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397A - 기판-기판 취합형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기판-기판 취합형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397A
KR19990028397A KR1019970709713A KR19970709713A KR19990028397A KR 19990028397 A KR19990028397 A KR 19990028397A KR 1019970709713 A KR1019970709713 A KR 1019970709713A KR 19970709713 A KR19970709713 A KR 19970709713A KR 19990028397 A KR19990028397 A KR 19990028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receptacle
latch
connecto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섬머스 도날드
에스. 코렐 로버트
유겐 데링거 도날드
Original Assignee
세이취크 제이 엘.
더 와이타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취크 제이 엘., 더 와이타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세이취크 제이 엘.
Publication of KR19990028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39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 어셈블리(20)는 래치돌기(36)를 포함하는 하우징(24)을 포함하고 래치돌기(36)는 양측(30)의 양쪽 또는 양단(32)의 양쪽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하여 있는 플러그 커넥터(22), 및 하우징(52)과 플러그 수용공동(68)을 가지며 하우징(52)은 플러그부의 측부(30)와 단부(32)에 대응하는 양측벽(62)의 양측 또는 양단벽(64)의 양측을 따라 형성된 공동 플로어(68)에 인접하여 래치 수용리세스(66)를 포함하는 상보적인 리셉터클 커넥터(50)를 포함한다. 플러그와 리셉터클 커넥터(22, 50)의 초기 취합중, 플러그 하우징(24)의 래치돌기(36)들은 인접한 리셉터클 하우징 벽면(65)과 억지끼워 맞춤 상태를 이루고 그리고 플러그와 리셉터클 커넥터(22, 50)의 완전 취합시에는 래치 돌기(36)가 공동 리세스(66)에 수용중 벽을 이완 시킨다.

Description

기판-기판 취합형 커넥터 어셈블리
본 발명은 전기 컨넥터에 관해 보다 상세하게는 평행한 양 회로기판 사이에 회로들을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기판-기판 취합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제 5,395,250 호는 평행하는 양 회로기판 사이에 회로들을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소형 블라인드 취합형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의 커넥터는 표면 장착형 C형 리셉터클 컨택트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각 C형 컨택트는 하우징의 장착면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취합축선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편향가능한 스프링 아암을 가지고 있다. 플러그는 표면장착형 L형 컨택트들을 가지며, 각 L형 컨택트는 스프링 아암을 지나 연장하고 그리고 커넥터들이 서로 취합 되었을 때 스프링 아암과 스프링 바이어싱 결합상태로 있는 포스트를 가진다.
미국특허 제 5,199,884 호는 평행한 회로 기판들 사이에 회로들을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의 표면 장착형 리셉터클 컨택트는 커넥터 하우징의 취합면을 향해 연장하는 포스트를 갖춘 L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표면 장착형 플러그 컨택트는 베이스 및 자유단을 가지는 U형 스프링 아암을 포함하고, 스프링 아암은 플러그 하우징의 취합면을 향해 연장한다. 리셉터클과 플러그가 취합함에 따라, 스프링 아암의 자유단은 리셉터클 컨택트의 포스트와 결합하고 그리고 타측 아암을 향해 내향하여 이동된다.
소형 휴대용 컴퓨터등과 같은 전자장비의 소형화 추세와 함께, 평행구조로 취합된 모기판과 자카드에 대해 커넥터들을 가질것이 요망된다. 이는 모기판상의 다수의 커넥터들이 자카드상의 대응하는 다수의 상보적인 커넥터들과 취합될 것을 요구한다. 이들 커넥터들은 모두 "기계적으로 취합(Blind nated)"되어져야만 한다. 동시적인 취합중 단일 커넥터의 정렬은 다중 커넥터의 정렬보다 쉽게 수행된다. 이들 커넥터의 전기 커넥트들 사이에는 정밀한 중심선이 주어져 있기 때문에 컨택트들의 결합에 앞서 취합과정중 예민한 컨택트들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정렬이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다중 커넥터들이 장착되어지는 회로기판들을 제조하는데 있어, 회로기판들은 우선 다양한 커넥터들의 소정 위치에 컨택트 패드어레이를 제공하여서 그곳에 고정되는 다양한 커넥터의 컨텍트들에 상호 접속되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기판들은 커넥터들을 기판에 정렬시키기 위해 정밀한 치수의 관통공이나 기타 수단의 패턴을 갖출수도 있다. 이 회로기판을 서로에 대해 컨택트 패드의 어레이를 위치시키고 그리고 각 어레이에 대해 정렬공을 정밀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소정의 또는 허용 공차범위에서 제조된다. 이런 세심한 주의에도 불구하고, 회로기판에 다중 커낵터를 설치하는데 있어서의 공차에 관한 문제점 발생이 본 기술분야에서도 인정되어 있다. 그 결과 카드에 장착된 모드 커넥터들이 모기판에 있는 대응하는 상보적인 커넥터들과 정밀하게 정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2기판상에 다수의 커넥터 쌍들을 동시에 취합하고 있을 때, 적절한 취합을 위한 정렬부로 각각의 커넥터 쌍들을 결합강제시키기 위해 각각의 커넥터들의 취합면에는 정렬특징부가 제공된다. 우선적으로 종래 구성의 각 기판상에 있는 납땜 접속부들에 힘에 가해지거나 전달되는 경우가 있다. 이 납땜 접속부에 가해진 부하는, 기판들이 취합된후 유지되어 있다면, 연장된 시간 주기에 걸쳐 하나이상의 납땜 접속부를 부수어서 어셈블리의 성능에 악영향을 끼칠 정도로 큰 경우가 있다. 기판상의 패턴을 위치시키고 그들 각각의 기판상에 커넥터들을 위치 및 고정시키는 중복 효과는 다중쌍의 커넥터의 취합성에 영향을 미치고 아울러 그들 사이에 오정렬 빈도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각 커넥터쌍이 커넥터의 취합에 앞서 정렬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각 커넥터들을 정렬시키는데 필요한 힘들이 취합이 일어난 후는 납땜된 표면 장착형 접속부들로부터 차단될 것이 요망된다. 또한 각 커넥터들이 취합된 후에는 납땜 접속부에 대한 어떠한 부하도 최소로 될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컨택트들을 손상시키지 않고 커넥터들 사이 그리고 각각의 회로기판들 사이의 납땜접속부들 상에 부하를 최소로 하면서 동시에 취합될 수 있는 다중 커넥터쌍들의 기계적 취합에 관련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데 있다. 각 쌍의 취합가능한 커넥터들은 양측부들과 양단부 사이에 연장하는 플러그부를 가지는 하우징 및 그에 한정된 취합면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 및 양측부를 가지는 리셉터클부와 플러그 수용공동을 한정하는 양단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갖춘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한다. 플러그부와 리셉터클부는 커넥터 취합시 편안하게 맞추어지는 형상 및 치수를 갖는다. 어셈블리는 플러그부와 리셉터클부중 하나가 양측부의 양쪽 또는 양 단부의 양쪽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2개의 이격된 래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돌기들은 타측 플러그부 및 리셉터클부의 베어링면에 인접한 외향 대면 베어링면을 포함한다. 타측의 플러그부 및 리셉터클부는 돌기들을 가지는 플러그부 및 리셉터클부의 일측의 양측부 또는 단부에 대응하는 측부나 단부의 양측을 따라 이격된 적어도 2개의 래치 수용 리세스를 포함한다. 래치 수용리세스는 그곳에 완전히 취합했을 때 래치돌기들을 수용하도록 채택된다. 플러그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취합중, 래치 돌기들은 플러그부의 리셉터클부로의 초기 도입중 인접 베어링면과 억지끼워 맞춤 상태로 되어서 플러그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중심위치를 고정시켜 취합중 측면력에 저항하게 된다. 플러그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완전취합시, 래치돌기들은 돌기들이 래치 수용 리세스에 수용됨에 따라 베어링면을 해제시킨다.
1구현예에 있어, 플러그 하우징은 플러그부의 양 측부의 적어도 양쪽 또는 양단부의 양쪽으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연장하는 래치 돌기들을 포함하고, 리셉터클 하우징은 플러그부의 양측부 또는 단부에 상응하는 측벽의 양쪽 또는 단벽의 양쪽을 따라 공동 플로어에 인접한 곳에 래치수용 리세스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 리셉터클 커넥터는 공동속으로 내향하여 연장하는 래치 돌기들을 갖추고 있고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돌기들을 수용하는 대응 리세스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중 커넥터쌍들이 장착된 상호접속형 회로기판의 어셈블리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다중 커넥터기판 어셈블리들을 동시에 취합시키면서 표면장착형 컨택트의 납땜 접속부상에 부하를 최소로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인쇄회로 기판의 제조에 있어 여유있는 위치 공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일 인쇄 회로기판상에 다중 커넥터를 배치하고 그리고 이들 커넥터를 타측 인쇄회로기판의 대응하는 부(副) 소형커넥터들과 동시에 취합할 때 부 소형 커넥터의 위치에 큰 여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리셉터클과 플러그가 서로 분해된 상태의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플러그의 취합면의 평면도이다.
도3은 도1의 플러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4는 도1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취합면의 평면도이다.
도5는 도1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6은 도1의 취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상면도이다.
도7 내지 도9는 커넥터들의 취합중의 시퀀스를 예시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횡단면도로서,
도7은 취합전 서로 정렬된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8은 일부 취합된 상태의 도7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9는 도6의 9-9선을 따라 취한 완전 취합된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0은 자 카드가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각각의 회로기판에 장착된 4개의 커넥터의 동시 취합을 나타내는 도해적인 대표도이다.
도11은 리셉터클과 플러그가 각각의 회로기판에 장착되고 그리고 서로 분해되고 1기판은 가상선으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다른 구현예의 사시도이다.
도12는 취합전 서로 정렬된 도10의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13은 리셉터클과 플러그가 서로 분해되어 있는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다른 대안적인 구현예의 사시도이다.
도14는 도13의 구현예의 완전취합된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에서 도6에 걸쳐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20)는 안에 다수의 컨택트(40)가 배치된 플러그(22) 및 다수의 컨택트(70)가 배치된 리셉터클(50)을 포함한다. 도1 내지 도3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22)는 대향 취합면(26), 장착면(28), 대향 측벽(30), 및 단벽(32)을 가지는 하우징(24)을 포함한다. 단벽(32)은 아울러 래치 돌기(36)가 취합면(26)에 근접한 곳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하여 있는 플랜지부(34)를 포함한다. 컨택트(40)는 L형상으로서 표면장착 접촉면(44)과 포스트(46)를 가지는 베이스(42)를 포함한다. 컨택트(40)는 하우징(24)의 취합면(26)과 장착면(28) 사이를 연장하는 컨택트 수용통로(38)에 배치된다.
리셉터클(50)은 대향된 취합면과 장착면(54, 56), 플로어 또는 저벽(58), 및 대향 측벽(52) 및 단벽(64)을 가지며 플러그 수용공동(68)을 더불어 한정하는 하우징(52)을 포함한다. 하우징(52)의 플로어(58)는 다수의 C형 컨택트들이 배치된 다수의 컨택트 수용슬롯(60)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하우징(52)은 아울러 단벽(64)을 따라 공동 플로어(58)에 인접한 래치 수용리세스(66)를 포함한다. 리세스(66)는 플러그 커넥터(22)와 리셉터클 커넥터(50)의 완전한 취합시 플러그 커넥터(22)의 래치돌기(36)를 수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컨택트(70)는 표면장착 접촉면(74)을 가지는 베이스(72)와 그의 선단에 제1 접촉부(78)를 가지는 스프링 아암(76)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및 플러그 하우징(24, 52)은 각기 가급적 액정 폴리머등과 같은 항고온 재료로 만들어진다. 선택된 재료는 약 250℃의 온도를 견디어야 하는데 이온도는 전형적으로 공지의 인프라드 리플로우 솔더링(infrared reflow soldering) 또는 기타 방법과 같은 납땜 프로세스중에 수행되는 온도이다.
이 구현예에 있어 플러그와 리셉터클 컨택트는 미국특허 제 5,395,250호에 기술된 형식의 것이다. 이 플러그 컨택트(40)는 대략 0.32mm(0.0126인치)의 두께를 가지는 인청동과 같은 금속스톡으로부터 만들어지는데, 이것은 컨택트 테두리면을 제공하기 위해 대략 0.23mm의 축소된 두께를 가진다. 리셉터클 컨택트(70)는 가급적 대략 0.15mm(0.006인치)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 스톡재료로 만들어 진다. 바람직하게 선택된 금속은 105∼125×103psi 범위의 고항복 강도를 가져서 취합된 어셈블리에 충분한 법선력이 확실하게 수행되도록 한다.
도7 내지 도9는 플러그와 리셉터클 커넥터(22, 50)의 취합 시퀀스를 예시한다. 취합시 각각의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들은 회로기판에 장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예시 목적상, 도9를 제외하고는 전체에 걸쳐 회로기판들이 생략되었다. 커넥터들을 정렬할 때, 각각의 하우징(24, 52)에는 컨택트(40, 70)의 취합에 앞서 하우징들을 정렬시키는 특징부들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 플러그 하우징(24)의 단벽(32)상에 형성된 플랜지형상부(34)는 리셉터클 하우징(52)의 공동(68)의 대응구조의 리세스(66)에 수용된다. 이 리셉터클 하우징(52)은 플러그 커넥터(22)를 제위치에 안내하는 유도면(69)을 가지며, 그리고 래치돌기(36) 상의 표면(37)에 있는 테이퍼형 리드는 리셉터클 하우징(52)의 단벽(64)에 억지끼워 맞춤으로 래치돌기(36)를 결합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도7은 리셉터클 커넥터(50)와 취합하기 위해 정렬된 플러그 커넥터(22)를 보여준다. 플러그 커넥터(22)가 리셉터클 커넥터(22)와 결합하도록 이동함에 따라, 래치돌기(36)는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외방으로 약간 단벽(64)을 휘게 하는 내부 단벽면(65)과 결합하여서 컨택트들(40, 70)이 결합에 앞서 정렬되는 공동(68)에 플러그 커넥터(22)를 위치 고정시켜 중심잡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어레이는 취합면으로부터 깊이 들어가서 각쌍의 취합 컨택트(40, 70)의 결합에 앞서 각 공동(68)에 플러그 하우징(24)이 수용되도록 한다.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은 각각의 컨택트 포스트(46)가 취합 컨택트(40, 70)의 스프링 아암(76)과 결합하기 전에 적절히 위치하게 된다. 도9는 회로기판(82)에 장착된 플러그 커넥터(22) 및 각각의 회로패드(84)에 납땜된 컨택트(40)의 표면장착 접촉면(44)을 보여준다. 각 쌍의 플러그와 리셉터클 커넥터(22, 50)는 래치 수용 리세스(66)에 수용된 래치 돌기(36)와 완전하게 취합된다. 하우징(24, 52)을 더이상 억지끼워 맞춤 상태로 있지 않는다.
커넥터(22, 50)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억지끼워 맞춤 방식으로 서로 되어 있을 때, 표면장착 컨택트들의 납땜 상호 접속부에는 부하가 발생한다. 이 부하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와 리셉터클 커넥터(22, 50)가 완전하게 취합되고 그리고 래치돌기(36)가 리세스(66)에 있을 때 해제된다. 각각의 커넥터들간의 오정렬과 그에 의해 발생된 힘은 리셉터클 하우징(52)의 컨택트(70)의 휨가능한 스프링 아암(76)에 전달된다. 따라서 정렬중 발생한 어떤 힘들은 각각의 컨택트(44, 74)와 이들이 장착된 기판의 컨택트 패드(84, 90) 사이의 납땜 접속부에 결코 적용되지 않는다.
도10은 모기판(110)에 장착된 다수의 표면장착형 커넥터(102) 및 자카드(112)에 장착된 다수의 플러그 커넥터(104)의 취합을 도해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자카드는 가상선으로 나타냈다. 각각의 기판(110, 112) 상의 커넥터(102, 104) 중 어느 하나는 각각의 회로기판 패드에 납땜된 대표적인 표면 장착형 컨택트를 보여준다.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표면장착 컨택트는 기판상의 잔여 커넥터(102, 104)로부터 생략되었다. 이 대표도는 제조프로세스상의 각종 단계에서의 공차범위가 다중 커넥터쌍의 취합성에 악 영향을 미칠수 있다는 것을 타나낸다. 각 커넥터의 회로기판 컨택트 패드의 어레이의 배치에 허용된 모든 공차의 누적효과, 정합공 또는 기타 정합 특징부의 위치, 및 기판에 대한 커넥터의 실제고정이 구성부에 고려된다. 그결과 자카드에 장착된 모든 커넥터가 경우에 따라 모기판상의 대응 상보적인 커넥터들과 정밀하게 정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정합특징부를 제공하여 공차 허용에 관련한 문제점을 완화시키고, 플러그 취합면에 있는 래치돌기(36)가 취합면에 있는 내부 리셉터클 벽면과 결합하여 관련된 리셉터클 벽과 억지끼워 맞춤 상태로 결합하고 그리고 적절한 취합을 위해 각각의 커넥터쌍을 정합공으로 강제하게 되어 있다. 커넥터쌍의 완전취합시, 플러그 커넥터의 단벽상에 있는 테이퍼형 래치돌기(36)는 억지끼워 맞춤부로부터 이동하여 플러그 리셉터클 커넥터의 래치수용 리세스(66)로 들어간다. 따라서, 하우징(24, 52)은 서로에 대해 떠있게 되는 한편 정합목적으로 위해 적용된 어떤 정합부하는 납땜 접속부가 아닌 탄성 컨택트 스프링 아암 또는 비임(76)에 전달되어 진다. 스프링 아암(76)은 플라스틱 하우징 보다 쉽게 휘어지고, 그에 의해 납땜된 표면장착형 접촉부를 보호하게 된다. 컨택트 비임을 휘기 위해 가해진 힘의 전달은 경우에 따라 비임(78)과 포스트(46)의 취합면의 이동을 야기시킨다. 각각의 커넥터 하우징(24, 52)이 힘이 전달된 후 하우징의 폭에 관해 이동한다면, 플러그 포스트(46)는 비임(78)의 길이를 따라 이동할 것이다. 힘이 전달된후 커넥터 하우징(24, 52)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은 1열의 커넥터의 컨택트들(40 및 70) 사이에 법선력을 증대시키고 그리고 도1에 도시한 커넥터의 특정 구조에 의해 커넥터의 타측에 있는 컨택트들 사이에는 법선력을 감소시킨다.
각각의 커넥터의 컨택트로서 선택된 재료는 소정의 동작범위 안에서 충분한 법선력이 남아 있어야 한다. 스프링 부재는 특정 공차 범위 안에서 다소의 휨에도 불구하고 동작할 수 있는 재료이어야 한다.
도11 및 도12는 커넥터 쌍(122, 150)의 대안적인 구현예(120)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들 각 커넥터는 각각의 회로기판(182, 188)에 장착되고 그리고 회로패드(184, 190)에 각기 고정된 표면 장착형 접촉면(144, 174)을 가진다. 이 구현예에 있어, 플러그(122) 상의 래치(136)는 측벽(130) 상에 있고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152)의 걸림용 리세스(166)는 측벽(162)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22)의 각 컨택트(140)는 커넥터의 취합축선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편향성 비임부(148)를 가진다. 편향시, 비임부는 커넥터 하우징의 폭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리셉터클 컨택트는 포스트(180)를 가진다. 이 구현예에서의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컨택트들은 미국특허 5,199,884 호에 기술된 형식의 것이다.
도13 및 도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220)를 예시하는 것으로 리셉터클 커넥터(250)가 단부를 따라 공동속으로 내향하여 연장하는 래치 돌기(236)를 맞추고 있고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222)는 돌기(236)를 수용하기 위한 대응 리세스(266)를 포함하고 있다.
플러그 또는 리셉터클 중 어느 한측의 컨택트는 편향성 비임을 가질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부가적으로, 플러그와 리셉터클 양자도 역시 편향성 비임을 가질수 있다. 가급적 컨택트의 일측 또는 양측 각 어레이는 컨택트들의 취합에 앞서 커넥터 하우징들의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각각의 하우징의 취합면으로부터 안으로 깊히 파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로기판은, 타측회로기판이 상보적인 커넥터를 갖추고 있는한,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가질 수도 있다.
아울러 이해해야 할 것은 플러그나 리셉터클 커넥터중 어느 하나가 양측 또는 양단에 하나 이상의 돌기를 가질수도 있거나 또는 양측과 양단에 돌기들을 포함할수 있다는 것이다. 부수적으로 취합하는 리셉터클이나 플러그 커텍터들은 대응하는 수량의 리세스를 가질 것이다. 돌기 및 리세스의 수량 및 위치를 커넥터의 치수와 형태에 따라 달라진다.

Claims (10)

  1. 각각의 회로기판의 회로들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하우징(24) 및 양측(30)과 양단(32) 사이에 연장된 플러그부 및 그에 한정된 취합면을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22), 및 하우징(52) 및 플러그 수용공동(68)을 한정하는 양측(62)과 양단(64)을 가지는 리셉터클 부를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50)를 포함하고, 플러그와 리셉터클 부들은 커넥터 취합시 알맞게 맞추어지는 치수 및 현상을 가지는 것으로된 표면 장착형 커넥터 어셈블리(20)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와 리셉터클부(36, 136, 236)중 일측은 상기 양측(30, 62)의 양쪽 또는 상기 양단(32, 64)의 양쪽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플러그부와 리셉터클부중 타측의 베어링면에 인접하여 외방으로 대면하는 베어링 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이격된 래치돌기(36)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플러그부와 상기 리셉터클부의 타측은 상기 돌기(36, 136, 236)를 가지는 상기 플러그부와 상기 리셉터클부 중 일측의 상기 양측(30, 62) 또는 양단(32, 64)에 상응하는 양측(62, 30)의 양측 또는 상기 양단(64, 32)의 양측을 따라 이격된 적어도 2개의 래치수용 리세스(66, 166, 266)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수용리세스(66, 166, 266)는 완전 취합시 상기 래치돌기(36, 136, 236)를 수용하게끔 되어져 있으며;
    그에 의해 상기 플러그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취합중, 상기 래치돌기(36, 136, 236)가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리셉터클부로의 초기 도입중 상기 인접한 베어링면과 억지끼워 맞춤 형태로 지지하여서,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22, 50)의 중심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와 리셉터클 커넥터(22, 50)의 취합중 및 완전 취합시 측면력에 저항하게 되고, 상기 래치돌기(36, 136, 236)는 상기 돌기가 상기 래치 수용 리세스(66, 166, 266)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베어링면과 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장착형 커넥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돌기(36, 136, 236)와 상기 래치 수용 리세스(66, 166, 266)가 상기 각각의 플러그부 및 리셉터클부의 양측(30, 62) 또는 양단(32, 64)의 근접코너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장착형 커넥터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돌기(36, 136, 236)의 베이링면이 상기 래치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전방으로 그리고 내향하여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장착형 커넥터 어셈블리.
  4. 제 1, 2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돌기(36)가 상기 플러그부의 상기 양단(30)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하고 상기 래치 수용리세스(66)는 상기 리셉터클부의 상기 단부(64)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장착형 커넥터 어셈블리.
  5. 제 1, 2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돌기(136)가 상기 플러그부의 양측(130)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하고 상기 래치수용리세스(166)는 상기 리셉터클부의 상기 측부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장착형 커넥터 어셈블리.
  6. 제 1, 2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돌기(236)가 상기 리셉터클부의 양단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하고 상기 래치수용 리세스(266)는 상기 플러그부의 양단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장착형 커넥터 어셈블리.
  7. 다수의 제 1 커넥터들이 제 1 커넥터 위치에서 각각의 방향으로 장착된 제 1 회로기판, 및 다수의 제 2 커넥터들이 제 2 커넥터 위치에서 각각의 방향으로 장착된 제 2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들은 쌍으로 취합되는 플러그와 리셉터클 커넥터(22, 50)로 되고, 상기 각 플러그 커넥터(22)는 하우징(24) 및 양측(24)과 양단(32) 사이를 연장하는 플러그부 및 그에 한정된 취합면(28)을 가지며, 상기 각 리셉터클 커넥터(50)는 하우징(52) 및 플러그 수용공동(68)을 한정하는 양측(62)과 양단(64)을 가지는 리셉터클부를 가지며, 플러그부와 리셉터클부는 커넥터 취합시 알맞게 끼워맞추어지는 형상 및 치수로 되어 있는 상호 접속가능한 회로기판 어셈블리에 있어서;
    각 쌍의 취합가능한 플러그와 리셉터클 커넥터(22, 50)의 상기 플러그부와 리셉터클부(36, 136, 236)중 일측은 상기 양측(30, 62)의 양쪽 또는 상기 양단(32, 64)의 양쪽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플러그부와 리셉터클부중 타측의 베어링면에 인접하여 외방으로 대면하는 베어링 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이격된 래치돌기(36)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플러그부와 상기 리셉터클부의 타측은 상기 돌기(36, 136, 236)를 가지는 상기 플러그부와 상기 리셉터클부 중 일측의 상기 양측(30, 62) 또는 양단(32, 64)에 상응하는 양측(62, 30)의 양측 또는 상기 양단(64, 32)의 양측을 따라 이격된 적어도 2개의 래치수용 리세스(66, 166, 266)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수용리세스(66, 166, 266)는 완전 취합시 상기 래치돌기(36, 136, 236)를 수용하게끔 되어져 있으며;
    그에 의해 상기 기판들이 상기 플러그와 리셉터클 커넥터쌍(22, 50)을 동시에 취합시키기 위해 서로 이동하도록 놓여졌을 때, 상기 래치돌기(36, 136, 236)가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리셉터클부로의 초기 도입중 상기 인접한 베어링면과 억지끼워 맞춤 형태로 지지하여서,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22, 50)의 중심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와 리셉터클 커넥터(22, 50)의 취합중 및 완전 취합시 측면력에 저항하게 되고, 상기 래치돌기(36, 136, 236)는 상기 돌기가 상기 래치 수용 리세스(66, 166, 266)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베어링면과 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돌기(36, 136, 236)와 상기 래치 수용 리세스(66, 166, 266)가 상기 각각의 플러그부 및 리셉터클부의 양측(30, 62) 또는 양단(32, 64)의 근접코너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돌기(36, 136, 236)의 베이링면이 상기 래치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전방으로 그리고 내향하여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
  10. 제 7, 8 또는 9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돌기(36)가 상기 플러그부의 상기 양단(28)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하고 상기 래치 수용리세스(66)는 상기 리셉터클부의 상기 단부(64)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
KR1019970709713A 1995-06-28 1996-06-17 기판-기판 취합형 커넥터 어셈블리 KR199900283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495,951 US5545051A (en) 1995-06-28 1995-06-28 Board to board matable assembly
US8/495,951 1995-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397A true KR19990028397A (ko) 1999-04-15

Family

ID=2397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713A KR19990028397A (ko) 1995-06-28 1996-06-17 기판-기판 취합형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45051A (ko)
EP (1) EP0835538B1 (ko)
JP (1) JP2001517352A (ko)
KR (1) KR19990028397A (ko)
CN (1) CN1097324C (ko)
DE (1) DE69605673T2 (ko)
TW (1) TW338196B (ko)
WO (1) WO199700187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040B1 (ko) * 2005-06-07 2007-05-22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KR100770191B1 (ko) * 2005-05-23 2007-10-25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접속 및 비접속의 반복을 견딜 수 있는 전기 접속 장치
KR101070480B1 (ko) * 2002-07-24 2011-10-05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4581A (en) * 1996-07-17 1999-05-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and device
TW406454B (en) 1996-10-10 2000-09-21 Berg Tech Inc High density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JP3617220B2 (ja) * 1996-11-26 2005-02-02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US6036504A (en) * 1996-12-27 2000-03-1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D404711S (en) * 1997-05-30 1999-01-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D404710S (en) * 1997-05-30 1999-01-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5876219A (en) * 1997-08-29 1999-03-02 The Whitaker Corp.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6000955A (en) 1997-12-10 1999-12-14 Gabriel Technologies, Inc. Multiple terminal edge connector
US6394822B1 (en) * 1998-11-24 2002-05-28 Teradyne, Inc. Electrical connector
US6152747A (en) * 1998-11-24 2000-11-28 Teradyne, Inc. Electrical connector
JP2001319718A (ja) 2000-05-02 2001-11-16 Fci Japan Kk コネクタ
US7018239B2 (en) * 2001-01-22 2006-03-28 Molex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TW555189U (en) * 2002-09-25 2003-09-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1645173A2 (en) * 2003-07-16 2006-04-12 Gryphics, Inc. Electrical interconnect assembly with interlocking contact system
US7297003B2 (en) 2003-07-16 2007-11-20 Gryphics, Inc. Fine pitch electrical interconnect assembly
US7537461B2 (en) * 2003-07-16 2009-05-26 Gryphics, Inc. Fine pitch electrical interconnect assembly
US6793506B1 (en) * 2003-08-27 2004-09-21 Molex Incorporated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050191877A1 (en) * 2004-03-01 2005-09-01 Peter Huang Electrical connector
JP2007018993A (ja) * 2005-06-07 2007-01-25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US7258552B2 (en) * 2005-07-05 2007-08-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ocket for holding a circuit board module
TWM285086U (en) * 2005-07-22 2006-01-01 Advanced Connectek Inc Improved structure of board-to-board connectors
WO2007109608A2 (en) 2006-03-20 2007-09-27 Gryphics, Inc. Composite contact for fine pitch electrical interconnect assembly
US7402054B2 (en) * 2006-11-27 2008-07-2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US7387540B1 (en) * 2006-12-05 2008-06-1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terminal
CN101771216B (zh) * 2008-12-27 2013-06-1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件
DE102009021730A1 (de) 2009-05-12 2010-11-25 Würth Elektronik Ics Gmbh & Co. Kg Verbindung von Leiterplatten
JP5498883B2 (ja) * 2010-04-27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586395B2 (ja) * 2010-09-21 2014-09-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DE102012001220A1 (de) * 2012-01-21 2013-07-25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Verbindungsanordnung
US9240653B2 (en) * 2012-03-27 2016-01-1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Wire-to-board connector
US8961231B2 (en) * 2012-12-18 2015-02-24 Apple Inc. Retention mechanisms for electrical connectors
KR101809340B1 (ko) * 2013-02-27 2017-12-14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및 소켓
JP5970400B2 (ja) * 2013-03-19 2016-08-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導電パターン式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US9300064B2 (en) * 2014-01-17 2016-03-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EP3937316A1 (en) * 2016-09-19 2022-01-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hielded board-to-board connector
JP6941000B2 (ja) * 2017-08-09 2021-09-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75626B2 (ja) * 2017-11-29 2021-12-01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11605911B2 (en) 2018-06-22 2023-03-14 Fujikura Ltd.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detachably fitting to each other
JP6493611B1 (ja) * 2018-08-03 2019-04-03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816747B2 (ja) * 2018-10-01 2021-01-20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セット
JP6816749B2 (ja) * 2018-10-11 2021-01-20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セット
JP7148357B2 (ja) * 2018-10-18 2022-10-0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3965A (en) * 1988-05-10 1991-02-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upport for floated header/connector
US5098311A (en) * 1989-06-12 1992-03-24 Ohio Associated Enterprises, Inc. Hermaphroditic interconnect system
DE69114748T2 (de) * 1990-04-02 1996-06-05 Whitaker Corp An einer Oberfläche montierter Verbinder.
US5137462A (en) * 1991-08-13 1992-08-11 Amp Incorporated Adapter for stacking connector assembly
US5249576A (en) * 1991-10-24 1993-10-05 Boc Health Care, Inc. Universal pulse oximeter probe
US5199884A (en) * 1991-12-02 1993-04-06 Amp Incorporated Blind mating miniature connector
US5395250A (en) * 1994-01-21 1995-03-07 The Whitaker Corporation Low profile board to board connec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480B1 (ko) * 2002-07-24 2011-10-05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KR100770191B1 (ko) * 2005-05-23 2007-10-25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접속 및 비접속의 반복을 견딜 수 있는 전기 접속 장치
KR100721040B1 (ko) * 2005-06-07 2007-05-22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05673T2 (de) 2000-06-08
CN1189251A (zh) 1998-07-29
EP0835538B1 (en) 1999-12-15
DE69605673D1 (de) 2000-01-20
EP0835538A1 (en) 1998-04-15
TW338196B (en) 1998-08-11
WO1997001877A1 (en) 1997-01-16
US5545051A (en) 1996-08-13
JP2001517352A (ja) 2001-10-02
CN1097324C (zh) 2002-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8397A (ko) 기판-기판 취합형 커넥터 어셈블리
KR100344866B1 (ko) 표면장착형전기커넥터
KR100191747B1 (ko) 낮은 형상의 표면 장착식 전기 커넥터 조립체
EP0519264B1 (en) Electrical connector
US5529502A (en) Solderless flexible circuit carrier to printed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
US4533203A (en)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6315620B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a pre-loaded straddle mounted connector assembly
US5482474A (en) Edge-mountable circuit board connector
US4872845A (en) Retention means for chip carrier sockets
EP0661779B1 (en) Multi-connector assembly
JPH04162380A (ja) 電気コネクタ
KR0122783Y1 (ko) 인쇄 회로 기판용 연부 접속기
US5660557A (en) Shroud latch for electrical connectors
US5743751A (en) Straddle adapter for mounting edge connectors to a printed circuit board
KR100449375B1 (ko) 전기 커넥터
US3876274A (en) Receptacles employing high density array of overlapping self-adjustable contacts
KR0125457B1 (ko) 전기 커넥터
JP2001068237A (ja) 電気コネクター
US5378169A (en) Pivotal connector for planar electronic devices
KR100991328B1 (ko) 패널 연결용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사용한 패널의 연결방법
JPH07245147A (ja) モジュラージャック
EP0635911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at and elastic multi-contact members
US5340321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hielding shell
JP3322342B2 (ja) サーフェスマウント型電子部品のマウント構造
JP2603084Y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