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7127A - 노루궁뎅이버섯차 및 그 추출물을 이용한 차류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노루궁뎅이버섯차 및 그 추출물을 이용한 차류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7127A
KR19990047127A KR1019970065381A KR19970065381A KR19990047127A KR 19990047127 A KR19990047127 A KR 19990047127A KR 1019970065381 A KR1019970065381 A KR 1019970065381A KR 19970065381 A KR19970065381 A KR 19970065381A KR 19990047127 A KR19990047127 A KR 19990047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ushroom
tea
roe deer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3441B1 (ko
Inventor
하태문
Original Assignee
김강권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권,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김강권
Priority to KR1019970065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441B1/ko
Publication of KR19990047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7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4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1Glucose, Dextr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루궁뎅이버섯의 수용성 추출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및 노루궁뎅이버섯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추출물을 획득함에 있어서 50-70℃에서 1시간 추출하여 추출물의 수율을 높이고, 추출과정에서 발생하는 구성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버섯추출물에 포도당, 기타혼합제 등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과립차를 제조하고,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과 감미료, 산미료 등을 혼합하여 버섯 액상차를 제조하며 노루궁뎅이버섯을 세절, 건조, 볶음 공정에 의한 버섯 티백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루궁뎅이버섯차 및 그 추출물을 이용한 차류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노루궁뎅이버섯에서 효과적인 방법에 의하여 추출물을 획득하고 그 추출물을 이용하여 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추출물을 이용하여 버섯과립차, 액상차 및 노루궁뎅이버섯의 세절, 건조, 볶음 공정에 의한 티백차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노루궁뎅이버섯은 산호침버섯과 산호침버섯속에 속하며, 학명은 Hericium erinaceum(Bull. ex Fr.) pers. 이다. 가을에 활엽수의 생나무 혹은 죽은나무에서 발생하는 백색부후균이며 한국, 동남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자실체는 지름 5∼25cm로 반구형이며 나무줄기에 매달려 있다. 윗면에는 짧은털이 빽빽이 나있고, 전면에는 길이 1∼5cm의 무수한 침이 수염모양으로 땅을 향하여 늘어져 있으며 처음에는 백색이지만 나중에는 담황색이 된다(한국의 버섯. 336P. 교학사. 1996). 이 버섯은 식용 및 약용버섯으로 인공재배가 가능하며 인공재배법의 보급과 함께 재배농가의 증가가 예상되나 건조방법을 제외하고는 마땅한 가공방법이 없어서 소비증가의 어려움이 있다. 노루궁뎅이버섯은 중국, 일본에서는 스포츠음료, 주류, 약제 등으로 개발되어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차로 개발된 사례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노루궁뎅이버섯은 향이 강하고, 맛이 좋으며 특히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만성위염의 치료에 이용되며 노루궁뎅이 버섯에서 분리된 다당류(HEPS)는 기주의 면역기능을 향상시켜 암세로 생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약용버섯으로서의 가치가 많은 노루궁뎅이버섯의 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 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 추출물의 높은 수율, 구성성분의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한 추출방법을 모색하고, 이를 이용한 과립차, 액상차 및 티백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제조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 제조-
버섯은 수확 즉시 햇볕에서 완전히 건조시킨다. 건조완료후 100mesh 정도의 크기로 분쇄 시킨다. 분쇄된 분말무게의 10배가량의 물을 붓고 50∼70℃의 온도로 1시간 정도 가열시킨다.
여과지(No 6. Whatman)로 여과후 여액과 잔사를 반복 추출하여 얻은 여액을 합한다.
여과액은 70℃에서 감압농축하여 고형분함량이 50%가 될 때까지 농축한다.
비교예 1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건조버섯 분말과 건조된 버섯 분말을 약한 불에서 3∼5분가량 볶은 분말을 사용하며, 열수와 주정을 이용한 추출을 실시하였다.
열수추출 온도는 95℃로 하였고 추출시간은 1시간부터 1시간 간격으로 5시간까지 추출 하였다. 주정추출은 주정농도를 10%부터 10%씩 높여 100%까지 처리를 두어 추출하였다.
표 1. 열수추출 시간별추출물의 수율
표 2. 주정농도별 추출물의 수율(단위 : %)
표 1, 2는 추출방법별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의 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추출수율은 열수추출이 주정추출보다 전체적으로 높았다. 열수추출의 경우 전처리방법과 추출시간별 차이는 대등하였지만 주정추출의 경우 건조처리보다 건조후 볶음처리에서 다소 높았으며 주정농도가 높아질수록 추출수율은 감소하였다.
표 3. 열수추출 시간별 추출물의 당, 단백질 함량(단위 : %)
표 4. 주정농도별 추출물의 당, 단백질 함량(단위 : %)
표 3과 표 4는 추출방법별 추출물의 당, 단백질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주정추출의 경우 건조추출의 건조후 볶음 추출보다 당, 단백질 함량이 모두 높았고, 주정농도가 낮을수록 당, 단백질 함량이 모두 높았다. 열수추출의 경우 시료전처리 방법이나 추출시간에 따른 차이는 대등하였다.
표 5. 추출물의 관능검사
표 5는 서로 다른 방법으로 추출한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들의 농도를 23brix로 동일하게 하고 Dextrose와 추출물의 양을 모두 같게 조절하여 만든 시료에 대해 패널요원 17명이 순위법으로 평가한 관능검사 결과에 의하면 추출방법에 있어서는 열수추출이 주정추출 보다 높고, 시료 전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건조추출이 건조후 볶음추출 보다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추출물의 양, 당과 단백질 함량은 주정 10% 농도로 건조추출시 가장 높았지만 추출물의 수율이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따라서 가장 효율적이면서 추출물의 수율, 당, 단백질, 기호도를 공통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추출방법은 열수건조추출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 나타났다.
표 6. 열수추출 온도에 따른 추출물의 수율(단위 : %)
표 7. 열수추출 온도에 따른 추출물의 당, 단백질 함량(단위 : %)
열수추출 시간은 대조구를 제외한 전처리를 1시간으로 하였다. 추출물의 수율은 추출온도가 높아질수록 다소 높았지만 현저한 차이는 없었다.
당, 단백질 함량은 추출온도가 낮을수록 높았지만 역시 큰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노루궁뎅이버섯은 추출온도가 높지않은 온도에서도 추출이 용이함을 알 수 있었고 경제적인 효율을 고려할 때 추출온도는 대략 50∼70℃ 정도가 적당하리라 판단된다.
열수추출 시간은 대조구를 제외한 전처리를 1시간으로 하였다. 추출물의 수율은 추출온도가 높아질수록 다소 높았지만 현저한 차이는 없었다.
당, 단백질 함량은 추출온도가 낮을수록 높았지만 역시 큰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노루궁뎅이버섯은 추출온도가 높지않은 온도에서도 추출이 용이함을 알 수 있었고 경제적인 효율을 고려할 때 추출온도는 대략 50∼70℃ 정도가 적당하리라 판단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준하여 제조한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이용하여 버섯 과립차를 제조하기 위해 추출물 함량 10%(고형분 50%), 음양곽추출물 3%(고형분 5%), 포도당 88%의 비율로 골고루 혼합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건조하였다.
비교예 2
표 8.
※ 산 도 : 0.1N NaOH를 pH 8.2가 될 때까지 소요된 양을 젓산량으로 환산
투명도 : 450nm에서의 흡광도를 스펙트로 포토메터로 측정
표 8은 추출물 함량을 5, 7.5, 10, 12.5%, 향기성분을 0, 0.1, 0.5%로 조합한 후 기호도 등을 조사한 결과로서 pH는 5.4∼5.7정도로 약산성이었고, 투명도는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낮았지만 추출물 농도 5%, 12.5%는 색이 너무 옅거나 진한 경향이었다. 기호도는 추출물 농도가 10%일 때 전체적으로 높았고 향기성분은 첨가하지 않았을 때 기호도가 높았다.
실시예 3
실시예1에 준하여 제조된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 1∼3%(고형분 50%), 음양곽 1∼2%(고형분 1.3%), 배과즙 2∼3%, 사과산 0.01∼0.05, 액상과당 8∼10%를 주요성분으로 하고 당도 9.5, pH 5.1, 산도 0.095의 기호도 높은 버섯 액상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참나무 톱밥에서 재배된 노루궁뎅이버섯을 수확 즉시 약 0.5cm의 폭으로 세절하여 햇볕에서 3일이상 완전히 건조시킨다. 건조된 버섯은 약한불에서 3∼5분가량 골고루 저으면서 볶은후 티백필름(3∼4 × 5∼6cm)에 0.7∼1.2g 정도를 담아 밀봉하여 티백차를 제조하였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노루궁뎅이버섯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버섯과립차, 액상차 및 노루궁뎅이버섯의 세절, 건조, 볶음 공정에 의한 티백차를 제조하는데 있어 추출수율은 열수추출이 주정추출보다 높다. 열수추출의 경우 전처리방법과 추출시간별 차이는 대등하였지만 주정추출의 경우 건조처리보다 건조후 볶음처리에서 다소 높았으며 주정농도가 높아질수록 추출수율은 감소하였다.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의 당, 단배질 함량은 오히려 추출온도가 낮을수록 높지만 맛, 향기 등은 50∼70℃에서 1시간 정도 추출하는 것이 좋다.
노루궁뎅이버섯을 이용한 차류를 제조함으로서 수확기에 대량생산되는 버섯을 가공하여 활용도를 높이므로서 장기보존의 문제와 농가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4)

  1. 노루궁뎅이버섯으로 부터 추출물의 수율, 기호도, 성분등에 대한 최적조건의 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50∼70℃에서 1시간 정도 열수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 8∼12%(고형분 50%), 음약곽 추출물 2∼3%(고형분 5%), 포도당 85∼90%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 1∼3%(고형분 50%), 음약곽 추출물 1∼2%(고형분 1.3%), 배과즙 2∼3%, 사과산 0.01∼0.05%, 액상과당 8∼10%, 정제수 82∼88%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4. 노루궁뎅이버섯을 세절, 건조, 볶음과정을 거쳐 티백차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9970065381A 1997-12-02 1997-12-02 노루궁뎅이 버섯추출물을 이용한 차 조성물 KR100263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381A KR100263441B1 (ko) 1997-12-02 1997-12-02 노루궁뎅이 버섯추출물을 이용한 차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381A KR100263441B1 (ko) 1997-12-02 1997-12-02 노루궁뎅이 버섯추출물을 이용한 차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127A true KR19990047127A (ko) 1999-07-05
KR100263441B1 KR100263441B1 (ko) 2000-08-01

Family

ID=19526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381A KR100263441B1 (ko) 1997-12-02 1997-12-02 노루궁뎅이 버섯추출물을 이용한 차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4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174A (ko) * 2002-05-03 2003-11-07 제네티카 주식회사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쌀 제조방법
KR100787633B1 (ko) * 2006-04-26 2007-12-21 충청북도 간 기능 개선과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7539A (ko) * 2017-11-20 2019-05-29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목질진흙버섯과 노루궁뎅이버섯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기능이 강화된 과립차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254A (ko) * 2000-11-17 2001-02-05 오세권 목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액상추출차
KR20010069433A (ko) * 2001-03-22 2001-07-25 김윤완 노루궁뎅이버섯을 이용한 건강 보조 식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7926A (ja) * 1993-12-02 1995-06-13 Hitoyoshi Nama Concrete Kk きのこの処理方法
US5565436A (en) * 1994-02-10 1996-10-15 Kagome Kabushiki Kaisha Production stimulators of nerve growth factors comprising cyathane derivativ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174A (ko) * 2002-05-03 2003-11-07 제네티카 주식회사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쌀 제조방법
KR100787633B1 (ko) * 2006-04-26 2007-12-21 충청북도 간 기능 개선과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7539A (ko) * 2017-11-20 2019-05-29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목질진흙버섯과 노루궁뎅이버섯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기능이 강화된 과립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3441B1 (ko)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3165A (en) Process of making a soluble tea product with champagne-like properties
JP4104862B2 (ja) モリンダ・シトリフォリア食物繊維
Keijbets et al. Loss of vitamin C (L-ascorbic acid) during long-term cold storage of Dutch table potatoes
CN105594927A (zh) 一种冻干柠檬养生茶及其制作方法
KR101457615B1 (ko) 상황버섯으로 발효한 커피의 제조방법
KR100263441B1 (ko) 노루궁뎅이 버섯추출물을 이용한 차 조성물
KR20120075720A (ko) 다래나무 순을 이용한 녹차제조방법
KR101703276B1 (ko) 땅콩새싹 추출물의 농축액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음료
KR100871669B1 (ko) 함초 발효 진액 제조방법
CN106307209A (zh) 一种碱蓬嫩叶青汁粉的制备方法
CN107439763B (zh) 一种元宝枫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9259233A (zh) 一种鲜粽叶天然成分提取工艺
KR102402177B1 (ko) 복분자 커피의 제조방법
KR101187450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발효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79676B1 (ko) 잣기름 및/또는 잣박을 포함하는 잣김
KR100828589B1 (ko) 신령버섯 함유 과립차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과립차
KR102537246B1 (ko) 부티아 시럽 및 그 제조방법
KR101756768B1 (ko) 다래순을 함유하는 필수아미노산 및 gaba 증가 발효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차
KR101422611B1 (ko)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및 건강음료 조성물
KR101994975B1 (ko) 과실류와 초석잠을 이용한 건강 음료의 제조방법
KR100344147B1 (ko) 다래수액을 주재로 한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7411A (ko) 구기자잎차의 제조방법과 구기자잎차 조성물
Singh et al. Value addition to arid fruits for nutrition and livelihood
TR2022011001A2 (tr) İğde (elaeagnus angustifolia l.) meyvesi̇ i̇çeren pekmez ve üreti̇m yöntemi̇
CN118028052A (zh) 大理青梅精华液香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