를 유화중합하여 얻을 수 있는데, 이들중에서 경도가 우수하고 입자의 분산성 및 필름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작용기를 함유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마이드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수지의 평균분자량은 10,000 내지 300,000g/mol이 바람직하고, 20,000 내지 200,000g/mol이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분자량이 10,000g/mol 미만이면 너무 딱딱해서 필름표면의 경도를 지나치게 높게 만들어 인쇄적성이 낮아지고, 300,000g/mol을 초과하면 마찰력이 커져서 이활성이 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수지의 수용액의 농도는 10 내지 50 중량%가 적합하며, 10 중량%보다 낮으면 코팅층을 두껍게 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고, 50 중량%보다 높으면 필름간 블록킹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도포층의 두께는 100 내지 300Å가 바람직하며, 100Å보다 얇으면 인쇄적성이 떨어지고, 300Å보다 두꺼우면 장시간 건조가 요구되어 장치설비가 많이 들고 생산성도 떨어지고, 또한 필름의 후공정에서도 작업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크릴계 수지가 도포된 면의 반대쪽 표면층 수지면위에 상기 화학식 1의 4급 암모늄염을 도포하여 표면저항을 1010Ω 이하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4급 암모늄염으로는 하이드록시에틸 데실옥시 디에틸암모늄염, 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 데실 디프로필암모늄염 및 하이드록시부틸 도데실옥시 부틸에틸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4급 암모늄염을 정제된 물에 용해시켜 1 내지 10 중량%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수용액의 농도가 1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제전특성을 부여할 수 없고 미도포 부위가 발생하여 부위간 물성 편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10 중량%보다 높으면 미용해 입자가 존재하여 외관불량 및 인쇄후 접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수용액의 도포층의 두께는 200 내지 600Å이 적합하며, 200Å 이하가 되면 제전성이 불량해지고, 600Å 이상이 되면 필름간 블록킹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압출 필름에 있어서 상기 백색 무기입자를 특정량 함유하는 표면층의 두께는 그의 사용 용도에 따라 조절가능하나, 도포층을 도포하기 전 기준으로 전체 필름 두께의 1/5 내지 1/20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 표면층이 1/5보다 두꺼우면 은폐성은 개선되나 필름 전체의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고 제조원가가 올라가며, 1/20보다 얇으면 은폐성이 떨어진다.
한편, 중심층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및 그 공중합체에, 물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산화 방지제, 슬립제 및 UV 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고농도 단독 또는 혼합 마스터칩을 제조한 후 혼합하여 첨가하는 것이 작업성이나 혼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열용융에서 열고정까지의 단계별 공정 조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지조성을 가진 중심층과 표면층이 공압출되도록 압출성형하여 시트를 만든다. 성형 소재의 가열용융은 압출성형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성형 소재를 가열용융하지 않고 연화한 상태로 성형해도 무방하다. 이때 일축 압출성형기, 이축 동방향 또는 이방향 압출성형기 중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통기 구멍을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나 물성의 균일성을 위해 일축 직렬 랜덤형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융된 수지를 바람직하게는 100메쉬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메쉬 이상의 필터를 거치게 함으로써 혼련 및 이물 제거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메쉬 필터는 내압성이나 강도를 고려하여 선택하되, 평판형 또는 원통형 등 적합한 필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출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200 내지 280℃ 범위의 온도가 바람직하다. 200℃보다 낮으면 압출이 불량해지고, 280℃보다 높으면 분해 현상이 현저해져 황화 현상이 발생하고, 압출기내에서 열화, 발포 등을 초래한다. 사용가능한 다이로는 티이-다이(T-die) 또는 원고리대 등이 있다.
그 다음 단계로 압출성형으로 얻어진 시트를 냉각고화시킨다. 이때 일반적으로 기체나 액체 등의 냉매를 이용한 금속 롤을 사용하여 시트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거나 표면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냉각 온도는 통상적으로 시트의 유리전이 온도 범위내에서 선택하며, 통상적으로는 0 내지 50℃ 범위내에서 이루어지고, 냉각 속도는 3 내지 200℃/초의 범위내에서 결정한다. 0℃ 미만에서는 냉각 속도가 필요이상으로 빨라지고 시트의 강성이 순간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고화도중 용융물이 물결쳐서 안정된 성형이 될 수 없고, 50℃ 이상이 되면 고화된 성형물의 결정화도가 증가하여 연신적성이 떨어지게 된다. 냉각고화의 조건으로는 비교적 배향이 적은 상태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조건하에서 얻은 시트에 있어서 밀도는 1.07g/cm3이하로 하고 결정화도는 5 내지 30% 정도로 하는 것이 연신에 가장 적합하다. 특히 열접착성이 요구되는 제품의 경우 압출 온도와 냉각 온도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냉각고화된 시트를 적어도 일축으로 동시 또는 축차 연신시키는 방법이 모두 가능하나, 두께의 균일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축차 연신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다단 연신을 하면 보다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종방향의 연신, 즉 연속 필름 성형라인 방향으로의 일축 연신을 하는 경우 시트 표면의 가열이 필요하며, 연신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160 내지 190℃ 범위가 바람직하다. 160℃ 미만에서는 연화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연신이 불량해지고, 190℃를 초과하면 결정화가 지나치게 진행되어 균일한 기계적 물성을 얻을 수 없다. 롤의 속도차를 이용하는 일축 연신은 종연신 방법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생산성이 우수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는 최저 2개의 닙롤 사이 및 가이드롤로 고정되어 주행하는 필름을 닙롤의 앞공정 또는 롤 자체에서 가열하면서 2개의 닙롤 속도차를 이용하여 종방향 연신이 이루어진다. 연신 배율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통상적으로 2 내지 5배의 범위에서 행한다.
종방향으로 1차 연신된 필름을 다시 횡방향, 즉 필름 연속 방향의 90°의 방향으로 연신한다. 연신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다른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그중에서도 텐터(tenter) 횡연신은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주행중의 필름 양끝을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클립 등으로 고정하고 그 고정 상태를 종방향 연신 공정온도와 유사하거나 5 내지 10℃ 정도 높은 온도 범위내에서 양끝의 클립 사이의 거리를 점차 넓혀감으로써 횡방향 연신이 이루어진다. 연신 온도가 너무 낮으면 연화가 불충분하여 연신이 어려워지며, 반대로 너무 높으면 표면이 일부 용해되어 균일한 두께를 얻을 수 없다. 횡연신의 비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3 내지 10배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3배 미만인 경우에는 횡방향의 기계적 강도가 충분하지 않고, 반대로 10배를 초과하면 파단이 일어날 가능성이 많다. 연신 속도는 통상적으로 1×10 내지 1×105%/분이다.
이와 같은 조건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연신 필름에 치수안정성, 내열성 및 강도균일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일정한 고온상태에서 열고정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고정은 통상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이지만, 연신 필름의 인장상태, 이완상태 또는 제한 수축상태하에서 200 내지 220℃ 온도에서 0.5 내지 120초동안 수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이 열고정은 상기 범위내에서 조건을 변경하여 2회 이상 수행할 수 있으며, 일반 공기뿐만 아니라 아르곤가스, 질소가스 또는 이들을 이용한 혼합가스 분위기하에서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열고정 단계를 거치지 않으면 특히 유리전이 온도 부근에서 변형하기 쉬우며, 후가공이나 고객의 사용시 제한이 될 수 있다. 필름에 가장 적합한 열고정 온도는 분위기내를 통과하는 필름의 속도, 즉 처리시간에 따라 결정하여야 한다. 처리시간은 각종 조건에 따라 결정되나 열처리시간이 길면 성형 중 필름이 늘어나는 등 변형이 나타나므로, 통상적으로는 3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층상의 아크릴계 수지 수용액 및 암모늄염 수용액의 도포는 일축 연신된 필름에 대해 실시하는 것이 좋다. 무연신 상태에서의 도포는 면적 연신비를 고려하여 도포층을 높여야 하나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고, 이축 연신한 후의 도포는 도포 설비의 폭을 넓게 해야 하기 때문에 도포의 균일성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빛투과율이 10 내지 30%이고 백색도가 70 내지 95%인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필름은 은폐성과 백색도를 요구하는 각종 포장재 등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한정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필름의 각종 성능 평가는 다음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 마찰계수
세이사쿠쇼사(일본)의 표면성 시험기(모델명: 2227001)를 이용하여 하중 1.0kg 및 속도 150mm/분의 조건에서 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2) 강도
인스트론사의 UTM 모델-4206형을 사용하여 실온 및 상대습도 65%에서 길이 50mm, 폭 20mm, 두께 12μ의 필름을 200mm/cm의 속도로 인장하여 하중-신도의 차트를 작성하여 필름의 강도를 평가하였다.
(3) 빛투과율
닛폰 세이미쓰 고가쿠사(일본)의 헤이즈미터(모델명: SEP-H)로 빛투과율을 측정하며, 빛투과율이 낮은 제품을 은폐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측정조건은 직경 25mm이며, 산란 각도는 2.5도이다.
(4) 백색도
당 세이키사(일본)의 광원 색차계(모델명: SZS-Σ80)를 사용하여 60℃의 경사조건에서 Color-b치를 측정하였다.
(5) 제전특성
휴레트-팩카드사(미국)의 절연저항 측정기를 사용하여 23℃, 상대습도 50%, 인가전압 500V의 조건하에서 필름의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6) 인쇄적성
물 27 중량%, n-부탄올 10 중량%, 메틸셀로솔브 25 중량%, 메틸에틸케톤 10 중량%,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25 중량% 및 로다민비(염료) 3 중량%로 구성된 유성타입의 평가용 락카를 도포용 필름상에 와이어바 #18로 도포하여 건조기내에서 90℃×1분간 충분히 건조시킨 후, 크로스컷터를 사용하여 표면에 100개의 눈금을 그은후 접착테이프를 붙여 박리시킨다. 이때 100개의 눈금중 박리되지 않은 잔여 눈금갯수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100: 전혀 박리되지 않음(우수)
0 : 전부 박리됨(불량)
실시예 1
용융지수가 2(g/10분)이고 용융점이 160℃인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중심층으로 하고, 이 수지에 입경이 0.3μ인 루틸형태의 이산화티탄(105℃의 온도하에서 10분 정도 미리 건조시켜 수분이 완전히 제거됨) 3.1 중량%를 첨가한 수지 조성물을 양쪽 표면층으로 하여, 270℃의 압출온도 및 120rpm의 스크류 조건하에서 270kg/hr의 속도로 공압출한 후, 30℃의 케스팅 롤(냉각)에 급냉하여 시트를 제조하였다. 급냉된 시트를 185℃의 온도에서 종방향으로 5배 일축 연신한 후, 리버스 롤방식에 의해 이소프로필렌알콜 10 중량% 및 물 90 중량%로 구성된 수용액에 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 데실디프로필암모늄염 2 중량%를 넣어 충분히 용해시킨 도포액으로 한쪽 표면층을, 이소프로필렌알콜 15 중량% 및 물 75 중량%로 구성된 수용액에 스티렌 메타크릴레이트 15 중량%를 첨가하여 용해시킨 도포액으로 반대쪽 표면층을 각각 350Å 및 150Å의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이어, 190℃의 온도에서 횡방향으로 8배 연신한 후 200℃에서 열고정시켰다. 최종적으로 제조된 30μ 두께의 필름의 성능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
무기입자 투입조건, 표면층 두께비 및 도포층 도포조건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조하였다. 필름의 성능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백색무기입자 표면층 두께비 A B 필름 물성
종류 입경 첨가량 첨가량 도포층 두께 첨가량 도포층 두께 마찰계수 강도 빛투과율 백색도 표면저항 인쇄적성
단위 - μ 중량% - 중량% 중량% - kgf/mm2 % - Ω -
실시예 1 티탄 0.3 3.1 1/5 2 350 15 150 0.3 27 20 88 1010 96
2 황산바륨 0.5 4.2 1/8 6 420 20 210 0.3 29 23 86 109 95
3 카올린 0.8 2.9 1/11 8 520 19 270 0.4 26 25 89 1010 93
4 티탄 0.6 1.8 1/16 7 270 25 220 0.3 27 19 91 109 95
5 탄산칼슘 0.4 0.9 1/10 3 310 35 260 0.4 28 29 88 109 97
비교예 1 - - - - 3 360 14 250 0.6 29 84 83 1010 95
2 티탄 0.3 15 1/8 4 330 16 170 0.2 19 22 86 1010 92
3 티탄 0.4 3.2 1/6 15 330 39 220 0.8 20 25 81 109 71
4 티탄 0.8 2.9 1/10 7 720 15 450 0.7 21 22 85 109 73
5 티탄 0.3 3.1 1/9 - - 30 250 0.5 23 24 82 1017 93
6 티탄 0.4 3.5 1/8 3 370 - - 0.4 28 29 88 1010 65
A: 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 데실디프로필암모늄염B: 스티렌 메타크릴레이트
본 발명에 따른 백색의 이축배향된 삼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상기 표 1에서 알수 있듯이 표면특성, 은폐성, 제전성 및 인쇄성이 우수하여 은폐성과 백색도를 요구하는 각종 포장재 등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

  1. 이축배향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용융지수가 1 내지 20(g/10분)이고 용융점이 140 내지 180℃인 프로필렌 수지를 중심층으로 하고 상기 프로필렌 수지에 평균입경이 0.1 내지 2μ인 백색 무기입자를 0.1 내지 10 중량% 첨가한 수지를 양쪽 표면층으로 하여 공압출성형시킨 시트를 종방향으로 연신한 후, 종연신된 필름의 한 면위에는 10 내지 50 중량%의 아크릴계 수지 수용액을, 다른 면위에는 1 내지 10 중량%의, 하기 화학식 1의 4급 암모늄염의 수용액을 각각 100 내지 300Å 및 200 내지 600Å의 두께로 도포하고, 이어 횡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된 삼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C10-C20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이고;
    R2는 선형의 C1-C3알킬기 또는 하이드록시알킬기이고;
    R3및 R4는 C1-C4알킬기이고;
    X-는 상대 음이온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 표면층의 두께가 전체 필름 두께의 1/5 내지 1/2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백색 무기입자가 이산화티탄, 황산바륨, 탄산칼슘, 카올린, 정장석, 실리카 및 알루미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수지의 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300,000g/mol이고,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72418A 1997-12-23 1997-12-23 백색의 이축배향된 삼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KR100252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418A KR100252827B1 (ko) 1997-12-23 1997-12-23 백색의 이축배향된 삼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418A KR100252827B1 (ko) 1997-12-23 1997-12-23 백색의 이축배향된 삼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885A true KR19990052885A (ko) 1999-07-15
KR100252827B1 KR100252827B1 (ko) 2000-04-15

Family

ID=19528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418A KR100252827B1 (ko) 1997-12-23 1997-12-23 백색의 이축배향된 삼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28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087B1 (ko) * 1998-10-29 2006-03-16 주식회사 새 한 광확산형 반투과 필름
WO2012093881A2 (en) * 2011-01-06 2012-07-12 Youl Chon Chemical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oriented polyolefin film and multi-layer oriented polyolefin film manufactured thereb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087B1 (ko) * 1998-10-29 2006-03-16 주식회사 새 한 광확산형 반투과 필름
WO2012093881A2 (en) * 2011-01-06 2012-07-12 Youl Chon Chemical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oriented polyolefin film and multi-layer oriented polyolefin film manufactured thereby
WO2012093881A3 (en) * 2011-01-06 2012-11-29 Youl Chon Chemical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oriented polyolefin film and multi-layer oriented polyolefin film manufactured there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2827B1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2696A (ko)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되는, 투명도가 낮고추가의 기능성을 갖는 불투명한 백색 필름
JP2546222B2 (ja) シンジオタクティックポリスチレン系フィルム
KR100252827B1 (ko) 백색의 이축배향된 삼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JPH0724911A (ja) シンジオタクチックポリスチレン系フィルム
JP2003191420A (ja) 帯電防止フィルム
JP4927615B2 (ja) 成形同時転写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940011167B1 (ko) 피복된 미소 쎌형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256557B1 (ko) 제전성 및 은폐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KR100256552B1 (ko) 고투명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KR100270713B1 (ko) 공압출 폴리프로필렌 필름
JPH07117187A (ja) ポリスチレン系積層フィルム
KR100252824B1 (ko) 포장재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KR100252825B1 (ko) 포장재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JP4644902B2 (ja) 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H01136783A (ja) プリンター用印字基材
KR100274181B1 (ko) 방청 특성이 우수한 고분자 필름
JP5225697B2 (ja) 一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0291986B1 (ko) 백색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0562464B1 (ko) 표면처리 이축연신 필름
JPH06210799A (ja) 転写箔
KR100252828B1 (ko) 경량성 및 은폐성이 우수한 공압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KR100252829B1 (ko) 접착강도가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KR100250405B1 (ko) 이활성이 개선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KR19990052882A (ko) 포장재용 공압출 폴리프로필렌 필름
KR19990052880A (ko) 공압출 폴리프로필렌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