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2018A - 주차후 차량 밀림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주차후 차량 밀림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2018A
KR19990052018A KR1019970071460A KR19970071460A KR19990052018A KR 19990052018 A KR19990052018 A KR 19990052018A KR 1019970071460 A KR1019970071460 A KR 1019970071460A KR 19970071460 A KR19970071460 A KR 19970071460A KR 19990052018 A KR19990052018 A KR 19990052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brake
parked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남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71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2018A/ko
Publication of KR19990052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2018A/ko

Links

Landscapes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덕길에 주차된 차량이 노면의 경사에 의해 밀림을 발생하여 사고를 유발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차량 밀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는 주차후 차량의 밀림이 감지될 경우에 유압식의 제동장치는 오일 펌프(140)와 제동 모터(20)를 동시에 자동으로 구동하게 하고, 공압식의 제동 장치의 경우에는 에어 컴프레서(30)와 제동 모터(20)를 동시에 자동으로 구동하게 하여 파킹 브레이크 장치 외에도 상용 브레이크 장치가 시동이 오프된 주차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작동 할 수 있게 하되, 이를 위해 배터리 전원(130)을 상시 인가하는 E.C.U.(10)가 주차후 휠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휠 센서의 신호(13)와 파킹 레버 스위치의 신호(12)와 시동키의 오프 신호(11)를 입력하여 설정 로직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차량의 제동을 자동 제어하게 하고 사이렌(40)을 작동하여 이를 경보 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차후 차량 밀림 방지 장치
본 발명은 주차후 차량 밀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시동키가 오프된 채 주차된 차량에서 차량이 밀림을 발생할 경우 오일 펌프 및 제동 모터를 자동으로 구동하여 차량을 제동하게 하고 사이렌 경보를 통해 이를 경보하게 함으로써 주차후 차량의 안전이 도모 될 수 있게 한 주차후 차량 밀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제동을 위해 사용되는 브레이크 장치는 주행간 운전자의 발에 의해 조작되는 상용 브레이크 장치와 차량의 주차시 정지 제동을 위해 사용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로 구별되어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핸드 브레이크, 파킹 브레이크, 사이드 브레이크, 비상 브레이크 장치라 불리며 대개 수동식을 사용하지만 족동식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주행시 사용하는 상용 브레이크 장치와는 별개의 브레이크 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승용차의 경우는 와이어에 의해 전달되는 조작력을 인터미디어트 레버와 이퀄라이저를 통해 뒷바퀴에 전달하여 주차되는 동안 차량을 지속적으로 제동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행되는 동안 사용되는 상용 브레이크 장치는 공압 및 유압 작동식으로 분류되지만 승용차량과 같은 소형 차량의 경우는 유압식의 제동장치를 주로 사용한다.
유압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차량의 제동장치는 브레이크 폐달의 조작력을 전달받은 부스터가 물리적인 폐달의 조작력을 유압으로 변경하여 마스터 실린더를 통해 힘을 배가하게 되고 배력된 힘은 유압라인을 따라 각 휠에 설치된 실린더에 전달하여 브레이크 라이닝 혹은 패드가 직접적인 제동력을 발휘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3-6배의 힘으로 마스터 실린더에 그 힘이 전달되며 마스터 실린더는 유압의 힘을 파스칼의 원리에 의하여 힘을 배가하여 브레이크 파이프를 통해 휠 실린더에 전달하게 되고, 휠 실린더의 피스톤은 유압에 의하여 압출되어 브레이크 슈 또는 브레이크 패드를 드럼 또는 디스크에 밀어 붙여 제동 작용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공압을 이용한 차량의 일반적인 제동 장치는 대개 대형 차량의 주 브레이크로 사용되며, 상기한 에어식 브레이크 장치는 압축 공기를 동력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에어 브레이크의 공급 구멍에는 압축 공기가 항상 작용하게 되며, 페달(듀얼 브레이크 밸브)을 밟으면 압축공기는 릴레이 밸브(혹은 퀵 릴리스 밸브)를 통과하여 브레이크 챔버에 작용하여 슬랙 어져스터를 작동하게 되며, 작동되는 슬랙 어져스터는 브레이크 슈를 드럼에 압착하여 제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는 차량의 시동을 오프하고, 주차 브레이크를 통해 차량을 제동하여 주차 할 경우에도 자칫 기어가 중립에 위치되고 주차된 도로의 노면이 경사로일 경우 밀림을 발생하여 주차된 차량이 스스로 언덕길에서 밀려 내려가는 사고를 발생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주차난이 심각하여 경사가 심한 주택가의 노면에 차량을 주차하는 경우가 많음에 따라 상기한 위험성은 증대되고 있으며, 파킹 브레이크의 레버나 케이블이 노후화되고 라이닝 및 관련 장치가 마모되어 있을 경우는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차된 후에도 얼마든지 밀리는 현상을 발생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차시에는 대개 기어를 저속단에 위치하여 주차후 차량이 밀리지 않도록 조치하게 되지만 운전자가 주차시 자칫 이를 망각 할 경우 차량은 정상적으로 주차된 후에도 서서히 밀리다가 가속에 의해 언덕길의 아래로 곤두박질하여 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즉, 종래의 자동차는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차된 후에도 주차된 도로의 노면이 경사로 일 경우 자칫 언덕길의 아래로 밀려 주행되는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위험성을 내포하였으며, 이를 원천적으로 해소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채 정상적으로 주차된 후에도 차량 각 휠의 회전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하게 하고, 이를 감지 할 경우 오일 펌프와 제동 모터를 구동하여 차량을 자동으로 제동하고 이를 경고 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 및 일반적인 유압 브레이크 장치의 회로도.
도 2 는 종래 및 일반적인 에어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용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제어 블럭도.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E.C.U. 11 : 시동키의 오프 신호
12 : 파킹 레버 스위치의 신호 13 : 휠 센서 신호
20 : 제동 모터 30 : 에어 컴프레서
40 : 사이렌 경고 50 : 듀얼 브레이크 밸브
60 : 퀵 릴리스 밸브(릴레이 밸브) 70 : 에어 탱크
80 : 에어 드라이어 90 : 브레이크 쳄버
100 : 슬랙 어져스터 110 : 브레이크 드럼
120 : 브레이크 슈우 130 : 배터리 전원
140 : 오일 펌프 150 : 부스터
160 : 마스터 실린더 170 : 브레이크 페달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주차후 차량의 밀림이 감지될 경우에 오일 펌프(140)와 제동 모터(20)를 동시에 구동하게 하고, 공압식의 제동 장치의 경우에는 에어 컴프레서(30)와 제동 모터(20)를 동시에 구동하게 하여 파킹 브레이크 외에도 상용 브레이크 장치가 시동이 오프된 주차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작동하게 하되, 이를 위해 배터리 전원(130)을 상시 인가하는 E.C.U.(10)가 주차후 휠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휠 센서의 신호(13)와 파킹 레버 스위치의 신호(12)와 시동키의 오프 신호(11)를 입력하여 설정 로직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하며,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오일 펌프(140)(공압식의 경우 에어 컴프레서)와 제동 모터(20)를 구동하여 차량을 자동으로 제동 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사이렌(40)을 작동하여 이를 경보 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예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된 도 3 은 본 발명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개략적인 제어 블록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순서도이다.
즉, 예시된 도면과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이 주차된 후 휠이 회전되는 상태 즉, 밀림이 발생하는 상태를 감지하여 차량을 자동으로 제동하기 위한 E.C.U.(10)를 설정하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E.C.U.(10)는 항시 배터리 전원(130)을 인가하여 통전될 수 있게 하며, 시동키 실린더의 시동키가 오프단에 위치되는 신호와 파킹 레버가 작동되는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파킹 레버 스위치의 신호(12)와 주차후 휠의 회전을 판단하기 위하여 휠 센서의 신호(13)를 입력하여 소정의 로직을 통해 제어 신호를 출력 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E.C.U.(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시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차량을 제동하기 위하여 오일 펌프(140)를 구동하거나 공압식의 경우는 에어 컴프레서(30)를 자동으로 구동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E.C.U.(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발생된 유압이나 에어의 압력을 통해 차량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 모터(20)를 구동할 수 있게 하되, 상기 제동 모터(20)는 유압식의 경우 브레이크 페달(170)이 밟혀지는 것과 같은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해 제동 유압의 경로에 압력을 작용 할 수 있게 설치하며, 공압식의 경우는 상기 제동 모터(20)가 듀얼 브레이크 밸브(50)(브레이크 페달)를 제동 상태와 같이 제어 할 수 있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E.C.U.(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주차후 차량의 밀림이 발생하여 오일 펌프(140)(공압식의 경우 에어 컴프레서 모터)와 제동 모터(20)를 작동 할 경우 비상 제동되는 상태를 사이렌(40)을 통해 경보하여 이를 경고 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E.C.U.(10)는 차량의 시동키가 오프된 후 주차된 후에도 차량의 밀림을 감지하고 관련 장치를 제어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배터리 전원(130)을 항시 인가하게 되는 작용을 하며, 입력되는 휠 센서를 통해 주차된 후 차량이 밀려 휠이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작용을 하며, 파킹 레버 스위치를 통해 차량이 주차 제동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되며, 입력되는 시동키의 오프 신호(11)를 통해 차량의 시동이 정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E.C.U.(10)는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차량이 주차된 후 밀리는 현상을 최종적으로 판단하는 작용을 하며, 판단된 신호는 소정의 로직을 통해 제어 신호로 출력되어 제동 라인에 유압(유압식의 경우)이나 에어압(공압식의 경우)을 제공하는 오일 펌프(140)(유압식) 및 에어 컴프레서 모터(공압식)를 구동하게 되며, 동시에 유압라인에 공급된 유압(유압식)이나 에어압(공압식)을 통해 차량의 각 휠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 모터(20)를 구동하게 되는 작용을 한다.
대개 에어 컴프레서(30)는 엔진의 회전력을 통해 구동됨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에어 컴프레서(30)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가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됨을 참고하여 밝혀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이 주차된 후에도 각 휠의 회전이 감지 될 경우 상용 브레이크를 통해 차량을 자동으로 제동하게 함으로써 최근 주택가의 경사로에 차량을 주차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차량의 밀림을 우려하게 되는 경우에 편리하게 사용되게 하고, 이를 통해 안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게 됨은 물론 차량의 상품성과 신뢰성을 증대하게 된다.

Claims (2)

  1. 시동키 실린더의 시동키가 오프단에 위치되는 신호와 파킹 레버가 작동되는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파킹 레버 스위치의 신호와 주차후 휠의 회전을 판단하기 위하여 휠 센서의 신호를 입력하며 배터리로부터 항시 전원을 인가하여 차량이 주차된 후 밀림이 발생할 경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E.C.U.와, 상기 E.C.U.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오일 펌프와, 상기 E.C.U.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차량을 자동으로 제동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동 모터와, 상기 E.C.U.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하는 사이렌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식의 차량 밀림 방지 장치.
  2. 시동키 실린더의 시동키가 오프단에 위치되는 신호와 파킹 레버가 작동되는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파킹 레버 스위치의 신호와 주차후 휠의 회전을 판단하기 위하여 휠 센서의 신호를 입력하며 배터리로부터 항시 전원을 인가하여 차량이 주차된 후 밀림이 발생할 경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E.C.U.와, 상기 E.C.U.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 컴프레서와, 상기 E.C.U.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듀얼 브레이크 밸브를 제어하여 차량을 자동으로 제동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동 모터와, 상기 E.C.U.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하는 사이렌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브레이크 제어식의 차량 밀림 방지 장치.
KR1019970071460A 1997-12-20 1997-12-20 주차후 차량 밀림 방지 장치 KR19990052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460A KR19990052018A (ko) 1997-12-20 1997-12-20 주차후 차량 밀림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460A KR19990052018A (ko) 1997-12-20 1997-12-20 주차후 차량 밀림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018A true KR19990052018A (ko) 1999-07-05

Family

ID=66090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460A KR19990052018A (ko) 1997-12-20 1997-12-20 주차후 차량 밀림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20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9623B2 (en) 2000-12-19 2005-09-06 Posco High strength steel plate having superior electromagnetic shielding and hot-dip galvanizing properties
KR101458695B1 (ko) * 2013-03-29 2014-11-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주차차량 이동 시 차량사고 방지방법
KR20160120911A (ko) * 2015-04-09 2016-10-19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9623B2 (en) 2000-12-19 2005-09-06 Posco High strength steel plate having superior electromagnetic shielding and hot-dip galvanizing properties
KR101458695B1 (ko) * 2013-03-29 2014-11-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주차차량 이동 시 차량사고 방지방법
KR20160120911A (ko) * 2015-04-09 2016-10-19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07443A (ja) 電気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を有する車両用のブレーキ装置及びこのブレーキ装置を制御する方法
JP2009515752A (ja) 自動車のブレーキ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50095815A (ko) Abs장치와 복합제어 되는 유압식 주차브레이크자동제어장치및 제어방법
KR100785338B1 (ko) 자동차의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7341319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tor-vehicle parking brake
KR19990052018A (ko) 주차후 차량 밀림 방지 장치
JP7399573B2 (ja) 車両用制御装置
KR20040021704A (ko) 차량의 밀림방지장치 및 그 방법
JPS5918054A (ja) 自動車用ブレ−キ制御装置
KR100326708B1 (ko) 차량의 브레이크 오작동 첵크장치
KR100258193B1 (ko) 에어 브레이크장치의 언덕길 보조 발진장치 및 그방법
KR0150305B1 (ko) 차량의 브레이크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0341910B1 (ko) 파킹 브레크 자동 작동장치
KR20030018594A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0173764B1 (ko)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자동작동장치
KR100284950B1 (ko) 브레이크 오일의 유속을 이용한 비상등 점등장치
KR100203170B1 (ko) 등판로 주행시 페달조작에 의한 파킹브레이크 자동 온/오프 시스템
KR100241937B1 (ko) 파킹 브레이크와 푸트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되는 장치
KR19990026725U (ko) 비상 브레이크 장치
KR100369165B1 (ko) 에이비에스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414496Y1 (ko)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장치
KR19990059443A (ko) 자동차용 안전 장치
KR200235742Y1 (ko) 자동차용공기브레이크의미끄럼방지장치
KR20040051851A (ko) 자동차의 비상제동장치 및 방법
KR19990040810A (ko) 언덕길 주행시 밀림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