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776A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776A
KR19990033776A KR1019970055195A KR19970055195A KR19990033776A KR 19990033776 A KR19990033776 A KR 19990033776A KR 1019970055195 A KR1019970055195 A KR 1019970055195A KR 19970055195 A KR19970055195 A KR 19970055195A KR 19990033776 A KR19990033776 A KR 19990033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etch stop
layer
oxide film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5596B1 (ko
Inventor
김석수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55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596B1/ko
Priority to TW087111117A priority patent/TW434872B/zh
Priority to GB9814893A priority patent/GB2330692B/en
Priority to JP10227419A priority patent/JPH11145302A/ja
Priority to CN98120037A priority patent/CN1106032C/zh
Priority to US09/178,552 priority patent/US6284575B1/en
Publication of KR19990033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with adaptable interconnections
    • H01L23/5256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with adaptable interconnections comprising fuses, i.e. connections having their state changed from conductive to non-conductive
    • H01L23/525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with adaptable interconnections comprising fuses, i.e. connections having their state changed from conductive to non-conductive the change of state resulting from the use of an external beam, e.g. laser beam or ion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퓨즈 상부에 형성되는 산화막 상부에 식각 정지막을 형성시켜 웨이퍼 내에서의 식각공정이 진행된 후, 퓨즈 상부에 위치하는 산화막의 두께를 균일하는, 즉 산화막 두께 균일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퓨즈 리페어시 잔류 산화막의 불균일로 인한 리페어 불량을 방지하여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퓨즈(Fuse) 상부의 산화막 식각시 식각 정지막을 이용하여 퓨즈 상부의 산화막 두께의 균일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반도체 소자 제조에 따른 공정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 제조공정에 있어서는 퓨즈 리페어(Fuse Repair)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공정 수율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상기 퓨즈의 상부에는 일반적으로 매우 두꺼운 산화막층이 형성되고, 리페어를 위해서는 상기 두껍게 형성된 산화막층을 식각해 주어야 한다.
또한 반도체 소자가 점점 고집적화 되어감에 따라 금속 배선층의 층수는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퓨즈 상부의 산화막층 두께도 증가하게 된다. 아울러 웨이퍼 내에서의 위치에 따라 산화막층의 높이는 차이가 발생하므로 리페어 직전의 퓨즈 상부의 산화막 두께도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되고, 이는 리페어 불량을 유발하게 된다.
도 1a 는 종래의 기술에서 사용되고 있는 퓨즈의 레이 아웃도(LAY-OUT)이고,
도 1b 는 상기 도 1a 의 a - 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퓨즈(11) 상부의 두꺼운 산화막(13)을 식각하여 일정 두께의 산화막(13)을 남기게 되는데, 종래의 방법에서는 상기 퓨즈(11) 상부의 잔류 산화막 두께(B)가 웨이퍼의 위치별로 많은 차이가 발생하며, 상기 산화막 두께의 불균일은 리페어 공정시 리페어 불량을 초래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반도체 소자 제조공정 수율 및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퓨즈 상부의 산화막 식각시 식각 정지막을 이용하여 퓨즈 상부의 산화막 두께의 균일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반도체 소자 제조에 따른 공정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는 종래의 기술에서 사용되고 있는 퓨즈의 레이 아웃도
도 1b 는 상기 도 1a 의 a - 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d 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2e 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퓨즈의 레이 아웃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1,21 : 퓨즈 11',21' : 퓨즈 마스크
13,23,27 : 산화막 15,40 : 리페어 마스크
25 : 식각 정지막 30 : 제 1 감광막 패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퓨즈가 형성된 부위의 상부에 제 1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산화막의 상부에 식각 정지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식각 정지막 상부에 제 1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 후, 상기 제 1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하부의 노출된 식각 정지막을 식각하는 단계와,
전체구조 상부에 제 2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산화막 상부에 제 2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 후, 상기 제 2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제 2 산화막을 식각하는 단계와,
노출된 식각 정지막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d 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e 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의 레이 아웃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퓨즈(21)가 형성된 전체구조 상부에 제 1 산화막(23)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 1 산화막(23) 상부에 소정두께의 식각 정지막(2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식각 정지막(25)으로는 상기 퓨즈(21)와 같은 물질인 도전층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이후 증착될 제 2 산화막(27)에 비해 식각비 차이가 큰 산화막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식각 정지막(25)으로는 TEOS(Tetra Ethyl Ortho Silicate) 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식각 정지막(25) 상부에 제 1 감광막 패턴(30)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감광막 패턴(30)은 플레이트 마스크(Plate Mask)를 사용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본 공정만을 위한 새로운 마스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감광막 패턴(30)을 이용하여 하부의 노출된 식각 정지막(25)을 식각하고, 다시 전체구조 상부에 제 2 산화막(27)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제 2 산화막(27) 상부에 제 2 감광막 패턴(4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2 감광막 패턴(40)은 리페어 마스크로 이용되며, 상기 제 2 산화막(27)은 상기 식각 정지막(25)에 비해 식각비가 높은 물질 예컨데, BPSG(Boro Phospho Silicaglass), PSG(Phosphosilca glass), BSG(Boro Silicaglass), SOG(Spin On Glass)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감광막 패턴(40)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하부의 노출된 제 2 산화막(27)을 식각한다.
이때 상기 식각 정지막(25)과 제 2 산화막(27)간의 식각비 차이로 인해 상기 제 2 산화막(27)은 식각 정지막(25)의 상부 혹은 일부 부위까지만 식각이 이루어 진다.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식각 정지막(25)을 식각한 후 상부의 제 2 감광막 패턴(40)을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식각 정지막(25)의 두께는 얇기 때문에 식각후의 퓨즈(21) 상부의 제 1 산화막(23)의 두께(B') 는 웨이퍼 내에서 균일한 값을 가지게 된다. 이는 퓨즈 리페어시 리페어 불량을 억제하게 된다.
도 2e 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의 레이 아웃도이고, 상기 도 2d 는 도 2e 의 c - 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퓨즈 상부에 형성되는 산화막의 상부에 식각 정지막을 형성시켜 웨이퍼 내에서의 식각 후 퓨즈 상부의 산화막 두께의 균일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퓨즈가 형성된 부위의 상부에 제 1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산화막의 상부에 식각 정지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식각 정지막 상부에 제 1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 후, 상기 제 1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하부의 노출된 식각 정지막을 식각하는 단계와,
    전체구조 상부에 제 2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산화막 상부에 제 2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 후, 상기 제 2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제 2 산화막을 식각하는 단계와,
    노출된 식각 정지막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정지막으로 상기 퓨즈와 같은 도전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정지막으로 다결정실리콘 또는 금속 배선층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정지막으로 상기 제 2 산화막에 비해 식각 선택비가 큰 산화막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산화막으로 BPSG,PSG,BSG,SOG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식각 정지막으로 TEOS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19970055195A 1997-10-27 1997-10-27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265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195A KR100265596B1 (ko) 1997-10-27 1997-10-27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TW087111117A TW434872B (en) 1997-10-27 1998-07-09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GB9814893A GB2330692B (en) 1997-10-27 1998-07-10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JP10227419A JPH11145302A (ja) 1997-10-27 1998-08-11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CN98120037A CN1106032C (zh) 1997-10-27 1998-09-24 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US09/178,552 US6284575B1 (en) 1997-10-27 1998-10-26 Method of mak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fuses for rep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195A KR100265596B1 (ko) 1997-10-27 1997-10-27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776A true KR19990033776A (ko) 1999-05-15
KR100265596B1 KR100265596B1 (ko) 2000-10-02

Family

ID=1952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195A KR100265596B1 (ko) 1997-10-27 1997-10-27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84575B1 (ko)
JP (1) JPH11145302A (ko)
KR (1) KR100265596B1 (ko)
CN (1) CN1106032C (ko)
GB (1) GB2330692B (ko)
TW (1) TW43487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065B1 (ko) * 2004-12-28 2006-04-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6746B1 (en) * 1999-12-30 2001-10-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Backend process for fuse link opening
KR100463047B1 (ko) * 2002-03-11 200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퓨즈 박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02286A (ko) * 2002-06-29 2004-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US6828240B2 (en) * 2002-08-02 2004-12-07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evel contacts by sizing of contact sizes in integrated circuits
US7238620B1 (en) * 2004-02-18 2007-07-0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uniform oxide layer over a laser trimmed fuse with a differential wet etch stop technique
KR100780649B1 (ko) * 2005-06-30 2007-11-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KR100722774B1 (ko) * 2006-05-09 200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퓨즈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8573952A (zh) * 2018-04-23 2018-09-25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半导体元件熔丝结构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4829B2 (ja) 1982-03-18 1985-10-05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622892A (en) * 1994-06-10 1997-04-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self cooling electrically programmable fuse
JPH0974137A (ja) * 1995-06-30 1997-03-18 Nkk Corp リペア用冗長回路を備えた半導体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ペア方法
JPH0951038A (ja) * 1995-08-07 1997-02-18 Matsushita Electron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821160A (en) * 1996-06-06 1998-10-13 Motorola, Inc. Method for forming a laser alterable fuse area of a memory cell using an etch stop lay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065B1 (ko) * 2004-12-28 2006-04-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45302A (ja) 1999-05-28
US6284575B1 (en) 2001-09-04
CN1106032C (zh) 2003-04-16
KR100265596B1 (ko) 2000-10-02
GB9814893D0 (en) 1998-09-09
GB2330692A (en) 1999-04-28
GB2330692B (en) 2002-10-09
CN1215911A (zh) 1999-05-05
TW434872B (en) 2001-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5298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매립용 플러그 형성방법
US6589880B2 (en) Fine pattern formation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or liquid crystal device manufacturing method employing this method
KR100265596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68569B1 (ko) 반도체장치및그제조방법
KR100318270B1 (ko)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버어니어 형성방법
KR100524928B1 (ko) 다마신 공정을 이용한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68561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0184954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제조방법
US7943053B2 (en) Method of forming a micro pattern in semiconductor device
KR0167604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KR19980083001A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제조방법
KR100237758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라인 형성 방법
KR20040057634A (ko) 정렬 버니어 형성 방법
KR0166029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970003718B1 (ko)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390999B1 (ko)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
KR100196421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365745B1 (ko) 반도체장치의콘택홀형성방법
KR100197657B1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 콘택홀 형성방법
KR100861188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9980082527A (ko) 반도체소자의 콘택홀 제조방법
KR19990055167A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 방법
KR20050064331A (ko) 반도체 소자의 듀얼 다마신 패턴 형성방법
KR19980079084A (ko)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 방법
KR20010088091A (ko) 반도체 장치의 평탄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