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732A -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 및 필름코팅전사장치 - Google Patents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 및 필름코팅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732A
KR19990029732A KR1019980037543A KR19980037543A KR19990029732A KR 19990029732 A KR19990029732 A KR 19990029732A KR 1019980037543 A KR1019980037543 A KR 1019980037543A KR 19980037543 A KR19980037543 A KR 19980037543A KR 19990029732 A KR19990029732 A KR 19990029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ement
tape
film
reel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오헤이 코야마
시게루 타마이
Original Assignee
하세가와 쇼로쿠
시드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세가와 쇼로쿠, 시드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세가와 쇼로쿠
Publication of KR19990029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73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60Coupling, adapter or lock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05Lamina transferred to base from adhered flexible web or sheet type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88Work traversing type and/or means applying work to wall or static structure
    • Y10T156/1795Implement carried web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8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handle or handgrip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자동감기식의 필름코팅전사장치에 있어서, 제작이 용이하고 높은 조립 정밀도를 얻으며, 간소하고 적은 비용의 구조를 구비한 클러치기구. 필름코팅전사테이프를 감아 회수하는 테이프코어가, 반출회전기어와 되감기 버턴에 의해 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끼워진 상태로 지지되는 동시에, 테이프코어와 반출회전기어가, 스러스트 하중에 의한 마찰력을 이용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마찰 걸어맞춤 되어 이루어진다. 이 동력전달수단은, 반출회전기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축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복수의 걸어맞춤 돌기로 이루어지고, 이들 걸어맞춤 돌기는 반출회전기어와 되감기 버턴의 축 방향 걸어맞춤 힘에 의해, 테이프코어의 축 방향 단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탄성적으로 걸어맞춤 되어 있다.

Description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 및 필름코팅전사장치
본 발명은,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 및 그 클러치기구를 구비한 필름코팅전사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코팅전사테이프 상의 수정도료층이나 점착재층 등의 코팅필름을 지면 등에 전사하는 동시에, 사용후의 코팅필름전사테이프를 자동적으로 회수하는 구성을 구비한 필름코팅전사장치에 있어서, 반출 릴과 감는 릴에 있어서의 필름코팅테이프의 반출속도와 감는 속도를 동기(同期)시키기 위한 클러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필름코팅전사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 20에 도시하며, 그 전사장치는, 한 손으로 잡고 조작 가능한 케이스(a) 내에, 필름코팅전사테이프(b)를 감아서 장착한 반출 릴(c)과 사용후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b')를 회수하는 감는 릴(d)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한 케이스(a)의 선단부에, 필름코팅전사테이프(b)를 피전사부분 상에 가압하는 필름코팅전사용 헤드(f)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양 릴(c),(d)은, 연동장치(g)에 의해 서로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 자동감기식으로 되어 있다. 이 연동장치(g)는, 상기한 양 릴(c),(d)의 외주부에 설치된 기어(h),(i)가 교대로 맞물려져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필름코팅전사장치가 오자 등을 수정하기 위한 지우기 도구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한 케이스(a)를 한 손으로 잡아서, 상기한 헤드(f)의 가압부(j)에 의해 필름코팅전사테이프(b)를 피수정부분(피전사부분)에 밀착상태로 눌러 붙이면서, 케이스(a)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한 헤드(f)의 가압부(j)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b)의 수정도료층은, 상기한 피수정부분에 코팅되어 문자 등을 소거하는 동시에, 사용후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b')가 감는 릴(d)에 자동적으로 감겨져 회수된다.
이 경우, 사용함에 따라 반출 릴(c)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b)의 외경이 작아지는 데 반하여, 감는 릴(d)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b')의 외경은 커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반출 릴(c)과 감는 릴(d)의 회전비(상기한 연동장치(g)의 기어비에 대응)는 항상 일정하다. 그 때문에, 감는 릴(d)의 감는 속도는 반출 릴의 반출속도에 비교하여 시간이 경과할수록 빨라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출속도와 감는 속도를 동기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한 반출 릴(c)에는, 상기한 반출속도와 감는 속도를 동기시키는 클러치기구(k)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한 반출 릴(c)은, 구동기어(h)의 돌기부(m)가 지축(n)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동시에, 그 돌기부(m)에 필름코팅전사테이프(b)를 감아서 장착한 테이프반출코어(o)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이들 돌기부(m)와 테이프반출코어(o) 사이에 상기한 클러치기구(k)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클러치기구(k)는, 상기한 돌기부(m)의 외주에 설치된 직경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클러치멈춤쇠(p).(q)가, 테이프반출코어(o)의 내주에 설치된 다수의 걸림부(q)에 탄성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의 감는 속도가 상기의 반출속도에 비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빠르게 되어, 이들 두 속도의 동기가 무너져, 상기한 테이프반출코어(o)에 작용하는 회전토크가 커지게 되면, 클러치기구(k)에 의해, 테이프반출코어(o)가 상기한 돌기부(m)에 대해 미끄럼 회전하는 결과, 상기한 반출속도가 상기의 감는 속도에 동기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클러치기구(k)에 있어서는, 상기한 클러치멈춤쇠(p),(q)와 걸림부(q)의 걸어맞춤 및 분리동작이 탄성적으로 '딸깍 딸깍'하는 음을 내어 단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으로 되므로, 사용자의 조작하는 손에 불쾌감을 주는 동시에, 필름코팅전사테이프(b)의 주행이 일정하지 못하게 되며, 게다가, 상기한 걸어맞춤 및 분리동작은, 계속 사용하여 반출속도와 감는 속도의 차가 커짐에 따라 빈번하게 되어, 상기한 불쾌감과 주행의 불규칙이 현저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더욱 개량이 요망되었다.
이 점에 관하여, 본 발명자는, 도 21에 도시하듯이 클러치기구(r)를 이미 제안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개평5-58097호 공보 참조). 이 클러치기구(r)는, 상기한 돌기부(m)의 원통외주와 테이프반출코어(o)의 원통내주 사이에, 탄성을 가지는 O링 등의 마찰부재(s)가 마찰로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삽입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클러치기구(r)에 의하면, 상기한 동기동작에 즈음하여, 상기의 3요소(m),(s),(o)가 상대적으로 원활하게 미끄럼 동작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탄성적이고 단속적인 반복동작에 의한 불쾌감과 주행불규칙은 해소되었다.
그렇지만, 이 클러치기구(r)의 구조에 있어서는, 그 동작전달이, 상기의 3요소(m),(s),(o) 사이의 레디얼하중에 의한 마찰력을 이용하는 것으로부터, 마찰부재(s)의 설계·제작조건이 크게 까다로워서, 제작이 곤란하여 제작비용 절감의 장해로 되었다.
즉, 상기한 마찰력이 너무 강하면, 작용 후기에 있어서 조작감각이 너무 무거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마찰력이 너무 약하면, 사용 초기에 있어서 조작감각이 너무 가벼워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마찰력은 이들 관계를 고려하여 최적치로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마찰력의 최적치를 얻기 위해, 마찰부재(s)의 설계·제작시에는, 그 내경과 외경을 상기한 돌기부(m)의 원통 내경과 테이프반출코어(o)의 원통 내경에 각각 적합하도록 할 필요가 있지만, 마찰부재(s) 자체도 탄성을 가지므로, 그 직경방향의 두께치수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클러치기구(r)의 조립 후에, 마찰부재(s)의 형상 치수를 미세조정하기 위한 가공도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마찰부재(s)의 직경치수 등이 까다롭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돌기부(m)의 원통외주와 테이프반출코어(o)의 원통내주 사이로의 마찰부재(s)의 조립도, 힘을 가해 강제적으로 할 필요가 있는 등, 조립작업에 곤란이 따른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한 신규의 클러치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감기식 필름코팅전사장치에 있어서, 스러스트 하중에 의한 마찰력을 이용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높은 조립 정밀도가 얻어지며, 또한, 간소하고 적은 비용의 구조를 구비한 클러치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구성부재의 설계·제작조건이 완화되어, 그 제작이 용이한 동시에, 조립작업도 용이한 클러치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작비용 및 장치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클러치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이와 같은 클러치기구를 구비하는 것으로써, 구성이 간소하여 구성부품의 수도 적고, 제작의 용이함으로 높은 조립 정밀도를 얻으며, 게다가, 적은 비용인, 자동감기식 필름코팅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클러치기구의 구성은, 한 손으로 잡고 조작 가능한 케이스 내에, 필름코팅전사테이프를 감아서 장착한 반출 릴과 사용 후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를 회수하는 감는 릴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그 감는 릴이 상기의 반출 릴에 연동하는 구성으로 되는 자동감기식 필름코팅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양 릴의 적어도 한쪽에 장착되어, 양 릴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의 반출속도와 감는 속도를 동기시키는 것으로, 필름코팅전사테이프를 감아 회전하는 테이프코어가, 그 테이프코어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와, 그 회전구동부와 축 방향으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지지부재에 의해 끼워진 상태로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한 테이프코어와 회전구동부가, 스러스트 하중에 의한 마찰력을 이용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마찰 걸어맞춤되어 있고, 그 동력전달수단은, 상기한 회전구동부 및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축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복수의 마찰 걸어맞춤 부재로 이루어지며, 이들 마찰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한 회전구동부와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축 방향 걸어맞춤 힘에 의해, 상기한 테이프코어의 축 방향 단면에 소정의 압력을 받아 탄성적으로 걸어맞춤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코팅전사장치의 구성은, 상기한 클러치기구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 손으로 잡고 조작 가능한 형상 치수를 가지는 케이스와, 그 케이스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필름코팅전사테이프 감아서 장착한 반출 릴과, 상기한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후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를 회수하는 감는 릴과, 이들 두 릴을 서로 연동 가능하게 연계하는 연동장치와, 상기한 케이스의 선단부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한 필름코팅전사테이프를 피전사부분 상에 가압하는 필름코팅전사용 헤드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한 양 릴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한 클러치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클러치기구를 구비하는 필름코팅전사장치에는, 필름코팅전사테이프의 소모에 의해 폐기되는 사용 후 버리는 형태의 구성을 가지는 것과, 필름코팅전사테이프를 소모품으로서 교환 가능한 보충형의(refill) 구성을 가지는 것이 있다.
본 발명의 필름코팅전사장치에 있어서는, 감는 릴의 감는 속도가 반출 릴의 반출속도에 비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빠르게 되어, 이들의 동기가 무너지는 결과, 필름코팅전사테이프를 감아 회전하는 테이프코어에 작용하는 회전토크가 커지게 되지만, 클러치기구에 의해, 테이프코어가 회전구동부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한 양자간의 회전토크 차이가 해소되어, 반출속도가 상기의 감는 속도에 동기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한 테이프코어와 회전구동부는, 스러스트 하중에 의한 마찰력을 이용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마찰 걸어맞춤되어 이루어지므로, 상기한 동기 동작시에, 테이프코어와 회전구동부는 상대적으로 원활하게 미끄럼 동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의 마찰 걸어맞춤 힘은, 회전구동부와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축 방향의 걸어맞춤 치수 관계를 적절히 조정하여, 이들 양자의 축 방향 걸어맞춤 힘을 설정하는 것으로, 최적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이외의 관련되는 목적과 특징은, 첨부 도면에 기초한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 중에서 지적한 그 신규사항을 읽으면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필름코팅전사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b는 상기한 필름코팅전사장치의 덮개를 벗겨내어 내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한 필름코팅전사장치의 도 1b에 있어서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한 필름코팅전사장치의 주요부인 클러치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한 클러치기구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한 필름코팅전사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한 클러치기구의 조립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7은 상기한 필름코팅전사장치의 조립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8은 상기한 필름코팅전사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인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를 도시하며, 도 3에 대응한 확대단면도이고, 도 9b는 상기한 클러치기구의 되감기 버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인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를 도시하며, 도 3에 대응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인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를 도시하며, 도 3에 대응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한 클러치기구를 도시하며, 도 4에 대응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인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를 도시하며, 도 3에 대응한 확대단면도이고, 도 13b는 상기한 클러치기구의 되감기 버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인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를 도시하며, 도 3에 대응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인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를 도시하며, 도 3에 대응한 확대단면도이고, 도 15b는 상기한 클러치기구의 반출회전기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인 필름코팅전사장치를 도시하며, 도 5에 대응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한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지지부재와 반출회전기어의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상기한 필름코팅전사장치를 도시하며, 도 2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인 필름코팅전사장치를 도시하며, 도 3에 대응한 클러치기구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20a는 종래의 필름코팅전사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0b는 마찬가지로 상기의 종래 필름코팅전사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1a는 다른 종래의 필름코팅전사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1b는 마찬가지로 상기의 종래 필름코팅전사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 도 8에 본 발명에 관한 필름코팅전사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부재 또는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이 필름코팅전사장치(1)는, 구체적으로는 오자 등을 수정하기 위한 지우기 도구로서 사용되며, 필름코팅전사테이프를 사용 후 버리는 형태의 것으로, 반출 릴(2), 감는 릴(3), 필름코팅전사용 헤드(4), 연동장치(5) 및 클러치기구(6)가 주요부로서 구성되고, 이들 구성부분 2∼6이 손에 쥐는 조작수단으로서의 케이스(7)에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케이스(7)는 사출성형 등에 의해 형성된 플라스틱제로, 한 손으로 잡고 조작 가능한 형상 치수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이 케이스(7)는, 상기한 반출 릴(2)과 감는 릴(3)을 내장하여 얻는 정면윤곽 형상과 폭 치수를 가지는 평평한 상자 형성으로 되는 동시에, 케이스본체(8)와 덮개(9)로 이루어지는 2분할 구조로 되어 있어, 케이스본체(8)에 상기의 구성부분 2∼6이 장착되어 있다. 케이스(7)의 평평한 표면(7a)과 이면(7b)은, 도 8에 도시하듯이, 손으로 쥐고 조작시의 잡는 면을 형성한다. 또한, 덮개(9)에는, 되감기 조작용 구멍 및 테이프점검 구멍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하는 투과구멍(9a)이 열려져 있다.
반출 릴(2)은, 중공(中空) 원통형상의 테이프코어(10)의 외주부에 사용하지 않은 필름코팅전사테이프(T)가 감아서 장착되어 있고, 이 테이프코어(10)가, 케이스본체(8)의 내측면에 기립상태로 일체 형성된 중공 지지축(15)에, 연동장치(5)의 반출회전기어(12)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반출 릴(2)의 구체적인 부착 구조에 대해서는 클러치기구(6)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감는 릴(3)은, 사용이 끝난 필름코팅전사테이프(T')를 감아서 회수하는 것으로, 중공 원통형상의 테이프코어(11)의 외주부에 상기한 필름코팅전사테이프(T')의 선단부분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테이프코어(11)의 한쪽 끝에는, 연동장치(5)의 감기회전기어(13)가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다른쪽 끝에는 테이프 주행용 안내플랜지(14)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스본체(8)의 내측면에 기립상태로 일체 형성된 중공 지지축(1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중공 지지축(16)의 선단에는, 테이프코어(1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16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9)의 내측면에는, 상기한 중공 지지축(16)에 대응하여 위치결정 돌출부(11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위치결정 돌출부(116)를, 케이스(7)의 조립시에 있어서, 중공 지지축(16)에 끼워 넣어 감는 릴(3)을 양쪽지지 상태로 지지한다.
필름코팅전사테이프(T')로서는, 폴리에스테르나 아세테이트 등의 플라스틱제 테이프, 또는 종이 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진 필름베이스재료(두께 25∼38㎛ 정도)의 한쪽 면에,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수지, 저분자 폴리에틸렌 등의 박리제 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백색 수정도료 층이 형성되며, 또한 그 위에 가압 접착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등의 점착제(압력감응 접착제) 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구조(구체적인 구조는 도시하지 않음)의 것이 이용되어진다. 상기한 수정도료 층은, 전사 후에 바로 그 위에 필기가 가능한 소위 드라이타입의 것이 채용되어 있다.
필름코팅전사용 헤드(4)는, 필름코팅전사테이프(T)를 지면상의 오자 등의 피수정부분(피전사부분) 상에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한 케이스(7)의 선단부(20)에 부착되어 있다. 이 헤드(4)는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제이다.
헤드(4)의 선단측 부분은, 도 1에 도시하듯이, 필름코팅전사테이프(T)보다도 약간 폭이 넓은 박판형상의 것으로, 선단쪽으로 점차 얇아지는 테이퍼형상 단면을 가지는 동시에, 그 선단(4a)이 필름코팅전사테이프(T)를 가압하는 가압부로 되어 있다. 또한, 헤드(4)의 선단측 부분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필름코팅전사테이프(T)의 주행을 안내하는 가이드플랜지(4b)가 일체 형성되는 동시에, 그 뒤쪽의 중앙부분 양측에는, 가이드핀(4c)이 대응하여 기립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헤드(4)의 기단측 부분의 양측에는, 걸어맞춤 오목부(4d)와 걸어맞춤 통부분(4e)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그들이 케이스본체(8)의 걸어맞춤 돌기(21)와 걸어맞춤 핀(22)에 각각 걸어맞춤 지지되어, 헤드(4)가 케이스본체(8)에 위치결정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헤드(4)의 선단측 부분은, 케이스(7)의 선단 개구부(7c)를 통해 외부로 돌출하는 동시에, 선단의 가압부(4a)로 계속 평평한 헤드 양 측면이, 케이스(7)의 잡는 면(7a),(7b)에 대략 평행한 테이프 주행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헤드(4)의 배치 구성에 대응하여, 상기한 양 릴(2),(3) 사이의 케이스본체(8)의 내측면에는, 가이드핀(23),(24)이 기립상태로 또한 일체적으로 병설되어 있다. 한쪽의 가이드핀(23)은, 반출 릴(2)로부터 반출되는 필름코팅전사테이프(T)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쪽의 가이드핀(24)은, 감는 릴(3)에 감겨지는 필름코팅전사테이프(T')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가이드핀(24)에, 자유로이 회전 가능한 칼날을 갖춘 가이드롤러를 설치해도 좋으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감는 릴(3)의 테이프코어(11)에 대해 필름코팅전사테이프(T')의 정연하고 원활한 감는 동작이 보다 확실하게 확보된다.
그런데, 반출 릴(2)로부터 반출되는 필름코팅전사테이프(T)는, 도 1b에 도시하듯이, 가이드핀(23)을 통해 안내된 후, 상기한 헤드(4)의 가압부(4a)를 경유하여 반전되고, 또한, 가이드핀(24)을 통해 안내되어, 감는 릴(3)로 감겨져 회수된다. 이 경우, 헤드(4)의 가압부(4a)는, 헤드 측면의 테이프 주행면과 협동하여, 필름코팅전사테이프(T)를 상기한 케이스(7)의 잡는 면(7a),(7b)에 대해 대략 대향시켜, 즉, 필름코팅전사테이프(T)의 표면과 이면이 상기한 잡는 면(7a),(7b)와 대략 동일한(평행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필름코팅전사테이프(T)를 안내한다.
연동장치(5)는, 상기한 양 릴(2),(3)을 서로 연동 가능하게 연계하는 것으로, 반출 릴(2)을 반출 회전시키는 반출회전 구동부(12)와, 감는 릴(3)을 감기회전시키는 감기회전 구동부(13)로 이루어진다.
반출회전 구동부(12)는, 상기하듯이 회전기어 형태로 되어 있고, 그 회전축부(12a)가 케이스본체(8)의 중공 지지축(15)에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반출회전기어(12)가 케이스본체(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한 회전축부(12a)의 축방향 하단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듯이, 케이스본체(8)의 내측면에 미끄럼 동작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면부호 26은 중공 지지축(15)과 동심형상으로 반출회전기어(12)의 외주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반출회전기어(12)의 과도한 비틀림 등을 방지한다.
상기한 회전축부(12a)의 외주에는, 반출 릴(2)의 테이프코어(10)가 동축 형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그 테이프코어(10)와 반출회전기어(12)는, 후술하는 클러치기구(6)의 마찰 걸어맞춤 부재인 걸어맞춤 돌기(30)에 의해 마찰 걸어맞춤되어 있다.
감기회전 구동부(13)는 상기한 반출회전 구동부(12)와 맞물리는 회전기어 형태로 되어 있다. 이 감기회전기어(13)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감는 릴(3)의 테이프코어(11)의 한쪽 끝에 동축 형상으로 일체 형성되어, 케이스본체(8)의 중공 지지축(16)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본체(8)의 내측면에는, 고리형상 링(27)이 중공 지지축(16)과 동심형상으로 감기회전기어(13)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감기회전기어(13)에는 그것과 일체인 감는 릴(3)의 테이프코어(11)가, 그 고리형상 링(27)에 미끄럼 동작 및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감기회전기어(13)는, 상기한 반출회전기어(12)와 소정의 기어비를 가지고 맞물려 있고, 이것에 의해, 감기회전기어(13)는 상시 일정한 회전비를 가져 상기한 반출회전기어(12)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또한, 이 회전비, 즉, 상기의 양 기어(12),(13)의 기어비는, 후술하는 반출 릴(2)과 감는 릴(3)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T)의 감는 직경을 고려하여, 필름코팅전사테이프(T)의 반출 및 감기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적절히 설정된다.
또한, 이것에 관련하여, 반출회전기어(12)와 케이스본체(8)에는, 상기한 양 릴(2),(3)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전방지기구(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전방지기구(25)는, 상기한 반출회전기어(12)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걸림멈춤쇠(25a)와, 상기한 케이스본체(8)의 내측면에 중공 지지축(15)과 동심의 고리형상으로 설치된 다수의 역전방지멈춤쇠(25b)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한 것에 있어서는, 상기한 걸림멈춤쇠(25a)의 선단부분 근방위치가, 보강용의 박막접속편(28)에 의해 반출회전기어(28)의 본체부분에 접속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한 양 릴(2),(3)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면, 상기한 걸림멈춤쇠(25a)는 역전방지멈춤쇠(25b)를 탄성 변형하면서 타고 넘어가 그 정회전을 허용한다. 한편, 상기한 양 릴(2),(3)이 화살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면, 상기의 걸림멈춤쇠(25a)는 역전방지멈춤쇠(25b)의 어느 1개에 걸어맞춤되어, 그 역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이 역전방지기구(25)는 감는 릴(3) 측에 설치되어도 좋다.
클러치기구(6)는, 반출 릴(2)과 감는 릴(3)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T)의 반출속도와 감는 속도를 동기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출 릴(2) 측에 설치되어, 반출회전기어(12)와 테이프코어(10) 사이에 있어서의 동력전달수단을 구성한다.
이 클러치기구(6)의 구체적 구성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고 있고, 반출회전기어(12)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걸어맞춤 돌기(30)와, 걸어맞춤 지지부재(31)를 주요부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돌기(30)는,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의 구성부재인 마찰 걸어맞춤 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반출회전기어(12)의 원주방향의 복수 부위(도시한 것에 있어서는 4개소)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돌기(30)는, 그 외주 측의 기부를 지점(支点)으로서 축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동시에, 그 내주측 선단부에 위쪽으로 돌기한 걸어맞춤부(30a)를 보유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걸어맞춤 돌기(30)의 내주측 선단부가, 보강용의 박막접속편(32)에 의해 반출회전기어(12)의 회전축부(12a)에 접속 지지되어 있다.
걸어맞춤 돌기(30)의 걸어맞춤부(30a)는, 테이프코어(10)의 축 방향 단면(10a)에 대향한 위치에 있어서, 반출회전기어(12)의 상면보다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한 상태로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한 축 방향 단면(10a)의 평탄면에 대응한 걸어맞춤 평탄면을 가진다.
걸어맞춤 지지부재(31)는, 구체적으로는 되감기 버턴의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한 양 릴(2),(3) 사이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T)의 느슨해짐을 해소 제거하는 테이프 되감기 기능의 구성부재로서도 기능한다.
이 되감기 버턴(31)은, 상기한 테이프코어(10)의 축 방향 단면(10b)에 걸어맞춤하는 축 방향 걸어맞춤부(35)와, 상기한 반출회전기어(12)의 회전축부(12a)에 걸어맞춤하는 걸림멈춤쇠(36)를 보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축 방향 걸어맞춤부(35)는, 되감기 버턴(31)의 외주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수평으로 돌출한 걸어맞춤 오목부의 형태로 되어, 테이프 되감기 기구의 회전 걸어맞춤부로서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으며, 도시한 것에 있어서는 둘레방향으로 같은 간격에 5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테이프코어(10)의 축 방향 단면(10b)에는, 상기한 축 방향 걸어맞춤부(35)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오목부(37)가 둘레방향으로 같은 간격에 5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걸림멈춤쇠(36)는, 되감기 버턴(31)의 부착 원통부(31a) 일부에 슬릿 형성에 의해 세로로 분할된 상태로 설치되어, 그 걸어맞춤 선단부(36a)가 반경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다. 도시한 것에 있어서는, 한 쌍의 걸림멈춤쇠(36)가 상기한 부착 원통부(31a)의 1직경선상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걸림멈춤쇠(36)의 걸어맞춤 선단부(36a)는 하향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한 반출회전기어(12)의 회전축부(12a) 내주부에는, 상기한 걸림멈춤쇠(36)가 축 방향으로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플랜지(3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플랜지(38)의 내경 치수는, 상기한 되감기 버턴(31)의 부착 원통부(31a)가 삽입 통과 가능하고, 또한 상기한 걸림멈춤쇠(36)의 걸어맞춤 선단부(36a)가 이탈하지 않도록 걸어맞춤되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반출회전기어(12)의 회전축부(12a)에 반출 링(2)의 테이프코어(10)를 삽입 통과시킨 후(도 6a 참조), 되감기 버턴(31)을, 그 축 방향 걸어맞춤부(35)가 테이프코어(10)의 걸어맞춤 오목부(37)에 대응하도록 하여, 상기한 반출회전기어(12)의 회전축부(12a)에 삽입시킨다. 이것에 의해, 되감기 버턴(31)의 걸림멈춤쇠(36)가, 회전축부(12a)의 걸어맞춤 플랜지(38)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여 축 방향으로 통과한 후, 그 탄성복귀에 의해 걸어맞춤 플랜지(38)에 이탈하지 않도록 걸어맞춤된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코어(10)는, 반출회전기어(12)의 걸어맞춤 돌기(30)와 되감기 버턴(31)의 축 방향 걸어맞춤부(35)에 의해, 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끼워진 상태로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한 반출회전기어(12)와 되감기 버턴(31)의 축 방향 걸어맞춤 힘에 의해, 반출회전기어(12)의 걸어맞춤 돌기(30)가 상기한 테이프코어(10)의 축 방향 단면(10a)에 소정의 압력에 의해 회전 방향에 탄성적으로 마찰 걸어맞춤된다.
즉, 상기한 클러치기구(6)의 동력전달은, 상기한 테이프코어(10)의 축 방향 단면(10a)과 반출회전기어(12)의 걸어맞춤 돌기(30) 사이에 작용하는 스러스트 하중에 의한 마찰 걸어맞춤 힘이 이용되므로, 이 마찰 걸어맞춤 힘은, 반출회전기어(12)와 되감기 버턴(31)의 축 방향의 걸어맞춤 치수 관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최적치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반출회전기어(12)의 걸어맞춤 돌기(30)의 스프링정수와 탄성변형량을 고려하여, 되감기 버턴(31)의 축 방향 걸어맞춤부(35) 및 걸림멈춤쇠(36)에 의한, 테이프코어(10)와 반출회전기어(12)의 상대적인 축 방향 위치관계를 적절히 조정하여, 걸어맞춤 돌기(30)와 테이프코어(10)의 축 방향 단면(10a)의 마찰 걸어맞춤 힘을 최적치로 설정한다.
또한, 필름코팅전사장치(1)의 조립에 있어서는, 우선, 상기와 같이 조립된 반출 링(2), 반출회전기어(12) 및 되감기 버턴(31)의 단위부품을, 도 6c 및 도 7a에 도시하듯이, 케이스본체(8)의 중공 지지축(15)에 부착 지지한다(이 상태에서는, 상기의 단위부품 2, 12, 31은 케이스본체(8)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에 있다). 이어서, 감는 링(3)을 케이스본체(8)의 중공 지지축(16)에 부착 지지함으로써, 감는 릴(3)은, 중공 지지축(16)의 이탈방지부(16a)에 의해, 중공 지지축(16)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결과, 감는 릴(3)의 테이프코어(11)의 반출회전기어(12)에 대한 걸어맞춤 작용에 의해, 상기한 단위부품 2, 12, 31도 케이스본체(8)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그 후의 조립에서 작업의 용이성이 확보된다.
되감기 버턴(31)은, 도 1a 및 도 2에 도시하듯이, 케이스(7)의 덮개(9)에 형성된 투과구멍(9a)을 통해, 케이스(7)의 외부로 향해져 있다. 되감기 버턴(31)은, 케이스(7)의 표면, 즉, 잡는 면(7b)과 대략 같은 높이 또는 낮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2 참조). 되감기 버턴(31)의 바깥 단면 또는 바깥 표면(31b)에는, 직선상의 조작 홈(31c)이 되감기 회전조작용의 회전조작부로서 형성되어 있어, 그 조작 홈(31c)에 주화 등의 판상조작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걸어맞춤 된다.
그런데, 이상과 같이 구성된 필름코팅전사장치(1)에 의해, 예를 들어, 알파벳과 같은 가로쓰기 문장의 일부를 수정하는 경우, 도 8에 도시하듯이, 손가락으로 필기구를 잡는 자세로 케이스(7)의 잡는 면(7a),(7b)을 잡는다. 그리고, 이 잡는 자세로, 상기한 헤드(4)의 가압부(4a)를 오자 등의 수정할 지면상의 피수정부분(피전사부분)(40)의 개시단(좌단)에 대고, 그대로 케이스(7)를 가로방향, 즉, 지면 등에 대해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수정부분(40)의 종단(우단)에서 정지시킨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상기한 헤드(4)의 가압부(4a)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T)의 수정도료층(백색)(41)이, 상기한 필름베이스재료로부터 박리하여 상기한 피수정부분(40) 상에 전사 피복된다. 이것에 의해, 오자 등이 소거되는 동시에, 그 위에 바른 문자를 바로 써넣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필름코팅전사장치(1) 내부의 기구동작을 들여다 본 경우, 상기와 같은 필름코팅전사용 헤드(4)의 가압조작에 의해, 필름코팅전사테이프(T)에 가해지는 인장력(도 1b의 화살표 A방향)이, 반출 릴(2)에 회전토크로서 작용하면, 이 반출 릴(2)의 테이프코어(10), 다시 클러치기구(6)를 통해 반출회전기어(12)가 회전한다. 이 회전력은, 연동장치(5)에 의해, 감기회전기어(13) 더욱이 그것과 일체인 감는 릴(3)을 연동하여 회전시켜서, 사용 후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T')를 자동적으로 감는다.
이 경우, 반출회전기어(12)와 감기회전기어(13)의 회전비(연동장치(5)의 기어비에 대응)가 항시 일정한 것에 대해, 반출 릴(2)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T)의 외경과, 감는 릴(3)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T')의 외경과의 비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여 일정하지 않다. 즉, 사용함에 따라 반출 릴(2)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T)의 외경은 점차 작아지는 것에 대해, 감는 릴(3)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T')의 외경은 반대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감는 릴(3)의 감는 속도는, 반출 릴(2)의 반출속도에 비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빨라지게 되고, 이들 양 속도의 동기가 무너져, 반출 릴(2)에 작용하는 회전토크도 점차 커지게 된다. 그러면, 그 회전토크가 클러치기구(6)의 마찰력을 압도하여, 테이프코어(10)가 반출회전기어(12)에 대해 미끄럼 회전하는 결과, 상기한 양 릴(2),(3) 사이의 회전토크차가 해소되어, 상기한 반출속도가 감는 속도에 동기되는 것으로 되어, 필름코팅전사테이프(T)의 원활한 주행이 확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한 클러치기구(6)에 있어서의 동력전달은, 상기한 테이프코어(10)와 반출회전기어(12)의 걸어맞춤 돌기(30) 사이의 스러스트 하중에 의한 마찰력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클러치기구(6)의 구성은, 구성부재 2, 12, 31 상호간의 스러스트 방향의 관계 치수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의 마찰력을 최적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에 의한 조작실수 등에 기인하여, 반출 릴(2)과 감는 릴(3) 사이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T)가 느슨해진 경우, 되감기 버턴(31)을 케이스(7) 외부에서 되감는 방향으로 회전조작(도 1의 화살표 B방향의 회전)하여, 필름코팅전사테이프(T)의 느슨해짐을 해소 제거한다.
이 경우, 되감기 버턴(31)에 가해지는 되감는 방향(B)의 회전력은, 축 방향 걸어맞춤부와 겸용의 회전 걸어맞춤부(35)를 통해 테이프코어(10)로 직접 전달되고, 테이프코어(10)가 되감는 방향(B)으로 회전한다. 역전방지기구(25)에 의한 역회전 방지력과 클러치기구(6)의 미끄럼 작용에 의해, 연동장치(5)의 회전기어(12),(13), 또한 감는 릴(3)의 테이프코어(11)는 정지 상태에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한 양 릴(2),(3) 사이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T)의 느슨해짐이 해소 제거되는 것으로 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되어 있고, 클러치기구(6)의 걸어맞춤 돌기(50)가 되감기 버턴(31)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의 걸어맞춤 돌기(50)는, 되감기 버턴(31)의 원주 방향의 복수 부위(도시한 것에 있어서는 5개소)에, 반경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돌기(50)는, 그 내주측의 기부를 지점으로서 축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동시에, 그 외주측 선단부에 아래쪽으로 돌기한 걸어맞춤부(50a)를 보유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되감기 버턴(31)의 사출성형 등에 의한 성형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각 걸어맞춤 돌기(50)는, 축 방향 걸어맞춤부(35) 사이에 균등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걸어맞춤 돌기(50)의 걸어맞춤부(50a)는, 테이프코어(10)의 축 방향 단면(10b)에 대향한 위치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한 축 방향 단면(10b)의 평탄면을 보유한다.
또한, 상기의 걸어맞춤 돌기(50)의 구성에 대응하여, 반출회전기어(12)의 상면에는, 걸어맞춤 링(51)이 테이프코어(10)의 축 방향 단면(10a)의 평탄한 외주측 부분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축 방향 단면(10a)을 마찰 걸어맞춤 상태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되감기 버턴(31)의 걸림멈춤쇠(36)가, 회전축부(12a)의 걸어맞춤 플랜지(38)에 이탈을 방지하여 걸어맞춤 함으로써, 테이프코어(10)는, 반출회전기어(12)의 걸어맞춤 링(51)과 되감기 버턴(31)의 걸어맞춤 돌기(50)에 의해 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끼워진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상기한 걸어맞춤 돌기(50)는, 상기한 테이프코어(10)의 축 방향 단면(10b)에 소정의 압력을 가지고 회전방향에 탄성적으로 마찰 걸어맞춤되는 결과, 상기한 클러치기구(6)의 동력전달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테이프코어(10)의 축 방향 단면(10b)과 되감기 버턴(31)의 걸어맞춤 돌기(50)에 작용하는 스러스트 하중에 의한 마찰 걸어맞춤 힘이 이용되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 마찰 걸어맞춤 힘이 반출회전기어(12)와 되감기 버턴(31)의 축 방향의 걸어맞춤 치수 관계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으로 설정되는 점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되감기 버턴(31)의 걸어맞춤부(35)는 테이프 되감기 기구의 회전 걸어맞춤부로서만 기능하고, 축 방향 걸어맞춤부로서는 기능하지 않는다. 오히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걸어맞춤 돌기(50)가 축 방향 걸어맞춤부로서의 기능을 겸비한다. 따라서, 상기한 걸림멈춤쇠(36)와 걸어맞춤 플랜지(38)가 걸어맞춤 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걸어맞춤부(35)는, 테이프코어(10)의 축 방향 단면(10b)의 걸어맞춤 오목부(37)에 대해 회전방향으로만 걸어맞춤하고, 축 방향에는 걸어맞춤하지 않는 치수 관계로 설계된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고, 클러치기구(6)가 실시예 1(도 1 ∼도 8)의 구성과 실시예 2(도 9)의 구성을 조합한 구성으로 되어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출회전기어(12)에 걸어맞춤 돌기(30)가 일체 형성되는 동시에, 되감기 버턴(31)에 걸어맞춤 돌기(50)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걸어맞춤 돌기(30),(50)의 구체적 구성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각각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되감기 버턴(31)의 걸림멈춤쇠(36)가, 회전축부(12a)의 걸어맞춤 플랜지(38)에 이탈을 방지하여 걸어맞춤 함으로써, 테이프코어(10)는, 반출회전기어(12)의 걸어맞춤 돌기(30)와 되감기 버턴(31)의 걸어맞춤 돌기(50)에 의해 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끼워진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상기의 양 걸어맞춤 돌기(30),(50)는, 상기한 테이프코어(10)의 축 방향 양 단면(10a),(10b)에 대해, 소정의 압력을 가지고 축 방향에 탄성적으로 마찰 걸어맞춤되는 결과, 상기한 클러치기구(6)의 동력전달은, 상기한 테이프코어(10)의 축 방향 양 단면(10a),(10b)과 걸어맞춤 돌기(30),(5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 걸어맞춤 힘이 이용되는 것으로 된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고 있고, 실시예 1(도 1 ∼ 8)의 구성에 있어서, 테이프 되감기 기구가 생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클러치기구(6)에 있어서, 걸어맞춤 지지부재(131)는 케이스(7)의 내부에 수용되는 형상 치수로 되는 동시에, 그 걸어맞춤 지지부재(131)에 설치되는 축 방향 걸어맞춤부(135)는, 도 12에 도시하듯이, 걸어맞춤 지지부재(131)의 외주부로부터 반경 방향에 수평으로 돌출한 걸어맞춤 플랜지의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것에 대응하여, 테이프코어(10)의 축 방향 단면(10b)에는 걸어맞춤 오목부(137)가 설치되어, 이 걸어맞춤 오목부(137)는, 걸어맞춤 플랜지(135)의 외주 부분이 끼워맞춤하는 고리형상 오목부의 형태로 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고,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테이프 되감기 기구가 생략되어 이루어지는 클러치기구(6)에 있어서, 마찰 걸어맞춤 부재가 걸어맞춤 지지부재(131)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클러치기구(6)는, 실시예 4의 구성에 실시예 2의 구성을 조합시킨 구성을 구비한다. 이 경우,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걸어맞춤 지지부재(131)의 사출성형 등에 의한 성형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각 걸어맞춤 돌기(50)는, 축 방향 걸어맞춤부(35) 사이에 균등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4와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6)
본 실시예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고, 클러치기구(6)가 실시예 1(도 1 ∼ 도 8)의 구성과 실시예 5(도 13)의 구성을 조합시킨 구성으로 되어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출회전기어(12)에 걸어맞춤 돌기(30)가 일체 형성되는 동시에, 걸어맞춤 지지부재(131)에 걸어맞춤 돌기(50)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걸어맞춤 돌기(30),(50)의 구체적 구성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5와 각각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4와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7)
본 실시예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고, 실시예 1의 클러치기구(6)가 약간 개변된 것이다.
즉, 반출회전기어(12)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어맞춤 돌기(마찰 걸어맞춤 부재)(230)가, 반출회전기어(12)의 회전축부(12a)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걸어맞춤부(230a)가 테이프코어(10)의 축 방향 단면(10a)에 마찰 걸어맞춤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8)
본 실시예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되어 있고, 실시예 1 ∼ 7과 같은 사용 후 버리는 형태의 구성을 구비한 것에 대하여, 필름코팅전사테이프(T)를 소모품으로서 교환 가능한 보충형의 구성을 구비한 것이다.
즉, 반출회전부로서 반출회전기어(12)와 감기회전부로서 감기회전기어(13)가, 케이스본체(8)의 중공 지지축(15),(16)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되는 동시에, 이들 양 회전기어(12),(13)에, 반출 릴(2)과 감는 릴(3)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양 회전기어(12),(13)는, 상기의 실시예 1∼7과 마찬가지의 연동장치로서의 기능도 겸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반출 릴(2) 측에 있어서, 걸어맞춤 지지부재(231)는, 반출회전기어(12)의 회전축부(12a)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사용자가 반출 릴(2)의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지지부재(231)는, 케이스(7)의 내부에 수용되는 형상 치수로 되고, 그것에 대응하여, 케이스(7) 덮개(9)의 투과구멍(9a)은, 테이프점검 구멍으로서만 기능한다.
걸어맞춤 지지부재(231)에 설치되는 축 방향 걸어맞춤부(235)는, 도 17에 도시하듯이, 걸어맞춤 지지부재(231)의 외주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한 걸어맞춤 플랜지의 형태로 되어 있다. 그것에 대응하여, 테이프코어(10)의 축 방향 단면(10b)에는 걸어맞춤 오목부(237)가 설치되어, 이 걸어맞춤 오목부(237)는, 걸어맞춤 플랜지(235)의 외주 부분이 끼워맞춤하는 고리형상 오목부의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걸림멈춤쇠(236)는, 걸어맞춤 지지부재(231)의 부착 원통부(231a)의 일부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 상태로 또한 고정적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고, 도시한 것에 있어서는, 한 쌍의 걸림멈춤쇠(23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걸림멈춤쇠(236)는, 상기한 반출회전기어(12)의 회전축부(12a)에 분리 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상기한 반출회전기어(12)의 회전축부(12a) 내주부에는, 고리형상의 걸어맞춤 플랜지(238)가 걸림멈춤쇠(236)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그 일부에는 상기의 걸림멈춤쇠(236)가 삽입통과 가능한 삽입통과 오목부(238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삽입통과 오목부(238a)에 걸림멈춤쇠(236)를 통과시키면서, 걸림멈춤쇠(236)를 회전축부(12a)에 삽입한 후, 걸림멈춤쇠(236)를 그 축심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걸림멈춤쇠(236)가 걸어맞춤 플랜지(238)에 대해, 축 방향으로 걸어맞춤하여, 걸어맞춤 지지부재(231)가 부착된다. 한편, 이것과 반대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걸어맞춤 지지부재(231)를 회전축부(12a)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반출 릴(2)이 반출회전기어(12)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감는 릴(3) 측에 있어서, 감는 릴(3)의 테이프코어(11)는, 케이스본체(8)에 장착된 감기회전기어(13)에 대해, 톱니 모양 끼워맞춤 또는 스프라인 끼워맞춤 등의 회전 방향 끼워맞춤 수단(239)에 의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반출 릴(2)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T)가 모두 반출되어 사용되어서, 감는 릴(3)에 사용 후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T')가 감겨져 회수되면, 이들 양 릴(2),(3) 만을 양 회전기어(12),(13)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릴(2),(3)과 교환되는 것으로 된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9)
본 실시예는 도 19에 도시되어 있고, 실시예 1∼8과 같이 반출 릴(2)과 감는 릴(3)이, 서로 독립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지지축(15),(16)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이루어지는 2축 타입의 릴 구조를 구비하는 것에 대하여, 반출 릴(2)과 감는 릴(3)이 동축 상태로 또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1축 타입의 릴 구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9에 도시하듯이, 감는 릴(3)의 테이프코어(11)의 내주측의 회전축부(11a)가, 테이프 주행용 안내플랜지(14) 보다도 축 방향 위쪽으로 돌출하여 연장되고, 이 회전축부(11a)의 외주에, 반출 릴(2)의 테이프코어(10)가 동축 상태로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이 테이프코어(10)와 감는 릴(3)은, 클러치기구(6)의 마찰 걸어맞춤 부재인 걸어맞춤 돌기(30)에 의해 마찰 걸어맞춤 되어 있다.
클러치기구(6)는,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본래적인 기능인 양 릴(2), (3) 사이에 있어서의 동력전달수단을 구성하는 것만은 아니고, 양 릴(2),(3)을 소로 연동 가능하게 연계하는 회전구동부로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동장치(5)와 마찬가지의 기능도 겸비한다.
구체적으로는, 클러치기구(6)의 복수의 걸어맞춤 돌기(30)는, 감는 릴(3)의 테이프 주행용 안내플랜지(14)의 내경 부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걸어맞춤부(30a)가, 반출 릴(2)의 테이프코어(10)의 축 방향 단면(10a)에 대향한 위치에 있어서, 통상 테이프 주행용 안내플랜지(14) 상면보다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한 축 방향 단면(10a)의 평탄면에 대응한 걸어맞춤 평탄면을 보유한다.
또한, 걸어맞춤 지지부재로서의 되감기 버턴(31)은, 그 축 방향 걸어맞춤부(35)가, 상기한 테이프코어(10)의 축 방향 단면(10b)에 걸어맞춤 하는 동시에, 그 걸림멈춤쇠(36)가, 감는 릴(3)의 회전축부(11a)에 걸어맞춤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회전축부(11a)의 내주부에는, 상기한 걸림멈춤쇠(36)가 축 방향으로 걸어맞춤 하는 걸어맞춤 플랜지(3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되감기 버턴(31)에 의해 단위화 된 양 릴(2),(3)은, 감는 릴(3)의 회전축부(11a)가 케이스본체(8)의 중공 지지축(15)에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이것에 의해, 동축 상태로 또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케이스본체(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양 릴(2),(3)의 중공 지지축(15)에서의 이탈방지작용은, 케이스본체(8)에 조립 부착된 덮개(9)에 의해 이루어진다.
양 릴(2),(3)이 케이스(7)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반출 릴(2)로부터 반출되는 필름코팅전사테이프(T)는, 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 않지만, 가이드핀(23)을 통해 안내된 후, 상기한 헤드(4)의 가압부(4a)를 경유하여 반전되고, 다시 가이드핀(24)을 통해 안내되며, 감는 릴(3)로 감겨져 회수된다. 또한, 감는 릴(3)의 회전축부(11a)의 축 방향 하단부는, 케이스본체(8)의 고리형상 링(26)에 미끄럼 동작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그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개변이 가능하다.
(1) 실시예 1∼7의 클러치기구도, 실시예 8과 같은 보충형의 구성을 구비한 필름코팅전사장치로도 적용 가능하며, 일례로서, 도시하지 않지만, 보충형의 구성을 구비한 필름코팅전사장치에 있어서도, 양 릴(2),(3) 사이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T)의 느슨해짐을 해소 제거하는 테이프 되감기 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2) 실시예 1∼8에 있어서는, 반출 릴(2) 측에 클러치기구가 배설되어 있지만, 목적에 따라서 감는 릴(3) 측에 배설해도 좋고, 또한, 양 릴(2),(3)에 배설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클러치기구가 양 릴(2),(3)에 설치되면, 상기한 테이프 되감기 기구에 의한 되감기 조작시에, 필름코팅전사테이프(T)에 과도한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3) 각 구성부재의 구체적 구조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목적이나 제조조건 등에 따라서, 마찬가지의 기능을 구비하는 다른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시한 실시예는 어느 것도, 필름코팅전사용 헤드(4)가 가로쓰기 사용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지만, 물론 세로쓰기 사용 형태의 필름코팅전사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4) 또한, 도시한 필름코팅전사장치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T)의 수정도료층 대신에, 투명형광색을 나타내는 도료층을 이용함으로써, 이 도료층을 필름코팅 처리한 곳을 시각적으로 강조하는 소위 마커 필름코팅전사장치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러치기구에 의하면, 테이프코어와 회전구동부가, 스러스트 하중에 의한 마찰력을 이용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마찰 걸어맞춤 되어 이루어지므로, 그 동기 동작시에, 각 구성부재는 상대적으로 원활하게 미끄럼 동작하는 것으로 되어, 조작 감각이 좋고, 주행 불규칙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의 마찰 걸어맞춤 힘은, 회전구동부와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축 방향의 걸어맞춤 치수 관계를 적절히 조정하여, 이들 양자의 축 방향 걸어맞춤 힘을 설정하는 것으로, 최적치로 설정할 수 있고, 종래의 레디얼 하중에 의한 마찰력을 이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각 구성부재의 설계·제작조건이 완화되고, 그 제작이 용이한 동시에, 조립작업도 용이하게 되어, 제작비용 및 장치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클러치기구의 구성은 간소하고 구성부품의 수도 적어서, 제작이 용이하며 높은 조립 정밀도가 얻어지고, 게다가, 적은 비용으로 얻어지며, 따라서, 필름코팅전사장치 자체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상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이루어진 구체적인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구체적 실시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과 청구항에 기재한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면, 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1)

  1. 필름코팅전사테이프를 감아서 장착한 반출 릴과 사용 후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를 회수하는 감는 릴이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자동감기식의 필름코팅전사장치에 설치되어, 상기한 양 릴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의 반출속도와 감는 속도를 동기시키기 위한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에 있어서,
    필름코팅전사테이프를 감아서 회수하는 원통형상의 테이프코어와, 그 테이프코어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와, 그 회전구동부와 축 방향으로 걸어맞춤 하는 걸어맞춤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한 테이프코어가, 상기의 회전구동부와 걸어맞춤 지지부재에 의해 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끼워진 상태로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한 테이프코어와 회전구동부가, 스러스트 하중에 의한 마찰력을 이용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마찰 걸어맞춤 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이, 상기의 회전구동부 및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하나 이상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축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복수의 마찰 걸어맞춤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들 마찰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한 회전구동부와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축 방향 걸어맞춤 힘에 의해, 상기한 테이프코어의 축 방향 양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탄성적으로 걸어맞춤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구동부가, 상기한 필름코팅전사장치의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그 회전구동부의 회전축부에, 상기한 테이프코어가 동축 상태로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의 마찰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한 회전구동부 및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하나 이상의 원주방향 복수 부위에 일체로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의 형태로 되며,
    이들 걸어맞춤 돌기는, 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한 회전구동부와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축 방향 걸어맞춤 힘에 의해, 상기한 테이프코어의 대향하는 평탄한 축 방향 단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탄성적으로 걸어맞춤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코팅전사테이프의 클러치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의 걸어맞춤 돌기가, 상기한 회전구동부의 원주방향의 복수 부위에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의 회전구동부와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축 방향 걸어맞춤 힘에 의해, 상기한 테이프코어의 대향하는 평탄한 축 방향 단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탄성적으로 걸어맞춤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의 걸어맞춤 돌기가, 상기한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원주방향의 복수 부위에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의 회전구동부와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축 방향 걸어맞춤 힘에 의해, 상기한 테이프코어의 대향하는 평탄한 축 방향 단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탄성적으로 걸어맞춤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의 걸어맞춤 돌기가, 상기의 회전구동부 및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원주방향의 복수 부위에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의 회전구동부와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축 방향 걸어맞춤 힘에 의해, 상기한 테이프코어의 대향하는 평탄한 축 방향 단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탄성적으로 걸어맞춤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걸어맞춤 지지부재가, 상기한 테이프코어의 축 방향 단면에 걸어맞춤 하는 축 방향 걸어맞춤부와, 상기한 회전구동부의 회전축부에 걸어맞춤 하는 걸림멈춤쇠를 보유하고,
    이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걸림멈춤쇠가 상기한 회전구동부의 지지부에 걸어맞춤 한 때의, 상기 축 방향 걸어맞춤부의 상기한 테이프코어에 대한 걸어맞춤 힘에 의해, 상기한 걸어맞춤 돌기가 상기한 테이프코어의 대향하는 평탄한 축 방향 단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탄성적으로 걸어맞춤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걸림멈춤쇠는,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형태로 되는 동시에, 상기한 회전구동부의 회전축부 내주부에, 상기한 걸림멈춤쇠가 축 방향으로 걸어맞춤 하는 걸어맞춤 플랜지가 설치되어,
    이 걸어맞춤 플랜지에 대해, 상기한 걸림멈춤쇠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여 축 방향으로 통과하는 동시에, 그 탄성 복귀에 의해 걸어맞춤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걸림멈춤쇠가, 상기한 회전구동부의 회전축부에 분리 가능하게 걸어맞춤 하는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걸어맞춤 지지부재가, 상기한 테이프코어의 축 방향 단면에 회전 방향으로 걸어맞춤 하는 회전 걸어맞춤부와, 되감기 회전 조작용의 회전조작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축 방향 걸어맞춤부가, 상기한 테이프코어의 축 방향 단면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와 걸어맞춤 하는 걸어맞춤 볼록부의 형태로 되어, 상기한 회전 걸어맞춤부의 기능을 겸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
  12. 한 손으로 잡고 조작 가능한 형상 치수를 가지는 케이스와,
    그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름코팅전사테이프를 감아서 장착한 반출 릴과,
    상기의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 후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를 회수하는 감는 릴과,
    이들 양 릴을 서로 연동 가능하게 연계하는 연동장치와,
    상기한 케이스의 선단부에 돌출 설치되고, 상기한 필름코팅전사테이프를 피전사부분 상에 가압하는 필름코팅전사용 헤드와,
    상기한 양 릴의 하나 이상에 장착 구비되어, 이들 양 릴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의 반출속도와 감는 속도를 동기시키는 클러치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이 클러치기구는, 필름코팅전사테이프를 감아서 회수하는 원통형상의 테이프코어와, 그 테이프코어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와, 그 회전구동부와 축 방향으로 걸어맞춤 하는 걸어맞춤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한 테이프코어가, 상기의 회전구동부와 걸어맞춤 지지부재에 의해 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끼워진 상태로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한 테이프코어와 회전구동부가, 스러스트 하중에 의한 마찰력을 이용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마찰 걸어맞춤 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후 버리는 형태의 필름코팅전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이, 상기의 회전구동부 및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하나 이상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축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복수의 마찰 걸어맞춤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들 마찰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한 회전구동부와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축 방향 걸어맞춤 힘에 의해, 상기한 테이프코어의 축 방향 양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탄성적으로 걸어맞춤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후 버리는 형태의 필름코팅전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반출 릴 및 감는 릴이, 서로 독립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지지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이루어지는 2축 타입의 릴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후 버리는 형태의 필름코팅전사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반출 릴 및 감는 릴이, 동축 상태로 또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1축 타입의 릴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후 버리는 형태의 필름코팅전사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양 릴 사이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의 느슨해짐을 해소 제거하는 테이프 되감기 기구를 구비하며,
    그 테이프 되감기 기구는, 상기한 클러치기구의 걸어맞춤 지지부재가 상기한 케이스의 외부로 향해 설치되는 동시에, 그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바깥 단면에, 상기한 되감기 회전 조작용의 회전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후 버리는 형태의 필름코팅전사장치.
  17. 한 손으로 잡고 조작 가능한 형상 치수를 가지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반출회전부와,
    상기한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감기회전부와,
    이들 양 회전부를 서로 연동 가능하게 연계하는 연동장치와,
    상기한 반출회전부에 분리 가능하게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춤 하고, 필름코팅전사테이프를 감아서 장착한 반출 릴과,
    상기한 감기회전부에 분리 가능하게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춤 하고, 사용 후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를 회수하는 감는 릴과,
    상기한 케이스의 선단부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한 반출 릴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를 피전사부분 상에 가압하는 필림코팅전사용 헤드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한 양 릴의 하나 이상에 장착 구비되어, 이들 양 릴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의 반출속도와 감는 속도를 동기시키는 클러치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이 클러치기구는, 필름코팅전사테이프를 감아서 회수하는 원통형상의 테이프코어와, 그 테이프코어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와, 그 회전구동부와 축 방향으로 걸어맞춤 하는 걸어맞춤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한 테이프코어가, 상기의 회전구동부와 걸어맞춤 지지부재에 의해 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끼워진 상태로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한 테이프코어와 회전구동부가, 스러스트 하중에 의한 마찰력을 이용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마찰 걸어맞춤 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코팅전사테이프의 교환이 가능한 보충형의 필름코팅전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은, 상기한 회전구동부 및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하나 이상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축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복수의 마찰 걸어맞춤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들 마찰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한 회전구동부와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축 방향 걸어맞춤 힘에 의해, 상기한 테이프코어의 축 방향 단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탄성적으로 걸어맞춤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코팅전사테이프의 교환이 가능한 보충형의 필름코팅전사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반출 릴 및 감는 릴이, 서로 독립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지지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이루어지는 2축 타입의 릴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코팅전사테이프의 교환이 가능한 보충형의 필름코팅전사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반출 릴 및 감는 릴이, 동축 상태로 또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1축 타입의 릴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코팅전사테이프의 교환이 가능한 보충형의 필름코팅전사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양 릴 사이에 있어서의 필름코팅전사테이프의 느슨해짐을 해소 제거하는 테이프 되감기 기구를 구비하며,
    그 테이프 되감기 기구는, 상기한 클러치기구의 걸어맞춤 지지부재가 상기한 케이스의 외부로 향해 설치되는 동시에, 그 걸어맞춤 지지부재의 바깥 단면에, 상기한 되감기 회전 조작용의 회전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코팅전사테이프의 교환이 가능한 보충형의 필름코팅전사장치.
KR1019980037543A 1997-09-12 1998-09-11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 및 필름코팅전사장치 KR199900297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67968 1997-09-12
JP26796897A JP3296265B2 (ja) 1997-09-12 1997-09-12 塗膜転写具のクラッチ機構および塗膜転写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732A true KR19990029732A (ko) 1999-04-26

Family

ID=1745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543A KR19990029732A (ko) 1997-09-12 1998-09-11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 및 필름코팅전사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062286A (ko)
EP (1) EP0905074B1 (ko)
JP (1) JP3296265B2 (ko)
KR (1) KR19990029732A (ko)
CN (1) CN1125731C (ko)
AU (1) AU755906B2 (ko)
CA (1) CA2242149A1 (ko)
DE (1) DE69823128T2 (ko)
ES (1) ES2218770T3 (ko)
HK (1) HK1018894A1 (ko)
TW (1) TW40806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123B1 (ko) * 2006-01-19 2007-05-23 광 호 유 양면 및 단면 접착테이프의 도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7178A (ja) * 1997-06-30 2002-03-05 コーレス・ホールディング・ツーク・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リール構造
JPH11348493A (ja) * 1998-06-08 1999-12-21 Seed Rubber Kogyo Kk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JP2001071689A (ja) * 1999-07-06 2001-03-21 Seed Rubber Kogyo Kk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JP4408486B2 (ja) * 1999-07-27 2010-02-03 プラスステーショナリー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における繰出しコアと巻取りコアの動力伝達装置
AT410936B (de) * 2000-10-09 2003-08-25 Kores Holding Zug Ag Spulenanordnung
ES2182663B2 (es) * 2000-11-07 2004-05-01 Juan Antonio Campins Masriera Dispensador de cinta correstora, adehesiva y similares.
US6453969B1 (en) 2000-11-28 2002-09-24 Bic Corporation Viscous clutch for a correction tape reel assembly
US6543511B2 (en) 2000-12-01 2003-04-08 Volker Niermann Tape dispenser
JP4620270B2 (ja) * 2001-03-14 2011-01-26 株式会社シード マーク転写具およびマーク転写テープ
US20020179242A1 (en) * 2001-05-03 2002-12-05 Wien Thomas M.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labels and label strips for use in the same
JP4615781B2 (ja) * 2001-08-20 2011-01-19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US6997229B2 (en) * 2003-09-16 2006-02-14 Sanford, L.P. Rotatable applicator tip for a corrective tape dispenser
US20050056375A1 (en) * 2003-09-16 2005-03-17 Sanford, L.P. Applicator tip for a corrective tape dispenser
JP4505784B2 (ja) * 2003-10-16 2010-07-21 株式会社シード 転写具および転写膜除去材
US20090301663A1 (en) * 2006-01-25 2009-12-10 3L-Ludvigsen A/S Refill for an adhesive tape dispenser and a housing for receiving the refill
JP4769964B2 (ja) * 2006-02-06 2011-09-07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塗膜転写具
JP5164582B2 (ja) * 2008-01-18 2013-03-21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JP5078646B2 (ja) * 2008-02-07 2012-11-21 ユニオンケミカー株式会社 塗膜転写具
FR2929555A1 (fr) * 2008-04-02 2009-10-09 Claudio Perlangeli Surligneur transparent incolore.
US20110042506A1 (en) * 2009-08-19 2011-02-24 Chien-Lung Wu Device for Changing Orientation of Tape of Tape Transfer Device
US8397784B2 (en) 2010-08-31 2013-03-19 Sanford, L.P.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578999B2 (en) 2010-12-29 2013-11-12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746313B2 (en) * 2010-12-29 2014-06-10 Sanford, L.P. Correction tape re-tensioning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comprising same
US8746316B2 (en) 2011-12-30 2014-06-10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KR101398146B1 (ko) * 2012-09-19 2014-05-20 (주)세줄 버티컬 타입 수정테이프 디스펜서
JP6583615B2 (ja) * 2015-05-29 2019-10-02 コクヨ株式会社 テープディスペンサ
CN107264115A (zh) * 2016-04-07 2017-10-20 南京农业大学 包书皮机
JP6898642B2 (ja) * 2017-08-01 2021-07-07 プラス株式会社 塗膜転写具
JP7491076B2 (ja) * 2020-06-17 2024-05-28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CN113427888B (zh) * 2021-06-15 2022-06-17 清华大学 印章单元的设计方法、印章单元及印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8971A (en) * 1986-10-09 1988-01-12 Moore Push-Pin Company Dispenser for a transfer adhesive
DE8813861U1 (ko) * 1988-11-05 1988-12-22 Pelikan Ag, 3000 Hannover, De
EP0606477A4 (en) * 1991-10-02 1994-11-09 Fuji Kagaku Shikogyo TRANSFER DEVICE FOR COATING FILMS.
US5310445A (en) * 1992-10-15 1994-05-10 The Gillette Company Tape dispenser
JPH0742033B2 (ja) * 1992-12-29 1995-05-10 丸十化成株式会社 転写式修正具
US5499877A (en) * 1993-04-06 1996-03-19 Fujicopian Co., Ltd. Transfer ribbon cassette, a case for enclosing the cassette, and a paint film transfer device having the same
US5685944A (en) * 1994-04-28 1997-11-11 Fujicopian Co., Ltd. Film transfer apparatus and a film transfer roller used therein
DE9407305U1 (de) * 1994-05-02 1994-09-22 Czewo Plast Kunststofftech Vorrichtung zur Abgabe von Auftrags-Material
JP2943134B2 (ja) * 1995-11-01 1999-08-30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JPH0971097A (ja) * 1995-09-07 1997-03-18 Tombow Pencil Co Ltd 塗布具の転写テープ送出、巻取り部
ES2219475T3 (es) * 1995-10-06 2004-12-01 Seed Rubber Company Ltd. Mecanismo de embrague de un utensilio de transferencia de pelicula que forma una capa de cubrimiento y utensilio de transferencia de pelicula que forma una capa de cubrimiento.
JP3516188B2 (ja) * 1995-10-27 2004-04-05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布具の転写テープ送出、巻取り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123B1 (ko) * 2006-01-19 2007-05-23 광 호 유 양면 및 단면 접착테이프의 도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05074A2 (en) 1999-03-31
CA2242149A1 (en) 1999-03-12
TW408067B (en) 2000-10-11
US6062286A (en) 2000-05-16
EP0905074B1 (en) 2004-04-14
EP0905074A3 (en) 1999-10-13
AU755906B2 (en) 2003-01-02
DE69823128T2 (de) 2005-03-31
HK1018894A1 (en) 2000-01-07
DE69823128D1 (de) 2004-05-19
JP3296265B2 (ja) 2002-06-24
CN1125731C (zh) 2003-10-29
ES2218770T3 (es) 2004-11-16
AU8320998A (en) 1999-03-25
CN1211511A (zh) 1999-03-24
JPH1178382A (ja) 1999-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9732A (ko)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 및 필름코팅전사장치
KR100729578B1 (ko)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 및 도막 전사구
KR100799226B1 (ko) 도막 전사구용 테이프 카트리지 및 도막 전사구
US6418997B1 (en) Tape cartridge for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JP2943134B2 (ja)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JPH0789662A (ja) 塗膜転写具
JPH11348493A (ja)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JP2876301B2 (ja) 塗膜転写具のクラッチ機構および塗膜転写具
US6808565B1 (en) Clutch mechanism of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JPH08156495A (ja)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KR100228007B1 (ko)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및 도막전사구
KR100228008B1 (ko) 도막전사구의 클러치기구 및 도막전사구
JP2003094887A (ja) 塗膜転写具のクラッチ装置
JPH11342699A (ja) 塗膜転写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