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293A - (메트)아크릴 단량체의 음이온성 중합을 통한 신규한 유동점 강하제 - Google Patents

(메트)아크릴 단량체의 음이온성 중합을 통한 신규한 유동점 강하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293A
KR19990037293A KR1019980044291A KR19980044291A KR19990037293A KR 19990037293 A KR19990037293 A KR 19990037293A KR 1019980044291 A KR1019980044291 A KR 1019980044291A KR 19980044291 A KR19980044291 A KR 19980044291A KR 19990037293 A KR19990037293 A KR 19990037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monomers
lubricating oil
group
meth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마야 케이 미쉬라
레이몬드 지 색스턴
Original Assignee
레이니어 데니스 에이치
에틸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니어 데니스 에이치, 에틸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레이니어 데니스 에이치
Publication of KR19990037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29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 C10M145/1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monocarboxylic
    • C10M145/14Acrylate;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2C12-(meth)acrylate, e.g. laur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8C13or longer chain (meth)acrylate, e.g. stear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type
    • C10M2209/084Acrylate; Methacryl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ubricant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olymerization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트)아크릴 단량체의 특정 조합의 음이온성 공중합으로 수득된 윤활 점성유에 대한 유동점 강하제로서 유용한 신규한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동점 강하제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음이온성 중합법은 WO 96/23008(미국 특허 제 08/378,978, 1995 년 1 월 27 일자 출원)에 기재되어 있다. 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음이온성 중합 또는 공중합 공정에 있어서, 단량체 또는 공단량체를 동시에 또는 빠른 연속적인 방법(적가법은 아님)으로 음이온성 중합 반응 매질에 가한다.

Description

(메트)아크릴 단량체의 음이온성 중합을 통한 신규한 유동점 강하제
본 발명은,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음이온성 개시제의 존재 하의, 아크릴 단량체,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공단량체의 중합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윤활유 제형 중 유동점 강하제로서의 상기 공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음이온성 중합 개시제의 존재 하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계 또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중합, 및 아크릴계 및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비닐 공단량체와의 공중합이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하기 화학식을 갖는 개시제가 사용되어 왔다 :
R-M
(상기 식에서, M 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나타내고, R 은 C2-6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아릴을 나타낸다). 이러한 개시제의 예로는, n-부틸리튬, sec-부틸리튬, 나프탈렌소듐, 1,4-디소디오-1,1,4,4-테트라페닐부탄, 디페닐메틸 포타슘, 디페닐메틸 소듐, 1'-메틸스티릴리튬, 1,1-디페닐-3-메틸펜틸리튬 및 리튬의 삼차 알콜레이트 및 트리메틸실릴기를 함유하는 화합물과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분자량 분포가 좁은 범위인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것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다양한 적용에 유리하다. 어떠한 경우에는, 넓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중합체를 제조하고, 이러한 중합체 조성물을 물리적으로 처리하여 중합체 분자량이 다소 좁은 범위인 물질을 형성시킨다. 또한, 비-질소성 착제를 포함하는 다양한 첨가제를 음이온성 중합 반응 혼합물에 가하여 다분산도가 비교적 낮은 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미국 특허 제 4,927,703 및 4,826,941 참조).
일반적으로, 음이온성 중합으로 제조된 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일반적인 분야에 있어서 많은 출판 및 특허가 있다. 미국 특허 제 4,927,703, 미국 특허 제 4,826,941 및 Fayt 등의 문헌[MacromoleculesVol.20, 1442-1444(1987)]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인용은, 다분산도가 좁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리튬 클로라이드 및 크라운 에테르의 용도를 나타낸다. 예컨대, Fayt 등의 문헌 제 1442 면에서, 리튬 클로라이드를 사용함으로서 다분산도가 1.2 내지 1.6 인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비교 : 리튬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3.61 이다)를 제조할 수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 5,534,175 에 불포화 지방 에스테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윤활유의 점성 향상제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는, 공중합체가 약 2 내지 5 의 다분산도 값 Mw/Mn을 갖는다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WO 96/23008 에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음이온성 중합 공정을 기재하고 있다. WO 96/23008 에는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메트)아크릴 단량체의 특정 조합 또는 음이온성 중합을 통해 수득된 유동점 강하제로서의 중합체의 용도에 대해 기재되어 있지는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이온성 공중합 공정을 통해 수득된 신규한 공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중합체는 윤활 점성유에 대한 유동점 강하제로서 사용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메트)아크릴 단량체의 특정 조합의 음이온성 공중합으로 수득된 윤활 점성유에 대한 유동점 강하제로서 유용한 신규한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동점 강하제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음이온성 중합법은 WO 96/23008(미국 특허 제 08/378,978, 1995 년 1 월 27 일자 출원)에 기재되어 있다. 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음이온성 중합 또는 공중합 공정에 있어서, 단량체 또는 공단량체를 동시에 또는 빠른 연속적인 방법(적가법은 아님)으로 음이온성 중합 반응 매질에 가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공중합체는 하기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다 :
a) 하기 화학식의 하나 이상의 아크릴계 단량체 0 내지 60 중량 % :
(상기 식에서, R 은 수소 또는 메틸, R1은 C1-5알킬기) ;
b) 하기 화학식의 하나 이상의 아크릴계 단량체 0 내지 60 중량 % :
(상기 식에서, R 은 수소 또는 메틸, R2는 C6-14알킬기) ; 및
c) 하기 화학식의 하나 이상의 아크릴계 단량체 15 내지 80 중량 % :
(상기 식에서, R 은 수소 또는 메틸, R3은 C15-22알킬기) ; 단,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 a) 및 b)가 존재하고, 단량체 a) + b) 의 총량이 생성된 공중합체의 20 내지 85 중량 % 이다.
공단량체 a) 로 적합한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성분 a) 로 바람직한 공단량체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공단량체 b) 로 적합한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공단량체 b) 는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공단량체 c) 로 적합한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는,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 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 아크릴레이트, 및 헥사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공단량체 c) 는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상업적으로 제조된 공단량체 a) 내지 c) 는 통상적으로 에스테르화하는 동안 조 알콜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서 수득된 저급 및 고급 지방 유도체의 혼합물이다. 단량체의 탄소수는 단량체의 주 에스테르인 에스테르의 탄소수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시판된다해도, R 이 메틸이고, R2가 C12인 알킬기인 공단량체 b) 로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를 고려할 수 있고,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저급 및 고급 지방 유도체를 또한 함유하는 혼합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시판된다해도, R 이 메틸이고, R3이 C18인 알킬기인 공단량체 c)로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를 고려할 수 있고,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저급 및 고급 지방 유도체를 또한 함유하는 혼합물이다.
비-아크릴계 비닐 공단량체는 본 발명의 공중합체 중에 임의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비닐 공단량체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부타디엔, 이소프렌, 스티렌, 알파-메틸 스티렌, 비닐 톨루엔, t-부틸 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비닐나프탈렌, 2-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등이 포함된다.
또한, 분산성, 항산화성 및 내구성과 같은 공중합체 특성의 수행성을 한층 향상시키는 단량체를 본 발명의 공중합체 중에 또한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분류의 전형적인 수행성 향상 단량체로는, N,N-디메틸아미노 프로필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미노 프로필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티오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에틸 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4-노닐페닐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페닐 에테르 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개시제로는 하기 화학식의 개시제가 포함된다 :
R-M
(상기 식에서, M 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이고, R 은 바람직하게는 C1-6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이다). 이러한 개시제의 예로는, 예컨대, 알킬리튬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메틸 리튬, n-부틸리튬, sec-부틸리튬, 시클로알킬리튬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실리튬 및 아릴리튬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페닐리튬, 1-메틸스티릴리튬, p-톨릴리튬, 나필리튬 및 1,1-디페닐-3-메틸펜틸리튬과 같은 히드로카르빌 리튬 개시제가 포함된다. 또한 유용한 개시제로는, 나프탈렌 소듐, 1,4-디소디오-1,1,4,4-테트라페닐부탄, 디페닐메틸 포타슘, 및 디페닐메틸 소듐이 포함된다. 리튬의 삼차 알콜레이트 및 트리메틸실릴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수분 및 산소가 없는 조건 및 하나 이상의 비활성 용매가 있는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촉매 시스템에 불리한 임의의 불순물 없이 중합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활성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 예컨대 이소부탄, 펜탄, 시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크실렌, 테트라히드로푸란, 디글림, 테트라글림, 오르토테르페닐, 비페닐, 데칼린 또는 테트랄린이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공중합 온도는, 약 30 ℃ 내지 약 -78 ℃, 바람직하게는 약 0 ℃ 내지 -50 ℃ 로 다양하다.
본 발명의 공정은 음이온성 중합을 위한 개시 시스템에서 1,1-디페닐에틸렌을 사용한다. 1,1-디페닐에틸렌은 전자친화성이 비교적 높고, 단일중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수평균 분자량이 약 500 내지 약 1,000,000, 바람직하게는 약 5000 내지 약 300,000 이고, 다분산도, Mw/Mn(수평균 분자량에 대한 중량평균 분자량의 비율)이 약 1.0 내지 약 2.0,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1.5 인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의 폭넓은 제조를 가능케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에서, 중합은 일반적으로 비활성 대기, 예컨대 질소, 아르곤 등의 대기 하에서 수행된다. 중합 반응에서 사용되는 장비는, 약 150 ℃에서 수 시간 건조시키는 것과 같이 주의하여 건조시켜야 한다. 용매 및 시약 또한 주의하여 건조시킨다. 예로서, 테트라히드로푸란(THF)을 중합 매질로 사용하면, THF를 소듐-벤조페논 상에 새로이 증류하거나, 무수 THF를 사용할 수 있다. 알루미나에 단량체 또는 공단량체를 통과시킴으로서 아크릴계, 메트아크릴계 또는 다른 단량체 또는 공단량체를 정제할 수 있다. 디페닐 에틸렌(DPE)을 분자체 상에서 건조시킬 수 있다. 금속 개시제는 수용된다면 통상 사용된다.
상기 공정에서 제조된 공중합체에 있어서 목적하는 다분산도를 달성하기 위해서, 공단량체를 특별한 방법으로 중합 반응기에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느냐에 따라 단량체를 반응 매질 및 개시제를 함유하는 반응기에 함께 또는 연속적으로 가한다. 공단량체 전체를 한번에 가하던지, 또는 연속적으로 빠르게 가한다. 적가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치 반응기, 연속 튜브 반응기 또는 중합 반응 매질 및 공단량체가 한번에 또는 빠르고 연속적인 방식으로 접촉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반응기에서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반응은 상당히 빠르고, 통상 몇 초 내에 완결된다. 전환은 순간 공정에서도 상당히 우수하고, 일반적으로 약 100 % 전환된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접착제가 용해 또는 분산된 기재유(base oil)를 사용하는 윤활유 조성물 중, 유동점 강하제로서 일차적으로 유용하다. 이러한 기재유는 천연 또는 합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적합하게 사용되는 기재유로는, 자동차 및 트럭 엔진, 해양 및 철도 디젤 엔진 등과 같은 스파크-발화 및 압축-발화 내부 연소 엔진용 크랭크실 윤활유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 포함된다. 유동점 강하제로서의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송전액, 중질 수압액, 파워 스티어링 플루이드 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및/또는 상기 용도에 적합한 기재유 중에 사용함으로서 바람직한 결과를 얻는다. 기어 윤활유, 공업유, 펌프유 및 기타 윤활유 조성물은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그 안에 혼합시킴으로서 이로울 수 있다.
이러한 윤활유 제형은 제형에서 요구되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부가 첨가제를 통상적으로 함유한다. 첨가제의 이러한 형태들 중 점성도 향상제, 항산화제, 부식 저해제, 세정제, 분산제, 내구성제제, 제포제, 해유화제(demulsifier) 및 마찰 조절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그 자체로 윤활유 유동점 강하제로서 사용될 수 있고, 사용된 공중합체의 양은 처리될 윤활유의 질량에 대해서, 약 0.01 내지 1 중량 %,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3 중량 % 의 비율에 상당한다.
그러나, 천연유, 광물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통상적인 액체성 유기 희석제, 또는 다른 적합한 용매와 함께 본 발명의 공중합체 및 임의의 부가 첨가제로 이루어진 첨가 농축물 형태인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가 농축물은 약 25 내지 약 75 중량 % 인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 및 본 발명에 따른 임의 부가 첨가제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내지 100 % 는 통상의 액체 유기 희석제로 주요 구성된다. 물론, 농축물의 목적은 다양한 물질의 취급을 덜 어렵고 힘들지 않게 하기 위한 것 뿐만아니라 최종 혼합물 중 용액 또는 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윤활 점성유로 이루어지고, 천연 및 합성 윤활유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윤활유 원료와 부가 혼합되어 사용될 것이다.
천연유로는 동물유 및 식물유(예컨대, 캐스터, 라드유), 액체 석유 오일 및 파라핀계, 나프탈렌계 및 혼합 파라핀-나프탈렌계 형태의 수-정제, 용매-처리 또는 산-처리된 광물성 윤활유가 포함된다.
하기 실시예는 예시로서 제공되었고,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서, 질소 대기 하 반응기 중에서 중합을 수행한다. 반응기 중에서 연속적인 방법으로 공단량체와 개시제 시스템을 접촉시킴으로서 중합을 수행한다. 개시제 시스템은 무수 THF 중에 디페닐에틸렌 및 sec-부틸리튬을 함유한다. 제조된 중합체를 회수하고,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폴리스티렌 및/또는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곡선을 사용하여 분자량 및 분포를 측정한다.
표 1 은, 윤활유의 유동점에 대한 다양한 공중합체의 영향을 나타낸다. 하기 표에 표시된 바와 같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MMA),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BMA),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LMA) 및/또는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SMA)를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다양한 양으로 5W30 기재유에 가한다. 다양한 공중합체 농도에서, 이러한 오일의 유동점을 ASTM D 97 에 따라 측정하여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번호 단량체(비율) ~Mn(x 1000) PP(℃)0.08 중량% PP(℃)0.14 중량% PP(℃)0.20 중량% PP(℃)0.40 중량%
1 SMA : LMA(25 : 75) 21 -36 -36
2 SMA : LMA(45 : 55) 33 -33 -33
3 SMA : LMA(50 : 50) 12.5 -33 -33 -33
4 SMA : LMA(50 : 50) 25 -33 -33 -33
5 SMA : LMA(50 : 50) 50 -25 -31
6 SMA : LMA(50 : 50) 75 -27 -33 -33
7 SMA : LMA(75 : 25) 25 -21 -21 -24
8 SMA : BMA(50 : 50) 25 -30 -30 -30
9 SMA : BMA(50 : 50) 50 -28 -33
10 SMA : LMA : MMA(30 : 50 : 20) 22 -30 -36
11 SMA : LMA : MMA(30 : 50 : 20) 35.5 -27 -33
12 SMA : LMA : MMA(33 : 33 : 33) 26 -30 -24
13 SMA : LMA : BMA(33 : 33 : 33) 25 -36 -36
14 SMA : LMA : BMA(33 : 33 : 33) 50 -24 -39
15 SMA : LMA : BMA(33 : 33 : 33) 75 -33 -36 -33
16 SMA : LMA : BMA(35 : 13 : 52) 25 -33 -33 -33
17 SMA : LMA : BMA(35 : 13 : 52) 50 -30 -33
실시예 번호 단량체(비율) ~Mn(x 1000) PP(℃)0.08 중량% PP(℃)0.14 중량% PP(℃)0.20 중량% PP(℃)0.40 중량%
18 SMA : LMA : BMA(35 : 13 : 52) 75 -33 -36 -33
19 SMA : LMA : BMA(35 : 52 : 13) 12.5 -33 -30 -36
20 SMA : LMA : BMA(35 : 52 : 13) 25 -30 -33 -36
21 SMA : LMA : BMA(35 : 52 : 13) 50 -30 -30 -30
22 SMA : LMA : BMA(35 : 52 : 13) 75 -30 -33 -33
23 SMA : LMA : MMA(40 : 40 : 20) 21.5 -36 -36
24 SMA : LMA : MMA(40 : 40 : 20) 93 -30 -33
25 SMA : LMA : MMA(40 : 50 : 10) -36 -36
26 SMA : LMA : BMA(40 : 40 : 20) 26 -36 -39
27 SMA : LMA : BMA(40 : 40 : 20) 66.5 -30 -36
28 SMA : LMA : MMA(50 : 40 : 10) 24 -33 -36
29 SMA : LMA : BMA(50 : 40 : 10) 24.5 -33 -33
30 SMA : LMA : MMA(60 : 30 : 10) 10 -33 -33
31 SMA : LMA : BMA(60 : 30 : 10) 25 -30 -30
비교예 1 염기유 -15
비교예 2 LMA : MMA(75 : 25) 27.5 -18 -15
실시예의 전체에서 전환율은 약 100 % 이고, 개시 효율은 약 100 % 에 가깝다. 제조된 중합체는 약 1.2 내지 1.4 의 범위에서 상당히 좁은 다분산도를 갖는다.
상기 표로부터 분명한 것은, 본 발명의 청구 범위 내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윤활유는 기재유만을 사용했을 때(비교예 1) 및 청구 범위 외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윤활유를 사용했을 때(비교예 2)와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유동점을 나타낸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실제로 상당한 편차를 용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내이며, 이는 법적으로 유용한 그의 균등물을 포함한다.
본 출원인은 임의의 개시된 구현예를 공중에 제공하려는 것은 아니고, 어느 정도까지는 개시된 개질 또는 변형이 본 청구 범위 내에 문자 그대로는 부합되지 않더라도, 균등론 하에 본 발명의 일부로 간주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점 강하제로서 유용한 신규한 공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

Claims (19)

  1. 하기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음이온성 중합에 의해 제조된 공중합체 :
    a) 하기 화학식의 아크릴계 단량체 0 내지 60 중량 % :
    (상기 식에서, R 은 수소 또는 메틸, R1은 C1-5알킬기) ;
    b) 하기 화학식의 아크릴계 단량체 0 내지 60 중량 % :
    (상기 식에서, R 은 수소 또는 메틸, R2는 C6-14알킬기) ; 및
    c) 하기 화학식의 아크릴계 단량체 15 내지 80 중량 % :
    (상기 식에서, R 은 수소 또는 메틸, R3은 C15-22알킬기) ;
    [단,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 a) 및 b)가 존재하고, 단량체 a) + b) 의 총량이 20 내지 85 중량 % 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균 분자량이 약 500 내지 약 1,000,000 이고, 다분산도가 약 1.0 내지 약 2.0 인 공중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다분산도가 약 1.0 내지 약 1.5 인 공중합체.
  4. 제 1 항에 있어서, 단량체 a)가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공중합체.
  5. 제 1 항에 있어서, 단량체 b)가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인 공중합체.
  6. 제 1 항에 있어서, 단량체 c)가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인 공중합체.
  7. 제 1 항에 있어서, 비-아크릴계 비닐 단량체 및 수행 향상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공중합체.
  8. 제 1 항에 있어서, 비활성 용매, 하기 식의 개시제 및 디페닐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중합 개시제 매질 중에서 음이온성 중합을 수행하는 공중합체 :
    R-M
    (상기 식에서, M 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이고, R 은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이다)
  9. 제 8 항에 있어서, 단량체 전량를 중합 개시제 매질 중에 한번에 가하는 공중합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단량체를 연속법으로 중합 매질에 가하는 공중합체.
  11. 윤활유에 가하기 위한 농축물로서, 제 1 항의 공중합체 약 25 내지 약 75 중량 % 및 통상적인 액체 유기 희석제 약 75 내지 25 중량 % 로 이루어지는 농축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통상적인 액체 유기 희석제가 천연유, 합성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농축물.
  13. 제 11 항에 있어서, 점성도 향상제, 항산화제, 부식 저해제, 세정제, 분산제, 내구성 제제, 제포제, 해유화제 및 마찰 조절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농축물.
  14. 제 1 항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윤활유 제형에 사용되는 유동점 강하제.
  15. 제 1 항의 공중합체를 소량 포함하고 윤활 점성유로 주요 구성된 윤활유 제형.
  16. 제 15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처리될 윤활유의 질량 중 약 0.01 내지 1 중량 % 의 양으로 존재하는 윤활유.
  17. 제 15 항에 있어서, 윤활 점성유가 천연유, 합성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윤활유.
  18. 제 15 항에 있어서, 점성도 향상제, 항산화제, 부식 저해제, 세정제, 분산제, 내구성제제, 제포제, 해유화제 및 마찰 조절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윤활제.
  19. 제 1 항의 공중합체의 소량을 윤활 점성유에 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윤활유 조성물의 유동점의 향상 방법.
KR1019980044291A 1997-10-24 1998-10-22 (메트)아크릴 단량체의 음이온성 중합을 통한 신규한 유동점 강하제 KR199900372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57,046 US5834408A (en) 1997-10-24 1997-10-24 Pour point depressants via anionic polymerization of (meth)acrylic monomers
US8/957,046 1997-10-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293A true KR19990037293A (ko) 1999-05-25

Family

ID=25499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291A KR19990037293A (ko) 1997-10-24 1998-10-22 (메트)아크릴 단량체의 음이온성 중합을 통한 신규한 유동점 강하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34408A (ko)
EP (1) EP0911348A3 (ko)
JP (1) JPH11302333A (ko)
KR (1) KR19990037293A (ko)
CN (1) CN1221002A (ko)
AU (1) AU8709198A (ko)
BR (1) BR9804058A (ko)
CA (1) CA2249244A1 (ko)
SG (1) SG686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1538A (en) 1999-01-26 2000-04-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ur point depression of heavy cut methyl esters via alkyl methacrylate copolymer
DE69925239T2 (de) * 1998-10-14 2006-01-19 Jfe Steel Corp.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und geschmierte metallbleche
US6255261B1 (en) 1999-09-22 2001-07-03 Ethyl Corporation (Meth) acrylate copolymer pour point depressants
DE10015533A1 (de) * 1999-11-30 2001-06-28 Rohmax Additives Gmbh Blockcopolymere sowie Verfahren zur Hestellung und Verwendung
US6323164B1 (en) * 2000-11-01 2001-11-27 Ethyl Corporation Dispersant (meth) acrylate copolymers having excellent low temperature properties
US20040092409A1 (en) * 2002-11-11 2004-05-13 Liesen Gregory Peter Alkyl (meth) acrylate copolymers
DE10314776A1 (de) * 2003-03-31 2004-10-14 Rohmax Additives Gmbh Schmierölzusammensetzung mit guten Reibeigenschaften
WO2006009083A1 (ja) * 2004-07-16 2006-01-26 Kuraray Co., Ltd. アクリル系重合体を含む潤滑油添加剤および潤滑油組成物
US8110211B2 (en) * 2004-09-22 2012-02-0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Medicated coatings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s including polyacrylates
US20060252660A1 (en) * 2005-05-09 2006-11-09 Akhilesh Duggal Hydrolytically stable viscosity index improves
US8703167B2 (en) * 2006-06-05 2014-04-22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Coatings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s for controlled release of a hydrophilic drug and a hydrophobic drug
US20080008736A1 (en) * 2006-07-06 2008-01-10 Thierry Glauser Random copolymers of methacrylates and acrylates
JP5528693B2 (ja) * 2008-12-17 2014-06-25 コスモ石油ルブリカンツ株式会社 エンジン油組成物
CA2764436C (en) 2009-06-04 2018-08-14 The Lubrizol Corporation Polymethacrylates as high vi viscosity modifiers
CN101705120B (zh) * 2009-11-20 2012-11-21 上海应用技术学院 柴油降凝剂助溶剂及其制备方法
CN106010746A (zh) * 2009-11-24 2016-10-12 路博润公司 含有粘度改进剂组合的润滑组合物
CN103459569B (zh) 2011-03-25 2018-01-19 巴斯夫欧洲公司 具有改进的非牛顿粘度特性的润滑剂组合物
FR2982871A1 (fr) * 2011-11-22 2013-05-24 Univ Sud Toulon Var Polymeres de poly(acrylate de n-alkyle)s et leur utilisation comme abaisseurs de point d'ecoulement de petrole
CN102675527B (zh) * 2012-05-18 2013-12-25 华南理工大学 一种水性长链丙烯酸酯类隔离剂的制备方法
FR3045660B1 (fr) * 2015-12-21 2020-08-21 Arkema France Composition d'esters methyliques d'acides gras a bas point d'ecoulement
JP2017186539A (ja) * 2016-03-30 2017-10-12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CN106590835B (zh) * 2016-11-07 2019-07-05 泰州龙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甲醇发动机使用的润滑油降凝剂的制备方法
JPWO2019004162A1 (ja) * 2017-06-30 2020-04-30 株式会社クラレ メタクリル系共重合体及びそれを含む溶液
JP6855342B2 (ja) * 2017-07-11 2021-04-07 Eneos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WO2019173154A1 (en) * 2018-03-05 2019-09-12 Rohm And Haas Company (meth)acrylate copolymer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as pour point depressants for crude oil
ES2925268T3 (es) * 2018-11-13 2022-10-14 Evonik Operations Gmbh Procedimiento para preparar copolímeros aleatorios
BR102020004711A2 (pt) 2019-03-11 2021-01-19 Evonik Operations Gmbh copolímeros com base em polialquil(met)acrilato, composição aditiva, método de manutenção da kv100 em uma dada hths150, composição de óleo lubrificante
PL3907269T3 (pl) 2020-05-05 2023-09-11 Evonik Operations Gmbh Uwodornione polidienowe kopolimery liniowe jako surowiec bazowy lub dodatki smarowe do kompozycji smarowych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4260A (en) * 1960-12-30 1967-02-14 Monsanto Co Compositions of improved viscosity index containing alkyl polymethacrylate of high relative syndiotacticity
US3252949A (en) * 1960-12-30 1966-05-24 Monsanto Co Syndiotactic oil-soluble methacrylate polymers
FR2131111A5 (en) * 1971-03-31 1972-11-10 Inst Francais Du Petrole Heat stable polymethacrylates - prepd in olefin soln and useful in lubricants
US4146492A (en) * 1976-04-02 1979-03-27 Texaco Inc. Lubricant compositions which exhibit low degree of haze and methods of preparing same
ES8605832A1 (es) * 1984-01-30 1986-04-01 Empresa Nac Petroleo Procedimiento de obtencion de aditivos polifuncionales de aceites lubricantes
US4606834A (en) * 1985-09-10 1986-08-19 Texaco Inc. Lubricating oil containing VII pour depressant
FR2589866B1 (fr) * 1985-11-07 1988-07-15 Inst Francais Du Petrole Compositions de copolymeres, utilisables comme additifs pour huiles lubrifiantes
DE3607444A1 (de) * 1986-03-07 1987-09-10 Roehm Gmbh Additive fuer mineraloele mit stockpunktverbessernder wirkung
US5112509A (en) * 1988-12-22 1992-05-12 Texaco, Inc. Non-dispersant, shear-stabilizing, and wear-inhibiting viscosity index improver
DE3930142A1 (de) * 1989-09-09 1991-03-21 Roehm Gmbh Dispergierwirksame viskositaets-index-verbesserer
US5272211A (en) * 1992-12-21 1993-12-21 Shell Oil Company Block copolymers of dienes, vinylarenes, and alkylmethacrylates as modified viscosity index improvers
US5534175A (en) * 1992-12-28 1996-07-09 The Lubrizol Corporation Copolymers of unsaturated fatty esters, their use as viscosity improver and lubricating oil containing said copolymers
US5312884A (en) * 1993-04-30 1994-05-17 Rohm And Haas Company Copolymer useful as a pour point depressant for a lubricating oil
IT1270673B (it) * 1994-10-19 1997-05-07 Euron Spa Additivo multifunzionale per olii lubrificanti compatibili con fluoroelastomeri
EP0754198A1 (en) * 1995-01-27 1997-01-22 Texaco Development Corporation Process for the anionic polymerization of acrylic monomers
US5552491A (en) * 1995-01-27 1996-09-03 Ethyl Additives Corporation Star-branched acrylate and methacrylate polym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34408A (en) 1998-11-10
EP0911348A2 (en) 1999-04-28
EP0911348A3 (en) 2000-04-12
CA2249244A1 (en) 1999-04-24
AU8709198A (en) 1999-05-13
CN1221002A (zh) 1999-06-30
JPH11302333A (ja) 1999-11-02
BR9804058A (pt) 1999-12-14
SG68691A1 (en) 1999-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4408A (en) Pour point depressants via anionic polymerization of (meth)acrylic monomers
EP0936225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crylate and methacrylate polymers
US5552491A (en) Star-branched acrylate and methacrylate polymers
CA2276900C (en) (meth)acrylate copolymers having excellent low temperature properties
JP2509199B2 (ja) 改良された粘度指数を有する高剪断安定汎用潤滑油
CA2396671C (en) Copolymers that can be obtained using atrp methods, as well as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and use
CA2396681C (en) Gradient copolymers as well as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and use
RU2483083C2 (ru) Применение гребенчатых полимеров для снижения расхода горючего
US5070131A (en) Gear oil viscosity index improvers
CN103254974A (zh) 具有优良摩擦性能的润滑油组合物
KR20150143721A (ko) 연료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변속기 오일 제제
EP2406359A1 (de) Verwendung von kammpolymeren zur verbesserung des lasttragevermögens
CA2392727C (en) Block copolymers and a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JPS62257986A (ja) n−パラフイン含有潤滑油用の多官能性添加剤
JPH0830099B2 (ja) 潤滑油用添加剤として使用しうる共重合体組成物
US5484866A (en) Concentrates of a highly branched polymer and functional fluids prepared therefrom
DE60018383T2 (de) Dispergiermittel/viskositätsindexverbesserungsmittel für schmierölzusammensetzungen
JPS5920715B2 (ja) 粘度増加能のすぐれた粘度指数向上剤
JPH07268372A (ja)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
JPH04100896A (ja) 粘度指数向上剤
JPH07268373A (ja) 粘度指数向上剤および潤滑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