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5264A - 회전 릴(reel)의 낚싯줄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릴(reel)의 낚싯줄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5264A
KR19990045264A KR1019980048652A KR19980048652A KR19990045264A KR 19990045264 A KR19990045264 A KR 19990045264A KR 1019980048652 A KR1019980048652 A KR 1019980048652A KR 19980048652 A KR19980048652 A KR 19980048652A KR 19990045264 A KR19990045264 A KR 19990045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line
rotor
roller
station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4233B1 (ko
Inventor
세이이치 아라타케
유조 가와베
다이세이 모리세
히로카즈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요시조
가부시기가이샤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요시조, 가부시기가이샤시마노 filed Critical 시마노 요시조
Publication of KR19990045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2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회전 릴의 줄 안내 장치(8)에는 낚싯줄(L)을 스풀(4)로 안내하도록 줄 롤러(23)와 정지 샤프트 커버(21)가 제공된다. 정지 샤프트(20)는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7)에 대하여 일 단부에서 고정된다. 정지 샤프트 커버(21)는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7)와 간격을 두고 정지 샤프트(20)의 다른 단부에 고정된다. 줄 롤러(23)는 낚싯줄이 감길때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도록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7)와 정지 샤프트 커버(21) 사이에서 정지 샤프트(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줄 안내 샤프트(34d)는 직경이 정지 커버(21) 측상에서 증가하도록 줄 롤러(23)의 원주 표면상에 형성된다. 낚싯줄이 감길때 낚싯줄은 줄 롤러(23)에 의해 안내되면서 줄 안내 표면(34d)의 측부상에서 변위된다. 줄 롤러가 정지 커버를 향해 편향될지라도, 줄 롤러는 정지 샤프트 커버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회전 릴(reel)의 낚싯줄 안내 장치
본 발명은 회전 릴의 낚싯줄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로터의 로터 아암 쌍의 첨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반원형 손잡이(bail)의 쌍들중 하나에 장착된, 낚싯줄을 스풀(spool)로 안내하는 회전 릴의 낚싯줄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전 릴에서 로터는 스풀 둘레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는 한쌍의 반원형 지지 손잡이 지지 부재의 일 단부에 장착된다.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와 낚싯줄 안내 장치는 스풀 둘레에서 로터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반원형 지지 부재와 줄 안내 장치는 줄 풀림 위치와 줄 감기 위치 사이에서 추축의 위치에 있다. 낚싯줄 안내 장치에는, 제 1 단부에서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들중 하나에 고정된 정지 샤프트, 정지 샤프트의 제 2 단부에 고정되고 그리고 그 위에 정지 손잡이의 일 단부가 장착되는 정지 샤프트 커버 및, 정지 샤프트 커버와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 사이에서 정지 샤프트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줄 롤러가 제공된다. 낚싯줄 안내 장치에서 낚싯줄이 풀려야할때 반원형 손잡이는 줄 풀림 위치로 회전하고, 그리고 낚싯줄은 스풀의 전방 단부측으로부터 풀리게 된다. 또한 낚싯줄을 스풀로 감는데 있어서, 반원형 손잡이가 낚싯줄 안내 위치에서 회전하고 핸들이 회전할때, 낚싯줄은 안내되어 반원형 손잡이에 의해 줄 롤러의 외측 원주 표면과 접촉하고, 낚싯줄의 방향이 변화되면서 줄 롤러에 의해 안내되어 스풀의 외측 원주 둘레에 감긴다.
회전 릴에서,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와 줄 안내 장치가 줄 풀림 위치로 추축 회전할때 낚싯줄은 풀린다. 낚싯줄은 스풀과 그 안에 한정된 축 둘레에 감기는데, 축은 낚싯줄이 스풀로부터 풀릴때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낚싯줄이 스풀의 전방 단부로부터 풀리거나 또는 던져질때, 줄의 비틀림(twist)이 낚싯줄에서 발생하도록 낚싯줄은 스풀로부터 이탈되면서 나선 형상의 형태로 된다. 낚싯줄이 스풀의 둘레에 되감길때, 낚싯줄은 스풀의 축에 평행한 경로를 따라서 당겨지고 반원형 손잡이와 줄 롤러에 의해 안내되는 결과로서 스풀의 원주 둘레에서 스풀의 축 방향으로부터 감긴다. 결과적으로, 줄에서의 비틀림이 발생하는데, 그러한 비틀림은 낚싯줄 풀림 모드에서의 방향에 역전되는 방향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전방측으로부터 보아서 낚싯줄이 시계 방향으로 감기는 회전 릴에 있어서, 낚싯줄이 스풀 둘레에 감길때, 감김 방향에서 상류측으로부터 보아서 시계 반대 방향의 비틀림으로 줄에서의 비틀림이 낚싯줄에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회전 릴에 있어서, 스풀로부터 공급되는 낚싯줄의 비틀림을 회피하기 위하여, 낚싯줄은 비틀림 상태에서 스풀 둘레에 감긴다. 이러한 경우에, 같은 줄의 비틀림이 줄 공급 모드와 줄 감김 모드에서 반대 방향으로 발생된다면, 스풀 둘레에서 낚싯줄에 과잉의 줄의 비틀림이 남지 않게 된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 낚싯줄이 줄 롤러에 의해 안내되고 있는 중에, 줄 롤러와 낚싯줄 사이의 접촉에 따라서 과잉의 줄의 비틀림이 낚싯줄에 발생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상하지 못한 움직임이나 굽힘의 힘이 낚싯줄에 가해져서,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과잉된 줄 비틀림의 발생이 초래되도록, 낚싯줄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 및/또는 방향은 줄 롤러와의 접촉 저항에 기인하여 변화된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낚시용 릴은 줄의 비틀림이 스풀 둘레에 감긴 낚싯줄에 잔류함으로써 낚싯줄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것이 곤란하고, 그리고 실제로 낚시 기구를 원하는 방향으로 던지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 8-23834 및, 평 8-23836 은 상기에 기술된 줄의 비틀림 문제를 극복하는 기술적인 접근을 개시한다. 위의 두 공보에 개시된 회전 릴에는 낚싯줄 안내 장치가 제공되는데, 여기에서 줄 롤러는 (줄 롤러의 전방 단부 측에 있는) 로터의 줄 감는 회전 방향에서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줄 안내 부분은 줄 롤러의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 측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낚싯줄 안내 장치에 있어서, 낚싯줄이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를 향하여 편향되도록, 그리고 낚싯줄이 줄 안내 부분과 접촉함으로써 그것의 움직임을 축 방향에서 제한하는 동안 낚싯줄이 스풀로 안내되도록 줄 롤러가 배치된다. 그러한 배치로써, 축 방향에서의 낚싯줄의 움직임은 줄 롤러에 의해 억제되고, 줄 롤러와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 사이의 줄의 맞물림이 방지된다. 또한, 마찰력의 차이가 낚싯줄과 줄 롤러의 대직경측 및 소직경 측 사이에서 발생하도록, 그리고 줄 공급 모드의 비틀림으로부터 역전된 줄의 비틀림이 낚싯줄에 발생되도록, 줄 롤러는 줄 감김 회전 방향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직경을 가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에 언급된 종래의 낚싯줄 안내 장치에 있어서, 낚싯줄은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를 향하여 편향되고 그리고 낚싯줄이 안내를 위하여 줄 안내 부분과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낚싯줄의 움직임은 억제되며 낚싯줄의 맞물림은 절제된다. 그러나, 낚싯줄이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측상에 위치한 줄 안내 부분과 접촉하게 되었을때, 줄 공급 방향에서의 줄의 비틀림과 동일한 방향에서 줄의 비틀림이 발생되며, 따라서 줄 공급 모드에서의 줄의 비틀림에 대하여 반대인 줄의 비틀림을 정확하게 발생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줄 공급 모드에서의 줄의 비틀림과 반대인 줄의 비틀림은, (줄 롤러의 전방 단부측상에서) 로터의 줄을 감는 회전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직경을 가지는 테이퍼 형상의 형태로 형성되는 줄 롤러의 원주 표면에서 대직경측상의 마찰력이 소직경측상의 마찰력보다 크다는 사실을 이용함으로써 발생되기 때문에, 줄의 비틀림을 정확하게 발생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줄 롤러를 통과하는 낚싯줄에 있어서, 줄 공급 모드의 반대로 줄의 비틀림을 정확히 발생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회전 릴의 낚싯줄 안내 장치는 회전 릴 로터의 한쌍의 로터 아암의 첨단부에 추축 회전 운동을 위해서 차례로 장착된 두개의 반원형 지지 손잡이 지지 부재들중 제 1 의 것에 장착된다. 낚싯줄 안내 장치는 낚싯줄을 회전 릴의 스풀상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낚싯줄 안내 장치는 그것의 제 1 단부에서 제 1 의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에 고정된 정지 샤프트를 구비한다. 정지 샤프트 커버는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로부터 이격된 간격으로 정지 샤프트의 제 2 단부에 유지된다. 낚싯줄이 로터의 회전에 의해서 스풀의 둘레에 감길때 낚싯줄을 스풀상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줄 롤러는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와 정지 샤프트 커버 사이에서 정지 샤프트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역 비틀림(reverse twist)의 발생 수단은 줄 안내 표면과 편향 수단을 구비한다. 줄 안내 표면은 줄 롤러의 부분 위에 형성된다. 줄 안내 표면은 정지 샤프트 커버에 근접한 줄 롤러의 일측을 향하여 증가하는, 변화하는 직경을 가진다. 편향 수단은 로터의 회전에 응답하여 줄 안내 표면에 대하여 낚싯줄을 변위시키도록 형상화된다. 역 비틀림의 발생 수단은 낚싯줄이 스풀로부터 풀리고 있을때 낚싯줄에서 발생하는 비틀림과 반대인 낚싯줄의 비틀림을 발생시킨다.
낚싯줄 안내 장치에 있어서, 낚싯줄은 로터의 회전에 의해 줄 롤러상으로 안내되고 있는 동안 스풀의 외측 원주 둘레에 감기고 그렇게 함에 있어서 낚싯줄은 그 움직임의 방향이 변화된다. 이러한 경우에, 낚싯줄은 편향 수단에 의해 줄 안내 표면을 향해 변위되기 때문에, 낚싯줄이 줄 롤러와 맞물림을 시작할때 낚싯줄은 한 지점에서 줄 롤러상에 맞물리지만, 낚싯줄이 스풀을 향하는 도중에 줄 롤러로부터 이탈되었을때, 낚싯줄은 줄 롤러를 따른 상이한 축상의 위치에 줄 롤러를 남겨두게 된다. 이때문에, 낚싯줄은 줄 롤러에 의해 안내될때 줄 롤러의 줄 안내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줄 안내 표면과의 맞물림은, 낚싯줄이 스풀로부터 풀릴때 낚싯줄에 부여되는 비틀림의 반대 방향인 낚싯줄에 대한 비틀림을 부여한다. 또한, 낚싯줄이 줄 안내 표면과 접촉하게 될때, 줄 롤러의 원주 표면상의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의 측상에서 항상 낚싯줄이 변위되는 동안에 안정된 방식으로 낚싯줄의 비틀림을 정확하게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스럽게는, 줄 롤러에는 줄 안내 표면의 변화하는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고리형 표면이 형성되며, 낚싯줄의 일부가 로터의 회전에 응답하여 고리형 표면과 접촉하도록 줄 안내 표면이 정지 샤프트 커버와 고리형 표면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에 따르면, 낚싯줄은 스풀의 외측 원주 둘레에 감길때 줄 롤러로부터 안내된다. 줄 롤러는 작은 직경을 가지는 고리형 표면을 가지기 때문에, 낚싯줄은 줄 안내 표면과 접촉하기 이전 또는, 이후에 고리형 표면으로 유인된다. 줄 롤러의 원주 표면상의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의 측상에서 항상 낚싯줄이 변위되는 동안에 안정적인 방식으로 줄의 비틀림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정지 샤프트 커버의 측상에서의 직경이 증가하도록 줄 안내 표면이 플렌지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낚싯줄이 줄 안내 표면과 접촉하게 될때, 동일한 방향에서의 줄의 비틀림이 발생된다. 이러한 이유로, 발생된 줄의 비틀림 방향을 항상 낚싯줄이 풀릴때의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스럽게는, 낚싯줄이 로터의 회전에 응답하여 낚싯대의 안내부로부터 스풀의 둘레에 감길때 고리형 표면과 맞물리기 이전에 낚싯줄이 낚싯줄 안내 표면과 맞물린다.
선택적으로는, 낚싯줄이 로터의 회전에 응답하여 낚싯대의 안내부로부터 스풀의 둘레로 연장될때 고리형 표면과 맞물린 후에 낚싯줄이 줄 안내 표면과 맞물린다.
바람직스럽게는, 편향 수단이 낚싯줄의 일부와 직선 사이에서 각도가 한정되는 정지 샤프트의 배향을 구비한다. 각도는 낚싯줄과 직선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 놓이게 된다. 상기 언급된 낚싯줄의 일부는 낚싯줄이 줄 롤러와 접촉한 지점으로부터 낚싯대의 안내부로 연장된다. 상기에 언급된 직선은 정지 샤프트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근접하며 그리고 접촉 지점으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각도는 예각이다.
바람직스럽게는, 회전 릴 로터의 로터 아암쌍이 그 사이에 연장되는 추축 선을 중심으로 추축 회전한다. 추축 선은 로터의 중심 축에 근접하여 스풀을 통해서 연장되며, 접선은 로터 아암의 쌍들중 하나에 근접하여 한정된 반경으로 로터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한정된다. 접선은 추축 선에 대하여 직각이다. 정지 샤프트의 일 단부가 정지 샤프트의 타 단부보다 스풀에 더 근접하도록 정지 샤프트의 회전 축과 접선은 예각을 한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회전 릴의 낚싯줄 안내 장치는, 회전 릴 로터의 로터 아암 쌍의 첨단부에 추축 회전 운동을 위해서 장착된 두개의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들중 제 1 의 것에 장착된다. 낚싯줄 안내 장치는 회전 릴의 스풀상으로 낚싯줄을 안내한다. 낚싯줄 안내 장치는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정지 샤프트, 정지 샤프트 커버 및, 줄 롤러를 구비한다. 또한, 역 비틀림 발생 수단은 안내 표면, 편향 수단 및, 경사 표면을 구비한다. 줄 안내 표면에는 줄 롤러의 부분 위에 정지 샤프트 커버에 근접한 줄 롤러 측을 향해 증가하는, 변화하는 직경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 표면은 소직경 단부와 대직경 단부를 가지는 줄 안내 표면에 근접하여 줄 롤러상에 형성된다. 대직경 단부는 줄 안내 표면에 근접하고, 대직경 단부는 줄 안내 표면의 가장 작은 직경 부분보다 크지 않다. 편향 수단은 낚싯줄이 로터의 회전에 응답하여 낚싯대상에서 안내부로부터 연장되면서 낚싯줄이 줄 롤러와 맞물릴때, 대직경 단부를 향하여 그리고 줄 안내 표면에 대하여 낚싯줄을 변위시키도록 형상화된다. 더욱이, 낚싯줄이 줄 롤러로부터 풀려서 로터의 회전에 응답하여 스풀을 향해 이탈되어 연장될때 낚싯줄이 경사 표면의 소직경과 맞물리도록 줄 롤러가 형상화된다. 역 비틀림 발생 수단은 스풀로부터 풀리고 있는 낚싯줄에 응답하여 낚싯줄에서 발생하는 비틀림의 방향으로부터 반대인 낚싯줄에서의 비틀림을 발생시킨다.
낚싯줄 안내 장치에 있어서, 낚싯줄의 감김 작동시에 로터의 회전에 의해 줄 롤러로부터 안내되고 있는 동안, 낚싯줄은 스풀의 외측 원주 둘레에 감긴다. 낚싯줄이 줄 롤러의 둘레를 감쌀때, 낚싯줄은 방향의 변화를 겪는다. 이러한 경우에, 낚싯줄은 편향 수단에 의해 줄 안내 부분을 향해 변위되고 그리고 경사 표면이 제공되기 때문에, 줄 롤러 경사 표면의 대직경 측상의 단부 부분으로 강제되고 있는 동안에 낚싯줄은 줄 롤러의 원주 표면상으로 도입되고, 그리고 소직경측상의 단부 부분에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경사 표면의 소직경측상의 단부에 위치되는 동안에 스풀을 향해 이탈되게 풀린다. 따라서, 낚싯줄이 스풀로부터 풀리고 있을때 낚싯줄에 부여되는 비틀림의 방향과 반대인 비틀림이 낚싯줄에 부여되도록, 낚싯줄이 스풀을 향해 배향되는 위치는 정지 샤프트 커버측으로부터 줄 롤러의 원주 표면상의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측을 향해 변위된다.
바람직스럽게는, 경사 표면의 길이가 줄 롤러의 최대 길이의 1 내지 40 % 의 범위에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경사 표면의 소직경 단부와 대직경 단부가 0.5 내지 10 도의 범위에 있는 경사 각도를 한정한다.
바람직스럽게는, 편향 수단이 정지 샤프트의 배향을 구비하는데, 여기에서 각도는 낚싯줄의 일부와 직선 사이에서 한정된다. 각도는 낚싯줄과 직선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 놓이게 된다. 낚싯줄의 부분은 낚싯줄이 줄 롤러와 접촉하는 지점으로부터 낚싯대의 안내부까지 연장된다. 직선은 정지 샤프트의 회전축과 평행하며 접촉 지점으로부터 연장된다. 각도는 예각이다.
바람직스럽게는, 회전 릴 로터의 로터 아암의 쌍이 그 사이에 연장되는 추축 선을 중심으로 추축 회전한다. 또한 추축 선은 로터의 중심축에 근접하여 스풀을 통해서 연장되며, 접선은 로터 아암의 쌍들중 하나에 근접하여 한정된 반경으로 로터의 중심축에 대하여 한정된다. 접선은 추축 선에 대하여 직각이다. 정지 샤프트의 일 단부가 정지 샤프트의 다른 단부보다 스풀에 더 근접하도록, 정지 샤프트의 회전 축과 접선의 예각을 한정한다.
바람직스럽게는, 로터의 회전축에 직각으로 평면이 한정되고 정지 샤프트의 회전축과 로터의 회전축이 20。 미만의 각도를 한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회전 릴의 낚싯줄 안내 장치는 회전 릴 로터의 로터 아암 쌍의 첨단부에서 추축 회전 운동을 위해 장착된 두개의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들중 제 1 의 것에 장착된다. 낚싯줄 안내 장치는 낚싯줄을 회전 릴의 스풀상으로 안내한다. 낚싯줄 안내 장치는 정지 샤프트, 정지 샤프트 커버 및, 줄 롤러를 구비한다. 더욱이, 역 비틀림 발생 수단은 제 1 위치 수단, 제 2 위치 수단 및, 편향 수단을 구비한다. 제 2 위치 수단은 정지 샤프트에 대한 제 1 의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에 근접하여 줄 롤러의 일측 위에 있으며, 제 1 위치 수단은 제 1 의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로부터 대향하는 제 2 위치 수단의 일측 위에 있다. 낚싯줄이 로터의 회전에 응답하여 낚싯대의 안내부로부터 줄 롤러를 향해 연장될때 제 1 위치 수단은 줄 롤러와 낚싯줄 사이에서의 맞물림을 배향하도록 형상화된다. 제 2 위치 수단은 낚싯줄이 로터의 회전에 응답하여 줄 롤러로부터 스풀을 향하여 연장될때 줄 롤러와 낚싯줄 사이의 맞물림을 배향하도록 형상화된다. 편향 수단은 낚싯줄이 제 1 위치 수단을 향해서 편향되도록 형상화된다. 역 비틀림 발생 수단은 스풀로부터 풀리고 있는 낚싯줄에 응답하여 낚싯줄에서 발생하는 비틀림의 방향과 반대인 낚싯줄에서의 비틀림을 발생시킨다.
상기의 낚싯줄 안내 장치에서, 낚싯줄이 줄 롤러에 접근할때 낚싯줄은 편향되어 제 1 위치에서 줄 롤러와 접촉한다. 낚싯줄이 줄 롤러로부터 스풀을 향해 이탈되게 풀릴때, 낚싯줄은 줄 롤러상의 상이한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낚싯줄이 스풀을 향해 풀리는 위치는 정지 샤프트 커버측에 대하여 변위된다. 낚싯줄이 줄 롤러를 이탈할때의 낚싯줄 위치와 비교되는, 낚싯줄이 줄 롤러와 맞물릴때의 낚싯줄 위치에서의 변화는 낚싯줄이 스풀의 둘레에 감길때 낚싯줄에서 발생되는 줄의 비틀림의 방향을 미리 결정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역방향에서의 줄의 비틀림을 높은 정확도로 발생시킬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제 1 위치 수단이 줄 롤러의 원주 표면상에 형성된 줄 안내 표면을 구비하며, 줄 안내 표면은 정지 샤프트 커버를 향하여 증가하는, 변화하는 직경을 가진다.
바람직스럽게는, 제 2 위치 수단이 줄 롤러의 원주 표면상의 굴곡 지점이며, 굴곡 지점은 소직경을 가진다. 소직경은 줄 롤러 원주 표면의 모든 부분들중 가장 작은 직경을 한정한다.
바람직스럽게는, 편향 수단이 정지 샤프트의 배향을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각도가 낚싯줄의 일부와 직선 사이에 한정된다. 각도는 낚싯줄과 직선에 의해 한정된 평면상에 놓이게 된다. 낚싯줄의 일부는 줄 롤러와 접촉하는 지점으로부터 낚싯대의 안내부까지 연장된다. 직선은 정지 샤프트의 회전 축과 평행하며 접촉 지점으로부터 연장된다. 각도는 예각이다.
바람직스럽게는, 회전 릴 로터의 로터 아암 쌍이 그 사이에 연장되는 추축 선을 중심으로 추축 회전된다. 더욱이 추축 선은 로터의 중심 축에 근접하여 스풀을 통해 연장된다. 접선은 로터 아암 쌍들의 하나에 근접하여 한정된 반경으로 로터의 중심축에 대하여 한정된다. 접선은 추축 선에 직각이다. 정지 샤프트의 회전 축과 접선은 정지 샤프트의 일 단부가 정지 샤프트의 다른 단부보다 스풀에 근접하도록 예각을 한정한다.
바람직스럽게는, 줄 안내 표면은 고리형인, 정지 샤프트의 회전 축에 직각으로 한정된 평면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링(ring) 형상의 표면이다.
바람직스럽게는, 줄 안내 표면이 정지 샤프트에 직각인 고리형 표면이다.
바람직스럽게는, 줄 안내 표면이 정지 샤프트 커버를 향해 경사져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줄 안내 표면의 내측 원주 부분과 줄 안내 표면의 외측 원주 부분 사이에서, 정지 샤프트의 회전 축에 대하여 축 방향에서의 거리는 줄 롤러의 최대 길이의 1 내지 15 % 의 범위에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줄 안내 표면의 내측 원주 부분과 줄 안내 표면의 외측 원주 부분 사이에 있는 줄 안내 표면의 반경 방향 높이가 줄 롤러의 최대 외측 직경의 1 내지 15 % 범위에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줄 안내 표면의 외측 원주 부분에는 그것의 단면에 모서리 홈(chamfer)이 되어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모서리 홈의 반경이 0.1 내지 0.5 mm 의 범위에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줄 안내 표면의 내측 원주 부분에는 단면이 고리 형상을 가지는 코너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 따른 회전 릴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 릴을 도시하는, 부분적으로 단면인 부분 정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회전 릴의 낚싯줄 안내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적이고 일부 단면인 부분 정면도이며, 확대 축척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낚싯줄 안내 장치의 특징을 도시하는 부분적인 측면도.
도 5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줄 안내 장치의 줄 롤러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적인 단면도이며, 확대 축척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와 유사한 것이며,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5와 유사한 것이며, 도 6에 도시된 제 2 구현예에 따른 줄 롤러 부분의 세부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5 및 도 7 과 유사한 것이며, 본 발명의 제 3 구현예를 도시하고, 제 3 구현예는 도 5에 도시된 제 1 구현예의 개량예이다.
도 9는 도 5, 도 7 및, 도 8과 유사한 것이며, 제 4 구현예를 도시하고, 상기 제 4 구현예는 도 7에 도시된 제 2 구현예의 개량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핸들 2. 릴 본체
3. 로터 4. 스풀
5.6. 아암 부분 7.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
8. 낚싯줄 안내 장치 9. 제 2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
10. 반원형 손잡이 21. 정지 샤프트 커버
22. 롤러 베어링 23. 줄 롤러
25. 낚싯줄 안내 부재 26. 정지 스크류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는 다음에 설명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 따른 회전 릴에는, 핸들(1)을 가지는 릴 본체(2), 릴 본체(2)의 전방 부분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3) 및, 로터의 전방 부분상에 배치되고 로터의 회전에 응답하여 낚싯줄(L)이 그 둘레에 감기는 스풀(4)이 제공된다. 로터(3)와 스풀(4)은 로터(3)가 그것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중심축을 한정한다.
장착 부분(2a)은 회전 릴을 낚싯대상으로 장착하도록 릴 본체(3)의 상부 부분상에 형성된다. 회전 릴은 또한 릴 본체(2)내에, 로터(3)를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장치(미도시) 및, 핸들(1)의 회전에 응답하여 스풀(4)을 그것의 중심축을 따라 앞뒤로 움직이게 하는 진동 장치(미도시)를 구비한다. 로터(3)의 회전과 함께 스풀(4)의 진동 운동은 낚싯줄(L)을 스풀(4)의 둘레에 균일하고 고르게 감는 수단을 제공한다. 주목되어야 할 바로서, 낚싯줄(L)은 로터(3)에 의해 스풀(4)의 둘레에 감기므로, 낚싯줄은 나선을 그리는 궤적을 따르게 된다.
로터(3)는 중심 축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아암 부분(5)과 제 2 아암 부분(6)을 가진다. 두개의 아암 부분(5,6)은 로터의 대향하는 원주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면한다. 제 1 의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7)는 제 1 아암 부분(5)의 전방 단부의 내측 표면상에 추축 회전되게 장착된다. 낚싯줄을 스풀(4)상으로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8)는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7)의 전방 단부에 장착된다. 제 2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9)는 제 2 아암 부분(6)의 전방 단부의 내측 표면상에 추축 회전되게 장착된다. 반원형 손잡이(10)는 낚싯줄 안내 장치(8)와 제 2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9) 사이에 제공된다.
낚싯줄 안내 장치(8)의 구조는 도 2, 도 3,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낚싯줄 안내 장치(8)는 제 1 의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7)에 대하여 일 단부에 고정된 정지 샤프트(20)를 구비한다. 정지 샤프트 커버(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샤프트(20)의 일 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롤러 베어링(22)이 정지 샤프트(20)상에 설치되고, 실린더형으로 형성된 줄 롤러(23)는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롤러 베어링(22)상에 설치된다.
정지 샤프트(20)에는 대직경을 가지는 플렌지 부분(20a)이 형성된다. 플렌지 부분(20a)은 정지 샤프트 커버(21)내에 형성된 유지공(21a)내에 유지된다. 정지 샤프트(20)의 말단은 정지 스크류(26)에 의해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7)의 첨단부에 형성된 낚싯줄 안내 부재(25)에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릴의 사용중에, 낚싯줄(L)은 줄 롤러(23)로부터 낚싯대(미도시)의 안내부(미도시)로 연장된다. (도 4에 도시되지 아니한) 회전 축은 줄 롤러(23)와 정지 샤프트(20)에 의해 한정된다. 낚싯줄(L)이 처음으로 줄 롤러(23)와 맞물리는 지점에서 선(F)이 교차하도록, 선(F)은 줄 롤러(23)의 도시되지 아니한 회전 축에 전체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한정된다. 낚싯줄(L)과 직선(F)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서 각도(α)가 낚싯줄(L)과 직선(F)사이에서 한정되고 그리고 예각(α<90°)이도록, 정지 샤프트(20)는 낚싯줄 안내 부재(25)에 고정된다. 따라서, 선(F)은 로터(3)의 회전 축에 직각이 아니다. 즉, 또는, 정지 샤프트(20)의 회전 축이 로터(3)의 회전축에 직각이 아니지만, 만약 각도(α)가 90。에 근접하게 설정되었다면 그렇게 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샤프트(20)의 말단부가 그랬던 것보다 그 첨단부가 더욱 스풀(4)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정지 샤프트(20)의 말단부는 낚싯줄 안내 부재(25)에 고정된다. 상기에 언급된 방향에서 정지 샤프트(20)를 고정시킴으로써, 낚싯줄 감기 작동 또는 감기 모드(mode)에서 낚싯줄(L)에 장력이 가해졌을때, 줄 롤러(23)를 지나서 연장되는 낚싯줄(L)의 부분은 정지 샤프트 커버(21) 측을 지나서 연장된다. 즉, 낚싯줄(L)은 줄 롤러(23)의 둘레로 연장되어 줄 롤러(23)의 회전 축에 직각이 아닌 평면을 한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줄 안내 부재(25)는 제 1 의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7)의 첨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구 형상을 가진다.
정지 샤프트 커버(21)와 낚싯줄 안내 부재(25)는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유지공(21a)은 정지 샤프트(20)의 플렌지 부분(20a)을 유지하며 정지 샤프트 커버(21)의 중심에 형성된다. 정지 샤프트 커버(21)와 낚싯줄 안내 부재(25)가 서로로부터 이격되도록, 정지 샤프트 커버(21)는 정지 샤프트(20)와 (이후에 설명될) 다른 부재에 의해 정위치에 유지된다.
롤러 베어링(22)은 줄 롤러(2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낚싯줄 안내 부재(25)와 정지 샤프트 커버(21) 사이에서 정지 샤프트(21)상에 설치된다. 베어링 지지 부재(27)에는 실린더형 부분과 플렌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플렌지는 낚싯줄 안내 부재(25)의 일부 안에 형성된 요부(25a)내에 유지되고 베어링 지지 부재(27)의 실린더형 부분은 롤러 베어링(22)의 내측 레이스(race,22a)와 맞물린다. 스페이서(28)는 정지 샤프트 커버(21)의 요부(21b)내로 설치된다. 스페이서(28)는 정지 샤프트 커버(21)의 요부(21b)와 접촉한다. 그러한 배치로써, 내측 레이스(22a)는 스페이서(28)와 베어링 지지 부재(27)에 의해 축방향으로 정위치에 유지된다.
줄 롤러(23)는 이것이 줄 롤러(23)의 회전 축을 따라서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롤러 베어리(22) 상으로 설치된다. 줄 롤러(23)는 정지 커버(21)의 방향에서 롤러 베어링(22)의 외측 레이스(22b) 위로 설치된다. 줄 롤러(23)는 수지 재료로 제작된 제 1 슬리이브 부재(32)를 구비하며, 그 외측 원주 표면상에서 단차화된 부분(31)을 가지는데 이것은 그것의 정지 샤프트(20) 측상에서 대직경을 가진다. 줄 롤러(23)는 또한 제 1 슬리이브 부재(32)의 외측 원주 표면상에 설치된 제 2 슬리이브 부재(34)도 구비한다. 제 2 슬리이브 부재(34)는 황동으로 제작되며 그것의 내측 원주 표면상에 단차화된 부분(31)과 맞물린 단차화된 부분(33)을 가진다. 제 1 슬리이브 부재(32)에는 이것의 내측 원주 표면에 유지 부분(35)이 제공되는데, 상기 유지 부분(35)은 낚싯줄 안내 부재(25)의 일측상에서 롤러 베어링(22)의 외측 레이스(22b) 단부면과 맞물리도록 반경상 내측으로 연장된다. 그러한 배치로써, 줄 롤러(23)는 정지 샤프트 커버(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다. 줄 롤러(23)의 상기 구성의 결과로서, 미세하고 좁은 틈새(미도시)가 항상 줄 롤러(23)와 정지 샤프트 커버(21) 사이에 한정된다.
줄 롤러(23)의 제 2 슬리이브 부재(34)의 다양한 표면들은 특히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제 2 슬리이브 부재(34)는 평행한 표면(34a), 테이퍼진 표면(34b), 제 1 경사 표면(34c), 줄 안내 표면(34d) 및, 제 2 경사 표면(34e)을 구비하며, 이들 모두는 도 5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가는 나열 순서로 형성되며, 줄 안내 부재(25) 측으로부터 정지 샤프트 커버(21) 측으로 가는 나열 순서로 형성된다. 평행한 표면(34a)은 줄 롤러(23)와 정지 샤프트(20)에 의해 한정된 회전 축(미도시)과 전체적으로 평행하다.
최대 직경 (도 5에서 우측 단부)을 가지는 제 2 경사 표면(34e)의 일부와 평행한 표면(34a)은 실질적으로 같은 외측 직경을 가진다. 더욱이, 제 1 경사 표면(34c)의 외측 직경은 제 2 경사 표면(34e)과 평행 표면(34a)의 외측 직경들중 어느 것보다도 작다. 테이퍼진 표면(34a)은 평행 표면(34a)과 제 1 경사 표면(34c)을 서로에 대하여 원활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형성된 원추 형상을 가진다. 바람직스럽게는, 줄 롤러(23)의 회전 축(미도시)에 대하여 테이퍼진 표면(34b)의 테이퍼가 예를 들면 5 도 내지 10 도의 범위인 각도(γ)이다. 제 1 경사 표면(34c)은 이것의 직경이 도 5의 우측을 향해 가면서 감소하도록 경사진다. 그러나, 테이퍼진 표면(34b)의 각도(γ)는 0 내지 15 도 범위의 어느 곳에 있을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 2 경사 표면(34e)은 이것의 직경이 도 5의 우측을 향해 가면서 증가하도록 경사진다. 제 2 경사 표면(34e)의 경사 각도는 줄 롤러(23)의 회전 축에 직각인 평면에 대하여 0 내지 5 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스럽다.
제 2 슬리이브 부재(34)의 줄 안내 표면(34d)은 정지 샤프트 커버(21) 측을 향해 다소 경사지기 위하여 플렌지 형상으로 형성된다. 줄 감기 모드에서 정지 샤프트 커버(21)의 측상에서 변위된 낚싯줄(L)은 줄 안내 표면(34d)에 접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줄 안내 표면(34d)의 높이(H)는 1.3 mm 이다. 줄 롤러(23)의 부분은 예를 들면 11.9 mm 인 직경(D)을 가진다. 높이(H)는 최대 외측 직경(D)의 1 내지 15 % 범위인 것이 바람직스럽다. 줄 안내 표면(34d)의 높이(H)가 그러한 범위에서 설정된다면, 줄 안내 표면(34d)과 낚싯줄(L) 사이의 마찰력은 작다. 낚싯줄(L)이 줄 안내 표면(34d)과 접촉하게 될지라도, 과도한 마찰이 발생하게 되지는 않을 것이다.
제 1 구현예의 일 구성에 있어서, 줄 안내 표면(34d)의 축방향 길이(B)는 예를 들면 0.6 mm 이고, 줄 롤러(23)의 전체적인 길이(S)는 예를 들면 5 mm 이다. 축방향 길이(B)는 전체 길이(S)의 1 내지 15 %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축방향 길이(B)는 줄 안내 표면(34d)과 낚싯줄(L) 사이의 상호 작용 때문에 중요하다. 예를 들면, 낚싯줄(L)이 스풀(4)의 둘레에 감길때, 낚싯줄(L)은 낚싯대(미도시)에서 최종 안내부(미도시)로부터 와서 줄 롤러(23)로 연장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낚싯줄(L)은 도 2에 도시되어 한정된 평면의 위로부터 온다는 것이 이해되어 한다. 더욱이, 도 2와 관련하여, 낚싯대(미도시)의 안내부(미도시)는 통상적으로 로터(3)와 스풀(4)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선상의 한점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낚싯줄(L)이 안내부(미도시)로부터 유인될때, 줄(L)은 처음에 통상적으로 표면(34c)이나 또는 줄 안내 표면(34d)의 반경상 외측 부분에서 줄 롤러(23)와 맞물리며, 줄 안내 표면(34d)의 반경상 폭의 적어도 일부분과 맞물린다. 더욱이, 도 2 및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낚싯줄(L)이 줄 롤러(23)를 떠나서 스풀(4)의 둘레에 감길때, 낚싯줄(L)은 다시 줄 안내 표면(34d)과 맞물린다. 줄 안내 표면(34d)과 낚싯줄(L) 사이의 맞물림은 낚싯줄이 스풀(4)의 둘레에 감길때 낚싯줄(L)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줄의 비틀림을 부여한다. 상기의 설명과 도 2, 도 3 및, 도 5 로부터 명백한 바로서, 줄 안내 표면(34d)의 축방향 길이(B)는 줄 안내 표면(34d)에 대하여 낚싯줄(L)의 접촉 위치와 풀림 위치를 결정하는데 더욱 중요하다.
줄 안내 표면(34d)과 제 2 경사 표면(34e) 사이의 경계 부분, 즉, 줄 안내 표면(34d)의 외측 단부 부분은 단면상에서 원호 형상으로서 둥글게 되거나 또는 경사지게 된다. 원호형 부분의 반경(R)은 0.1 내지 0.5 mm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따라서 외측 원주 단부 부분이 만곡되거나 또는 경사지게 된다면, 낚싯줄(L)이 외측 원주 방향 측에 접촉하였을때 낚싯줄(L)은 줄 안내 표면(34d)에 대하여 원활하게 미끄러질 것 같다. 결과적으로, 줄에서의 바람직스럽지 못한 비틀림은 줄 롤러(23)의 이러한 부분에서 거의 발생하지 아니한다.
또한, 줄 안내 표면(34d)과 제 1 경사 표면(34c)사이의 경계 부분, 즉, 내측 원주 단부 부분은 단면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만약 내측 원주 단부 부분이 둥글게 되지 않거나 또는 경사지지 않고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었다면, 낚싯줄은 아마도 줄 안내 표면(34d)의 내측 원주 단부 부분을 따라 갔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 1 경사 표면(34c)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된 줄의 비틀림은 정확하게 발생될 것이다. 상표명 Durcon (수지)으로 제작된 쓰러스트 베어링 링(36)은 줄 안내 부재(35)의 측 위에서, 줄 롤러(23)의 단부면과 베어링 지지 부재(27)의 플렌지 부분 사이에 개재된다. 쓰러스트 베어링 링(36)은 줄 롤러(23)와 낚싯줄 안내 부재(25)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낚싯줄(L)이 낚싯대(미도시)의 안내부(미도시)로부터 줄 롤러(23)를 향해 연장되어 줄 롤러(23)와 맞물릴때, 스풀(4)에 대한 (그리고 따라서 안내부에 대한) 줄 롤러의 배향은 낚싯줄을 줄 안내 표면(34d)을 향하여 편향된다. 상세하게는,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7)와 제 2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9)가 로터(3)를 통해서 연장되는 축(미도시)을 중심으로 추축 회전한다. 접선(TL)은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7)와 제 2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9)의 추축 회전 운동에 의해 한정된 축에 대하여 직각이다. 접선(TL)은 원(미도시)에 접하는데, 그 원의 중심은 제 1 반원형 지지 부재(7)와 제 2 반원형 지지 부재(9)의 추축 회전 운동에 의해 한정된 축에 내리는 지점에서 로터(3)의 중심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지 샤프트(20)는 접선(TL)에 대하여 평행하지 않지만, 오히려 접선(TL)으로부터 각도(θ)로 오프셋(offset)되어 있다. 각도(θ)는 25°보다 작고 2°보다 큰 것이 바람직스럽다. 정지 샤프트(20)의 오프셋 배향은 낚싯줄(L)상에서 편향 효과를 발생하여 이것을 줄 안내 표면(34d)과 접촉하도록 강제한다.
낚싯줄의 안내 작용
로터(3)가 핸들(1)에 의해 회전할때, 낚싯줄(L)은 반원형 손잡이(10)와 줄 롤러(23)에 의해 안내되는 동안에 스풀(4)의 둘레에 감긴다. 이러한 경우에, 낚싯줄(L)은 줄 롤러(23)의 줄 안내 표면(34d)으로부터 스풀(4)로 안내된다. 부수적으로, 줄 롤러(23)는 낚싯줄(L)의 통과에 따라서 롤러 베어링(22)의 작용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하기 때문에, 큰 저항이 낚싯줄(L)에 가해지지 아니하고 낚싯줄은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록 스풀(4)의 둘레에 감긴 낚싯줄(L)의 양이 변화되어 그에 의해서 외측 원주 직경이 변화될지라도, 낚싯줄(L)은 항상 줄 안내 표면(34d)에 의해서 일정한 지점으로부터 스풀(4)로 안내된다. 결과적으로, 낚싯줄(L)에서 발생된 비틀림의 양은 안정적으로 된다. 낚싯줄(L)의 공급 모드에서의 줄의 비틀림과 감기 모드에서의 줄의 비틀림 사이의 차이에 기인하여, 과잉된 비틀림이 낚싯줄(L)에 잔류할 염려는 거의 없다.
상기에 설명된 작동에서, 낚싯줄(L)은 반원형 손잡이(10)로부터 낚싯줄 안내 부재(25)의 테이퍼진 원주(44)와 정지 샤프트 커버(21)의 테이퍼진 원주(45)를 따라서 안내되어 줄 롤러(23)의 원주로 공급된다. 다음에, 낚싯줄(L)은 낚싯줄(L)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줄 안내 표면(32d)을 향해 변위되며, 줄 롤러(23)는 그것의 반발력에 의해 정지 샤프트 커버(21)를 향해 편향된다. 그러나, 줄 롤러(23)의 제 1 슬리이브 부재(32)의 내측 원주 표면은 유지 부분(35)에 의해 정지 샤프트 커버(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으며, 그리고 제 1 슬리이브 부재(32)와 제 2 슬리이브 부재(34)는 단차 부분(31,33)에 의해서 같은 방식으로 정지 샤프트 커버(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다. 따라서, 비록 줄 롤러(23)가 정지 샤프트 커버(21)를 향해 편향될지라도, 이것은 정지 샤프트 커버(21)와 거의 접촉하지 아니한다.
또한, 낚싯줄(L)은 정지 샤프트 커버(21)를 향해서 변위되기 때문에, 낚싯줄(L)이 줄 롤러(23)의 원주 표면과 접촉된 위치로부터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7)의 측상의 스풀(4)을 향하여 낚싯줄(L)이 풀린다. 다음에, 낚싯줄(L)이 줄 롤러(23)와 접촉하게 될때, 낚싯줄은 플렌지화된 안내 표면(34d)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줄 공급 모드에서의 줄의 비틀림과 반대인 줄의 비틀림이 발생되도록 스풀(4)을 향한 낚싯줄(L)의 위치는 줄 롤러(23)의 원주 표면상의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7) 측상 으로 변위된다. 또한, 낚싯줄이 줄 안내 표면(34d)과 접촉하게 되었을때, 줄 풀림 모드에서의 줄의 비틀림과 반대인 줄의 비틀림은 줄 롤러(23)의 회전에 의해 야기되는 줄 안내 표면(34d)의 회전에 의해 줄 안내 표면(34d)과 접촉하는 낚싯줄에 가해진다. 그러나, 각도 부분이 줄 안내 표면(34d)의 내측 원주 단부 부분안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경사 표면(34c)에서 줄 비틀림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낚싯줄(L)은 내측 원주 단부 부분을 따르게 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경우에, 낚싯줄(L)은 정지 샤프트 커버(21)를 향해 변위되기 때문에, 줄 롤러(23)에 의해 안내되는 낚싯줄(L)을 줄 롤러(23)의 원주 표면상에서 정지 샤프트 커버(21) 측으로부터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7)측까지 변위시켜서 안정적인 줄의 비틀림을 발생시키는 것이 항상 가능하다. 더욱이, 정지 샤프트 커버(21)의 측부상의 부분이 큰 직경을 가지도록 플렌지화된 부분이 줄 안내 표면(34d)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낚싯줄(L)이 줄 안내 표면(34d)과 접촉하게 될지라도, 같은 방향에서의 줄의 비틀림이 발생된다. 이러한 이유로, 발생된 줄의 비틀림의 방향은 항상 줄 공급 모드에서의 줄의 비틀림에 반대일 수 있으며, 반대되는 줄 비틀림의 발생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 2 구현예
도 6 및 도 7에, 제 1 구현예의 줄 롤러(23)의 특징들중 많은 것을 구비할 수 있는, 줄 안내 장치(8')의 줄 롤러(23')에 대한 제 2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줄 롤러(23')는 평행한 표면(34a), 테이퍼진 표면(34b), 줄 안내 표면(34d) 및, 제 2 의 경사 표면(34e)을 구비한다. 그러나, 줄 롤러(23')는 또한 원호 표면(34i)과 제 1 경사 표면(37)을 구비한다. 줄 롤러(23')의 다양한 표면은 도 7의 좌측에서 시작되는 다음의 순서로 형성된다: 평행 표면(34a), 테이퍼진 표면(34b), 원호 표면(34i), 제 1 경사 표면(37), 줄 안내 표면(34d) 및, 제 2 경사 표면(34e).
평행 표면(34d)과 제 2 경사 표면(34e)의 (도 7의 좌측단에 있는) 최대 직경 부분은 전체적으로 같은 외경을 가진다. 원호 표면(34i)의 외경은 평행한 표면(34a)의 외경과 제 2 경사 표면(34e)보다 작다. 테이퍼진 표면(34b)은 평행 표면(34a)과 원호 표면(34i)을 서로 원활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테이퍼진 표면(34b)의 각도(Υ)는 예를 들면 5 도 내지 10 도 번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원호 표면(34i)은 이것의 윤곽이 예를 들면 100 내지 500 mm 의 반경을 가지는 원호를 한정하도록 형성되며, 여기에서 반경의 중심점은 제 1 경사 표면(37)으로부터 반경상 외측으로 위치한다.
제 1 경사 표면(37)은 이것의 직경이 도 7의 우측을 향해 가면서 증가하도록 경사진다. 제 1 경사 표면(37)의 경사 각도(β)는 0.5 내지 10 도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제 1 경사 표면(37)의 길이는 전체 길이(S)의 1 내지 40 %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경사 표면(37)은 낚싯줄(L)이 낚싯대(미도시)의 안내부(미도시)로부터 장치(8')에 접근할때 낚싯줄(L)을 제 1 경사 표면(37)의 단부 부분(37a)에서 줄 롤러(23')와 접촉시키도록 안내할 목적으로 형성된다. 즉, 낚싯줄(L)이 줄 안내 장치(8')에 접근할때, 이것은 우선 단부 부분(37b)에서 제 1 경사 표면(37)상의 줄 롤러(32')와 접촉한다. 다음에 낚싯줄(L)은 제 1 경사 표면(37)의 소직경측인, 제 1 경사 표면(37)의 단부 부분(37a)과 맞물릴때까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 롤러(23')의 둘레를 어느 정도까지 둘러싼다. 다음에 낚싯줄(L)은 제 1 경사 표면(37)의 소직경측상에서 단부 부분(37a)으로부터 스풀(4)을 향해 연장된다. 그러므로, 낚싯줄(L)이 스풀(4)의 둘레에 감길때, 낚싯줄(L)은 제 1 경사 표면(37)상에서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7)를 향해서 경사지고 변위된 경로를 따르게 된다. 따라서, 줄 풀림 모드에서의 비틀림에 반대 방향인 비틀림이 회전하는 줄 롤러(23')와 접촉하여 높은 정밀도로써 낚싯줄(L)에서 발생될 수 있도록, 낚싯줄(L)은 제 1 경사 표면(37)상에서 소정 간격으로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7)를 향해 경사지고 변위된다.
줄 안내 표면(34d)은 제 1 구현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다. 줄 감기 모드에서 정지 샤프트 커버(21)를 향해 변위된 낚싯줄(L)은 줄 안내 표면(34d)과 접촉하게 된다. 줄 안내 표면(34d)의 폭 방향에서의 높이와 길이 및, 줄 롤러(23')의 최대 직경은 제 1 구현예의 것들과 같다.
제 1 경사 표면(37)의 소직경 단부 부분(37a)과 대직경 단부 부분(37b)은 단면상에서 각도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부분(37a, 37b)이 둥글게 되지 않았지만 각도상으로 경사졌다면, 줄 롤러(23')와 접촉하는 낚싯줄(L)은 단부 부분(37b)에서 축방향으로 거의 변위되지 않는다. 낚싯줄(L)은 고 정밀도로 위치되며, 동시에, 줄 롤러(23')로부터 스풀(4)을 향해 풀린 낚싯줄은 단부 부분(37a)에서 축방향으로 거의 변위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낚싯줄은 높은 정밀도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 1 경사 표면(37)을 따라서 감긴 낚싯줄의 상(phase)은 소정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제 2 경사 표면(37)상에 위치하고 경사진 낚싯줄에 발생되는 반대 방향의 줄의 비틀림은 높은 정밀도로 발생될 수 있다.
도 6의 선(F)은 제 1 구현예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던 것과 전체적으로 같은 각도(α)를 한정하지만, 도 6의 각도(α)는 제 1 구현예보다 약간 작을 수 있다. 선(F)은 줄 롤러(23)의 회전축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평행하며 더욱이 정지 샤프트(20)의 중심에 대응한다. 더욱이, 도 6의 선(F)은 로터(3)의 회전 축과 직각이 아니지만, 오히려 도 6의 선(F)은 로터(3)의 회전축에 직각인 평면으로부터 명백하게 각도상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각도(δ)는 이러한 평면과 선(F) 사이에 한정된다. 따라서, 줄 롤러(23)의 회전축은 로터(3)의 회전축에 직각으로 한정된 평면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으며, 또한 도 2의 제 1 구현예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줄(TL)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그러한 줄 안내 장치(8')에 있어서, 낚싯줄 감기 모드에서 낚싯줄은 그 방향이 변화되고 있는 로터(3)의 회전에 의해 줄 롤러(23')로 안내되고 스풀(4)의 외측 원주 둘레에 감긴다. 이때에, 낚싯줄은 줄 안내 표면(34d)을 향해 변위되고 제 1 경사 표면(37)이 제공되기 때문에, 낚싯줄이 위치되어 제 1 경사 표면(37)의 대직경측상에서 단부 부분(37b)에 의해 원주 표면과 접촉하게 되고, 경사져서 소직경상의 단부 부분(37a)으로 배치되고, 소직경측의 단부 부분(37a)에 위치되어 스풀(4)을 향해 풀린다. 따라서, 줄 공급 모드에서의 줄의 비틀림에 반대인 줄의 비틀림이 발생될 수 있도록 낚싯줄이 스풀(4)을 향해 풀리는 위치가 줄 롤러(23')의 원주 표면상에서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7)측 위에 경사지게 변위된다.
이러한 경우에, 낚싯줄(L)이 감겨져서 처음에 정지 샤프트 커버(21)와 근접한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진 줄 안내 표면(34d)에 근접한 줄 롤러(23')와 맞물려서 낚싯줄이 줄 롤러(23')와 접촉하는 위치와 낚싯줄이 줄 롤러(23')로부터 풀리는 위치가 제 1 경사 표면(37)의 테이퍼에 의해 정위치로 편향되기 때문에, 줄 롤러(23')의 원주 표면상에서 낚싯줄을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7)를 향해 항상 변위시킴으로써 안정된 줄의 비틀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발생된 줄의 비틀림 방향은 항상 줄 공급 모드에서의 줄 비틀림에 대하여 항상 반대일 수 있으며, 반대인 줄 비틀림의 발생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수정예 및 구현예
(a) 제 1 구현예에서, 평행한 표면(34a), 테이퍼진 표면(34b), 제 1 경사 표면(34c), 줄 안내 표면(34d) 및, 제 2 경사 표면(34e)은 줄 롤러(23)의 원주 표면상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줄 안내 표면(34d)은 줄 롤러(23)의 다양한 외측 표면에 다른 배치가 주어지면서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의 제 3 구현예에서, 제 1 평행 표면(34f), 소직경을 가지는 제 2 평행 표면(34d), 줄 안내 표면(34d) 및, 대직경을 가지는 제 3 평행 표면(34h)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대직경을 가지는 제 1 및 제 3 평행 표면(34f, 34h)은 실질적으로 같은 직경을 가진다. 줄 안내 표면(34d)의 개별적인 형상은 제 1 구현예의 것들과 같다. 그러한 배치로써, 제 1 구현예의 것과 같은 효과를 보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b) 상기에 설명된 제 2 구현예에서, 평행 표면(34a), 테이퍼진 표면(34b), 원호 표면(34i), 제 1 경사 표면(37), 줄 안내 표면(34d) 및, 제 2 경사 표면(34e)은 줄 롤러(23)의 원주 표면상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제 1 경사 표면(37)과 줄 안내 표면(34)에는 다른 배치가 주어진 줄 롤러(23')의 다른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서, 제 1 평행 표면(34f), 소직경을 가진 제 2 평행 표면(34g), 경사 표면(37), 줄 안내 표면(34d) 및, 대직경을 가진 제 3 평행 표면(34h)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대직경을 가지는 제 1 및 제 3 평행 표면(34f,34h)은 실질적으로 같은 직경을 가진다. 경사 표면(37)과 줄 안내 표면(34d)의 각각의 형상은 제 2 구현예의 것과 같다. 그러한 배치로써, 제 2 구현예의 것과 같은 효과를 보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c) 제 1 및 제 2 구현예(1,2)에서, 줄 안내 표면(34d)은 경사진다. 그러나, 줄 안내 표면은 줄 롤러(23)의 축에 수직인 벽면일 수 있다.
(d) 전기한 구현예에서, 줄 안내 표면(34d)의 내측 원주 단부 부분은 줄의 비틀림이 주로 줄 안내 표면(34d)과 제 1 경사 표면(34c) 사이의 경계 부분에서 발생되도록 각도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을 둥글게 함으로써 주로 제 1 경사 표면(34c)에서 줄의 비틀림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각 구현예에서, 회전 릴에 대한 낚싯줄 안내 장치는 정지 샤프트 커버의 측상에서 대직경을 가지는 줄 롤러의 부분을 향하여, 상세하게는 줄 안내 표면(34d)을 향하여 낚싯줄이 배향되도록 각기 구성되며, 낚싯줄을 줄 롤러를 향해서 항상 변위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줄의 비틀림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줄 안내 표면(34d)은 정지 샤프트 커버를 향해 가면서 증가하는 직경을 가지는 플렌지화된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비록 낚싯줄이 줄 안내 표면과 접촉하게 될지라도, 같은 방향에서 줄의 비틀림이 발생된다. 이러한 이유로, 발생된 줄 비틀림의 방향은 줄 공급 모드에서의 줄의 비틀림에 항상 반대일 수 있으며, 그리고 반대인 줄 비틀림의 발생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세부 사항이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변화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에 대한 상기의 설명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서만 제공되며, 첨부된 청구 범위 및 그것의 균등예에 의해 정의되는 것과 같은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5)

  1. 제 1 의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에 대하여 그것의 제 1 단부에서 고정된 정지 샤프트;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로부터 이격된 간격으로 상기 정지 샤프트의 제 2 단부상에 유지된 정지 샤프트 커버;
    낚싯줄이 로터의 회전에 의해 스풀의 둘레에 감길때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도록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와 상기 정지 샤프트 커버 사이에서 상기 정지 샤프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줄 롤러; 및,
    상기 줄 롤러상에 형성되고 상기 정지 샤프트 커버에 근접한 상기 줄 롤러의 일측을 향해 증가하는, 변화하는 직경을 가지는 줄 안내 표면 및, 로터의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줄 안내 표면에 대하여 낚싯줄을 변위시키도록 형상화된 편향 수단을 구비하고, 낚싯줄이 스풀로부터 풀리고 있을때 낚싯줄에서 발생하는 비틀림의 방향과 반대인 낚싯줄에서의 비틀림을 발생시키는 역 비틀림 발생 수단;을 구비하며,
    회전 릴 로터의 로터 아암쌍의 첨단부에서 추축 회전 운동하도록 장착된 두개의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들중 제 1 의 것에 장착되고, 낚싯줄을 회전 릴의 스풀로 안내하는, 회전 릴의 낚싯줄 안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줄 롤러에는 상기 줄 안내 표면의 상기 변화하는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고리형 표면이 형성되고, 낚싯줄의 일부가 로터의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고리형 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줄 안내 표면은 상기 정지 샤프트 커버와 상기 고리형 표면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낚싯줄이 로터의 회전에 응답하여 낚싯대안의 안내부로부터 스풀의 둘레에 감길때 낚싯줄이 상기 고리형 표면과 맞물리기 이전에 상기 줄 안내 표면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낚싯줄이 로터의 회전에 응답하여 낚싯대안의 안내부로부터 스풀의 둘레에 연장될때 낚싯줄이 상기 고리형 표면과 맞물린 이후에 상기 줄 안내 표면과 맞줄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수단은 낚싯줄의 일부와 직선 사이에서 각도가 한정되는 상기 정지 샤프트의 배향을 구비하고, 상기 각도는 낚싯줄의 상기 부분과 상기 직선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 존재하며, 낚싯줄의 상기 부분은 상기 낚싯줄이 상기 줄 롤러와 접촉하는 지점으로부터 낚싯대의 안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직선은 상기 정지 샤프트의 회전축과 전체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접촉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각도는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회전 릴 로터의 로터 아암쌍은 그 사이에 연장된 추축 선을 중심으로 추축 회전하고, 추축 선은 로터의 중심축에 근접한 스풀을 통해 더욱 연장되며, 접선은 로터 아암쌍들중 하나에 근접하여 한정된 반경으로 로터의 중심축에 대하여 한정되며, 상기 접선은 상기 추축 선에 직각이며, 상기 정지 샤프트의 회전축과 상기 접선은 상기 정지 샤프트의 일 단부가 상기 정지 샤프트의 다른 단부보다 스풀에 더 근접하도록 예각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7.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에 대하여 그 제 1 단부에서 고정된 정지 샤프트;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로부터 이격된 간격으로 상기 정지 샤프트의 제 2 단부상에 유지된 정지 샤프트 커버;
    낚싯줄이 로터의 회전에 의해 스풀의 둘레에 감길때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도록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와 상기 정지 샤프트 커버 사이에서 상기 정지 샤프트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줄 롤러; 및,
    줄 안내 표면, 편향 수단 및, 경사 표면을 구비하는 역 비틀림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줄 안내 표면에는 상기 줄 롤러의 일부 위에 정지 샤프트 커버에 근접한 상기 줄 롤러의 일측을 향하여 증가하는, 변화하는 직경이 형성되고,
    상기 줄 안내 표면에 근접한 상기 줄 롤러상에 형성된 상기 경사 표면은 소직경 단부와 대직경 단부를 가지며, 상기 대직경 단부는 상기 줄 안내 표면에 근접하고, 상기 대직경 단부는 상기 안내 표면의 가장 작은 직경 부분보다 크지 않으며,
    상기 낚싯줄이 로터의 회전에 응답하여 낚싯대의 안내부로부터 연장되어 낚싯줄이 상기 줄 롤러와 맞물릴때 상기 대직경 단부를 향하여 그리고 상기 줄 안내 표면에 대하여 낚싯줄을 변위시키도록 상기 편향 수단이 형상화되고, 낚싯줄이 로터의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줄 롤러로부터 풀려서 스풀을 향해 이탈되게 연장될때 낚싯줄이 상기 경사 표면의 상기 소직경과 맞물리도록 상기 줄 롤러가 더욱 형상화되며,
    상기 역 비틀림 발생 수단은 스풀로부터 풀리고 있는 낚싯줄에 응답하여 낚싯줄에 발생하는 비틀림 방향으로부터 역전된 낚싯줄에서의 비틀림을 발생시키며,
    회전 릴 로터의 로터 아암 쌍의 첨단부에 추축 회전 운동을 위해 장착된 두개의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들중 제 1 의 것에 장착되고, 낚싯줄을 회전 릴의 스풀로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표면의 길이는 상기 줄 롤러의 최대 길이의 1 내지 40 % 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표면의 상기 소직경 단부와 상기 대직경 단부는 0.5 내지 10 도 범위인 경사 각도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수단은 낚싯줄의 일부와 직선 사이에서 각도가 한정되는 상기 정지 샤프트의 배향을 구비하며, 상기 각도는 낚싯줄의 상기 부분과 상기 직선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에 놓이며, 낚싯줄의 상기 부분은 상기 낚싯줄이 상기 줄 롤러와 접촉하는 지점으로부터 낚싯대의 안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직선은 상기 정지 샤프트의 회전축과 평행하며 상기 접촉 지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각도는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회전 릴 로터의 로터 아암쌍은 그 사이에 연장된 추축 선을 중심으로 추축 회전하고, 추축 선은 로터의 중심축에 근접한 스풀을 통해 더욱 연장되며, 접선은 로터 아암쌍들중 하나에 근접하여 한정된 반경으로 로터의 중심축에 대하여 한정되며, 상기 접선은 상기 추축 선에 직각이며, 상기 정지 샤프트의 회전축과 상기 접선은 상기 정지 샤프트의 일 단부가 상기 정지 샤프트의 다른 단부보다 스풀에 더 근접하도록 예각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평면이 로터의 회전축에 직각으로 한정되고 상기 정지 샤프트 회전의 상기 축과 로터의 상기 회전축은 20。 미만의 각도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13.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에 대하여 그 일 단부에서 고정된 정지 샤프트;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로부터 이격된 간격으로 상기 정지 샤프트의 제 2 단부상에 유지된 정지 샤프트 커버;
    낚싯줄이 로터의 회전에 의해 스풀의 둘레에 감길때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도록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와 상기 정지 샤프트 커버 사이에서 상기 정지 샤프트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줄 롤러; 및,
    제 1 위치 수단, 제 2 위치 수단 및, 편향 수단을 구비하는 역 비틀림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위치 수단은 상기 정지 샤프트에 대하여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에 근접한 상기 줄 롤러의 측상에 있고, 상기 제 1 위치 수단은 제 1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로부터 반대인 상기 제 2 위치 수단의 측상에 있고,
    상기 제 1 위치 수단은 낚싯줄이 로터의 회전에 응답하여 낚싯대 안내부로부터 상기 줄 롤러를 향해 연장될때 상기 줄 롤러와 낚싯줄 사이의 배향된 맞물림을 위해서 형상화되며,
    상기 제 2 위치 수단은 낚싯줄이 로터의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줄 롤러로부터 스풀을 향하여 연장될때 상기 줄 롤러와 낚싯줄 사이의 배향된 맞물림을 위해서 형상화되며, 그리고,
    상기 편향 수단은 낚싯줄을 상기 제 1 의 위치 수단을 향하여 편향시키도록 형상화되고,
    상기 역 비틀림 발생 수단은 스풀로부터 풀리고 있는 낚싯줄에 응답하여 낚싯줄에서 발생하는 비틀림의 방향으로부터 역전된 낚싯줄에서의 비틀림을 발생시키며,
    회전 릴 로터의 로터 아암쌍의 첨단부에서 추축 회전 운동하도록 장착된 두개의 반원형 손잡이 지지 부재들중 제 1 의 것에 장착되고, 낚싯줄을 회전 릴의 스풀로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수단은 상기 줄 롤러의 원주 표면상에 형성된 줄 안내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줄 안내 표면은 상기 정지 샤프트 커버를 향하여 증가하는, 변화하는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 수단은 상기 줄 롤러의 상기 원주 표면상에 있는 굴곡 지점이며, 상기 굴곡 지점은 소직경을 가지고, 상기 소직경은 상기 줄 롤러의 상기 원주 표면의 모든 부분들중 가장 작은 직경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수단은 낚싯줄의 일부와 직선 사이에서 각도가 한정되는 상기 정지 샤프트의 배향을 구비하며, 상기 각도는 낚싯줄의 상기 부분과 상기 직선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에 놓이며, 낚싯줄의 상기 부분은 상기 줄 롤러와의 접촉 지점으로부터 낚싯대의 안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직선은 상기 정지 샤프트의 회전축과 평행하며 상기 접촉 지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각도는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회전 릴 로터의 로터 아암쌍은 그 사이에 연장된 추축 선을 중심으로 추축 회전하고, 추축 선은 로터의 중심축에 근접한 스풀을 통해 더욱 연장되며, 접선은 로터 아암쌍들중 하나에 근접하여 한정된 반경으로 로터의 중심축에 대하여 한정되며, 상기 접선은 상기 추축 선에 직각이며, 상기 정지 샤프트의 회전축과 상기 접선은 상기 정지 샤프트의 일 단부가 상기 정지 샤프트의 다른 단부보다 스풀에 더 근접하도록 예각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줄 안내 표면은 상기 정지 샤프트의 상기 회전축에 직각으로 한정된 평면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고리형의, 링-형상인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줄 안내 표면은 상기 정지 샤프트에 직각인 고리형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줄 안내 표면은 상기 정지 샤프트 커버를 향하여 경사진 낚싯줄 안내 장치.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줄 안내 표면의 내측 원주 부분과 상기 줄 안내 표면의 외측 원주 부분 사이에서의, 상기 정지 샤프트의 상기 회전축에 대한, 축방향에서의 거리는 상기 줄 롤러의 최대 거리의 1 내지 15 %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줄 안내 표면의 상기 내측 원주 부분과 상기 줄 안내 표면의 상기 외측 원주 부분 사이의 상기 줄 안내 표면의 반경 방향 높이는 상기 줄 롤러의 최대 외측 직경의 1 내지 15 %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줄 안내 표면의 상기 외측 원주 부분에는 그것의 단면에 모서리 홈(chamfer)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홈의 반경은 0.1 내지 0.5 mm 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줄 안내 표면의 상기 내측 원주 부분에는 단면에 각도 형상을 가진 코너(corner)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
KR10-1998-0048652A 1997-11-14 1998-11-13 회전 릴(reel)의 낚싯줄 안내 장치 KR100494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3847 1997-11-14
JP31384797 1997-11-14
JP35953197A JP3509519B2 (ja) 1997-11-14 1997-12-26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9-359531 1997-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264A true KR19990045264A (ko) 1999-06-25
KR100494233B1 KR100494233B1 (ko) 2005-09-02

Family

ID=2656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652A KR100494233B1 (ko) 1997-11-14 1998-11-13 회전 릴(reel)의 낚싯줄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916258B1 (ko)
JP (1) JP3509519B2 (ko)
KR (1) KR100494233B1 (ko)
DE (1) DE69822076T2 (ko)
MY (1) MY121029A (ko)
SG (1) SG75143A1 (ko)
TW (1) TW3907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5555B2 (ja) * 2014-09-11 2018-06-20 株式会社シマノ ラインローラ
JP6668064B2 (ja) * 2015-12-15 2020-03-18 株式会社シマノ ラインローラ
US11255024B2 (en) * 2019-06-18 2022-02-22 Linton Crystal Technologies Corp. Seed lifting and rotating system for use in crystal growth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2442A (en) * 1965-01-11 1967-09-19 Brantingson Sigurd Fishing reel
FR2081963A5 (ko) * 1969-06-20 1971-12-10 Carpano & Pons
JPH08308444A (ja) * 1995-05-16 1996-11-2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09519B2 (ja) 2004-03-22
KR100494233B1 (ko) 2005-09-02
SG75143A1 (en) 2000-09-19
JPH11196721A (ja) 1999-07-27
DE69822076D1 (de) 2004-04-08
EP0916258A3 (en) 1999-10-13
EP0916258B1 (en) 2004-03-03
EP0916258A2 (en) 1999-05-19
DE69822076T2 (de) 2005-10-20
TW390788B (en) 2000-05-21
MY121029A (en) 200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61254B2 (ko)
KR100494233B1 (ko) 회전 릴(reel)의 낚싯줄 안내 장치
US6336604B1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JPH09328255A (ja) 糸巻機
US5730377A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capable of counteracting fishing line twist
EP0876760B1 (en) Line roller for spinning reel for fishing
JPH11344906A (ja) 感光体ベルト駆動装置
JP353450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US5681001A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with improved fishline guiding apparatus
JP2722386B2 (ja) コンデンサの巻回装置
JPH08116834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100851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H0923860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3057630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S6113570Y2 (ko)
JP2927396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S605508B2 (ja) 紡糸巻取機
KR20230082574A (ko) 낚시용 스피닝 릴
JP2543572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2060131A (ja) ロータリトラバース装置
JPH08208121A (ja) 繊維巻回装置
JPH03111378A (ja) トラバース装置
JP2023007507A (ja) 糸繰出し部、糸繰出し部を備えた編組機のキャリア、及び編組機
JPH08135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940008260Y1 (ko)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