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638A -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638A
KR19990029638A KR1019980037044A KR19980037044A KR19990029638A KR 19990029638 A KR19990029638 A KR 19990029638A KR 1019980037044 A KR1019980037044 A KR 1019980037044A KR 19980037044 A KR19980037044 A KR 19980037044A KR 19990029638 A KR19990029638 A KR 19990029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photosensitive member
process cartridge
cleaner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0130B1 (ko
Inventor
유타로우 카키타니
켄타로 마츠모토
히로유키 나가시마
키요노리 츄다
이용석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19990029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03G21/1832Shielding members, shutter, e.g. light, heat shielding, prevention of toner scatte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28Clamshell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0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03G2221/1609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protective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am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감광체상의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는 현상기와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한 토너를 회수하는 크리너중 최소하나를 갖고,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탑재되는 카트리지 본체, 및
감광체의 원주면의 하부아래부위 및, 현상기와 감광체 사이의 경계와 감광체와 크리너사이의 경계중 최소하나의 하부아래부위를 포함하는 커버부위를 덮는 셔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상기 셔터는 상기 커버부위와 상기 현상기 혹은 크리너아래의 사이딩 부위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셔터이동시 셔터가 수용한 토너가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 장치용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체 원주표면 하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감광체 사이의 경계면 밑부분을 덮는 셔터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법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는 감광체상에 형성된 잠상을 토너로서 현상하는 현상기와 감광체의 표면에 남아 있는 토너를 제거하는 크리너 같은 화상형성 요소가 패키지로 된 소위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장치가 알려져있다.
이같은 장치에서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본체에 자유롭게 삽입 부착되고 수리를 위해 쉽게 제거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몇몇 프로세스 카트리지에는 걸린 용지를 제거하기 위해 감광체를 주위요소들과 분리시킬 때 감광체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감광체의 원주면 하부를 덮는 셔터가 제공되어 있다.
다른 셔터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치로부터 제거할 때 현상기 및/또는 크리너로부터 떨어지는 토너를 받기위해 감광체의 원주면의 하부 이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감광체 사이의 경계면 하부부위를 덮는다.
이같은 형태의 셔터는 감광체의 축에 평행인 회전축 주위로 회전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셔터가 감광체의 원주면 하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감광체 사이의 경계면 하부부위를 덮는 위치로 혹은 그 위치로부터 이동될 때, 상기 셔터는 감광체의 원주면을 따라 크게 기울어져서 셔터가 받은 토너가 셔터로부터 낙하하여 주위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일예로서 복사기의 외관을 예시한 개략도
도 2는 화상형성장치의 지지프레임에 삽입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우측면도
도 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6은 지지프레임의 평면도이며,
도 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하로 변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화상형성장치 본체
3 : 하부본체
4 : 상부본체
8 :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 감광체
24 : 카트리지 본체
25 : 현상기
26 : 크리너
49 : 셔터
50 : 안내수단
55 : 셔터 개폐기구
61 : 개폐부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감광체상의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는 현상기와 감광체 표면에 남아있는 토너를 제거하는 크리너중 최소하나를 갖고 화상형성 장치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카트리지 본체, 및 감광체의 원주면 하부아래부위 및, 감광체와 현상기 사이의 경계면과 감광체와 크리너사이의 경계면중 최소하나의 하부 아래부위, 를 포함한 커버영역을 덮는 셔터, 를 포함하는 화상형성 장치용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셔터가 상기 커버영역과 현상기 또는 크리너 아래의 사이딩(siding) 부위 사이를 거의 수평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셔터가 이동시 셔터가 받은 토너가 셔터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상기 셔터가 상기 커버부위와 사이딩부위 사이를 수평으로 이동하게 안내하는 가이드(안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따라 셔터이동시 셔터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셔터로 부터 토너가 낙하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셔터의 상부면은 그 폭방향 중심부에 오목면을 형성하도록 셔터의 세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다. 셔터가 수용한 토너는 이 오목면으로 인해 셔터의 폭방향 중심으로 가게되고 이에 따라 셔터로 부터 토너낙하가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나아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탑재된 개폐부재와 협력하여 커버부위와 사이딩 부위간에서 셔터를 움직이는 셔터 개폐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으로 상기 셔터는 커버부위와 사이딩 부위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감광체상의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는 현상기와 감광체의 표면에 남아있는 토너를 제거하는 크리너중 최소 하나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본체와,
감광체의 원주면의 하부아래부위와, 감광체와 현상기 사이의 경계 및 감광체와 크리너사이의 경계중 최소하나의 하부 아래부위,를 포함하는 커버부위를 덮는 셔터, 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나아가 상기 셔터를 상기 커버부위 및, 상기 현상기나 크리너와 셔터 개폐기구 아래의 사이딩부위 사이에서 거의 수평상태로 이동하게 셔터를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포함하여 셔터를 가이드가 안내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나아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이탈가능한 방법으로 지지하는 상부본체와 그 상부본체 아래에 위치한 하부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본체는, 상부본체의 연결면에 반대인 다른면에서 상부본체와 하부본체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폐쇄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부본체의 일측면에서 하부본체에 연결되어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나아가 하부본체에 상부본체의 상하운동과 협력하여 셔터 개페기구를 움직이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셔터는 화상형성장치의 상부본체의 상하이동에 의해 커버부위와 사이딩 부위사이에서 이동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예로서 복사기의 외관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화상형성장치 1의 본체 2는 상부본체 4와 하부본체 3을 포함한다. 상부본체 4는 하부본체 4의 일측에서 힌지 4에 의해 하부본체 3에 연결되어 있어, 상부본체 4의 힌지면에 반대인 다른 면에서 상부본체 4와 하부본체 3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닫도록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되어있다.
상기 상부본체 4는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스캐너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스캐너의 접촉유리상에 재치된 원고를 압압하기 위한 플라텐 유리 5가 개폐 자유로 상부본체 4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상부 본체 4는, 자유롭게 수축 및 신장하고 하부본체 3에 부착되어있는 로드에 의해 힌지면에 반대인 하부본체의 다른면에서 그 저부에 지지된다. 상부본체 4에는 지지프레임 7이 제공되며 이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이 그로부터 자유롭게 이탈되게 지지된다.
다음에 지지프레임 7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의 구성을 도 2 내지 6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이 지지프레임 7에 삽입부착시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의 단면도이며 도 3은 평면도이다. 도 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의 우측면도이고 도 5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지지프레임 7의 평면도이다.
지지프레임 7은 정면측 플레이트 9 및 배면측 플레이트 10을 포함하며, 이들은 2개의 안내레일 11과 12에 의해 서로서로 연결되어 있다. 기어 13으로 감광체 14의 배면측단을 지지하기 위해 배면측 플레이트 10에는 지지축 15가 제공되어 감광체 14가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되어있다.
정면측 플레이트에는 감광체 14의 정면측단에 형성된 원통형축 16을 느슨하게 끼우도록 원형공 17이 형성되어 있다.
감광체 14의 정면측단과 원통형 축 16주위의 정면플레이트 9 사이에는 스프링이 재치되어 있다.
감광체 14는 먼저 그 배면측단이 지지축 15로부터 이탈되도록 스프링 18의 압압력을 저지하면서 정면플레이트 9를 향해 이동된 다음 경사되면서 배면플레이트 10을 향해 이동됨으로써 지지프레임 7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나아가 후술되는 현상롤러의 배면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제 1 결합부와 이탈 및 회전가능한 방법으로 맞물림되는 제 1 위치설정부(positioning part) 19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의 끝단표면과 맞물리는 위치설정핀 20과 21이 상기 배면 플레이트 10에 제공된다.
감광체 14의 축중심을 결정하는 지지축 15와 제 1 위치설정부 19는 동일한 배면플레이트 10상에 재치되기 때문에 이들의 상대위치는 정확히 설정된다.
제 2 위치설정부 22로서 원뿔(cone)형태의 구멍이 감광체 14의 정면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감광체 14와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 13의 회전을 후술하는 크리너 회수(제거)롤러로 전달하는 2-단계 기어 23은 위치설정핀 2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정면 플레이트 9와 배면 플레이트 10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대전기가 지지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은 현상기 25와 크리너 26이 조립되는 카트리지 본체 24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본체 24는 현상기 25의 정면끝단과 크리너 26이 고정되는 카트리지 본체 정면 플레이트 27과 현상기 25의 배면단과 크리너 26이 고정되는 카트리지 본체 배면플레이트 28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은 나아가 그 양측면에 안내 리브 29 및 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리브 29는 크리너 26의 토너회수 케이스 31과 일체로 형성되고, 안내리브 30은 현상기 25의 토너케이스 32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안내리브 29와 30은 카트리지 본체 정면 플레이트 27 및 카트리지 본체 배면플레이트 28과 각각 일체로 형성하거나 각각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할 수 있다.
현상기 2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에 2성분계 현상제의 토너를 함유하는 토너케이스 32와 2 성분계 현상제의 케리어를 함유한 케리어 용기 33, 토너케이스 32내의 토너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 34, 현상롤러 35 및 현상롤러 35상의 토너두께를 제한하기 위한 토너브레이드 35a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본체 배면 플레이트 28의 측면에 있는 현상롤러 35의 끝에는 제 1 위치 설정부 19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고 이탈가능하게 맞물린 제 1 원통형 맞물림부 36이 고정되어 있다.
기어 37은 상기 제 1 맞물림부 36과 고정 맞물리며 상부본체 4에 구동되게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전달기어와 맞물려있다. 상부본체 4에 제공된 전달기어와 감광체 14의 기어 13은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도시되지 않은 기어와 맞물리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덧붙여서 카트리지 본체 정면플레이트 27에는 감광체 14의 끝표면에서 제 2 위치설정부 22와 자유롭게 이탈 및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는 원통형 제 2 맞물림부 38 (도6)이 스탠딩 방식으로 제공되어 있다.
크리너 26은 토너회수용기 31에 제공된 회수롤러 39, 토너회수용기 31의 상부에 제공되고 케이스 31에 의해 지지축 40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플레이트 41, 가동플레이트 41에 의해 지지되는 크리닝브레이드 42 및 크리닝브레이드 42에 의해 감광체 14를 긁어 수집한 토너를 받는 얇은 플레이트 43을 포함한다.
상기 가동 플레이트 41은 크리닝 브레이드 42를 감광체 14로부터 분리시키도록 도 2에서의 지지축 40주위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압압된다. 나아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가동플레이트 41을 압압하는 압압부재 44가 상부본체 4에 제공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이 지지프레임 7에 삽입될 때 크리닝 브레이드 42가 감광체 14와 탄성적으로 접촉되게 한다.
카트리지 본체 배면플레이트 28의 측면에 있는 토너회수롤러의 끝단부는 토너회수 케이스 31로부터 돌출되며, 그 돌출된 토너회수롤러 39의 끝단부와 기어 39a가 고정으로 맞물려있다.(도 3 및 5)
본 실시예에서 얇은 플레이트 43은 탄성적으로 굴곡될 수 있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되어있다.
프로세스카트리지 8의 양면에는 리브 29와 30이 상기한 바와같이 배열되어 있으며 리브 29와 30이 활주가능하게 탑재된 안내레일 11과 12가 상부본체 4의 지지프레임 7에 제공되어 있다. 4도에는, 현상기 25의 측면에 있는 안내리브 30과 안내레일 12만이 예시되어 있다.
안내레일 11과 12는 제 1 경사면 45와 함께 형성되며, 제 1 경사면은 안내레일 11과 12의 끝단부 부근에서 안내레일 11과 12의 상부면상에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의 삽입방향으로 본체 2의 배면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져있다.
안내리브 29와 30은 제 2 경사부 46을 갖는 돌출부 47과 함께 형성되며, 제 2 경사부 46은 안내리브 29와 30의 정면 끝단부 부근에서 안내리브 29와 30의 저면상에 본체 2의 배면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경사면 45와 함께 형성된 안내레일 11과 12, 및 제 2 경사면 46을 갖는 돌출부 47과 함께 형성된 안내리브 29와 30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을 상하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카트리지 변위기구 48이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을 지지프레임 7에 삽입하는 초기 및 중간단계에서는, 돌출부 47을 제외하고 안내레일 11과 12의 중간부의 평탄면에 의해 안내리브 29 및 30이 지지되며 이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은 감광체 14에 비해 낮은 위치에서 지지프레임 8내로 삽입된다.
이 낮은 위치 때문에, 현상기 25의 현상롤러 35와 크리너 26의 얇은 플레이트 43이 감광체 14를 침해하지 않는다.
나아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을 지지프레임 7내부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크리너 26의 얇은 플레이트 41은 스프링의 압압력으로 인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도2) 크리닝 브레이드 42가 감광체 14를 또한 침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감광체 1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을 지지프레임 7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결코 손상을 입지않게 되는 것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을 지지프레임 7내로 삽입하는 단계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의 삽입방향으로 안내리브 29와 30의 선단이 제 1 경사부 45에 의해 안내되고 이에따라 상부로 변위되며, 안내리브 29와 30의 정면 단에 있는 돌출부 47이 안내레일 11과 12의 상표면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은 현상기 25와 크리너 26과 함께 상향으로 변위된다.
이때 위치설정된 20과 21은 카트리지 본체 배면플레이트 28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구멍과 맞물리고, 제 1 맞물림부 36은 제 1 위치선정부 19와 그리고 제 2 맞물림부 38은 감광체 14의 제 2 위치선정부 22와 맞물리게 되어, 감광체 14에 대한 현상롤러 35의 위치가 정밀하게 설정되는 것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이 지지프레임 7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크리너 26의 가동플레이트 41이 회전된 압압부 44에 의해 압압되며, 이에 의해 크리닝브레이드 42와 감광체 14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덧붙여서, 도 2에 예시한 바와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8에는 감광체 14의 원주면의 하부 아래부위 및 감광체 14와 크리너 26 사이의 경계부 하부와 감광체 14와 현상기 25 사이의 경계부 하부 아래의 부위들을 포함하는 커버부위를 커버하는 셔터 49가 제공된다.
상기 셔터는 셔터 49의 상표면의 폭방향 중심부에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셔터 49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또한 카트리지 8의 본체 24에는 셔터를 상기 커버부위와 현상기 25 하부의 사이딩 부위 사이에서 본질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이동하게 안내하는 안내수단 50이 제공된다.
안내수단 50은 또한 셔터 49를 크리너 26 아래의 측면부위로 이동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카트리지 본체 정면 플레이트 27과 카트리지 본체 배면 플레이트 28에는 호형(arc-shaped) 요홈 51이 형성되며, 셔터 49의 양단에는 감광체 14의 축방향으로 핀 52가 요홈 51내에 삽입되어 크리너 26의 측면으로 형성된다.
셔터 49의 양단에는 감광체 14의 축방향으로 와이어 53이 통과된다. 와이어 53의 양단에는 카트리지 본체 정면 플레이트 27과 카트리지 본체 배면 플레이트 28을 따라 각각 신장하는 굴곡부 54가 형성된다.
카트리지 본체 배면 플레이트 28의 측면에 있는 굴곡부 54의 끝단은 카트리지 본체 배면 플레이트 28 혹은 현상기 25의 일부에 의해 지지되며, 카트리지 본체 정면 플레이트 27의 측면에 있는 굴곡부 54의 끝단은 카트리지 본체 정면 플레이트 27 혹은 현상기 25의 일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셔터 49는 굴곡부 54의 상단이 흔들림(진동)의 지렛대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와이어 53을 진동시킴으로서 본질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더욱이 카트리지 본체 정면 플레이트 27의 내표면에는 셔터 49를 이동시키는 셔터 개폐기구 55가 제공된다.
특히, 정면에서 굴곡부 54를 흔드는 진동레버 56은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압압되면서 카트리지 본체 정면측 플레이트 27의 내표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스윙레버 56과 접촉하는 중간레버 57은 카트리지 본체 정면측 플레이트 27의 내표면에 의해 지지축 58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중간레버 57을 지지하는 스토퍼 59는 카트리지 본체정면 플레이트 27에 형성된다.
도 2에 예시된 상태에서, 셔터 49는 커버부위를 커버한다. 만일 중간레버 57이 이 상태에서 지지축 58 주위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도면에서 상부방향)으로 회전되면, 진동레버 56은 와이어 53의 굴곡부 54를 현상기 25로 향해 밀면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의해 셔터 49는 감광체 14 아래 위치로부터 현상기 25 이내의 사이딩 부위까지 이동된다.
이하 중간레버 57을 시계방향으로 상부로 이동시키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부 본체 4는 전술한 바와같이 상하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하부본체 3에 연결되어있다. 따라서 지지프레임 7과 상부본체 4에 의해 지지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은 상부본체 4와 함께 상하로 변위된다. 도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이 상하로 변위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부호 60은 상부본체 4의 회전지지점을 나타낸다.
상부본체 4가 하부로 이동시 중간레버 57을 시계방향으로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개폐부재 61은 지지점 62를 통해 하부 본체 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있다.
개폐부재 61은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시계반대방향으로 압압된다. 상기 개폐부재 61에 대한 정지위치는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에 의해 설정된다.
따라서, 걸린 용지를 제거하거나 보수를 위해 본체 2를 개방하려고 상부본체 4를 상부로 이동시킬 때, 혹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을 지지프레임 7로 부터 제거할 때, 중간레버 57은 개폐부재 61로부터 릴리이스되고 진동레버 56으로 적용되지 않으며, 이는 와이어 53의 굴곡부를 밀고, 진동레버 56을 압압하기 위한 외부 힘은 셔터 49를 커버부위로부터 사이딩부위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결과 셔터 49는 현상기 25와 크리너 26사이의 커버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같이, 상부본체 4가 열리면, 토너가 현상기 25 및/또는 크리너로부터 낙하하더라도, 토너는 셔터 49에 의해 수용되고, 감광체 14의 하부 원주면이 셔터 49에 의해 보호된다. 나아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이 지지프레임 7로부터 제거될 때 현상기 및/또는 크리너로부터 토너가 낙하하더라도 그 토너는 셔터 49에 의해 수용되게 되는 것이다.
상부본체 4가 본체 2를 닫기 위해 하향으로 이동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은 하강하고 이에 따라 중간레버 57이 개폐부재 61에 의해 압압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의해 진동레버 56은 레버 56이 압압되는 방향과 반대인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와이어 53은 진동레버 56의 작용에 의해 현상기 25를 향해 당겨지고 이에 따라 셔터 49는 핀 52를 실질적으로 수평상태로 유지하면서 요홈 51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커버부위로부터 하부 감광체 아래의 사이딩부위로 이동된다.
즉, 본체 2가 폐쇄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이 화상형성 조건으로 설정되면, 셔터 49가 커버부위로부터 릴리이스되어 화상형성 동작을 방해하지 않게된다.
셔터 49가 커버부위로부터 사이딩부위로 완전히 릴리이스되면, 개폐부재 61은 시계방향(도면에서 하부)으로 거꾸로 이동되고 중간레버 57로부터의 반응 힘으로 인해 스프링의 압압력에 대항한다.
따라서 개폐부재 61과 중간레버 57은 서로서로 불필요하게 외부힘을 받지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셔터 49가 커버부위와 사이딩 부위사이를 움직일 때 셔터 49가 거의 수평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셔터 9가 수용한 토너가 셔터로부터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셔터 49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커버부위와 사이딩 부위를 이동하도록 셔터 49를 안내하는 안내수단 50을 제공함으로써 셔터가 커버부위와 사이딩 부위사이를 이동할 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 49의 상부면이 셔터 49의 폭방향 중심에서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셔터 49의 길이방향에 직각방향으로 굴곡되기 때문에, 셔터가 수용한 토너는 셔터의 폭방향 중심으로 가게되고 이에 따라 토너가 셔터 49로부터 낙하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이 현상기 25와 크리너 26을 포함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현상기 25나 크리너 27중 어느 것을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적용되거나 혹은 그 현상기 25와 크리너 27에 덧붙여서 감광체 14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라 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셔터가 수용한 토너가 낙하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Claims (10)

  1. 감광체상의 잠상을 토너로서 현상하는 현상기와,
    감광체 표면에 남아있는 토너를 회수하기 위한 크리너중 최소 하나를 포함하고,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카트리지 본체; 및
    감광체의 원주면의 하부아래부위와,
    감광체와 현상기 사이의 경계 및 감광체와 크리너 사이의 경계중 최소 하나의 하부아래부위,를 갖는 커버부위를 덮는 셔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셔터는 상기 커버부위와 상기 현상기 또는 크리너 아래의 사이딩부위 사이에서 본질적으로 수평으로 이동하는,
    화상형성 장치용 프로세스 카트리지.
  2.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커버부위와 사이딩부위 사이에서 본질적으로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셔터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상부면은 그 상부면의 폭방향 중심에 오목부를 이루도록 셔터의 세로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1항에 있어서, 나아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탑재된 개폐부재와 협력하여 셔터를 이동시키는 셔터 개폐기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감광체상의 잠상을 토너로서 현상하는 현상기와,
    감광체 표면에 남아있는 토너를 회수하는 크리너중 최소하나를 갖는 카트리지 본체,
    감광체의 원주면 하부아래부위와, 감광체와 현상기 사이의 경계 및 감광체와 크리너사이의 경계중 최소 하나의 하부아래부위를 포함하는 커버부위를 커버하는 셔터,
    상기 커버부위와 현상기 또는 크리너 아래의 사이딩부위 사이에서 본질적으로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셔터를 안내하는 가이드, 와
    상기 가이드가 안내하는 방향으로 셔터를 이동시키는 셔터 개폐기구,
    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탈착가능한 방법으로 지지하는 상부본체; 및
    상기 상부본체 아래에 위치한 하부본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본체는 상부본체의 연결측에 반대인 다른 측면에서 상부 및 하부본체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폐쇄하기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부본체의 일측에서 하부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본체에는 상부본체의 상하운동과 협력하여 셔터 개페기구를 이동시키는 개폐부재가 제공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의 연결측면 반대인 다른 측면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본체 사이에 개구부를 페쇄하기 위하여 상부본체가 하부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셔터가 사이딩부위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감광체상의 잠상을 토너로서 현상하는 현상기와,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를 회수하는 크리너를 포함하고,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카트리지 본체; 및
    감광체의 원주면 하부아래부위와,
    감광체와 현상기사이의 경계 및 감광체와 크리너사이의 경계중 최소하나의 하부아래부위; 를 포함하는 커버부위를 덮는 커버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수단은 상기 커버부위와, 상기 현상기 또는 크리너아래의 사이딩부위를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 카트리지.
  8. 7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상기 커버부위와 상기 사이딩 부위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커버수단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수단의 상부면은 커버수단의 상부면의 폭방향 중심부에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셔터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굴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7항에 있어서, 나아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탑재된 개폐부재와 협력하여 커버수단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KR1019980037044A 1997-09-08 1998-09-08 화상형성장치용프로세스카트리지및이를구비한화상형성장치 KR100310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42365 1997-09-08
JP24236597A JP3484326B2 (ja) 1997-09-08 1997-09-08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638A true KR19990029638A (ko) 1999-04-26
KR100310130B1 KR100310130B1 (ko) 2002-02-19

Family

ID=1708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044A KR100310130B1 (ko) 1997-09-08 1998-09-08 화상형성장치용프로세스카트리지및이를구비한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905585B1 (ko)
JP (1) JP3484326B2 (ko)
KR (1) KR100310130B1 (ko)
CN (1) CN1109940C (ko)
DE (1) DE69837871T2 (ko)
ES (1) ES2287966T3 (ko)
HK (1) HK10194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0014B2 (ja) 2007-04-20 2012-08-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7005250B2 (ja) 2017-09-21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3458A (ja) * 1982-05-21 1983-11-26 Canon Inc プロセスキット及びプロセスキット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S5958446A (ja) * 1982-09-29 1984-04-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S59127073A (ja) * 1983-01-11 1984-07-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S60104960A (ja) * 1983-11-14 1985-06-10 Canon Inc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前記プロセスユニット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05585B1 (en) 2007-06-06
EP0905585A3 (en) 2001-03-21
DE69837871T2 (de) 2007-10-18
CN1210997A (zh) 1999-03-17
JP3484326B2 (ja) 2004-01-06
JPH1184868A (ja) 1999-03-30
DE69837871D1 (de) 2007-07-19
HK1019488A1 (en) 2000-02-11
ES2287966T3 (es) 2007-12-16
EP0905585A2 (en) 1999-03-31
CN1109940C (zh) 2003-05-28
KR100310130B1 (ko) 2002-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344B1 (ko) 화상형성장치
JP3267879B2 (ja)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4110144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456048B1 (ko)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갖춘 전자사진 화상형성 장치
EP0578340B1 (en) Developing device
US4357098A (en) Electrostatic recording apparatus
KR100395522B1 (ko) 레이저 프린터
KR100327959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의 특정한 프로세스카트리지만의 수납방법
US6980756B2 (en)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mounting system
KR100310130B1 (ko) 화상형성장치용프로세스카트리지및이를구비한화상형성장치
JP4788738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012188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659576A (ja) 画像形成装置
JP362886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シャッター機構、これを用い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365478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429150B1 (ko) 상 형성제 수용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장치로의 상 형성제의 보충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JPH07120134B2 (ja) 複写機
USRE34344E (en) Developing device
JP359967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着脱可能な画像形成装置
US522393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therefor
JP6958032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84986A (ja) 現像マガジン、画像形成装置、現像マガジン支持方法
JPS5863978A (ja) 電子複写機
JP2558680B2 (ja) 像形成装置
JP3320267B2 (ja) トナー補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