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5235A - 섬유기계용 히터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섬유기계용 히터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5235A
KR19990045235A KR1019980048410A KR19980048410A KR19990045235A KR 19990045235 A KR19990045235 A KR 19990045235A KR 1019980048410 A KR1019980048410 A KR 1019980048410A KR 19980048410 A KR19980048410 A KR 19980048410A KR 19990045235 A KR19990045235 A KR 19990045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temperature
temperature sensor
channel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오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45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23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3/00Heating or cooling the yarn, thread, cord, rope, or the like, not specific to any one of the processe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9/00Safety arrangements
    • G05B9/02Safety arrangements 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초의 설치시에, 히터와 온도센서가 정확하게 대응하여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 또는 온도센서의 출력이상이 없는지를 체크할 수 있는 히터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열로 설치된 섬유가공유닛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다수의 히터수단과, 상기 히터수단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히터수단의 온도를 검출하는 다수의 온도센서수단과, 상기 히터수단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히터수단으로의 통전을 ON·OFF 하는 다수의 스위치수단과, 다수의 상기 스위치수단의 ON·OFF를 순차적으로 변환하여, 다수의 상기 히터수단으로 순차적으로 통전시키는 변환수단(13)과, ON 상태의 히터수단의 온도를 검출한 온도센서수단이, ON 상태의 히터수단과 대응하는 온도센서인지를 판정하는 조합판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섬유기계용 히터제어장치
본 발명은 연신가연기 등의 섬유기계에 사용되는 히터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히터와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히터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연신가연기에 의해 실을 고온으로 열처리하는 경우, 통상, 히터출구의 실온도가, 그 실가닥의 필요로 하는 온도로 되도록 히터의 온도설정을 행한다. 히터설정온도는, 예컨대, 실이 폴리에스테르의 경우에는, 히터출력의 실온도가 190℃∼230℃로 되도록 설정되고, 실속도, 실가닥 크기(데니어), 히터길이 등의 조건도 고려하여 설정된다.
그리고, 연신가연기에는, 히터를 설정온도로 조정하도록, 종래부터 히터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히터제어장치를 정상적으로 기능시키기 위해서는, 각 히터와 온도센서가 대응하도록 접속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다수의 히터 및 온도센서를 배선할 때, 배선미스 등에 의해 히터 및 온도센서가 정확하게 대응하지 않는 상태로 접속되는 경우가 있고, 그 결과, 히터가 과도로 온도가 상승하여, 실이 용해되어 없어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최초의 설치시에 있어서, 히터와 온도센서가 정확하게 대응하게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 또는, 온도센서의 출력이상이 없는지를 체크할 수 있는 히터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다수열로 설치된 섬유가공유닛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다수의 히터수단과, 상기 히터수단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히터수단의 온도를 검출하는 다수의 온도센서수단과, 상기 히터수단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히터수단으로의 통전을 ON·OFF 하는 다수의 스위치수단과, 다수의 상기 스위치수단의 ON·OFF를 순차적으로 변환하여, 다수의 상기 히터수단에 순차적으로 통전시키는 변환수단과, ON 상태의 히터수단의 온도를 검출한 온도센서수단이, ON 상태의 히터수단에 대응하는 온도센서인지를 판정하는 조합판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다수의 히터수단과, 다수의 온도센서가 정확하게 대응하도록 배선되어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용이하게 배선이상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배선이상에 의한 히터수단의 과도한 온도상승에 의하여 발생하는 실의 용해 등의 각종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조합판정수단이, 상기 히터수단과 상기 온도센서수단과의 조합이 다르다고 판정된 경우에, ON 상태의 히터수단의 온도를 검출한 상기 온도센서수단을 표시하는 번호를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ON 상태의 히터수단의 온도를 검출한 온도센서수단을 표시하는 번호를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에게 배선의 이상 형태를 알려줄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ON 상태의 히터수단을 표시하는 번호와, 상기 ON 상태의 히터수단의 온도를 검출한 상기 온도센서수단을 표시하는 번호를 대응시켜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오퍼레이터는, 배선이상 형태를 알 수 있기 때문에, 배선의 정정 작업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모든 히터수단을 OFF상태로 하여, 상기 온도센서수단의 출력의 이상을 검출하는 출력이상 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오퍼레이터는, 히터수단의 설치시에 있어서, 용이하게 온도센서수단의 출력이상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섬유기계의 운전시에 있어서 온도센서수단의 출력이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연신가연기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히터제어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히터제어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히터제어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히터와 온도센서와의 배선미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연산부 7 … ROM
8 … RAM 9a, 9b … I/F부
10a, 10b … I/F부 11a, 11b … I/F부
12 … 신호버스 13 … 히터온도제어반
14 … 신호선 15 … 신호선
16 … 멀티플렉서 17 … A/D 변환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히터제어장치를, 예컨대 연신가연기에 설치된 경우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연신가연기는, 가연유닛(섬유가공유닛)이 복수열로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고, 이 가연유닛은, 도1에 나타내듯이, 기대(1)를 따라서 설치된 크릴 스탠드(creel stand)(2)에 지지된 급지(給紙)패키지(Ps)로부터 풀려진 필라멘트실(Y)을, 제1공급롤러(F1)로 인도하고, 텍스처 가공용 1차 히터(H1)와, 냉각판(3) 및 닙 트위스터(nip twister)(4)를 경유하여, 제2공급롤러(F2)에 이르는 과정에서 필라멘트실(Y)을 연신하면서, 가연·열고정하여 그 실(Y)에 수고가공을 실시하고, 다시 설치용 2차히터(H2)를 경유하여 와인더(5)에서 권취패키지(Pw)에 감겨지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히터제어장치는 상기 연신가연기의 본체제어장치에 설치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을 열고정하는 히터(히터수단)와, 히터수단으로의 통전을 ON·OFF 하는 스위치(스위치수단)와, 온도센서수단을 구성하는 온도센서와, 변환수단 및 산출수단, 출력이상 검출수단을 구성하는 히터온도제어반(13)과, 도시하지 않은 표시패널(표시수단)을 구비하고, 각 히터와 각 온도센서가 대응하도록 접속되어 있는지 등의 배선이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히터 및 온도센서는, 각 가연유닛마다에 설치되어 있다.
히터온도제어반(13)은, 히터나 온도센서에 접속되는 I/F부(9a,9b∼11a,11b)와, 이들 I/F부(9a,9b∼11a,11b)에 신호버스(12)를 통하여 접속되는 연산부(6), ROM(7), RAM(8), 멀티플렉서(16), A/D 변환기(17)를 보유하고 있고, 스위치의 고장을 포함하는 배선이상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RAM(8)에는, 각 히터의 번호(이하,「히터채널 No.」로 부름)를 기억하는 히터채널 No. 기억영역(8a)이 형성되어 있고, 히터채널 No.가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RAM(8)에는, 온도기억영역(8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온도기억영역(8b)에는, 온도센서의 번호(이하,「센서채널 No.」로 부름)와, 온도센서로 검출된 온도(이하,「온도데이터」로 부름)가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ROM(7)에는, 배선확인루틴(7a)과, 배선이상형태검출 서브루틴(7b)과, 통상의 운전시에 히터제어를 행하는 히터제어루틴(7c)이 저장되어 있고, 후술하는 연산부(6)에 의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이 배선확인루틴(7a)은, 모든 온도센서가 정상상태가 아님을 검출하는 것과 함께, 배선이상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선이상형태검출 서브루틴(7b)은, 배선이상을 검출하여, 가열되어 있는 히터의 히터채널 No.와, 가열되어 있는 히터의 온도를 검출한 온도센서의 채널No.를(배선이상형태를) 표시패널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연산부(6)는, 모든 히터의 출력이 OFF 로 되도록 출력정지신호를 모든 히터스위치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고, 멀티플렉서(16)를 통하여 모든 온도센서에 온도검출영역을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온도센서가 고온을 검출하면, 배선끊김(오픈)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온도센서가 마이너스 온도를 검출하면, 온도센서의 역접속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히터스위치에 출력정지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관계없이 온도센서에 온도를 검출시키는 것은, 배선끊김(오픈)이나 역접속을 일으킬 경우, 온도센서가 히터의 온도상승의 유무에 관계없이, 온도나 마이너스 온도를 틀리게 검출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배선이 정상인 경우, 모든 히터의 출력이 OFF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센서는 실온을 검출한다.
다음으로, 연산부(6)는, n채널의 히터의 출력이 ON으로 되도록 출력개시신호를 히터스위치에 송신하고, 히터를 소정온도까지 상승시키는 것과 함께, 히터채널 No.n을 히터채널 기억영역(8a)에 저장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n채널의 온도센서에 온도검출영역을 송신하고, 온도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온도데이터와 센서채널 No.n을 온도기억영역(8b)에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온도기억영역(8b)으로부터 센서채널 No.n과 온도데이터를 읽어내고, 히터채널 기억영역(8a)으로부터 히터채널 No.n을 읽어내어 배선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배선이상형태를 표시패널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연산부(6)는, n채널의 히터의 출력이 OFF로 되도록 출력정지신호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고, n채널이 최종채널인지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n채널이 최종채널이 아닌 경우에는, n채널에서 n-1채널로 변환하여, n-1채널의 히터에 대해서도, n채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배선이상형태를 표시패널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산부(6)는, 모든 히터에 대하여(n-1채널이 최종채널로 될 때까지), 배선이상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히터제어장치의 작동을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히터의 출력이 OFF로 되도록, 출력정지신호가 연산부(6)에 의해 모든 히터스위치에 송신되는 것과 함께(S1), 모든 온도센서의 온도검출영역이 멀티플렉서(16)에 송신되고, 모든 온도센서로부터의 검출온도를 순차적으로 얻게 된다. 히터온도제어반(13)은 온도데이터를 얻는것과, 연산부(6)에 의해 모든 온도센서가 정상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2). 배선끊김이나 온도센서의 역접속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모든 온도센서가 정상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즉, 온도센서가 하나로도 실온과 다른 온도데이터를 출력한 경우에는(S2, NO), 그 실온과 다른 온도가 고온이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3). 따라서, 그 온도가 고온으로 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S3, YES), 표시패널에 「배선끊김(오픈)」으로 표시하게 한다(S4). 또한, 배선끊김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은, 배선끊김이 발생하게 될 경우, 히터의 온도상승의 유무에 관계없이, 온도센서가 고온을 표시하는 온도데이터를 검출하기 때문이다.
한편, S3에 있어서, 실온과 다른 온도가 마이너스 온도로 되는 경우에는(S3, NO), 표시패널에 「온도센서의 극성역접속」으로 표시된다. 더욱이, 온도센서의 역접 속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은, 온도센서에 열전대를 사용한 경우이고, 그 경우, 열전대가 역접속되어 있으면, 열전대는 마이너스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데이터를 검출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오퍼레이터가 히터채널 No.에 초기값「n」을 설정하면(S7), 연산부(6)에 의해 초기값「n」이 히터채널 No. 기억영역(8a)에 저장되는 것과 함께, 출력개시신호가 n채널의 히터스위치에 송신되고, n채널의 히터가 소정온도까지 상승한다(S8). 여기에서, 초기값「n」은, 히터를 구비하는 가연유닛수로 결정되지만, 본 실시예에 관한 제어장치에서는, 초기값 「n」을「36」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설정온도가, n채널의 히터와 n채널의 온도센서가 대응하여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온도로 된다면 좋다.
오퍼레이터가 초기값「36」으로 설정하면, 36채널의 히터스위치에 출력개시신호가 송신되고, 그 히터가 소정온도까지 상승한다. 36채널의 히터가 소정온도까지 상승하면, 배선이상형태검출 서브루틴(7b)이 실행된다(S9). 그리고, I/F부(11a)에 접속된 온도센서에 의해 36채널의 히터의 온도가 검출되고, A/D변환기로 A/D변환된 온도데이터와, 36채널의 히터의 온도를 검출한 온도센서의 채널 No.36이 온도기억영역(8b)에 저장된다.
다음에, 연산부(6)에 의해 온도기억영역(8b)으로부터 온도데이터와, 센서채널 No.36이 읽혀지는 것과 함께, 히터채널 No. 기억영역(8a)으로부터 히터채널No.36이 읽혀진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산부(6)에 의해 36채널의 히터의 온도상승을 검출한 온도센서(I/F부(11a)에 접속된 온도센서)가, 36채널의 온도센서인지를 판정한다(S13). 구체적으로는, (히터채널 No.n)-(센서채널 No.n) = 0 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히터채널 No. 기억영역(8a) 및 온도기억영역(8b)으로부터 읽어낸 채널No.가 동시에 36채널이기 때문에, (히터채널 No.36)-(센서채널 No.36) =0으로 되고, 36채널의 히터의 온도상승을 검출한 36채널의 온도센서로 되어 있다고 판정된다(S13, YES). 즉, 제36번째 가연유닛에 있어서의 히터와 온도센서가 대응하도록 정확하게 배선되어 있다고 판정한다(배선확인처리).
이상에서와 같이, 정확하게 배선되어 있다고 판정된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산부(6)에 의해 출력정지신호가 36채널의 히터스위치에 송신되고, 36채널의 히터가 OFF로 되어 있다(S10). 다음에, 이 36채널이 최종채널인지가 판정된다(S11). 36채널이 최종채널이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S11, NO), 연산부(6)에 의해 36채널에서 35채널로 변환되어, 36채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출력개시신호가 35채널의 히터스위치에 송신되고(S8), 배선확인처리가 반복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배선확인처리가 36채널·35채널···k채널···3채널로 반복되어, 2채널에서 배선이상을 검출한 경우를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도 2의 I/F부(10a)에는, 2채널의 온도센서가 접속되어 있지만, 배선미스 등에 의해 예컨대 1채널의 온도센서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S8에 있어서, 연산부(6)에 의해 히터채널 No.2가 히터채널 No. 기억영역(8a)에 저장되는 것과 함께, 출력개시신호가 2채널의 히터스위치에 송신되고, 2채널의 히터가 소정온도까지 상승한다(S8). 2채널의 히터가 소정온도까지 상승한다면, 배선이상형태검출 서브루틴(7b)이 실행된다(S9). 그리고, I/F부(10a)에 접속된 온도센서에 의해 2채널의 히터의 온도가 검출된다. 히터온도제어반(13)이 온도데이터를 받아들이면, 온도데이터와, 온도상승을 검출한 온도센서의 채널 No.1이 온도기억영역(8b)에 저장된다.
다음에, 연산부(6)에 의해 온도기억영역(8b)으로부터 온도데이터와, 센서채널 No.1이 읽혀지는 것과 함께, 히터채널 No. 기억영역(8a)으로부터 히터채널 No.2 이 읽혀지게 된다. 그리고,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산부(6)에 의해 2채널의 히터의 온도데이터를 검출한 온도센서(I/F부(10a)에 접속된 온도센서)가, 2채널의 온도센서인지가 판정된다(S13). 구체적으로는, 36채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히터채널 No.n)-(센서채널 No.n)=0 인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여기에서는, (히터채널 No.2)-(센서채널 No.1)=1로 됨으로서, 연산부(6)에 의해 2채널의 히터의 온도상승을 검출한 온도센서(I/F부(10a)에 접속된 온도센서)가, 2채널의 온도센서에서는 없는 것으로 판정된다(S13, NO). 다음에, 연산부(6)에 의해 2채널의 히터의 온도상승을 검출한 온도센서(I/F부(10a)에 접속된 온도센서)가, 어느 채널의 온도센서로 되지만, 온도센서의 채널No.의 탐사는 개시된다(S14).
온도센서의 채널No.의 탐사가 개시되면, 온도센서의 채널No.에 초기값 n' 『n'=(히터채널 No.n)-1』이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온도센서의 채널No.에 초기값 n'=1『n'=(히터채널 No.2)-1』이 설정된다(S15). 초기값 n'이 설정되면, 연산부(6)에 의해 (센서채널 No.n')-(센서채널 No.n)=0 인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즉, n'채널의 온도센서가 n채널의 히터의 온도상승을 검출한 온도센서(I/F부(10a)에 접속된 온도센서)인지가 판정된다(S16). 구체적으로는, 1채널의 온도센서가 2채널의 히터의 온도상승을 검출한 온도센서인지가 판정된다(S16).
여기에서, 초기값으로서 설정된 센서채널 No.n'과, 온도기억영역(8b)으로부터 읽어낸 센서채널 No.n이 동시에 「1」로 되기 때문에, (센서채널 No.1)-(센서채널 No.1)=0으로 된다(S16, YES). 즉, 1채널의 온도센서가, 2채널의 히터의 온도상승을 검출한 온도센서(I/F부(10a)에 접속된 온도센서)로 되어 있다고 연산부(6)에 인식시킨다(S16, YES).
1채널의 온도센서가 2채널의 히터의 온도상승을 검출한 것으로 판정한다면, 연산부(6)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표시패널에 히터채널 No.2과, 센서채널 No.1가 각각 표시된다(배선이상형태표시)(S20). 이로 인해, 오퍼레이터는, 제2번째의 가연유닛의 배선이상을 알 수 있게 되는 것과 함께, 2채널의 히터의 온도를 1채널의 온도센서가 검출하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신호선(15)을 I/F부(9a)로부터 뽑아내는 것과 함께, 신호선(14)을 I/F부(10a)로부터 뽑아내는 것으로 도2에서 나타내듯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배선에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S9에 있어서, 어느 채널의 온도센서도 2채널의 히터의 온도상승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의 히터온도제어반(13)의 작동을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S13∼S15까지는,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된다.
S16에 있어서, 어느 채널의 온도센서도 2채널의 히터의 온도상승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S16, NO), 연산부(6)에 의해 1채널에서 0채널로 변환되고(S17), 센서채널 No.n'이 「0」인지 아닌지가 판정된다(S18). 여기에서, 센서채널 No.n'이 「0」으로 판정되면(S18,YES), 연산부(6)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표시패널에, 『이상! 「히터채널 No.2」또는「센서채널 No.1」』로 표시된다(배선이상형태표시) (S19). 이로 인해, 오퍼레이터는, 제2번째 가연유닛의 히터 또는, 제1번째 가연기유닛의 온도센서가 고장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20·S19에 있어서, 이상과 같이 배선이상형태가 표시되면, 2채널의 히터의 출력이 OFF로 되도록, 출력정지신호가 2채널의 히터스위치에 송신된다. 그리고, 2채널의 히터의 출력이 OFF로 되면(S10), 2채널이 최종채널인지가 판정된다(S11). 2채널이 최종채널이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S11, NO), 2채널에서 1채널로 변환되고(S12), 다시 배선확인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1채널은 최종채널로 되기때문에(S12,YES), 그 배선확인처리가 종료하면, 배선확인루틴이 종료한다(종료).
이상에서와 같이, 배선확인루틴이 종료하고, 모든 히터채널에 대해 정확하게 배선하는 것에 의해 연신가연기를 운전한다.
더욱이, 본 실시예는, 2채널로 배선이상을 검출한 경우 및 2채널의 히터의 온도상승을 어느 온도센서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3채널∼36채널의 히터로 배선이상을 검출한 경우, S15에 있어서, n'=「2」∼「35」로 되고, S18에 있어서, n'=「1」∼「34」로 되기 때문에(S18, NO), n채널의 히터온도상승을 검출한 온도센서의 채널No.n가 인식될때까지, S16∼S18의 탐사처리가 순차적으로 반복된다. 더욱이, 탐사처리가 순차적으로 반복되고, n'=「0」으로 되는 경우, 즉, n채널의 히터의 온도상승을 어느 온도센서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S18,YES), 상기와 마찬가지로 표시패널『이상!「히터채널 No.n」또는「센서채널 No.n」』으로 표시된다.
또한, S15에 있어서, n'=(히터채널 No.n)-1로 한 것은, 아직 체크되지 않은 센서채널 No.만을 체크하는 것에 의해 탐사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즉, n'=36로 하면, S16∼S18의 탐사처리에 있어서, 이미 체크할 때의 센서채널 No.까지 체크하는 것에 의해, 탐사효율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더욱이, 실시예에 관한 ROM(7)에는, 배선확인루틴이나 배선이상형태검출 서브루틴에 부가하여, 히터제어루틴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관한 히터히터온도제어반(13)은, 본 실시예에 관한 배선확인처리나 배선이상형태검출처리에 부가하여, 가연기의 통상 운전시에 있어서의 히터온도의 제어, 즉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설정온도와의 편차에 응하는 히터에 대응하는 출력을 제어하는 것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다수열로 설치된 섬유가공유닛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다수의 히터수단과, 상기 히터수단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히터수단의 온도를 검출하는 다수의 온도센서수단과, 상기 히터수단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히터수단으로의 통전을 ON·OFF하는 다수의 스위치수단과, 다수의 상기 스위치수단의 ON·OFF를 순차적으로 변환하여, 다수의 상기 히터수단에 순차적으로 통전시키는 변환수단과, ON 상태의 히터수단의 온도를 검출한 온도센서수단이, ON 상태의 히터수단에 대응하는 온도센서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조합판정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다수의 히터수단과, 다수의 온도센서가 정확하게 대응하도록 배선되어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용이하게 배선이상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배선이상에 의해 히터수단의 과도한 온도상승에 의해 발생하는 실의 용해 등의 각종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조합판정수단이, 상기 히터수단과 상기 온도센서수단의 조합이 다르다고 판정된 경우에, ON 상태의 히터수단의 온도를 검출한 상기 온도센서수단을 표시하는 번호를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ON 상태의 히터수단의 온도를 검출한 온도센서수단을 표시하는 번호를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에게 배선의 이상형태를 알려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ON 상태의 히터수단을 표시하는 번호와, 상기 ON 상태의 히터수단의 온도를 검출한 상기 온도센서수단을 표시하는 번호를 대응시켜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오퍼레이터가, 배선이상형태를 알 수 있기 때문에, 배선의 정정작업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모든 히터수단을 OFF 상태로하여, 상기 온도센서수단의 출력의 이상을 검출하는 출력이상 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오퍼레이터는, 히터수단의 설치시에 있어서, 용이하게 온도센서수단의 출력이상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섬유기계의 운전시에 있어서 온도센서수단의 출력이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다수열로 설치된 섬유가공유닛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다수의 히터수단과,
    상기 히터수단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히터수단의 온도를 검출하는 다수의 온도센서수단과,
    상기 히터수단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히터수단으로의 통전을 ON·OFF하는 다수의 스위치수단과,
    다수의 상기 스위치수단의 ON·OFF를 순차적으로 변환하여, 다수의 상기 히터수단에 순차적으로 통전시키는 변환수단과,
    ON 상태의 히터수단의 온도를 검출한 온도센서수단이, ON 상태의 히터수단에 대응하는 온도센서인지를 판정하는 조합판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용 히터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판정수단이, 상기 히터수단과 상기 온도센서수단의 조합이 다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ON 상태의 히터수단의 온도를 검출한 상기 온도센서수단을 표시하는 번호를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용 히터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ON 상태의 히터수단을 표시하는 번호와, 상기 ON 상태의 히터수단의 온도를 검출한 상기 온도센서수단을 표시하는 번호를 대응시켜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용 히터제어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히터수단을 OFF상태로 하여, 상기 온도센서수단의 출력의 이상을 검출하는 출력이상 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용 히터제어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상 운전시에 있어서의 히터제어를 실행하는 히터제어루틴을 저장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용 히터제어장치.
KR1019980048410A 1997-11-14 1998-11-12 섬유기계용 히터제어장치 KR199900452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13075 1997-11-14
JP9313075A JPH11152637A (ja) 1997-11-14 1997-11-14 繊維機械におけるヒータ制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235A true KR19990045235A (ko) 1999-06-25

Family

ID=1803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410A KR19990045235A (ko) 1997-11-14 1998-11-12 섬유기계용 히터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00208A (ko)
EP (1) EP0917028A1 (ko)
JP (1) JPH11152637A (ko)
KR (1) KR19990045235A (ko)
TW (1) TW3938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90366A1 (en) * 2005-06-28 2006-12-28 Intel Corporation Monitoring multiple electronic devices under test
US7658539B2 (en) * 2006-12-04 2010-02-09 Rosemount Inc. Temperature sensor configuration detection in process variable transmitter
US8118484B2 (en) 2009-03-31 2012-02-21 Rosemount Inc. Thermocouple temperature sensor with connection detection circuitry
CH701660B1 (de) * 2009-08-25 2013-08-30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Falschdralltexturiermaschine.
US8864378B2 (en) 2010-06-07 2014-10-21 Rosemount Inc. Process variable transmitter with thermocouple polarity detection
DE102011112035A1 (de) * 2010-08-31 2012-03-01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Textilmaschine
CN116225109B (zh) * 2022-11-23 2024-04-02 南通凯大纺织有限公司 一种纱线回潮率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098A (ko) * 1987-09-30 1989-05-18 아더 엠.킹 히터 에너지 계수기를 사용한 온도 감지 고장 검출 장치
KR970045622A (ko) * 1995-12-30 1997-07-26 배순훈 온풍 · 선풍기의 자체 이상유무 진단방법
KR19980057921A (ko) * 1996-12-30 1998-09-25 배순훈 전자렌지의 온도센서 확인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1355A (en) * 1975-03-31 1977-06-21 Leonik Jr Stephen A Multi-channel temperature responsive process control system
DE2933044A1 (de) * 1979-08-16 1981-02-26 Duerkoppwerke Verfahren zur rechnergestuetzten funktionspruefung der eingangs- und ausgangselemente einer steuerung und pruef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JPS56154528A (en) * 1980-04-23 1981-11-30 Toray Industries False twisting processing apparatus
US4456818A (en) * 1981-08-26 1984-06-26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Yarn heater
US4716520A (en) * 1986-01-22 1987-12-29 Nordson Corporation Method of checking channel connections and detecting heater circuit and temperature sensor malfunctions in multi-channel closed loop hot melt heating systems
GB2241091B (en) * 1990-02-14 1994-01-19 Toshiba Kk Air conditioning apparatus connecting one outdoor unit with several indoor units through several refrigerant tubes and signal conductors
FR2691555B1 (fr) * 1992-05-25 1995-04-28 Gerard Guillemot Système de régulation des équipements chauffants par zones régulées pour la mise en Óoeuvre de produits en matériaux composites.
JPH0657563A (ja) * 1992-08-08 1994-03-01 Teijin Seiki Co Ltd 延伸仮撚機の運転方法
IT1273932B (it) * 1995-02-17 1997-07-11 Menegatto Srl Una macchina tessile testurizzatrice con sistema di raffredamento forzato del filato
JPH09198147A (ja) * 1996-01-23 1997-07-31 Omron Corp 温度調節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098A (ko) * 1987-09-30 1989-05-18 아더 엠.킹 히터 에너지 계수기를 사용한 온도 감지 고장 검출 장치
KR970045622A (ko) * 1995-12-30 1997-07-26 배순훈 온풍 · 선풍기의 자체 이상유무 진단방법
KR19980057921A (ko) * 1996-12-30 1998-09-25 배순훈 전자렌지의 온도센서 확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93874B (en) 2000-06-11
US6000208A (en) 1999-12-14
JPH11152637A (ja) 1999-06-08
EP0917028A1 (en) 1999-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45235A (ko) 섬유기계용 히터제어장치
EP2375157B1 (en) Combustion controlling device
KR910006172B1 (ko) 전기기기의 제어장치
CZ288586B6 (cs) Diagnostický systém pro topný přístroj zabudovaný ve vozidle
JPH09142738A (ja) 空気力式スプライシング装置のチェック方法及び装置
KR100456745B1 (ko) 합사가연기의실끊김검출장치
KR101899357B1 (ko) 보일러에 구비된 기종 설정용 딥 스위치의 고장시 설정 변경방법
JPH1079351A (ja) 処理炉の温度管理装置
US5625934A (en) Reeling method with scanning of matrix of sensors
JPH11302935A (ja) 糸条加熱用ヒータの制御装置
JP2008021264A (ja) デジタル出力保持装置
JPH0734333A (ja) 紡機の停止方法及び装置
JPH11294762A (ja) 燃焼機器の故障内容表示装置
KR960005610B1 (ko) 다기능 온도 제어장치
JP4147486B2 (ja) 複合熱源機の安全装置
ITMI20011804A1 (it) Filatoio
KR20110067521A (ko) 차량용 전선의 색상 검사 장치
JP2002227061A (ja) 織機の糸切れ状態検知装置
JPH0552412A (ja) 家庭用器具の制御装置
KR20000043534A (ko) 가스보일러의 에러 감지 및 표시 방법
JP6545990B2 (ja) 給湯装置
JPH0289915A (ja) 燃焼機具の故障記憶装置
JP2001355135A (ja) 仮撚加工機
AU4404393A (en) Display panel associating series circuit interlock switch conduction status indicators with circuit topology
JPH05288394A (ja) 空気調和機の異常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