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9578B1 -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 및 도막 전사구 - Google Patents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 및 도막 전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578B1
KR100729578B1 KR1020000037933A KR20000037933A KR100729578B1 KR 100729578 B1 KR100729578 B1 KR 100729578B1 KR 1020000037933 A KR1020000037933 A KR 1020000037933A KR 20000037933 A KR20000037933 A KR 20000037933A KR 100729578 B1 KR100729578 B1 KR 100729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ransfer
coating film
tape
head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7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5156A (ko
Inventor
타마이시게루
코야마코우헤이
신타니마사토시
Original Assignee
시드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드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드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15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88Work traversing type and/or means applying work to wall or static structure
    • Y10T156/1795Implement carried web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8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handle or handgrip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막 전사용 헤드에 대하여 사용자의 필기구의 잡는 법에 대응한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취하고, 게다가 그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직접적이고 또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막 전사 테이프(T)를 가압 전사하는 헤드본체(60)와, 헤드본체(60)를 그 축심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헤드 유지부(61)와, 헤드본체(60)의 회전방향 위치를 위치결정 조작하는 회전조작부(6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 회전조작부(62)는 헤드본체(60)의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나타내는 헤드자세 표시부로서도 기능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직접적이고 또한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 및 도막 전사구{Coat film transfer head device and coat film transfer tool}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의 주요부분 내부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의 내부를 케이스를 오픈한 상태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의 케이스본체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의 테이프 카트리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의 도막 전사용 헤드의 회전구조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낸 확대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의 도막 전사용 헤드의 회전방향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의 테이프 카트리지의 풀림릴측 부위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의 테이프 카트리지의 풀림릴측 부위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의 테이프 카트리지의 풀림릴측 부위의 조립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의 오른손에 의한 가로긋기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의 오른손에 의한 세로긋기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의 오른손에 의한 가로밀기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의 왼손에 의한 가로긋기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의 도막 전사용 헤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의 도막 전사용 헤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의 도막 전사용 헤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의 도막 전사용 헤 드의 구조를 나타내고, (a)부분은 축받이부의 사시도, (b)부분은 도막 전사용 헤드의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의 도막 전사용 헤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의 도막 전사용 헤드의 구조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인 글자 삭제구의 테이프 카트리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종래의 글자 삭제구의 내부 구성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로서, (a)부분은 세로긋기 사용구조의 글자 삭제구를 나타내고, (b)부분은 가로긋기 사용구조의 글자 삭제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테이프 카트리지 T : 도막 전사 테이프
H : 도막 전사용 헤드 D : 테이프 연동부(연동기구)
1 : 도막 전사구 2 : 케이스
2a, 2b : 기준적인 파지면 3 : 풀림릴
4 : 권취릴 5 : 케이스본체
6 : 캡체 10 : 헤드 삽입부(회전각도 규제부)
11, 12 : 회전지축 15 : 지지본체
20 : 지지기판 20a : 외형윤곽 골조부재
20b : 축받이 골조부재 20c : 접속 골조부재
21 : 보호벽 22 : 보호판
22a : 외직경 윤곽 골조부재 22b : 내직경 윤곽 골조부재
22c : 접속 골조부재 25, 26 : 축받이부
31, 32 : 회전축 31a, 32a : 회전축의 끝부분
37 : 위치결정 결합부 38 : 결합부
39 : 지지부 40 : 테이프 코어
40a, 40b : 테이프 코어의 축방향 끝면
41 : 테이프 코어 45 : 풀림 회전기어(연동기어)
46 : 권취 회전기어(연동기어) 50 : 클러치기구
60 : 헤드본체 61 : 헤드 유지부
62 : 회전 조작부 63 : 선단 가압부
65 : 피축받이부 66 : 축받이부
67 : 지지부 70 : 조작레버
71 : 슬릿형상의 삽입부 71a : 위치결정 오목부
72 : 슬릿형상의 조작안내부 80, 81 : 가이드핀
삭제
삭제
91 : 회전구동부(회전축부) 95 : 역회전방지기구
100 : 결합돌기
101 : 되감기 버튼(결합지지부재) 105 : 축방향 결합부
106 : 걸림클로 107 : 결합오목부
110 : 피수정부분(피전사부) 111 : 수정도료층(백색)
120 : 위치결정수단 121 : 위치결정수단
122 : 위치결정수단
삭제
본 발명은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 및 도막 전사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막 전사 테이프상의 수정도료층, 마커(marker) 도료층, 점착재층 등의 도막을 지면 등에 전사하기 위한 도막 전사구의 선단부에 설치되어서 도막 전사 테이프를 피전사부상에 가압하는 도막 전사용 헤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도막 전사구 구성의 일례로서 예컨데 일본국 특개평5-58097호 및 일본국 실개평5-13800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들 도막 전사구는 모두 주로 오자 등을 수정하기 위한 글자 삭제구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24의 (a) 및 (b)에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한손에 의한 파지 조작가능한 케이스(a) 내에 도막 전사 테이프(b)를 말아서 장착한 풀림릴(c)과 사용후의 도막 전사 테이프(b')를 회수하는 권취릴(d)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 어, 상기 케이스(a)의 선단부에 도막 전사 테이프(b)를 피전사부(지면상의 피수정부분)(e)상에 가압하는 도막 전사용 헤드(f)가 돌출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양 릴(c,d)은 운동부(g)에 의해 서로 운동가능하게 연계된 자동권취식으로 되어 있다. 이 운동부(g)는 상기 양 릴(c, d)의 외주부에 설치된 기어(h, i)가 서로 맞물려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a)는 상기 풀림릴(c)과 권취릴(d)을 내장할 수 있는 윤곽형상 치수와 폭 치수를 구비하는 편평한 상자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편평 표리면, 즉 도 24의 (a), (b)의 지면에 대한 표리면이 파지 조작시에 있어서의 파지면(把持面)이 되어 있다.
또 도 24(a)의 도막 전사구에 있어서는, 상기 헤드(f)의 선단 가압부(j)가 도막 전사 테이프(b)를 상기 풀림릴(c)과 권취릴(d)의 권회 자세대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서, 예컨대 일본문장과 같은 세로쓰기 문장의 일부를 수정하는 경우에 적당한 이른바 세로긋기 사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도 24(b)의 도막 전사구에 있어서는, 상기 헤드(f)의 선단 가압부(j)가 도막 전사 테이프(b)를 케이스(a)의 파지면에 대하여 거의 정면으로 마주보게 하여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예를 들면 로마자 문장과 같은 가로쓰기 문장의 일부를 수정하는 경우에 적당한 이른바 가로긋기 사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도막 전사구에 의해 오자 등을 수정하는데는 케이스(a)의 파지면을 손가락으로 잡아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f)의 선단 가압부(j)에 의해 도막 전사 테이프(b)를 피수정부분(e)상에 밀착형상으로 누르면서 케이스(a)를 각각 소정방향(도 24(a)의 화살부호 방향, 도 24(b)의 지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헤드(f)의 선단 가압부(j)에서의 도막 전사 테이프(b)의 수정도료층은 상기 피수정부분(e)에 도착되어서 문자 등이 지워짐과 아울어 사용후의 도막 전사 테이프(b')가 권취릴(d)에 자동적으로 말려서 회수된다.
그러나 상기 어느 구조도 세로긋기 사용 또는 가로긋기 사용의 어느 한쪽에 대해서는 필기구 감각으로의 사용이 가능한 반면, 다른쪽의 사용에는 매우 무리한 자세를 취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게다가, 필기구를 잡는 법에도 사용자에 따라서는 독특한 버릇이 있고, 상기와 같은 이상적이고 획일적인 필기구 자세를 상정한 구조에서는 필기구 감각으로의 사용을 모든 사용자에 대하여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도막 전사용 헤드에 대하여 사용자가 필기구를 잡는 법에 대응한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취함으로써 필기구 감각으로의 사용이 가능하고, 더구나 이때의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직접적이고 또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이와 같은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를 구비한 도막 전사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막 전사용 헤드는, 도막 전사 테 이프를 가압 전사하는 헤드본체와, 이 헤드본체를 그 축심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헤드 유지구와, 상기 헤드본체의 회전방향 위치를 위치결정 조작하는 회전조작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 회전조작부는 상기 헤드본체의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나타내는 헤드자세 표시부를 겸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절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회전조작부는 상기 헤드본체의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와 관련하여 설치된 조작레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 조작레버는 도막 전사구의 케이스에 뚫어 설치된 슬릿형상의 조작안내부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형상으로 면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슬릿형상의 조작안내부는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방향 조작범위를 규제하여 상기 헤드본체의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제어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의 도막 전사구는, 한손에 의한 파지 조작가능한 케이스 내에 도막 전사 테이프를 감아서 장착한 회전가능한 풀림릴과, 사용후의 도막 전사 테이프를 회수하는 회전가능한 권취릴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테이프 카트리지를 떼어낼 수 있게 구비하여 도막 전사 테이프의 교환이 가능한 리필타입의 도막 전사구로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선단부에 상기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도막 전사구는, 한손에 의한 파지 조작가능한 케이스 내에 도막 전사 테이프를 감아서 장착한 풀림릴과 사용후의 도막 전사 테이프를 회수하는 권취릴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일회형의 도막 전사구로서, 상기 케이스의 선단부에 청구항 1에서 10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에 적어도 도막 전사 테이프를 감아서 장착한 회전가능한 풀림릴과, 사용후의 도막 전사 테이프를 회수하는 회전가능한 권취릴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교환작업은 원터치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에 있어서는 도막 전사 테이프를 가압 전사하는 헤드본체가 헤드 유지부의 작용으로 그 축심 주위로 회전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필기구를 잡는 법에 대응하여 필기구 감각으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헤드본체는 회전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그 회전방향 위치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용도에 따른, 혹은 사용자의 잡는 법에 대응한 최적의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취할 수 있다. 이것에는 본 발명의 도막 전사구가 헤드본체 구성으로서 오른손잡이 사람에 대응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왼손잡이 사람이 자기의 잡는 법에 따라, 더구나 오른손잡이 사람과 비교하여 어떤한 손색 없이, 헤드의 자세를 최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조작부는 헤드본체의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나타내는 헤드자세 표시부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직접적이고 또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도막 전사구를 도 1 내지 도 15에 나타내고, 이 도막 전사구(1)는 구체적으로는 오자 등을 수정하기 위한 글자 지움구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소모품으로서의 도막 전사 테이프(T)가 교환가능한 카트리지식 결국 리필식의 구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막 전사구(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외관형상을 이루는 케이스(2)에,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막 전사용 헤드(H)를 구비하는 테이프 카트리지(C)와 테이프 연동부(연동기구)(D)가 장착되어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C)에 풀림릴(3) 및 권취릴(4)이 각각 축지지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부 마다 설명한다.
Ⅰ. 케이스(2):
케이스(2)는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카트리지(C)와 테이프 연동부(D)를 내장할 수 있는 정면 윤곽형상 치수와 폭 치수를 구비하는 편평한 상자형상으로 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마주보는 한쌍의 편평한 표리면(2a, 2b)이 파지 조작시의 기준적인 파지면으로 되어 있다.
이 케이스(2)는 사출성형 등으로 일체 형성된 플라스틱제의 것으로, 케이스본체(5)와 캡체(6)가 분리 개폐가능하게 되고 케이스본체(5)에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C) 및 테이프 연동부(연동기구)(D)가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케이스본체(5) 및 캡체(6)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체(6)의 개구 내주가장자리(6a)가 케이스본체(5)의 개구 내주가장자리에 거의 전주에 걸쳐서 설치된 끼워맞춤 플랜지(5a)에 끼워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본체(5) 및 캡체(6)의 개구부 한쪽에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7a, 7b)와, 반대측에 체결캡(8)에 의해 함께 조여지는 결합부(9a, 9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들 케이스본체(5)와 캡채(6)의 선단부에는 도막 전사용 헤드(H)를 내외로 끼워 통하는 헤드 삽입부(10)를 형성하는 삽입홈(10a, 10b)이 각각 노치(notch) 형성됨과 아울어, 상기 케이스본체(5)의 내측면에 테이프 카트리지(C)의 풀림릴(3) 및 권취릴(4)을 회전지지하는 속이 빈 형상의 회전지축(11, 12)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본체(5)에 대하여 캡체(6)를 상호 위치결정하면서 조합시켜서 폐지함으로써 캡체(6)의 개구 내주가장자리(6a)가 케이스본체(5)의 끼워맞춤 플랜지(5a)에 끼워맞춰지고, 또한 결합부(7a, 7b) 및 결합부(9a, 9b)가 각각 결합한다. 그 후 체결캡(8)을 상기 결합부(9a, 9b)에 슬라이드시켜서 씌움으로써 양자(9a, 9b)가 함께 죄여져서, 케이스(2)가 폐지(閉止) 형성된다.
한편, 이것과 정반대의 조작으로 케이스(2)가 케이스본체(5)와 캡체(6)로 부리되어 개방상태가 된다. 또 이 케이스(2)의 폐지 형성시에 있어서 그 선단부에 원형상의 헤드 삽입부(10)가 개구 형성되고, 이 헤드 삽입부(10)를 통하여 도막 전사용 헤드(H)가 케이스(2)의 선단부에서 외부로 돌출하여 배치된다.
또한, 캡체(6)에는 도막 전사 테이프(T)의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잔량확인창(13)과 후술하는 되감기 버튼(101)용의 개구(14)가 연속 개구되어 있다.
Ⅱ. 테이프 카트리지(C):
테이프 카트리지(C)는 소모품으로서 교환가능한 구성부품으로서, 그 구체적 구성이 도 2 내지 도 11에 표시되어 있다.
이 테이프 카트리지(C)는 지지본체(15)에 도막 전사 테이프(T)를 감아서 장착한 풀림릴(3)과 사용후의 도막 전사 테이프(T')를 회수하는 회전가능한 권취릴(4)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어, 도막 전사 테이프(T)를 피전사부상에 가압하는 도막 전사용 헤드(H)가 그 헤드 축심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테이프 카트리지(C)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본체(5)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된다.
지지본체(15)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양 릴(3, 4)을 수납하는 카트리지 케이스의 형태로 된 합성수지제의 것으로서, 지지기판(20), 보호벽(21) 및 보호판(2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지지기판(20)과 보호벽(21)은 사출성형 등으로 일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일체물이고, 지지본체(15)의 주요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지지기판(20)은 상기 양 릴(3, 4)을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것으로, 그 형상 치수는 상기 양 릴(3, 4)의 유지기능을 구비하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얇고 또한 소형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지기판(20)은 케이스(2)의 내측면 윤곽에 대응한 외형윤곽을 갖는 평판형상의 골조구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지지기판(20)에서의 골조구조는 지지기판(20)의 외형윤곽을 형성하는 외형윤곽 골조부재(20a)와, 상기 양 릴(3, 4)을 회전지지하는 축받이부(25, 26)를 형성하는 한쌍의 축받이 골조부재(20b, 20b)와, 이들 외형윤곽 골조부재(20a)와 축받이 골조부재(20b, 20b)를 접속하는 복수의 접속 골조부재(20c, 20c, …)가 평판형상으로 골조 접속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외형윤곽 골조부재(20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2)의 내측면 윤곽에 대응한 외형윤곽을 형성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보호벽(21)과의 접속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축받이 골조부재(20b, 20b)는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부가 개방된 평면 원호형상의 축받이부(25, 26)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접속 골조부재(20c)는 상기 한쌍의 축받이부(25, 26)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골조 배치구조가 채용됨으로써 소기의 유지강도를 유지하면서 가급적으로 사용재료가 적은 경량 소형구조가 실현되고 있다. 특히 접속 골조부재(20c, 20c, …)를 방사형상으로 설치함으로써 지지기판(20) 전체에 걸쳐서 균일한 강도가 확보된 경량 소형구조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양 축받이부(25, 26)은 상기 양 릴(3, 4)의 회전축(31, 32) 상측 끝부분, 결국 케이스본체(5)의 회전지축(11, 12)에 축지지되는 측과 반대측의 끝부분(31a, 32a)을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축받이부(25, 26)에서의 양 릴(3, 4)의 구체적인 회전지지구조는 릴(3, 4)의 회전축(31, 32) 상측 끝부분(31a, 32a)에 결합부(35, 36)가 설치되고, 이들 결합부(35, 36)가 상기 축받이부(25, 26)의 내직경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지지되어 이루어진다.
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축받이부(25, 26)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반대를 보는 바깥쪽을 향한 개방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축받이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 축받이부(25, 26)의 평면형상은 제조현장에서의 체결 용이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있다.
즉, 축받이부(25, 26)은 상기 결합부(35, 36)의 외직경 치수에 대응한 내직경을 갖는 원형부(25a, 26a)와, 이 원형부(25a, 26a)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테이퍼(taper) 형상으로 넓어지는 부착삽입부(25b, 26b)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받이부(25, 26)의 원형부(25a, 26a)는 각각 케이스본체(5)의 회전지축(11, 12)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양 릴(3, 4)의 지지기판(20)상에서의 배치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회전축(31, 32)이 상기 회전지축(11, 12)에 대하여 각각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풀림릴(3)의 회전축(31) 결합부(35)는 전주에 걸쳐서 형성된 고리형 결합홈의 형태로 되고, 또 권취릴(4)의 회전축(32) 결합부(36)는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써 형성된 복수(도시의 경우는 3개) 결합클로(36a, 36a, 36a)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양 릴(3, 4)은 그 회전축(31, 32)의 결합부(35, 36)를 상기 부착삽입부(25b, 25b)에서 원형부(25a, 26a)로 강제적으로 눌러 삽입함으로써 부착삽입부(25b, 26b)와 원형부(25a, 26a)의 경계부분이 탄성적으로 넓혀진 후에 다시 탄성복귀하고, 결합부(35, 36)가 원형부(25a, 26a)에 회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어, 양 릴(3, 4)은 각각 소정 위치에 위치결정 지지되게 된다.
지지기판(20)과 일체 형성된 보호벽(21)은 지지기판(20)의 외주가장자리, 결 국 외형윤곽 골조부재(20a)에서 기립형상(또는 아랫방향으로 늘어진 형상)으로 설치되어 지지기판(20)과 협동하여 양 릴(3, 4)의 하측, 즉 케이스본체(5)로의 장착측을 제외한 3방향을 에워감아서 수납하는 카트리지 케이스를 형성하고 있다.
이 보호벽(21)은 상기 지지기판(20)의 외형윤곽 형상을 따라서 상기 양 릴(3, 4)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만곡(彎曲) 형성되어 있고, 양 릴(3, 4)의 외주를 에워감아서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가판(20)의 강도를 보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C) 조립시, 취급시 및 사용시에 있어서 도막 전사 테이프(T)가 풀림릴(3)에서 불식중에 벗겨지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어, 테이프 카트리지(C) 취급시에 있어서 도막 전사 테이프(T)의 최외직경 표면의 도막층이 피복 보호된다.
따라서, 보호벽(21)과 상기 양 릴(3, 4)의 형상 치수관계는 이들의 목적이 달성됨과 아울어 양 릴(3, 4) 자체의 축받이부(25, 26)로부터의 어긋남을 유효하게 방지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보호벽(21)은 지지본체(15)를 케이스본체(5)에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보호벽(21)의 외주면에, 케이스(2)의 내주면에 설치된 위치결정 결합부(37, 37, …)와 결합하는 결합부(38), 38, …)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위치결정 결합부(37)와 결합부(38)의 결합관계는 상하 방향으로 걸거나 벗길 수 있고, 횡방향 즉 수평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카트리지(C)가 케이스본체(5) 내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7, 38, 37, 38, …)의 위치결정 결합에 의해, 보호벽(21)을 통하여 상 기 양 릴(3, 4)이 본체케이스(5)의 회전지축(11, 12)과 지지기판(20)에 의해 양쪽잡이 형상으로 회전지지된다.
또, 보호판(22)은 지지기판(20)에 회전지지된 권취릴(4)의 반대측 면을 피복 보호하는 것으로, 상기 보호벽(21)의 개방측 끝가장자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보호판(22)은 지지기판(20)과 평행하는 평판형상의 골조구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그 구체적 구조는 지지기판(20)과 같이 소기의 유지강도를 유지하면서 가급적으로 사용재료가 적은 경량 소형화가 실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결국, 보호판(22)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벽(21)에 대응한 평면 원호형상을 갖는 외직경 윤곽 골조부재(22a), 상기 권취릴(4)의 하면에 대응한 직경 치수를 갖는 내직경 윤곽 골조부재(22b) 및 이들 양자(22a, 22b)를 접속하는 방사상의 접속 골조부재(22c, 22c, …)가 골조 접속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호판(22)의 내직경 윤곽 골조부재(22b)의 내측면, 결국 상측면에는 권취릴(4)의 하측면을 슬라이딩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39, 39, …)가 고리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도시하지 않지만 권취릴(4)의 하측면에 지지부(39, 39, …)가 슬라이딩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고리형 홈을 동축상으로 설치하여도 된다.
풀림릴(3)은 미사용의 도막 전사 테이프(T)가 감겨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속이 빈 원통형상의 테이프 코어(40)를 구비함과 아울어, 이 테이프 코어(40)에 연동하는 클러치기구(50) 및 테이프 연동부(D)의 풀림 회전기어(45)를 장착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 풀림릴(3)의 구체적인 체결구조에 대해서는 클러치기구(50)와의 관 련에서 뒤에 설명한다.
권취릴(4)은 사용완료의 도막 전사 테이프(T')를 당겨감아 회수하는 것으로, 속이 빈 원통형상의 테이프 코어(41)의 외주부에 상기 도막 전사 테이프(T)의 선단부분이 접속되어 있다.
테이프 코어(41)는 권취릴(4)의 회전축(32) 일부를 겸비하고, 그 축방향 상단부가 앞에서 설명한 상측 끝부분(32a)과 동축상으로 일체 형성되어서, 이 상측끝부분(32a)이 상기 지지기판(20)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한편, 테이프 코어(41)의 중앙에는 세레이션(serration) 또는 스플라인(spline) 등의 치형 결합부를 갖는 장착구멍(41a)이 설치되어, 후술하는 테이프 연동부(D)의 권취 회전기어(46)의 회전축부(46a)와 착탈가능하게 또한 회전방향으로 일체 결합된다.
도막 전사 테이프(T)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나 아세테이트 등의 플라스틱제 테이프, 혹은 종이제 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형상 기재(두께 25∼38㎛ 정도)의 한쪽면에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수지, 저분자 폴리에틸렌 등의 박리제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백색의 수정도료층이 형성되며, 또한 그 위에 가압 접착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등의 점착제(감압 접착제)층이 채색되어 이루어지는 구조(구체적 구조는 도시생략)인 것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수정 도료층은 전사후 즉시 그 위에서 필기가 가능한 이른바 드라이타입의 것이 채용되고 있다.
도막 전사용 헤드(H)는 도막 전사 테이프(T)를 지면상의 오자 등의 피수정부분(피전사부)상에 가압하는 것으로, 도막 전사 테이프(T)를 안내하는 기능과 가압하는 기능을 겸비한다. 도막 전사용 헤드(H)는 상기 지지본체(15)에 설치되어 있 고, 그 기단(基端) 지지부가 지지본체(15)에 헤드 축심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막 전사용 헤드(H)는 헤드본체(60), 헤드유지부(61) 및 회전조작부(6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헤드본체(60)는 도막 전사 테이프(T)를 가압 전사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상체로 됨과 아울어 그 기단측 부위에 피축받이부(65)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실시형태의 헤드본체(60)는 도막 전사 테이프(T)보다도 약간 폭이 넓은 박판형상이 됨과 아울어 선단(先端)을 향하여 차츰 얇아지는 것과 같은 테이퍼 형상 단면(斷面)을 보유하여 이루어지고, 그 평탄한 양측면이 테이프 주행면을 형성함과 아울어 그 선단(63)이 도막 전사 테이프(T)를 가압하는 선단 가압부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헤드본체(6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도막 전사 테이프(T)의 주행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랜지(64, 64)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 유지부(61)는 상기 헤드본체(60)를 그 축심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피축받이부(65)와, 장치 본체측인 지지본체(15)에 설치된 축받이부(6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피축받이부(65)는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본체(60)와 동심상으로 또한 일체적으로 설치된 원통형상의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그 일부에 헤드본체(60)로의 도막 전사 테이프(T)의 세팅 개구(65a)를 갖는 단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받이부(66)는 지지본체(15)의 선단부에 있어서, 보호벽(21)의 외주면에 지 지부(67)를 통하여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축받이부(66)는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피축받이부(65)의 외주면에 대응한 내주면을 갖는 통형상의 것으로, 피축받이부(65)와 같이 그 일부에 헤드본체(60)로의 도막 전사 테이프(T)의 세팅 개구(66a)를 갖는 단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축받이부(66)에 피축받이부(65)가 슬라이딩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헤드본체(60)는 후술하는 소정의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그 축심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조작부(62)는 헤드본체(60)의 회전방향 위치를 위치결정 조작하는 것이고, 또 헤드본체(60)의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나타내는 헤드자세 표시부를 겸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회전조작부(62)는 원기둥봉의 형태로 됨과 아울어, 그 선단에 조작손잡이(70a)를 갖는 조작레버(70)를 주요부로서 구비한다. 이 조작레버(70)는 피축받이부(65)의 선단근방 위치에 일체 형성됨과 아울어 피축받이부(65)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것과 관련하여 축받이부(66)의 축방향 대응 장소에는 슬릿형상의 삽입부(71)가 설치됨과 동시에, 마찬가지로 케이스(2)의 대응 장소에는 슬릿형상의 조작안내부(72)가 개설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레버(70)는 이들 삽입부(71) 및 조작안내부(72)를 통하여 케이스(2)의 외부에 돌출 형상으로 면하고 있다. 이 경우, 축받이부(66)의 삽입부(71)는 헤드본체(60)의 축방향으로의 빠짐방지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70)의 헤드본체(60)에 대한 회전방향 설치위치는 헤드본체(60)의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와 관련하여 설정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부(71)와 조작안내부(72)는 조작레버(70)의 헤드본체(60) 회전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해야 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케이스(2)의 조작안내부(72)는 조작레버(70)의 회전방향 조작범위를 규제하여 헤드본체(60)의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제어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 조작레버(70)와 헤드본체(60)의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조작안내부(72)와의 관계로 설명한다(도 7, 도 8, 도12 내지 도 15를 참조).
조작안내부(72)의 회전방향 조작범위 규제부로서의 구성은, 구체적으로는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a) 조작레버(70)가 조작안내부(72)의 한쪽 끝(72a)에 접하여 결합된 상태, 즉 수직 하향위치(도 8의 (a)로 표시되는 제1규제위치(A))에 있을 때, 도막 전사용 헤드(H)의 헤드본체(60)는 그 선단 가압부(63)가 도막 전사 테이프(T)를 케이스(2)의 파지면(2a, 2b)에 대하여 거의 정면으로 마주보게 하여, 결국 도막 전사 테이프(T)의 표리면이 상기 파지면(2a, 2b)과 거의 동일 방향을 향하게(평행하게) 되도록 안내하는 각도위치에 있다.
이 경우, 풀림릴(3)에서 풀려나오는 미사용의 도막 전사 테에프(T)는 상기 헤드본체(60)의 하측에 있고, 오른손잡이 사람이 예컨대 로마자문의 일부를 수정하는 경우 등에 적합한 가로긋기 사용이 가능한 상태에 있다(도 12 참조).
(b) 조작레버(70)가 조작안내부(72)의 양끝(72a, 72b)의 중간위치에 있는 상태, 결국 수평위치(도 8의 (b))로 표시되는 제2규제위치(B))에 있을 때, 도막 전사용 헤드(H)의 헤드본체(60)는 그 선단 가압부(63)가 도막 전사 테이프(T)를 풀림릴(3)과 권취릴(4)의 권회자세 대로, 즉, 도막 전사 테이프(T)의 표리면이 상기 파지면(2a, 2b)과 거의 수직인 방향을 향하도록(직교하도록) 안내하는 각도위치에 있다.
이 경우, 풀림릴(3)에서 풀려나오는 미사용의 도막 전사 테이프(T)는 상기 헤드본체(60)의 좌측에 있고, 예컨대 일본어문의 일부를 수정하는 경우 등에 적합한 세로긋기 사용이 가능한 상태에 있다(도 13 참조).
(c) 조작레버(70)가 조작안내부(72)의 다른쪽 끝(72b)에 접하여 결합된 상태, 결국 수직상향 위치(도 8의 (c)로 표시되는 제3규제위치(C))에 있을 때, 도막 전사용 헤드(H)의 헤드본체(60)는 상기 (a)의 경우와 전혀 반대의 상태에서, 그 선단 가압부(63)가 도막 전사 테이프(T)를 케이스(2)의 파지면(2a, 2b)에 대하여 거의 정면으로 마주보게 하여 안내하는 각도위치에 있다.
이 경우, 풀림릴(3)에서 풀려나오는 미사용의 도막 전사 테이프(T)는 상기 헤드본체(60)의 상측에 있고, 오른손잡이 사람이 예컨대 로마자문의 일부를 수정하는 경우 등에 적합한 가로밀기 사용이 가능한 상태(도 14 참조), 혹은 왼손잡이 사람이 예컨대 로마자문의 일부를 수정하는 경우 등에 적합한 가로긋기 사용이 가능한 상태에 있다(도 15 참조).
회전조작부(62)는 헤드본체(60)의 회전방향 위치를 위치결정 조작하는 것이 고, 또 헤드본체(60)의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나타내는 헤드자세 표시부를 겸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상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70)의 방향이 미상용의 도막 전사 테이프(T)의 대면방향을 직접적이고 또한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있고(헤드자세 표시부로서의 기능), 사용자는 이 조작레버(70)의 방향을 의지로 하여 헤드본체(60)의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조작안내부(72)의 회전방향 조작범위(도시의 경우는 최대 거의 180°)는 조작레버(70)와 헤드본체(60)의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와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작은 각도범위에서 큰 각도범위까지 소망하는 값으로 다양하게 설정가능하다.
풀림릴(3)에서 풀려나오는 도막 전사 테이프(T)는 상기 도막 전사용 헤드(H)의 한쪽측 테이프 주행면을 따라서 선단 가압부(63)로 안내된 후, 이 선단 가압부(63)를 경유하여 반전되고, 또한 반대측 테이프 주행면을 따라서 안내되어 권취릴(4)에 권회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도막 전사용 헤드(H)의 선단 가압부(63)는 헤드측면의 테이프 주행면과 협동하여,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도막 전사 테이프(T)를 여러 가지 주행자세로 안내한다.
또한, 상기 도막 전사용 헤드(H)와 상기 양 릴(3, 4)의 배치구성에 관련하여, 지지본체(15)에서의 양 릴(3, 4)과 도막 전사용 헤드(H)와의 사이에는 한쌍의 가이드핀(80, 81)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가이드핀(80, 81)은 도막 전사 테이프(T)의 주행자세를 변환하는 테이프 자세변환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한쪽의 가이드핀(80)은 상기 풀림릴(3)에서 풀려나오는 도막 전사 테이프(T)를 자세변환하여 도막 전사용 헤드(H)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풀림릴(3)과 도막 전사용 헤드(H)와의 사이 지지본체(15)의 적소에 기립상으로 또한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다른쪽의 가이드핀(81)은 도막 전사용 헤드(H)로부터의 사용완료의 도막 전사 테이프(T')를 자세변환하여 권취릴(4)에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도막 전사용 헤드(H)와 권취릴(4) 사이의 지지본체(15)의 적소에 기립상이고 또한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양 가이드핀(80, 81)이 지지본체(15)에 설치된 구조에 있어서는 테이프(T)의 세팅이 모두 제품단계에서 완료되어 있고, 일반 수요자에 있어서는 단지 테이프 카트리지(C)의 교환을 하는 것만으로 좋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권취측의 가이드핀(81)에는 가이드롤러(도시하지 않음)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축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됨으로써 도막 전사 테이프(T')의 원활하고 정렬된 권취 안내가 조장됨과 아울어, 예를 들어 전사불량에 의한 도막의 부착잔량이 도막 전사 테이프(T')에 있는 경우라도, 이 도막 전사 테이프(T')가 가이드핀(81)에 말려들어가 버린다는 불합리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풀림측의 가이드핀(80)에도 마찬가지의 가이드롤러가 부착되어도 된다.
Ⅲ. 테이프 연동부(D):
테이프 연동부(연동기구)(D)는 상기 풀림릴(3)과 권취릴(4)을 서로 연동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풀림릴(3)의 측에 설치된 풀림 회전기어(45)(연동기어)와 권취릴(4)의 측에 설치된 권취 회전기어(연동기어)(46)로 구성되어 있다.
풀림 회전기어(45)는 풀림릴(3)에 설치된 클러치기구(50)의 회전구동부(91)와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구동부(91)가 풀림 회전기어(45)의 회전축부를 겸하고 있다. 이 회전구동부(91)는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되어서 케이스본체(5)의 회전지축(11)에 떼어낼 수 있도록 또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축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구동부(91)의 축방향 하단면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5)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92는 케이스본체(5)의 내측면에 설치된 고리형 리브를 나타내고 있고, 이 고리형 리브(92)는 상기 회전지축(11)과 동심상으로 또한 풀림 회전기어(45)의 외주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되어서, 풀림 회전기어(45)의 하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여 풀림 회전기어(45)의 과도한 뒤틀림 등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축부(91)의 외주에는 풀림릴(3)의 테이프 코어(40)가 동축상으로 또한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어, 이 테이프 코어(40)와 풀림 회전기어(45)는 뒤에 서술하는 클러치기구(50)의 마찰결합부재인 결합돌기(100, 100, …)에 의해 마찰결합되어 있다.
권취 회전기어(46)은 권취릴(4)을 축지지하는 케이스본체(5)의 회전지축(12)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축지지됨과 아울어, 상기 지지본체(15)에 풀림릴(3)과 유닛화 된 풀림 회전기어(45)와 맞물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지축(12)의 선단에는 권취 회전기어(46)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빠짐방지부(12a)가 설치되어 있다.
또, 케이스본체(5)의 내측면에는 고리형 리브(93)가 회전지축(12)과 동심상 으로 또한 권취 회전기어(46)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고, 권취 회전기어(46)가 이 고리형 리브(93)에 슬라이딩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권취 회전기어(46)는 상기 풀림 회전기어(45)와 소정의 기어비로써 맞물려 있고, 이것에 의해 권취 회전기어(46)는 항상 일정한 회전비로써 상기 풀림 회전기어(45)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또한, 이 회전비, 결국 상기 양 기어(45, 46)의 기어비는 뒤에 서술하는 풀림릴(3)과 권취릴(4)에서의 도막 전사 테이프(T)의 권취 직경을 고려하여 도막 전사테이프(T)의 풀림 및 권취가 원활하게 행해지도록 적절히 설정된다.
또, 이것과 관련하여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본체(15)와 권취릴(4)의 테이프 코어(41)에는 상기 양 릴(3, 4)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방지기구(9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회전방지기구(95)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본체(15)의 지지기판(20)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설치된 걸림클로(95a)와, 상기 테이프 코어(41)의 플랜지의 외측면에 회전축(32)과 동심의 고리형으로 설치된 다수의 역회전방지클로(95b, 95b, …)로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상기 양 릴(3, 4)이 화살부호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상기 걸림클로(95a)는 역회전방지클로(95b, 95b, …)를 탄성변형하면서 뛰어넘어서 그 정회전을 허용한다. 한편, 상기 양 릴(3, 4)이 화살부호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상기 걸림클로(95a)는 역회전방지클로(95b, 95b, …)의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그 역회전을 저지한다.
또한, 상기 걸림클로(95a)와, 역회전방지클로(95b, 95b, …)의 고리형 설치 원의 일직경선의 마주보는 위치에 또 하나의 걸림클로(95a)를 설치함으로써(도 4의 가상선 참조) 보다 균형잡힌 역회전방지작용이 얻어진다. 또, 역회전방지기구(95)는 도시한 바와 같은 배치구성 외에 케이스본체(5)와 권취 회전기어(46) 또는 풀림 회전기어(45)의 사이에 설치되어도 된다.
Ⅳ. 클러치기구(50):
본 실시형태의 클러치기구(50)는 풀림릴(3) 및 테이프 연동부(D)의 풀림 회전기어(45)와 아울어 테이프 카트리지(C)에 유닛화 되어서, 도막 전사 테이프(T)와 마찬가지로 교환가능한 소모품으로 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한 클러치기구(50)의 구체적 구조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간소하고 저렴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이 클러치기구(50)의 구체적 구성은 도 9 내지 도 11에 표시되어 있고, 풀림 회전기어(45)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100, 100, …)와 결합지지부재(101)를 주요부분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결합돌기(100)는 클러치기구(50)에서의 동력전달수단을 구성하는 마찰결합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풀림 회전기어(45)의 원주방향 복수 장소(도시한 것에 있어서는 4곳)에 직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돌기(100)는 그 외주측의 기부(基部)를 지점으로 하여 축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됨과 아울어, 그 내주측 선단부에 윗쪽으로 융기된 결합부(100a)를 갖는다. 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결합돌기(100)의 내주측 선단부가 보강용의 박육접속편(102)에 의해 상기 회전구동부(91)에 일체적으로 접속지지되어 있다.
결합돌기(100)의 결합부(100a)는 테이프 코어(40)의 축방향 끝면(40a)에 마 주본 위치에 있어서 정상 상태에서 풀림 회전기어(45) 상면보다 윗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됨과 아울어, 상기 축방향 끝면(40a)의 평탄면에 대응한 결합평탄면을 갖는다.
결합지지부재(101)는 구체적으로는 되감기 버튼의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양 릴(3, 4) 사이에서의 도막 전사 테이프(T)의 느슨해짐을 해소 제거하는 테이프 되감기기구의 구성부재로서도 기능한다.
이 되감기 버튼(101)은 상기 테이프 코어(40)의 축방향 끝면(40b)에 결합되는 축방향 결합부(105)와, 상기 회전구동부(91)에 결합하는 걸림클로(106)을 가지고 이루어진다.
상기 축방향 결합부(105)는 되감기 버튼(101)의 외주부에서 직경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결합볼록부의 형태로 되어서 테이프 되감기기구의 회전결합부로서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고, 도시한 것에 있어서는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써 5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테이프 코어(40)의 축방향 끝면(40b)에는 상기 축방향 결합부(105)와 결합하는 결합오목부(107)가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써 5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림클로(106)는 되감기 버튼(101)의 부착원통부(101a)의 일부에 슬릿 형성에 의한 종적분리 형상으로 설치되어서 그 선단 결합부가 직경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다. 도시한 것에 있어서는 한쌍의 걸림클로(106, 106)가 상기 부착원통부(101a)의 일직경선상에 마주보고 설치됨과 아울어, 걸림클로(106)의 선단 결합부는 하향 쐐기(wedge)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구동부(91)의 내주부에는 상기 걸림클로(106)가 축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 플랜지(10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 플랜지(108)의 내직경 치수는 상기 되감기 버튼(101)의 부착원통부(101a)가 끼워 통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걸림클로(106)의 결합 선당부가 빠짐방지 결합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구동부(91)에 풀림릴(3)의 테이프 코어(40)를 끼워 통하게 한 후, 되감기 버튼(101)을 그 축방향 결합부(105, 105, …)가 테이프 코어(40)의 결합오목부(107, 107, …)에 대응하도록 하여 상기 풀림 회전기어(45)의 회전구동부(91)에 삽입시킨다. 이것에 의해 되감기 버튼(101)의 걸림클로(106, 106)가 회전구동부(91)의 결합 플랜지(108)에 대하여 직경방향 내측으로 탄성변형하여 축방향으로 통과한 후, 그 탄성복귀에 의해 결합 플랜지(108)에 빠짐방지 결합된다(도 11(a)→도 11(b) 참조).
이것에 의해 테이프 코어(40)는 풀림 회전기어(45)의 결합돌기(100, 100, …)와, 되감기 버튼(101)의 축방향 결합부(105, 105, …)에 의해 축방향 양측에서 끼워 잡는 형상으로 지지됨과 아울어, 동시에 상기 회전구동부(91)와 되감기 버튼(101)의 축방향 결합력에 의해 풀림 회전기어(45)의 결합돌기(100, 100, …)가 상기 테이프 코어(40)의 축방향 끝면(40a)에 소정의 압압력으로써 회전방향에 탄력적으로 마찰결합된다.
즉, 상기 클러치기구(50)의 동력전달은 상기 테이프 코어(40)의 축방향 끝면(40a)과 풀림 회전기어(45)의 결합돌기(100, 100, …) 사이에 작용하는 스러스 트 하중에 의한 마찰결합력이 이용되는 바, 이 마찰결합력은 회전구동부(91)와의 되감기 버튼(101)의 축방향의 결합 치수관계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으로 최적값으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풀림 회전기어(45)의 결합돌기(100, 100, …)의 스프링정수(spring constant)와 탄성변형량을 고려하여 되감기 버튼(101)의 축방향 결합부(105) 및 걸림클로(106)에 의한, 테이프 코어(40)와 풀림 회전기어(45)의 상대적인 축방향 위치관계를 적절히 조정하여, 결합돌기(100, 100, …)와 테이프 코어(40)의 축방향 끝면(40a)과의 마찰결합력을 최적치로 설정한다.
테이프 카트리지(C)를 조립할 때에는, 우선 상기와 같이 구성된 풀림릴(3), 풀림 회전기어(45) 및 되감기 버튼(101)의 유닛부품(도 10 참조)을,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방향에 일체적으로 조립하여 유닛화 한다. 계속하여 이와 같이 유닛화 된 조립품(3, 45, 101)과 권취릴(4)을 지지본체(15)의 축받이부(25, 26)에 각각 전술한 요령으로 부착한다. 마지막으로, 풀림릴(3)에서 풀려나오는 도막 전사 테이프(T)를 전술한 바와 같이 도막 전사용 헤드(H)의 주위를 따라서 세팅한 후, 그 선단부를 권취릴(4)로 권회 가능하게 접속하여 테이프 카트리지(C)를 완성한다.
또, 되감기 버튼(10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의 캡체(6)에 형성된 상기 개구(14)를 통하여 케이스(2)의 외부로 향함과 아울어, 케이스(2)의 표면 즉, 파지면(2a)과 거의 같거나 또는 낮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2 참조). 되감기 버튼(101)의 바깥쪽 끝면 결국 외표면(101b)에는 직선상의 조작홈(101c)이 되감 기 회전조작용의 회전조작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조작홈(101c)에 경화 등의 판상 조작부재가 걸거나 벗길 수 있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상과 같이 구성된 테이프 카트리지(C)는 손가락으로 잡아서 풀림 회전기어(45)를 케이스본체(5)의 회전지축(12)에 장착된 권취 회전기어(46)에 맞물리게 하면서, 풀림 회전기어(45)의 회전축부(91)와 권취릴(4)의 테이프 코어(41)를 각각 케이스본체(5)의 회전지축(11)과 권취 회전기어(46)의 회전축부(46a)에 상측에서 결합시키면, 이것가 동시에 도막 전사용 헤드(H)가 케이스본체(5)의 헤드 유지부인 삽입홈(10a)에 위치결정 삽입되어서 원터치로 세트된다.
이 때, 지지본체(15)의 위치결정 결합부(38, 38, …)가 케이스본체(5)의 위치결정 결합부(37, 37, …)에 각각 동시에 결합된다. 이 지지본체(15)의 위치결정 장착상태에서 지지본체(15)는 회전지축(11, 12)와 협동하여 풀림릴(3) 및 권취릴(4)을 양쪽잡이 형상으로 회전지지하게 된다.
한편, 지지본체(15)를 손가락으로 잡고 그대로 상측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풀림 회전기어(45), 테이프 코어(41) 및 도막 전사용 헤드(H)는 각각 회전지축(11), 권취 회전기어(46)의 회전축부(46a) 및 삽입홈(10a)에서 원터치로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테이프 카트리지(C)가 케이스본체(5)에 장착된 상태에서 캡체(6)를 케이스본체(5)에 대하여 전술한 요령으로 요동 폐지하여 덮개를 덮음으로써 도막 전사구(1)가 완성된다. 이 경우, 상기 되감기 버튼(101)이 캡체(6)의 개 구(14)를 통하여 외부로 향함과 아울어 도막 전사용 헤드(H)가 헤드 삽입부(10)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이 경우, 도막 전사용 헤드(H)는 회전조작부(62)의 조작레버(70)가 조작안내부(72)에 의해 규정되는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그 헤드 축심 주위로 회전할 수 있어, 용도에 따라서 또는 사용자의 잡는 법에 대응하여 도막 전사용 헤드(H)의 자세를 최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막 전사구(1)에 의해 오자 등을 수정하는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른손잡이인가 왼손잡이인가를 묻지 않고, 조작레버(70)를 목적에 따라서 회전조작하여 최적인 도막 전사용 헤드(H)의 헤드본체(60)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대표적으로는 도 8(a)에 나타낸 제1규제위치(A), 도 8(b)에 나타낸 제2규제위치(B), 도 8(c)에 나타낸 제3규제위치(C))를 선택 설정함과 아울어, 그 자세에 대응한 케이스(2)의 파지면(기본적인 파지면은 케이스(2)의 표리면(2a, 2b)이지만 목적에 따라서 파지면은 케이스(2)의 적절한 장소 또는 면이 담당하게 된다)을 손가락으로 끼워 잡아서 사용함으로써, 예컨대 도 12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용방법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어떠한 사용방법에 있어서도 케이스(2)의 파지면을 손가락으로 필기구를 잡는 자세로 끼워 잡고, 도막 전사용 헤드(H)의 선단 가압부(63)를 오자 등의 수정해야할 지면상의 피수정부분(피전사부)(110)의 개시단에 밀착형태로 눌러 덮어서, 그대로 케이스(2)를 지면 등에 따라서 이동시켜 피수정부분(110)의 종단(우단)에서 정지시킨다.
이상의 조작으로 상기 도막 전사용 헤드(H)를 가압부(63)에서의 도막 전사 테이프(T)의 수정도료층(백색)(111)이 상기 필름형상 기재(基材)로부터 박리되어 상기 피수정부분(110)상에 전사 피복된다. 이것에 의해 오자 등이 지워짐과 아울어 그 위에서 바른 문자를 즉시 써넣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막 전사용 헤드(H)의 헤드본체(60)는 조작레버(70)에 의해 일단 설정된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기준으로 하면서도 그 축심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문자배열 등의 직선적인 부분 뿐만 아니라 예컨대 도 12(b), 도 14(b) 또는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형선 등의 곡선적인 부분에 대해서 그곡선에 충실하게 따른 수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막 전사구(1) 내부의 기구동작에 착안하여 본 경우, 상기와 같은 도막 전사용 헤드(H)의 가압조작으로 도막 전사 테이프(T)에 가해지는 인장력(도 4의 화살부호 X방향)이 풀림릴(3)에 회전토크로서 작용하면, 이 풀림릴(3)의 테이프 코어(40), 또한 클러치기구(50)를 통하여 풀림 회전기어(45)가 회전한다. 이 회전력은 테이프 연동부(D)에 의해 권취 회전기어(46), 또한 이것과 회전방향으로 일체의 권취릴(4)을 연동하여 회전시키고, 사용후의 도막 전사 테이프(T')를 자동적으로 되감는다.
이 경우, 풀림 회전기어(45)와 권취 회전기어(46)의 회전비(테이프 연동부(D)의 기어비에 대응)가 항상 일정한데 대하여, 풀림릴(3)에서의 도막 전사 테이프(T)의 외경과, 권취릴(4)에서의 도막 전사 테이프(T')의 외경의 비는 경시적으로 변화되어 일정하지 않다. 결국, 사용에 따라서 풀림릴(3)에서의 도막 전사 테 이프(T)의 외경은 차츰 작아지게 되는데 대하여, 권취릴(4)에서의 도막 전사 테이프(T')의 외경은 역으로 커져 간다.
이 때문에 권취릴(4)의 권취 속도는 풀림릴(3)의 풀림 속도에 비교하여 경시적으로 느리게 되어가고, 이들 양 속도의 동기(同期)가 흩어져서 풀림릴(3)에 작용하는 회전토크도 차츰 커지게 된다. 그러면, 이 회전토크가 클러치기구(50)의 마찰력을 극복하여 테이프 코어(40)가 풀림 회전기어(45)에 대하여 미끄럼 회전하는 결과, 상기 양 릴(3, 4)간의 회전토크 차가 해소되어서 상기 풀림 속도가 권취 속도에 동기되게 되어 도막 전사 테이프(T)의 원활한 주행이 확보된다.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기구(50)에서의 동력전달은 상기 테이프 코어(40)와 풀림 회전기어(45)의 결합돌기(100, 100, …) 사이의 스러스트 하중에 의한 마찰력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클러치기구(50)의 구성은 구성부재(3, 45, 91) 상호간의 스러스트 방향의 관계 치수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상기 마찰력을 최적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에 의한 조작미스 등에 기인하여 풀림릴(3)과 권취릴(4) 사이에서의 도막 전사 테이프(T)에 느슨해짐을 발생한 경우, 되감기 버튼(101)을 케이스(2) 외부에서 되감기 방향으로 회전조작(도 4의 화살부호 Y방향으로의 회전)하여 도막 전사 테이프(T)의 느슨해짐을 해소 제거한다.
이 경우, 되감기 버튼(101)에 가해지는 되감기 방향(Y)의 회전력은 축방향 결합부와 겸용인 회전 결합부(105, 105, …)를 통하여 테이프 코어(40)로 직접 전달되어, 테이프 코어(40)가 되감기 방향(Y)으로 회전한다. 한편, 역회전방지기구(95)에 의한 역회전 저지력과 클러치기구(50)의 미끄럼 작용에 의해 테이프 연동부(D)의 회전기어(45, 46) 또는 권취릴(4)의 테이프 코어(41)는 정지상태에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양 릴(3, 4) 사이에 있어서의 도막 전사 테이프(T)의 느슨해짐이 해소 제거되게 된다.
또한, 도막 전사구(1)의 사용으로 풀림릴(3)에 감아서 장착되어 있던 도막 전사 테이프(T)가 사용완료 테이프(T')로서 권취릴(4)에 모두 당겨감아 회수되면, 테이프 카트리지(C) 전체가 새로운 테이프 카트리지와 교환되게 되지만, 그 교환작업은 원터치로 행할 수 있다.
즉, 테이프 카트리지(C)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본체(15)가 케이스(2)의 회전지축(11, 12)에 축지지되는 상기 양 릴(3, 4)의 회전축(31, 32)의 반대측 끝부분(31a, 32a)을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구성으로 됨과 아울어, 도막 전사 테이프(T)의 도막 전사 헤드(H)에 대한 세팅도 이미 제품단계에서 완료되어 있다.
이때문에 사용자는 지지본체(15)를 끼워 잡고 상기 양 릴(3, 4)의 회전축(31)(구체적으로는 풀림 회전기어(45)의 회전축부(91))과 회전축(32)(구체적으로는 테이프 코어(41))을 케이스(2)의 회전지축(11)과 회전지축(12)(구체적으로는 권취 회전기어(46)의 회전축부(46a))에 상측에서 결합시킴과 아울어, 도막 전사 헤드(H)를 케이스(2)의 선단부 소정위치 결국 삽입홈(10a)에 위치결정 배치하면서(이 위치결정 동작은 위치결정수단 위치(37, 38)에 의해 용이), 테이프 카트리지(C)를 케이스(2) 내에 떨어뜨려 넣는 것 만으로 교환작업이 완료된다.
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막 전사구(1)에 있어서는, 테이프 카트리지(C)의 지지본체(15)가 도막 전사구(1) 케이스(2)의 회전지축(11, 12)에 떼어낼 수 있도록, 또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는 풀림릴(3)과 권취릴(4)의 회전축(31, 32)의 반대측 끝부분(31a, 32a)을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지지기판(20)을 구비하고, 이 지지기판(20)이 상기 케이스(2)의 내측면 윤곽에 대응한 외형윤곽을 갖는 평판형상의 골조구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의 플라스틱제 용품에 비교하여 지지본체(15) 자체의 장치전체에 차지하는 재료사용량의 비율이 대폭으로 절감된다.
제2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도 16에 표시되어 있고, 도막 전사용 헤드(H)의 구체적 구조가 고쳐서 바뀌어진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도막 전사용 헤드(H)에 있어서는 헤드본체(60)를 그 축심 주위로 무단계로 위치결정 유지하는 위치결정수단(1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위치결정수단(120)은 구체적으로는 헤드 유지부(61)의 피축받이부(65)에 설치된 상기 조작레버(70)와, 축받이부(66)에 설치된 상기 삽입부(71)로 구성되어 있다.
이 삽입부(71)는 상기 조작레버(70)와 그 양측에서 끼워 잡는 형상으로 또한 탄력적으로 결합하는 폭 치수로 설정되어 있고, 조작레버(70)의 위치결정 결합부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됨으로써 도막 전사용 헤드(H)의 헤드본체(60)는 조작레버(70)에 의해 자유롭게 선택 설정된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사용중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고정력으로써 안정되게 유지되게 된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형태와 같다.
제3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도 17에 표시되어 있고, 도막 전사용 헤드(H)의 구체적 구조가 고쳐서 바뀌어진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도막전사용 헤드(H)에 있어서는 헤드본체(60)를 그 축심 주위로 복수단계로 위치결정 유지하는 위치결정수단(12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위치결정수단(121)은 구체적으로는 제2실시형태의 경우와 같고, 피축받이부(65)에 설치된 조작레버(70)와 축받이부(66)에 설치된 삽입부(71)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 결합부로서 기능하는 삽입부(71)는 제2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조작레버(70)와 그 양측에서 끼워 잡는 형상으로 또한 탄력적으로 결합하는 폭 치수로 설정됨과 아울어, 또한 그 길이방향의 소정위치에 조작레버(70)를 위치결정 수용하는 위치결정 오목부(71a, 71a, …)가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됨으로써 도막 전사용 헤드(H)의 헤드본체(60)는 조작레버(70)에 의해 단계적으로 선택 설정된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사용중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고정력으로써 안정되게 유지되게 된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형태와 같다.
제4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도 18 및 도 19에 표시되어 있고, 도막 전사용 헤드(H)의 구 체적 구조가 고쳐서 바뀌어진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도막 전사용 헤드(H)에 있어서는 제3실시형태와 같이, 헤드본체(60)를 그 축심 주위로 복수단계로 위치결정 유지하는 위치결정수단(12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위치결정수단(122)은 피축받이부(65)의 원통 외주면에 설치된 결합볼록부(122a)와, 축받이부(66)의 원통 내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또한 상기 결합볼록부(122a)와 대응하여 설치된 결합오목부(122b, 122b, …)로 이루어지고, 이들 결합볼록부(122a)와 결합오목부(122b, 122b, …)의 어느 하나가 탄력적으로 위치결정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됨으로써 도막 전사용 헤드(H)의 헤드본체(60)는 제4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조작레버(70)에 의해 단계적으로 선택 설정된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사용중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고정력을 가지고 안정되게 유지되게 된다.
또한 결합볼록부(122a)와 결합오목부(122b, 122b, …)의 구조적 관계는 도시의 경우와 역으로 되어도 좋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형태와 같다.
제5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도 20에 표시되어 있고, 조작레버(70)의 형상이 제1실시형태의 경우와 약간 바뀐 것이다.
즉,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레버(70)의 조작손잡이(70a)가 편평한 원판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형태와 같다.
제6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도 21에 표시되어 있고, 도막 전사용 헤드(H)의 구체적 구조가 약간 바뀐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축받이부(65)에 있어서의 세팅 개구(65a)의 개설위치가 제1실시형태의 경우와 180°회전한 위치에 설정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조작레버(70)와 조작안내부(72)에 의해 규정된 회전범위 내(도 21의 (a)에서 (b)까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피축받이부(65)와 축받이부(66)가 언제나 원통면접촉 관계로써 슬라이딩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게 된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형태와 같다.
제7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도 22 및 도 23에 표시되어 있고, 도막 전사용 헤드(H)의 부착장소가 바뀐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케이스(2)의 선단부에 도막 전사용 헤드(H)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 도막 전사용 헤드(H)의 구체적 구성은 그 부착장소를 제외하고 제1실시형태와 완전히 같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형태와 같다.
상술한 제1실시형태 내지 7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개변(改變)이 가능하다.
(1) 테이프 카트리지(C)의 구성부품, 예컨대 지지본체(15)의 특히 지지기판(20)이나 도막 전사용 헤드(H)의 구체적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소기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는 한, 도시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2) 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풀림릴(3)측에 클러치기구(50)가 설치되어 있지만, 목적에 따라서 권취릴(4)측에 설치되어도 좋고, 또한 양 릴(3, 4)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클러치기구가 양 릴(3, 4)에 설치되면, 상기 테이프 되감기기구에 의한 되감기 조작의 때에 도막 전사 테이프(T)에 과도한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3) 도시의 도막 전사구에서의 도막 전사 테이프(T)의 수정도료층을 대신하여 투명형광색을 이루는 도료층을 이용함으로써 이 도료층을 도막 처리한 장소를 시각적으로 눈에 띄게 하는 이른바 마커 도막 전사구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4) 도막 전사 테이프(T)로서 필름형상 기재의 한쪽면에 박리제층을 통하여 점착제가 형성된 구조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도막 전사구를 점착제층만이 지면 등에 전사되는 접착구로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5) 도시의 실시형태는 모두 도막 전사 테이프의 교환이 가능한 리필타입의 도막 전사구이지만, 본 발명은 이 외에 도막 전사 테이프의 교환이 불가능한 일회형의 도막 전사구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가 도막 전사 테이프를 가압 전사하는 헤드본체와, 이 헤드본체를 그 축심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헤드 유지부와, 상기 헤드본체의 회전방향 위치를 위치결정 조작하는 회전조작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 회전조작부는 상기 헤드본체의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나타내는 헤드자세 표시부를 겸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하와 같은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헤드본체는 회전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그 회전방향 위치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용도에 따른, 또는 사용자의 잡는 법에 대응한 최적의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취할 수 있다. 이것에는 본 발명의 도막 전사구가 헤드본체 구성으로서 오른손잡이 사람에 대응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왼손잡이 사람이 자기의 잡는 법에 대응하여, 게다가 오른손잡이 사람과 비교하여 어떤 손색도 없이 헤드의 자세를 최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조작부는 헤드본체의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나타내는 헤드 자세 표시부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직접적이고, 또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오조작하는 일이 없다.

Claims (12)

  1. 도막 전사구의 선단부분에 설치되어 도막 전사 테이프를 피전사부상에 가압하는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로서,
    도막 전사 테이프를 가압 전사하는 헤드본체와, 이 헤드본체를 그 축심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헤드 유지부와, 상기 헤드본체의 회전방향 위치를 위치결정 조작하는 회전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작부는, 헤드본체에 대한 회전방향 설치위치가 상기 헤드본체의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나타내는 조작레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 조작레버는 도막 전사구의 케이스에 뚫어 설치된 슬릿형상의 조작안내부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형상으로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상의 조작안내부는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방향 조작범위를 규제하고, 상기 헤드본체의 테이프 가압 전사자세를 제어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지부는 상기 헤드본체와 동심상으로 또한 일체적으로 설치된 원통형상의 피축받이부와, 도막 전사구 본체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피축받이부를 슬라이딩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원통형상의 축받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축받이부는 그 일부에 상기 헤드본체로의 도막 전사 테이프의 세팅 개구를 갖는 단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본체를 그 축심 주위로 무단계로 위치결정 유지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본체를 그 축심 주위로 무단계로 위치결정 유지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고,
    이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피축받이부에 설치된 상기 조작레버와, 상기 원통축받이부에 상기 슬릿형상의 조작안내부와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조작레버와 끼워 잡는 형상으로 또한 슬릿의 가장자리부분이 탄성변형되어 결합하는 슬릿형상의 위치결정 결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본체를 그 축심 주위로 복수단계로 위치결정 유지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본체를 그 축심 주위로 복수단계로 위치결정 유지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고,
    이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피축받이부에 설치된 상기 조작레버와, 상기 원통축받이부에 상기 슬릿형상의 조작안내부와 대응하여 설치된 슬릿형상의 위치결정 결합부로 구성되고,
    이 위치결정 결합부는 상기 조작레버와 끼워 잡는 형상으로 또한 슬릿의 가장자리부분이 탄성변형되어 결합하는 폭 치수를 가짐과 아울러, 그 길이방향의 소정위치에 상기 조작레버를 위치결정 수용하는 위치결정 오목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본체를 그 축심 주위로 복수단계로 위치결정 유지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고,
    이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피축받이부의 원통 외주면 또는 상기 원통축받이부의 원통 내주면에 설치된 결합볼록부와, 상기 원통축받이부의 원통 내주면 또는 상기 피축받이부의 원통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또한 상기 결합볼록부와 대응하여 설치된 결합오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축받이부와 원통축받이부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직경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결합볼록부와 결합오목부가 위치결정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
  11. 한손에 의한 파지 조작가능한 케이스 내에, 도막 전사 테이프를 감아서 장착한 회전가능한 풀림릴과, 사용후의 도막 전사 테이프를 회수하는 회전가능한 권취릴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테이프 카트리지를 떼어낼 수 있게 구비하여, 도막 전사 테이프의 교환이 가능한 리필타입의 도막 전사구로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선단부에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구.
  12. 한손에 의한 파지 조작가능한 케이스 내에, 도막 전사 테이프를 감아서 장착한 풀림릴과 사용후의 도막 전사 테이프를 회수하는 권취릴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일회형의 도막 전사구로서,
    상기 케이스의 선단부에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구.
KR1020000037933A 1999-07-06 2000-07-04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 및 도막 전사구 KR100729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92409 1999-07-06
JP11192409A JP2001018587A (ja) 1999-07-06 1999-07-06 塗膜転写用ヘッド装置および塗膜転写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156A KR20010015156A (ko) 2001-02-26
KR100729578B1 true KR100729578B1 (ko) 2007-06-18

Family

ID=16290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7933A KR100729578B1 (ko) 1999-07-06 2000-07-04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 및 도막 전사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830089B1 (ko)
EP (1) EP1067076B1 (ko)
JP (1) JP2001018587A (ko)
KR (1) KR100729578B1 (ko)
CN (1) CN1152814C (ko)
AU (1) AU4267300A (ko)
CA (1) CA2313598A1 (ko)
DE (1) DE60007586T2 (ko)
ES (1) ES2211452T3 (ko)
HK (1) HK1033661A1 (ko)
TW (1) TW45395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800B1 (ko) 2011-09-19 2013-03-18 (주)세줄 수정테이프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517A (ja) * 2001-02-07 2002-08-20 Seed:Kk マーク転写具およびマーク転写テープ
JP4620270B2 (ja) * 2001-03-14 2011-01-26 株式会社シード マーク転写具およびマーク転写テープ
JP2002337830A (ja) * 2001-05-18 2002-11-27 Seed:Kk マーク転写具およびマーク転写テープ
DE10118828B4 (de) * 2001-04-17 2008-10-16 Henkel Ag & Co. Kgaa Kassettengerät
JP2002337831A (ja) * 2001-05-21 2002-11-27 Seed:Kk マーク転写具およびマーク転写テープ
JP2002348029A (ja) * 2001-05-21 2002-12-04 Seed:Kk マーク転写具およびマーク転写テープ
JP2004074470A (ja) * 2002-08-12 2004-03-11 Fujicopian Co Ltd 筆記具一体式塗膜転写具
JP4505784B2 (ja) * 2003-10-16 2010-07-21 株式会社シード 転写具および転写膜除去材
JP5005561B2 (ja) * 2008-01-18 2012-08-22 プラス株式会社 塗膜転写具
JP2011110786A (ja) * 2009-11-26 2011-06-09 Plus Corp 塗布膜転写具
JP5350997B2 (ja) * 2009-11-26 2013-11-27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JP5528843B2 (ja) * 2010-02-12 2014-06-25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US8397784B2 (en) 2010-08-31 2013-03-19 Sanford, L.P.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578999B2 (en) 2010-12-29 2013-11-12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746313B2 (en) 2010-12-29 2014-06-10 Sanford, L.P. Correction tape re-tensioning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comprising same
US8746316B2 (en) 2011-12-30 2014-06-10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JP5936899B2 (ja) * 2012-04-03 2016-06-22 ゼネラル株式会社 転写具
US10087032B2 (en) * 2014-09-01 2018-10-02 Fujicopian Co., Ltd. Coating film transfer tool
JP6499008B2 (ja) * 2015-05-12 2019-04-10 プラス株式会社 塗膜転写具
US10384900B2 (en) * 2017-05-24 2019-08-20 Sandar Industries, Inc. Dispens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for laminating and dispensing transfer tape in a paper web turn-up system
US10442648B2 (en) * 2017-05-24 2019-10-15 Sandar Industries, Inc. Dispens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for laminating and dispensing transfer tape in a paper web turn-up system
JP6898642B2 (ja) * 2017-08-01 2021-07-07 プラス株式会社 塗膜転写具
USD880586S1 (en) * 2017-12-21 2020-04-07 Tombow Pencil Co., Ltd. Correction tape dispenser
TWI798134B (zh) * 2021-08-31 2023-04-01 昶邑國際有限公司 便於更換填充帶之薄膜塗抹器改良
WO2024047757A1 (ja) * 2022-08-30 2024-03-07 プラス株式会社 収容物送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56308A1 (en) * 1993-12-03 1995-06-07 Seed Rubber Company Ltd. Coating film transfer tool
US5792263A (en) * 1995-11-01 1998-08-11 Seed Rubber Company, Ltd. Tape cartridge for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coating film transfer tool containing the cartridg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4208B2 (ko) * 1972-03-03 1979-10-25
US3889310A (en) * 1973-11-23 1975-06-17 Victor Barouh Typewriter correction device employing an adhesive ribbon
DE4324383A1 (de) * 1993-07-21 1995-01-26 Erfurt Umformtechnik Gmbh Vorrichtung zur Verstellung der Vorschublängsbewegung der Tragschienen einer Transferpresse
US5904806A (en) * 1994-10-18 1999-05-18 Tapelicator, Inc. Tape dispensing applicator and replaceable tape cartridge
NL1008130C2 (nl) * 1998-01-27 1999-07-28 Henkel Kgaa Materiaaloverdrachtsinrichting met zwenkbaar overdrachtsorgaa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56308A1 (en) * 1993-12-03 1995-06-07 Seed Rubber Company Ltd. Coating film transfer tool
US5792263A (en) * 1995-11-01 1998-08-11 Seed Rubber Company, Ltd. Tape cartridge for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coating film transfer tool containing the cartrid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800B1 (ko) 2011-09-19 2013-03-18 (주)세줄 수정테이프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30089B1 (en) 2004-12-14
CN1152814C (zh) 2004-06-09
EP1067076A2 (en) 2001-01-10
AU4267300A (en) 2001-01-11
DE60007586D1 (de) 2004-02-12
EP1067076A3 (en) 2002-01-02
CA2313598A1 (en) 2001-01-06
EP1067076B1 (en) 2004-01-07
JP2001018587A (ja) 2001-01-23
KR20010015156A (ko) 2001-02-26
TW453954B (en) 2001-09-11
HK1033661A1 (en) 2001-09-14
ES2211452T3 (es) 2004-07-16
DE60007586T2 (de) 2004-09-30
CN1279205A (zh) 2001-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9578B1 (ko) 도막 전사용 헤드장치 및 도막 전사구
KR100799226B1 (ko) 도막 전사구용 테이프 카트리지 및 도막 전사구
US6062286A (en) Clutch mechanism of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US5792263A (en) Tape cartridge for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coating film transfer tool containing the cartridge
EP0644145B1 (en) Coating film transfer tool
JP2829699B2 (ja) 塗膜転写具
KR20000011574A (ko) 도포막전사구용테이프카트리지및도포막전사구
US6599363B2 (en)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method for replacing coating film transfer tapes
CA2164757A1 (en) Tape cartridge for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coating film transfer tool
US6227274B1 (en) Tape cartridge for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EP0717000A2 (en) Tape cartridge for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coating film transfer tool
KR100228008B1 (ko) 도막전사구의 클러치기구 및 도막전사구
JP3071759B2 (ja) 塗膜転写具
AU745383B2 (en) Tape cartridge for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coating film transfer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