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6669A - 주차및승하강용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주차및승하강용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6669A
KR19990046669A KR1019990013055A KR19990013055A KR19990046669A KR 19990046669 A KR19990046669 A KR 19990046669A KR 1019990013055 A KR1019990013055 A KR 1019990013055A KR 19990013055 A KR19990013055 A KR 19990013055A KR 19990046669 A KR19990046669 A KR 19990046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rotation
parking
vehicl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4889B1 (ko
Inventor
김진유
곽오근
Original Assignee
김진유
곽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유, 곽오근 filed Critical 김진유
Priority to KR1019990013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4889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8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66F7/025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모터 또는 유압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자동차 바퀴의 구동만으로 파렛트 이동수단을 작동시켜 파렛트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차 및 승하강용 장치의 설비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장치의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장치의 내구성을 연장하고 승하강시 요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자동차의 크기에 관계하여 네 방위에 직립 설치되는 한편, 그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나사부가 형성된 네 개의 지주기둥; 각각의 지주기둥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되며, 그 상부로는 자동차가 주차되는 파렛트; 자동차의 네 바퀴에 관계하여 파렛트의 전·후단 좌우측 각각에 다수씩 설치되는 한편, 바퀴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롤러; 파렛트에 자동차를 상차 및 하차시 회전롤러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단; 회전롤러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파렛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단; 회전롤러의 회전력을 파렛트 이동수단에 전달하는 수단 및 파렛트에 주차된 자동차를 고정시키되 바퀴의 회전이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 장치{LIFT APPARATUS FOR PARKING AND UP/DOWN}
본 발명은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를 상하로 2단 주차시킬 수 있는 장치에 주차시킬 때 자동차 바퀴의 구동을 통해 파렛트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의 발전에 의해 자동차의 보급대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도시는 자동차를 주차시킬 수 있는 주차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주차난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동차의 10부제 운행을 권장한다든지 홀수 짝수제 운행을 한다든지 여러 가지 방안들이 강구되고 있다.
한편, 주차난의 다른 해결 방안으로 한 곳에 많은 수의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는 주차시설이 등장하게 되면서 주차장치의 기술이 날로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여 자동차를 상하로 주차시킬 수 있는 주차용 리프트 장치의 기술이 개발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대체적으로 전술한 주차용 리프트 장치는 크게는 타워 형태의 대형 주차시설에 적용된 것에서부터 작게는 소형의 2단 주차시설에 적용된 것들이 있는데, 이러한 주차용 리프트 장치의 공통점은 주차용 리프트의 파렛트에 자동차를 주차시킨 상태에서 자동 제어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시킨다는 점이다. 이때, 필수적으로 동력원이 필요하게 됨은 물론 주차용 리프트 장치를 제어하는 관리자가 있게 됨은 당연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주차용 리프트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의 주차용 리프트 장치는 자동차의 크기에 관계하여 네 개의 지주기둥, 네 지주기등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파렛트, 파렛트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력수단, 동력수단의 동력을 파렛트에 전달하여 파렛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단 및 주차용 리프트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주차용 리프트 장치는 파렛트에 자동차를 주차시킨 상태에서 제어수단을 통해 동력수단을 제어하게 되면 파렛트 이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파렛트가 상하로 이동된다.
이때, 파렛트 이동수단은 통상적으로 전동모터나 유압장치를 동력원으로 하여 체인이나 와이어 또는 유압실린더를 통해서 동력수단의 동력을 전달하여 파렛트를 네 개의 지주기둥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되거나 경사지게 움직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종래 주차용 리프트 장치는 동력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유지비용이 적지 않음은 물론, 주차용 리프트 장치의 설치시에도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주차용 리프트 장치는 동력원 및 제어장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비구조가 복잡하고, 동력원이 차단되었을 경우에는 주차용 리프트 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다른 문제점으로, 종래의 주차용 리프트장치는 리프팅 수단에 있어 체인 또는 와이어에, 유압식에서는 실린더에 그 하중이 지탱되어 움직이기 때문에 체인 와이어의 마모로 인한 단락, 유압실린더 오일씰의 마모로 인한 누유 발생시 리프팅 도중 추락사고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구동모터 또는 유압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자동차 바퀴의 구동만으로 파렛트 이동수단을 작동시켜 파렛트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차 및 승하강용 장치의 설비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장치의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장치의 내구성을 연장하고 승하강시 요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즉, 자동차를 상하로 이동시켜 주차시킬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크기에 관계하여 네 방위에 직립 설치되는 한편, 그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나사부가 형성된 네 개의 지주기둥; 상기 각각의 지주기둥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되며, 그 상부로는 상기 자동차가 주차되는 파렛트; 상기 자동차의 네 바퀴에 관계하여 상기 파렛트의 전·후단 좌우측 각각에 다수씩 설치되는 한편, 상기 바퀴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롤러; 상기 파렛트에 상기 자동차를 상차 및 하차시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단;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파렛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단;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력을 상기 파렛트 이동수단에 전달하는 수단; 및 상기 파렛트에 주차된 자동차를 고정시키되 바퀴의 회전이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 방지수단은 회전축에 형성된 키홈; 상기 키홈이 형성된 회전축에 동심으로 설치되어 일정범위 회전 가능한 레버 및 상기 레버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키홈에 체결되는 회전방지키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파렛트의 상하 이동수단은 상기 파렛트의 하부측 전후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지주기둥 각각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동일 회전수의 상하 이동기어 및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상하 이동기어에 전달하는 회전기어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회전축과 회전롤러는 체인에 의해 연결되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상하 이동기어와 회전기어는 베벨기어 형태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자동차의 고정수단은 상기 파렛트의 후단 좌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자동차의 바퀴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 및 상기 파렛트의 선단 좌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레버의 작동에 의해 일정범위 상하로 출몰되어 상기 자동차의 타측 바퀴 외주면을 지지하는 회동 지지롤러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리프팅 수단을 도시하여 보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상하 이동수단을 보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베벨기어 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상하 이동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지주기둥 12. 나사부
20. 파렛트 30. 회전롤러
32. 키홈 40,70. 체인
50. 레버 52. 회전방지키
60. 회전축 62. 상하 이동기어
64. 회전기어 80. 지지롤러
82. 회동 지지롤러 90. 베어링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용 리프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리프팅 수단을 도시하여 보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상하 이동수단을 보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베벨기어 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상하 이동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는 네 방위에 직립 설치된 네 개의 지주기둥(10), 지주기둥(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파렛트(20), 자동차(1)의 네 바퀴(5)에 관계하여 파렛트(20)의 전·후단 좌우측 각각에 다수씩 설치되는 회전롤러(30), 자동차(1)의 상·하차시 회전롤러(30)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단, 파렛트(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단, 회전롤러(30)의 회전력을 파렛트 이동수단에 전달하는 수단 및 파렛트(20)에 주차된 자동차(1)를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는 먼저, 자동차(1)를 파렛트(20)에 상차하여 주차시킬시 자동차 고정수단의 일부를 해제하여 상차시킨 후, 해제한 자동차 고정수단으로 파렛트(20) 상부에 상차된 자동차를 완전히 고정시킨다. 이후, 자동차(1)의 바퀴(5)를 전진 구동시키면 바퀴(5)의 회전에 의해 회전롤러(30)가 회전되고, 회전롤러(30)의 회전력은 체인(70)에 의해 파렛트(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전달된다. 체인(70)에 의해 회전롤러(30)의 회전력이 파렛트(20) 상하 이동수단에 전달되면 파렛트(20)는 상부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파렛트(20)가 상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회전롤러(30) 회전 방지수단을 통해 회전롤러(30)의 회전을 방지하여 파렛트(20)가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면 자동차(1)의 주차가 이루어진다.
반면, 파렛트(20)로부터 자동차(1)를 하차시킬 경우에는 회전롤러(30) 회전 방지수단을 해제한 후, 자동차(1)의 바퀴(5)를 후진 구동시키면 파렛트(20)가 하부로 이동되어 파렛트(20)로부터 자동차(1)를 하차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네 방위에 직립 설치된 지주기둥(10)은 파렛트(20)의 상하 이동로로, 파렛트(20) 및 자동차(1)의 하중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주기둥(10)은 자동차(1)의 크기에 관계하여 네 방위의 일정 위치를 점하여 직립 설치되고, 각각의 지주기둥(10) 외주면에는 하부에서 상부에 이르기까지 나선형의 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파렛트(20)는 그 상부에 자동차(1)를 상차하여 네 지주기둥(10)을 통해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파렛트(20)는 후술할 파렛트(20) 상하 이동수단의 상하 이동기어(62)와 연결되어 정역회전하는 상하 이동기어(62)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렛트(20)의 전·후단 좌우측 각각에 다수개씩 설치되는 회전롤러(30)는 파렛트(20) 상하 이동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회전롤러(30)는 자동차(1)의 네 바퀴(5)에 관계하여 다수개가 한 조로 이루어져 설치된다. 즉, 자동차(1) 각각의 바퀴(5)가 위치하는 파렛트(20)의 전·후단 좌우측 각각에 다섯 개 내지 여섯 개 정도의 회전롤러(30)가 한 조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다수개가 한 조로 이루어진 회전롤러(30)는 각각이 체인(40)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회전롤러(30)가 회전하면 다른 나머지의 회전롤러(30)가 동일 회전수로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롤러(30)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단은 자동차(1)의 상·하차시 바퀴(5)의 회전에 의한 회전롤러(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자동차(1)의 상·하차시 회전롤러(30)가 회전 가능한 상태라면 자동차(1)의 구동바퀴(5)에 의해 회전롤러(30)가 회전하기 때문에 자동차(1)를 파렛트(20)에 상차하거나 파렛트(20)로부터 하차시킬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자동차(1)를 파렛트(20)에 상차시키거나 파렛트(20)로부터 하차시킬시에는 회전롤러(30)의 회전이 방지된 상태이어야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회전롤러(30) 회전 방지수단은 다수의 회전롤러(30) 중 어느 하나의 회전롤러(30)에 형성된 키홈(32), 키홈(32)이 형성된 회전롤러(30)에 근접 설치되어 일정범위 회전 가능한 레버(50) 및 레버(50)의 일단에 형성되어 키홈(32)에 체결되는 회전방지키(52)로 이루어진다. 이때, 레버(50)에는 동심을 갖는 손잡이(54)가 일체 형성되고 손잡이(54)는 자동차 운전석과 근접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구성된 회전롤러(30) 회전 방지수단에서 운전자는 손잡(54)를 회동시켜서 레버(50)의 회전방지키(52)를 회전롤러(30)의 키홈(32)에 체결하게 되면 회전롤러(30)의 회전이 방지되고, 레버(50)를 일정범위 회전시켜 키홈(32)으로부터 회전방지키(52)를 탈거하면 회전롤러(30)가 회절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파렛트(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단은 회전롤러(3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파렛트(2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파렛트(20) 상하 이동수단은 파렛트(20)의 하부측 전후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롤러(3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60), 지주기둥(10) 각각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상하 이동기어(62) 및 회전축(60)의 끝단에 설치되어 회전축(60)의 회전력을 상하 이동기어(62)에 전달하는 회전기어(64)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롤러(30)의 회전력은 체인(70)을 통해서 회전축(60)으로 전달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전술한 두 회전축(60)은 체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되어 동일 회전수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네 개의 상하 이동기어(62) 역시 동일 회전수로 회전하여 파렛트(20)를 수평한 상태로 상하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상하 이동기어(62)는 지주기둥(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파렛트(20)와 베어링(9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하 이동기어(62)와 회전기어(64)는 베벨기어의 형태이다.(도 5 참조)
이러한 구성을 갖는 파렛트(20) 상하 이동수단에서 회전롤러(30)의 회전에 의해 그 회전력이 체인(70)을 통해 회전축(60)에 전달되면, 회전축(60)의 일단에 연결된 회전기어(64)가 회전을 하여 이 회전기어(64)와 치(齒) 결합된 상하 이동기어(62)를 회전시킴으로써 파렛트(20)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파렛트(20) 상하 이동수단의 회전은 자동차(1)의 주차 방향에 따라 그 회전이 달라진다. 즉, 자동차(1)의 진행방향 주차시와 후진방향 주차시 파렛트(20) 상하 이동수단의 회전은 반대로 회전하게 된다. 이는 자동차(1)를 상차하거나 하차시에도 해당된다.
파렛트(20)에 주차된 자동차(1)를 고정시키는 수단은 파렛트(20)의 상부에 상차된 자동차(1)가 파렛트(20)의 상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이 자동차 고정수단은 파렛트(20)의 후단 좌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동차(1)의 바퀴(5)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80) 및 파렛트(20)의 선단 좌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레버(50)의 작동에 의해 일정범위 상하로 출몰되어 자동차(1)의 타측 바퀴(5) 외주면을 지지하는 회동 지지롤러(82)로 이루어진다.(도6 참조)
즉, 파렛트(20)의 일측에는 회전 가능한 구조의 지지롤러(80)가 고정·설치되고, 파렛트(20)의 타측에는 회전롤러(30) 회전 방지수단의 레버(50)에 의해 파렛트(20)의 내측으로부터 외부로 출몰되는 구조의 회동 지지롤러(82)를 설치하여 자동차(1)의 상·하차시에는 파렛트(20)의 내측으로 넣고, 상·하차후에는 레버(50)를 작동시켜 파렛트(20)의 내측으로부터 회동 지지롤러(82)를 꺼내 자동차(1)의 타측 바퀴(5)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자동차 바퀴(5)의 회전에 의해 두 지지롤러(80, 82)는 회전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몇 가지 중요한 기술적인 사항을 기술한다면, 각각의 회전롤러(30)가 체인(40)에 의해 연결되고, 이 회전롤러(30)는 회전축(60)과 체인(70)에 의해 연결되며, 두 회전축(60) 또한 체인(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롤러(30)의 회전력이 회전축(60)을 통해 베벨기어의 형태로 치(齒)합된 두 기어(62, 64)로 전달되면 네 개의 상하 이동기어(62)는 동일 회전수로 회전하여 파렛트(20)를 수평하게 상하 이동시키게 된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를 정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주차용 리프트 장치는 자동차(1)의 크기에 관계하여 네 방위에 직립 설치되는 한편 그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나사부(12)가 형성된 네 개의 지주기둥(10), 각각의 지주기둥(10)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되며 그 상부로는 자동차(1)가 주차되는 파렛트(20), 자동차(1)의 네 바퀴(5)에 관계하여 파렛트(20)의 전·후단 좌우측 각각에 다수씩 설치되는 한편 바퀴(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롤러(30), 파렛트(20)에 자동차(1)를 상차 및 하차시 회전롤러(30)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단, 회전롤러(3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파렛트(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단, 회전롤러(30)의 회전력을 파렛트(20) 이동수단에 전달하는 체인(70) 및 파렛트(20)에 주차된 자동차(1)를 고정시키되 바퀴(5)의 회전이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수씩 설치된 각각의 회전롤러(30)는 체인(40)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며, 동일 회전수를 갖는다. 한편, 다수의 회전롤러(30)는 기어의 치합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롤러(30)의 회전 방지수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축(60)에 형성된 키홈(32), 키홈(32)이 형성된 회전롤러(30)에 근접 설치되어 일정범위 회전 가능한 레버(50) 및 레버(50)의 일단에 형성되어 키홈(32)에 체결되는 회전방지키(5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레버(50)는 손잡이(54)와 일체로 형성되어 손잡이(54)를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손잡이(54)의 회동에 의해서 레버(50)가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톱퍼(56)는 홈(58)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회동지지홀러(82)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파렛트(20)의 상하 이동수단은 파렛트(20)의 하부측 전후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롤러(3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60), 지주기둥(10) 각각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상하 이동기어(62) 및 회전축(60)의 끝단에 설치되어 회전축(60)의 회전력을 상하 이동기어(62)에 전달하는 회전기어(64)로 이루어진다. 이때, 두 회전축(60)은 체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되어 동일 회전수를 갖고, 상하 이동기어(62)와 회전기어(64)는 베벨기어 형태로 이루어진다.
자동차(1)의 고정수단은 파렛트(20)의 후단 좌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동차(1)의 바퀴(5)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80) 및 파렛트(20)의 선단 좌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레버(50)의 작동에 의해 일정범위 상하로 출몰되어 자동차(1)의 타측 바퀴(5) 외주면을 지지하는 회동 지지롤러(82)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회전롤러(30)의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파렛트(20)가 하부측에 있는 상태에서 자동차(1)를 파렛트(20)에 상차시키고난 후 레버(50)를 작동하여 회동지지롤러(82)를 파렛트(20)로부터 꺼내 자동차(1)의 앞뒤로 지지롤러(80)와 회동지지롤러(82)에 의해 고정시킨다.
한편, 자동차(1)가 파렛트(2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바퀴(5)를 구동시키면 바퀴(5)의 회전에 의해 회전롤러(3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회전롤러(30)의 회전력은 체인(70)을 통해 회전축(60)에 전달된다. 회전축(60)의 회전에 의해 베벨기어 형태의 회전기어(64)와 상하 이동기어(62)의 회전이 이루어져 상하 이동기어(62)가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파렛트(20) 또한 상부로 이동된다.
파렛트(20)가 상부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 자동차(1)를 주차 브레이크 상태로 해놓은 후, 손잡이(54)를 당겨서 레버(50)의 회전방지키(52)를 키홈(32)에 체결하여 회전롤러(3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회전롤러(30)의 회전이 방지되어 있으므로 파렛트(20)가 하강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반면, 파렛트(20)로부터 자동차(1)를 하차시킬 경우 상차 때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자동차(1)의 바퀴(5)를 구동시켜 상하 이동기어(62)의 회전이 역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회전롤러(30) 회전 방지수단은 당연히 해제된 상태이어야 한다.
상하 이동기어(62)의 역회전에 의해 파렛트(20)는 하부로 이동되고, 하부에 완전히 이동된 후에는 다시 회전롤러(30) 회전 방지수단을 자동시켜 회전롤러(3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파렛트(20)로부터 자동차(1)를 하차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동력원 및 제어장치가 필요 없는 주차용 리프트 장치를 구성하므로써 유지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설비비 또한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자 혼자서도 충분히 주차시킬 수 있어 소형 주차장 및 개인 주차시설에 적합하다.
이상에서는 자동차의 주차용으로써 본원 발명을 소개하였지만 본 발명의 장치는 별도의 구동모터와 같은 동력수단을 설치하여 동력원을 이용한 리프트 장치로 개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구조를 통해 높은 곳에 화물을 올리는 리프트 장치로도 이용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유지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주차용 리프트 장치의 설비시에도 많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원 및 제어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설비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정전시에 관계없이 주차용 리프트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본 발명은 주차시설을 관리하는 관리자를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 혼자서도 자동차를 용이하게 주차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효과가 발휘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를 설치하면 간단한 구조의 동력원을 이용한 리프트 장치로 개조할 수 있어 주차용 리프트 장치뿐만 아니라 높은 곳으로 화물을 올릴 수 있는 리프트 장치로도 이용할 수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자동차를 상하로 이동시켜 주차시킬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1)의 크기에 관계하여 네 방위에 직립 설치되는 한편, 그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나사부(12)가 형성된 네 개의 지주기둥(10);
    상기 각각의 지주기둥(10)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되며, 그 상부로는 상기 자동차(1)가 주차되는 파렛트(20);
    상기 자동차(1)의 네 바퀴(5)에 관계하여 상기 파렛트(20)의 전·후단좌우측 각각에 다수씩 설치되는 한편, 상기 바퀴(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롤러(30);
    상기 파렛트(20)에 상기 자동차(1)를 상차 및 하차시 상기 회전롤러(30)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단;
    상기 회전롤러(3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파렛트(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단;
    상기 회전롤러(30)의 회전력을 상기 파렛트 이동수단에 전달하는 수단;및
    상기 파렛트(20)에 주차된 자동차(1)를 고정시키되 바퀴의 회전이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30)의 회전 방지수단은 회전축(60)에 형성된 키홈(32);
    상기 키홈(32)이 형성된 회전축(60)에 동심으로 설치되어 일정범위 회전 가능한 레버(50);및
    상기 레버(5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키홈(32)에 체결되는 회전방지키(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20)의 상하 이동수단은 상기 파렛트(20)의 하부측 전후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롤러(3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60);
    상기 지주기둥(10) 각각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동일 회전수의 상하 이동기어(62);및
    상기 회전축(60)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60)의 회전력을 상기 상하 이동기어(62)에 전달하는 회전기어(6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60)과 회전롤러(30)은 체인(7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기어(62)와 회전기어(64)는 베벨기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1)의 고정수단은 상기 파렛트(20)의 후단 좌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자동차(1)의 바퀴(5)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80); 및
    상기 파렛트(20)의 선단 좌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레버(50)의 작동에 의해 일정범위 상하로 출몰되어 상기 자동차(1)의 타측 바퀴(5) 외주면을 지지하는 회동 지지롤러(8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 장치.
KR1019990013055A 1999-04-06 1999-04-06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 장치 KR100354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055A KR100354889B1 (ko) 1999-04-06 1999-04-06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055A KR100354889B1 (ko) 1999-04-06 1999-04-06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669A true KR19990046669A (ko) 1999-07-05
KR100354889B1 KR100354889B1 (ko) 2002-09-30

Family

ID=3748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055A KR100354889B1 (ko) 1999-04-06 1999-04-06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48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3038A (zh) * 2018-01-30 2018-08-10 安徽传质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节约占地空间的汽车维修用升降装置
KR20210047466A (ko) * 2019-10-22 2021-04-30 (주)재정테크 차량용 리프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3038A (zh) * 2018-01-30 2018-08-10 安徽传质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节约占地空间的汽车维修用升降装置
KR20210047466A (ko) * 2019-10-22 2021-04-30 (주)재정테크 차량용 리프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4889B1 (ko) 200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347379U (zh) 一种混合式二层停车平台
KR100354889B1 (ko)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 장치
KR0124066Y1 (ko) 고층 주차장
JPH0447114B2 (ko)
KR100294472B1 (ko) 전진입고와전진출고를위한주차장치
JP3047090B2 (ja)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CN220390939U (zh) 一种车辆安全防撞装置
KR200264291Y1 (ko) 주차기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JP2746765B2 (ja) 2階ガレージ架台
KR920003060Y1 (ko)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JP3736923B2 (ja) 機械式立体駐車場のターンテーブル旋回装置
JPH07259367A (ja) 立体駐車装置
JP2004092354A (ja) 駐車装置
CN219158578U (zh) 一种立体车库用轨道自动调节装置
KR950002131B1 (ko) 주차 빌딩 시스템
KR200326198Y1 (ko) 회전롤러를 이용한 차량 주차장치
KR200221858Y1 (ko) 승강선회식 주차설비.
KR970005631Y1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리프팅 장치
JPH0673912A (ja) 立体駐車装置
KR940003684Y1 (ko) 회전식 주차장치
KR900006910Y1 (ko) 입체식 주차장의 주차차량 자동운반 장치
JPH10220048A (ja) 駐車装置
KR0157639B1 (ko) 다층 복열식 입체 주차장치
KR200163900Y1 (ko) 승강식 주차기의 플렛홈 무동력 구동장치
JPH07238701A (ja) 立体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