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191B1 - 접속 및 비접속의 반복을 견딜 수 있는 전기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접속 및 비접속의 반복을 견딜 수 있는 전기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191B1
KR100770191B1 KR1020060045511A KR20060045511A KR100770191B1 KR 100770191 B1 KR100770191 B1 KR 100770191B1 KR 1020060045511 A KR1020060045511 A KR 1020060045511A KR 20060045511 A KR20060045511 A KR 20060045511A KR 100770191 B1 KR100770191 B1 KR 100770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plug
housing
wal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1110A (ko
Inventor
히로아키 오비카네
마사후미 고데라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1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접촉자 (11) 를 유지하는 절연 하우징 (21) 을 포함하는 커넥터 (1) 에 있어서, 이 하우징은 2 개의 금속제의 강화 부재 (41, 42) 에 의해 보강된다. 하우징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쌍의 제 1 벽부 (25, 26) 와, 상기 제 1 벽부와 함께 제 1 벽부 사이의 사각형 공동 (29) 을 형성하는 한쌍의 제 2 벽부 (27, 28) 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벽부 각각은, 사각형 공동에 대향하는 벽 내부면 (25b, 26b), 상기 벽 내부면 반대편의 벽 외부면 (25c, 26c), 및 벽 내부면과 벽 외부면 사이의 벽 주변면 (25a, 26a) 을 구비한다. 상기 접촉자는 1 이상의 제 2 벽부상에 배치된다. 상기 강화 부재는 제 1 벽부상에 각각 배치되며, 벽 내부면과 벽 외부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형성된다.

Description

접속 및 비접속의 반복을 견딜 수 있는 전기 접속 장치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CAPABLE OF RESISTING REPETITION OF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도 1 은 결합전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접속 장치의 정면 단면도,
도 2 는 결합후 도 1 에 도시된 전기 접속 장치의 정면 단면도,
도 3 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전기 접속 장치의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
도 4 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전기 접속 장치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
도 5 는 도 3 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에 사용된 플러그 강화 부재의 사시도,
도 6 은 도 4 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사용된 리셉터클 강화 부재의 사시도,
도 7 은 도 3 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부분 절단면도,
도 8 은 도 4 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부분 절단면도,
도 9 는 도 5 에 도시된 플러그 강화 부재의 변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 은 도 9 에 도시된 변형을 사용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부분 사시도,
도 11 은 도 6 에 도시된 리셉터클 강화 부재의 변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 는 도 11 에 도시된 변형을 사용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부분 사시도,
도 13 은 결합전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접속 장치의 정면 단면도,
도 14 는 결합후 도 13 에 도시된 전기 접속 장치의 절단 정면도, 및
도 15 는 도 13 및 도 14 에 도시된 전기 접속 장치에 사용된 리셉터클 강화 부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의 설명 *
1 : 플러그 커넥터
11 : 플러그 접촉자
21 : 플러그 하우징
23 : 플러그측 결합부
41, 42 : 플러그 강화 부재
101 : 리셉터클 커넥터
111 : 리셉터클 접촉자
121 : 리셉터클 하우징
123 : 리셉터클측 결합부
141, 142 : 리셉터클 강화 부재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조합을 포함하는 전기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또는 휴대 장치에 전기 접속을 위한 다중핀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휴대 장치가 소형으로 개선되고 있기 때문에, 이 휴대 장치의 부품도 소형으로 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다중핀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체에 의해 유지되는 다수의 접촉자의 피치를 좁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이 피치를 좁게 하면, 인접한 접촉자 간의 거리가 감소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접촉 상태와 관련된 품질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예를 들어, 미심사된 일본공개특허 제 2003-297485 호에서는, 죔쇠를 사용하여 장착물에 전기적으로 또한 기계적으로 고정되는 커넥터를 개시하였다. 미심사된 일본공개특허 제 2002-305047 호에서는, 절연체에 압입된 죔쇠에 의해 기계 강도를 향상시키는 커넥터를 개시하였다.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각각의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절연체들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서로 접속될 때 서로 결합된다. 이러한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체의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할 시 이 절연체는 마멸되거나 파괴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서로 비접속될 때, 절연체가 서로에 대하여 비틀려서 분리된다고 가정하였다. 이 경우에, 절연체는 강한 외부력을 받아 변형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간의 적절한 결합이 달성되지 않을 수 있도 또한 접촉자들 간에 부적절한 접촉 또는 단락이 발생하여 접촉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 및 비접속의 반복을 견딜 수 있는 전기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라서, 다수의 전도성 접촉자, 상기 접촉자를 유지하는 절연 플러그 하우징,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을 보강하기 위한 2 개의 금속제의 플러그 강화 부재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쌍의 제 1 플러그 벽부와, 상기 제 1 플러그 벽부와 함께 제 1 플러그 벽부 사이의 사각형 공동을 형성하는 한쌍의 제 2 플러그 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플러그 벽부 각각은, 사각형 공동에 대향하는 플러그 벽 내부면, 상기 플러그 벽 내부면 반대편의 플러그 벽 외부면, 및 플러그 벽 내부면과 플러그 벽 외부면 사이의 플러그 벽 주변면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자는 1 이상의 제 2 플러그 벽부상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 강화 부재는 제 1 플러그 벽부상에 각각 배치되며, 플러그 벽 내부면과 플러그 벽 외부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다수의 전도성 접촉자, 상기 접촉자를 유지하는 절연 리셉터클 하우징, 및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을 보강하기 위한 2 개의 금속제의 리셉터클 강화 부재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쌍의 제 1 리셉터클 홈부와, 상기 제 1 리셉터클 홈부와 함께 제 1 리셉터클 홈부 사이의 사각형 블록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제 2 리셉터클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리셉터클 홈부 각각은, 사각형 블록부에 의해 형성된 리셉터클 홈 내부면과, 상기 리셉터클 홈 내부면에 대향하는 리셉터클 홈 외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접촉자는 1 이상의 제 2 리셉터클 홈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리셉터클 강화 부재는 제 1 리셉터클 홈부에 대향하도록 리셉터클 홈 내부면과 리셉터클 홈 외부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전술한 플러그 커넥터와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접속 장치로서, 제 1 및 제 2 플러그 벽부는 제 1 및 제 2 리셉터클 홈부에 결합하는데 적합한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접속 장치의 전체를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전기 접속 장치는 플러그 커넥터 (1) 와 리셉터클 커넥터 (101) 를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플러그 커넥터 (1) 및 리셉터클 커넥터 (101) 를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면, 플러그 커넥터 (1) 와 리셉터클 커넥터 (101) 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 (1) 와 리셉터클 커넥터 (101) 는 서로 전기 접속된다.
도 3 을 참조하여, 이하 플러그 커넥터 (1) 를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 (1) 는 다수의 전도성 플러그 접촉자 (11) 와 이 플러그 접촉 자 (11) 를 유지하는 절연 플러그 하우징 (21) 을 포함한다. 플러그 접촉자 (11) 각각은, 플러그 유지부 (11a), 이 플러그 유지부 (11a) 에서부터 플러그 하우징 (21) 의 내부로 형성된 플러그 접촉부 (11b), 및 이 플러그 접촉부 (11b) 에서부터 플러그 하우징 (21) 의 외부로 형성된 플러그 단자부 (11c) 를 구비한다.
플러그 하우징 (21) 은 수지 재료를 성형하여 얻어지고 사각형 프레임 형태의 플러그측 결합부 (23) 를 구비한다. 플러그측 결합부 (23) 는,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한쌍의 제 1 플러그 벽부 (25, 26) 와,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한쌍의 제 2 플러그 벽부 (27, 28) 를 구비한다. 제 2 플러그 벽부 (27, 28) 에는, 플러그 접촉자 (11) 의 플러그 유지부 (11a) 가 피치 방향 (A) 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종방향 (피치 방향 A) 으로 플러그 하우징 (21) 의 양단부에서는, 제 2 플러그 벽부 (27, 28) 가 제 1 플러그 벽부 (25, 26) 의 양단부와 접속한다. 제 1 플러그 벽부 (25, 26) 는 플러그 하우징 (21) 의 피치 방향 (A) 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제 1 및 제 2 플러그 벽부 (25, 26, 27, 28) 의 조합으로 플러그 하우징 (21) 내측에 사각형 공동 (29) 을 형성하게 된다.
제 1 플러그 벽부 (25, 26) 는, 플러그 벽 주변면 또는 제 1 플러그 결합면 (25a, 26a), 플러그측 결합부 (23) 내측에서 제 1 플러그 결합면 (25a, 26a) 에 인접한 제 1 플러그 벽 내부면 (25b, 26b), 플러그측 결합부 (23) 외측에서 제 1 플러그 결합면 (25a, 26a) 에 인접한 제 1 플러그 벽 외부면 (25c, 26c) 을 각각 구비한다.
제 1 플러그 벽부 (25, 26) 에는, 제 1 플러그 결합면 (25a, 26a) 및 제 1 플러그 벽 내부면 (25b, 26b) 을 각각 덮도록, 금속제의 플러그 강화 부재 (41, 42) 가 형성된다. 플러그 강화 부재 (41, 42) 는 플러그 하우징 (21) 에 의해 유지된다. 특히, 플러그 강화 부재 (41, 42) 는, 이 플러그 강화 부재 (41, 42) 의 표면이 제 1 플러그 벽부 (25, 26) 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몰드인 (mold-in) 으로 플러그 하우징 (21) 에 의해 일체로 유지된다.
제 2 플러그 벽부 (27, 28) 는, 제 2 플러그 결합면 (27a, 28a), 플러그측 결합부 (23) 내측에서 제 2 플러그 결합면 (27a, 28a) 에 인접한 제 2 플러그 벽 내부면 (27b, 28b), 플러그측 결합부 (23) 외측에서 제 2 플러그 결합면 (27a, 28a) 에 인접한 제 2 플러그 벽 외부면 (27c, 28c) 을 각각 구비한다.
플러그측 결합부 (23) 는 플러그 접촉자 (11) 의 플러그 유지부 (11a) 를 유지한다. 플러그 접촉자 (11) 는, 제 2 플러그 결합면 (27a, 28a), 제 2 플러그 벽 내부면 (27b, 28b), 및 제 2 플러그 벽 외부면 (27c, 28c) 을 따라 형성된 U 형상부를 구비한다. 제 2 플러그 벽 외부면 (27c, 28c) 의 하부면에는, 플러그 접촉자 (11) 의 플러그 단자부 (11c) 가 피치 방향 (A) 에 수직한 방향으로 플러그 하우징 (21) 으로부터 외부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이외에 도 4 를 참고하여, 이하 리셉터클 커넥터 (101) 를 설명한다.
리셉터클 커넥터 (101) 는 다수의 전도성 리셉터클 접촉자 (111) 와 이 리셉터클 접촉자 (111) 를 유지하는 절연 리셉터클 하우징 (121) 을 구비한다. 리셉터클 접촉자 (111) 각각은 리셉터클 유지부 (111a), 이 리셉터클 유지부 (111a) 의 일단부에서부터 플러그 하우징 (121) 의 내부로 형성된 리셉터클 접촉부 (111b), 및 이 리셉터클 유지부 (111a) 의 타단부에서부터 플러그 하우징 (121) 의 외부로 형성된 리셉터클 단자부 (111c) 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하우징 (121) 은, 수지 재료를 성형하여 얻어지고, 사각형의 사각형 블록부 또는 리셉터클측 결합부 (123), 리셉터클측 결합부 (123) 의 외부에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쌍의 제 1 리셉터클 외부 벽부 (131, 132), 및 리셉터클측 결합부 (123) 의 외부에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쌍의 제 2 리셉터클 외부 벽부 (134, 135) 를 구비한다. 제 1 리셉터클 외부 벽부 (131, 132) 는 서로 평행하다. 제 2 리셉터클 외부 벽부 (134, 135) 도 서로 평행하다. 제 2 리셉터클 외부 벽부 (134, 135) 는 종방향으로 제 1 리셉터클 외부 벽부 (131, 132) 의 양단부에 접속된다. 따라서, 리셉터클측 결합부 (123) 와 제 1 리셉터클 외부 벽부 (131, 132) 사이에는, 한쌍의 홈 또는 제 1 리셉터클 홈부가 각각 형성된다. 리셉터클측 결합부 (123) 와 제 2 리셉터클 외부 벽부 (134, 135) 사이에는, 한쌍의 홈 또는 제 2 리셉터클 홈부가 각각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리셉터클 홈부의 조합을 리셉터클측 결합 홈이라고 한다. 여기서, 리셉터클측 결합 홈은 플러그 커넥터 (1) 의 플러그측 결합부 (23) 에 결합되기에 적합한 형상과 크기로 구성된다.
리셉터클측 결합부 (123) 는, 피치 방향 (A) 으로 양단부에 있는 한쌍의 제 1 리셉터클 내부 벽부 (125, 126) 및 이 제 1 리셉터클 내부 벽부 (125, 126) 를 접속시키는 제 2 리셉터클 내부 벽부 (128) 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접촉자 (111) 는 제 2 리셉터클 홈부에 대향하도록 피치 방향 (A) 으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제 1 리셉터클 내부 벽부 (125, 126) 는, 한쌍의 제 1 리셉터클 결합면 (125a, 126a), 한쌍의 제 1 리셉터클 내부 벽면 (125b, 126b), 및 한쌍의 제 2 리셉터클 내부 벽면 (125c, 126c) 을 각각 구비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 1 리셉터클 외부 벽부 (131, 132) 는 한쌍의 제 1 리셉터클 결합면 (131a, 132a), 한쌍의 제 1 리셉터클 내부 벽면 (131b, 132b), 및 한쌍의 제 1 리셉터클 외부 벽면 (131c, 132c) 을 각각 구비한다. 제 1 리셉터클 내부 벽부 (125, 126) 의 제 1 리셉터클 내부 벽면 (125b, 126b) 각각을 리셉터클 홈 내부면이라고 하고, 제 1 리셉터클 외부 벽부 (131, 132) 의 제 1 리셉터클 내부 벽면 (131b, 132b) 각각을 리셉터클 홈 외부면이라고 한다. 전술한 리셉터클측 결합 홈은 리셉터클 홈 내부면 및 리셉터클 홈 외부면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리셉터클 내부 벽부 (125, 126) 에는, 리셉터클 결합면 (125a, 126a) 및 제 1 리셉터클 내부 벽면 (125b, 126b) 을 따라 형성된 금속제의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142) 가 형성된다.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142) 는 리셉터클 하우징 (121) 에 의해 유지된다. 특히,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142) 는, 이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142) 의 표면이 제 1 리셉터클 내부 벽부 (125, 126) 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몰드인으로 리셉터클 하우징 (21) 에 의해 일체로 유지된다.
제 2 리셉터클 외부 벽부 (134, 135) 는 리셉터클 접촉자 (111) 의 리셉터클 유지부 (111a) 를 유지하는 외부면을 구비한다. 리셉터클 접촉자 (111) 의 리셉터클 접촉부 (111b) 는, 일반적으로 U 형상이고, 제 2 리셉터클 외부 벽부 (134, 135) 의 내부면에서부터 리셉터클 내부 벽부 (125, 126) 상에 형성된 홈부 (136) 까지 형성되어 있다. 제 2 리셉터클 외부 벽부 (134, 135) 의 하부면상에는, 리셉터클 접촉자 (111) 의 리셉터클 단자부 (111c) 가 피치 방향 (A) 에 수직한 방향으로 리셉터클 하우징 (121) 의 외부로 형성되어 있다.
도 5 를 참조하여, 이하 플러그 강화 부재 (41, 42) 를 설명한다. 플러그 강화 부재 (41, 42) 들은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는 플러그 강화 부재 (41) 만을 설명한다. 플러그 강화 부재 (41, 42) 각각은 금속판을 펀칭한 후 구부림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강화 부재 (41) 는 편평한 형상의 제 1 플러그 판부 (41a), 이 제 1 플러그 판부 (41a) 의 일측에 접속되며 일반적으로 역 U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제 2 플러그 판부 (41b), 이 제 2 플러그 판부 (41b) 의 반대 방향으로 일반적으로 수직하게 구부러진 한쌍의 제 3 플러그 판부 (41c), 제 1 플러그 판부 (41a) 의 하부측에 접속되며 제 2 플러그 판부 (41b) 와 동일한 방향으로 일반적으로 수직하게 구부러지는 플러그 접속 판부 (41f), 및 이 플러그 접속 판부 (41f) 로부터 피치 방향 (A) 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플러그 납땜부 (41d) 를 구비한다.
제 2 플러그 판부 (41b) 는 제 1 플러그 벽부 (25) 의 제 1 플러그 벽 외부면 (25c) 상에 배치된 단부 (41j) 를 구비한다. 제 3 플러그 판부 (41c) 는, 플러그 강화 부재 (41) 가 유지되도록, 몰드인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 (21) 을 형성 할 시 제 2 플러그 벽부 (27, 28) 에 개재된다. 플러그 납땜부 (41d, 42d) 는 플러그 접촉자 (11) 의 플러그 단자부 (11c) 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땜납을 사용하여 기판 (도시하지 않음) 에 접속된다. 플러그 단자부 (11c) 는 땜납을 사용하여 기판의 전도 패턴에 접속된다.
도 6 을 참조하여, 이하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142) 를 설명한다.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142) 들은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는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만을 설명한다.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142) 각각은 금속판을 펀칭한 후 구부림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는, 편평한 형상의 제 1 리셉터클 판부 (141a), 이 제 1 리셉터클 판부 (141a) 의 일측에 접속되며 일반적으로 역 U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제 2 리셉터클 판부 (141b), 제 1 리셉터클 판부 (141a) 의 한쌍의 타측에 접속되며 제 2 리셉터클 판부 (141b) 와 동일한 방향으로 일반적으로 수직하게 구부러진 한쌍의 제 3 리셉터클 판부 (141c), 제 1 리셉터클 판부 (141a) 의 하부측에 접속되며 제 2 리셉터클 판부 (141b) 의 반대 방향으로 일반적으로 수직하게 구부러지는 제 4 리셉터클 판부 (141d), 및 접속 판부 (141p) 를 통하여 제 2 리셉터클 판부 (141d) 의 양측에 접속되며 양단부에 형성되는 한쌍의 리셉터클 납땜부 (141e) 를 구비한다.
또한,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는, 제 4 리셉터클 판부 (141d) 근방에서 이 제 4 리셉터클 판부 (141d) 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수직하게 구부러지며 제 1 리셉터클 판부 (141a) 에 평행한 한쌍의 제 5 리셉터클 판부 (141f) 와, 제 3 리셉터 클 판부 (141c) 에 평행하게 되도록 제 5 리셉터클 판부 (141f) 로부터 구부러진 한쌍의 제 6 리셉터클 판부 (141g) 를 구비한다.
제 2 리셉터클 판부 (141b) 의 단부 (141j) 와 제 3 리셉터클 판부 (141c) 는, 리셉터클 강화 부재 (41) 가 리셉터클 하우징 (121) 과 일체로 유지되도록 몰드인에 의해 리셉터클 하우징 (121) 을 형성할 시, 리셉터클 내부 벽부 (125) 에 개재된다. 제 6 리셉터클 판부 (141g) 는 몰드인에 의해 리셉터클 하우징 (121) 을 형성할 시 제 2 리셉터클 외부 벽부 (134, 135) 에 개재된다. 따라서,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는 리셉터클 하우징 (121) 과 일체로 유지된다.
리셉터클 납땜부 (141e) 는 리셉터클 접촉자 (111) 의 리셉터클 단자부 (111c) 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땜납을 사용하여 기판 (도시하지 않음) 에 접속된다. 리셉터클 단자부 (111c) 는 땜납을 사용하여 기판의 전도 패턴에 접속된다.
플러그 강화 부재 (41) 의 플러그 납땜부 (41d) 와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의 리셉터클 납땜부 (141e) 는 불필요하다면 없앨 수 있다.
도 1 과 도 2 를 참조하여, 이하 플러그 커넥터 (1) 와 리셉터클 커넥터 (101) 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플러그 커넥터 (1) 의 플러그측 결합부 (23) 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101) 의 리셉터클측 결합부 (123) 내에 수용된다. 플러그 커넥터 (1) 와 리셉터클 커넥터 (101) 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되면, 플러그 강화 부재 (41, 42) 의 제 1 플러그 판부 (41a, 42a) 와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142) 의 제 1 리셉터클 판부 (141a, 142a) 는 서로 마찰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 접촉자 (11) 와 리셉터클 접촉자 (111) 간의 피치 방향 (A) 으로의 거리 또는 간격이 좁아지는 좁은 피치 상태에서도, 피치 방향 (A) 으로 부적절하게 접촉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결합시, 이 결합은 플러그 강화 부재 (41, 42) 와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142) 에 의해 결정 또는 달성된다. 따라서, 결합 및 분리의 반복시 플러그 하우징 (21) 과 리셉터클 하우징 (121) 이 마멸 또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 과 도 8 을 참조하여, 이하 보충 설명한다.
도 7 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강화 부재 (41) 의 제 3 플러그 판부 (41c) 는 플러그 하우징 (21) 의 제 2 플러그 벽부 (27, 28) 에 개재된다. 따라서, 플러그 하우징 (21) 은 그 강성이 더 증가하게 된다. 리셉터클 커넥터 (101) 로부터 플러그 커넥터 (1) 를 분리했을 때 비틀림력이 가해지더라도, 플러그 하우징 (21) 은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도 8 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의 제 3 리셉터클 판부 (141g, 141f) 는 리셉터클 하우징 (121) 의 제 1 리셉터클 외부 벽부 (131) 와 제 2 리셉터클 외부 벽부 (134, 135) 에 개재된다. 따라서, 리셉터클 하우징 (121) 은 그 강성이 더 증가하게 된다. 리셉터클 커넥터 (101) 로부터 플러그 커넥터 (1) 를 분리했을 때 비틀림력이 가해지더라도, 플러그 하우징 (21) 은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플러그 강화 부재 (41, 42) 와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142) 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 (1) 와 리셉터클 커넥터 (101) 중 하나에는 스프링 부재 또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시, 이 스프링 부재 또는 돌출부는 플러그 강화 부재 (41, 42) 또는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142) 와 어느 한쪽 방향으로 접촉하게 된다.
도 9 와 도 10 을 참조하여, 이하 플러그 커넥터 (1) 의 변형을 설명한다.
도 9 에 도시된 플러그 강화 부재 (41) 는 전술한 플러그 납땜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플러그 강화 부재 (41) 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 (1) 는 도 10 에 도시되었다. 다른 플러그 강화 부재 (42) 는 플러그 납땜부를 구비 또는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 과 도 12 를 참조하여, 이하 리셉터클 커넥터 (101) 의 변형을 설명한다.
도 11 에 도시된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는 전술한 리셉터클 납땜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를 구비한 리셉터클 커넥터 (101) 는 도 12 에 도시되었다. 다른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2) 는 리셉터클 납땜부를 구비 또는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3 과 도 14 를 참조하여,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접속 장치의 전체를 설명한다.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칭하였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도시된 전기 접속 장치의 플러그 커넥터 (1) 는 도 1 과 도 2 에 도시된 전기 접속 장치의 플러그 커넥터와 유사하다. 다른 한편으로, 리셉터클 커넥터 (201) 에 있어서, 제 1 리셉터클 외부 벽부 (131, 132) 에는 금속제의 리셉터클 강화 부재 (241, 242) 가 각각 형성된다. 리셉터클 강화 부재 (241, 242) 는 리셉터클 결합면 (131a, 132a) 및 제 1 리셉터클 내부 벽면 (131b, 132b) 을 따라 형성된다.
리셉터클 강화 부재 (241, 242) 는 리셉터클 하우징 (121) 에 의해 유지된다. 특히, 리셉터클 강화 부재 (241, 242) 는, 이 리셉터클 강화 부재 (241, 242) 의 표면이 리셉터클 결합면 (131a, 132a) 및 제 1 리셉터클 내부 벽면 (131b, 132b) 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몰드인으로 리셉터클 하우징 (121) 에 의해 일체로 유지된다.
도 15 를 참조하여, 이하 리셉터클 강화 부재 (241, 242) 를 설명한다. 리셉터클 강화 부재 (241, 242) 는 동일한 형상이기 때문에, 이하에는 리셉터클 강화 부재 (241) 만을 설명한다. 리셉터클 강화 부재 (241, 242) 각각은 금속판을 펀칭한 후 구부림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강화 부재 (241) 는, 편평한 형상의 제 1 리셉터클 판부 (241a), 이 제 1 리셉터클 판부 (241a) 의 일측에 접속되며 일반적으로 역 U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제 2 리셉터클 판부 (241b), 제 1 리셉터클 판부 (241a) 의 한쌍의 타측에 접속되며 제 2 리셉터클 판부 (241b) 의 반대 방향으로 일반적으로 수직하게 구부러진 한쌍의 제 3 리셉터클 판부 (241c), 제 1 리셉터클 판부 (241a) 의 하부측에 접속되며 제 2 리셉터클 판부 (241b) 의 반대 방향으로 일반적으로 수직하게 구부러지는 리셉터클 접속 판부 (241f), 및 리셉터클 접속 판부 (241f) 로부터 피치 (A) 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리셉터클 납땜부 (241d) 를 구비한다.
제 2 리셉터클 판부 (241b) 의 단부 (241j) 는 제 1 리셉터클 외부 벽면 (131c) 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제 3 리셉터클 판부 (241c) 는 성형에 의해 리셉터클 하우징 (121) 을 형성할 시 제 2 리셉터클 벽부 (134) (도 4 참조) 에 개재된다. 리셉터클 납땜부 (241d) 는 리셉터클 접촉자 (111) 의 리셉터클 단자부 (111c) 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땜납을 사용하여 기판 (도시하지 않음) 에 접속된다.
플러그 강화 부재 (41) 의 플러그 납땜부 (41d) 와 리셉터클 강화 부재 (241) 의 리셉터클 납땜부 (241e) 는 불필요하다면 없앨 수 있다.
도 13 과 도 14 를 참조하여, 이하 플러그 커넥터 (1) 와 리셉터클 커넥터 (201) 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13 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플러그 커넥터 (1) 의 플러그측 결합부 (23) 는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201) 의 리셉터클측 결합부 (123) 내에 수용된다. 플러그 커넥터 (1) 와 리셉터클 커넥터 (201) 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될 때, 플러그 강화 부재 (41) 의 제 1 플러그 판부 (41a, 42a) 와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142) 의 제 1 리셉터클 판부 (141a, 142a) 는 서로 마찰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 접촉자 (11) 와 리셉터클 접촉자 (111) 간의 피치 방향 (A) 으로의 거리 또는 간격이 좁아지는 좁은 피치 상태에서도, 피치 방향 (A) 으로 부적절하게 접촉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결합시, 이 결합은 플러그 강화 부재 (41, 42) 와 리셉터클 강화 부재 (241, 242) 에 의해 결정 또는 달성된다. 따라서, 결합 및 분리의 반복시 플러그 하우징 (21) 과 리셉터클 하우징 (121) 이 마멸 또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강화 부재 (241) 의 제 3 리셉터클 판부 (241c) 는 도 8 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리셉터클 하우징 (121) 내에 개재된다. 따라서, 리셉터클 하우징 (121) 은 그 강성이 더 증가하게 된다. 리셉터클 커넥터 (201) 로부터 플러그 커넥터 (1) 를 분리했을 때 비틀림력이 가해지더라도, 플러그 하우징 (21) 은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플러그 강화 부재 (41, 42) 와 리셉터클 강화 부재 (241, 242) 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 (1) 와 리셉터클 커넥터 (201) 중 하나에 스프링 부재 또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시, 이 스프링 부재 또는 돌출부는 플러그 강화 부재 (41, 42) 또는 리셉터클 강화 부재 (241, 242) 와 어느 한쪽 방향으로 접촉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 각각의 전기 접속 장치는 다양한 전기 장치에서 인쇄 기판,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기판의 접속에 적합하다.
본 발명을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플러그 접촉자와 리셉터클 접촉자 간의 피치 방향 (A) 으로의 거리 또는 간격이 좁아지는 좁은 피치 상태에서도, 피치 방향으로 부적절하게 접촉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Claims (12)

  1. 다수의 전도성 접촉자 (11),
    상기 접촉자를 유지하는 절연 플러그 하우징 (21),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을 보강하기 위한 2 개의 금속제의 플러그 강화 부재 (41, 42) 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1) 로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쌍의 제 1 플러그 벽부 (25, 26) 와,
    상기 제 1 플러그 벽부와 함께 제 1 플러그 벽부 사이의 사각형 공동 (29) 을 형성하는 한쌍의 제 2 플러그 벽부 (27, 28) 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플러그 벽부 각각은,
    사각형 공동에 대향하는 플러그 벽 내부면 (25b, 26b),
    상기 플러그 벽 내부면 반대편의 플러그 벽 외부면 (25c, 26c), 및
    플러그 벽 내부면과 플러그 벽 외부면 사이의 플러그 벽 주변면 (25a, 26a) 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자는 1 이상의 제 2 플러그 벽부상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 강화 부재는 제 1 플러그 벽부상에 각각 배치되며, 플러그 벽 내부면과 플러그 벽 외부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플러그 강화 부재는 플러그 벽 주변면을 따라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플러그 강화 부재 각각은 플러그 하우징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의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플러그 강화 부재는 몰드인 (mold-in) 으로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 일체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플러그 벽부 각각은 제 2 플러그 벽부들을 서로 접속시키고, 플러그 강화 부재는 제 1 플러그 벽부 둘레를 각각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플러그 강화 부재 각각은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납땜부 (41d, 42d)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7. 다수의 전도성 접촉자 (111),
    상기 접촉자를 유지하는 절연 리셉터클 하우징 (121), 및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을 보강하기 위한 2 개의 금속제의 리셉터클 강화 부재 (141, 142) 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01) 로서,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쌍의 제 1 리셉터클 홈부와,
    상기 제 1 리셉터클 홈부와 함께 제 1 리셉터클 홈부 사이의 사각형 블록부 (123) 를 형성하는 한쌍의 제 2 리셉터클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리셉터클 홈부 각각은,
    사각형 블록부에 의해 형성된 리셉터클 홈 내부면 (125b, 126b) 과,
    상기 리셉터클 홈 내부면에 대향하는 리셉터클 홈 외부면 (131b, 132b) 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접촉자는 1 이상의 제 2 리셉터클 홈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리셉터클 강화 부재는 제 1 리셉터클 홈부에 대향하도록 리셉터클 홈 내부면과 리셉터클 홈 외부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강화 부재 각각은 리셉터클 하우징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의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9. 제 7 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강화 부재는 몰드인으로 리셉터클 하우징에 의해 일체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리셉터클 홈부 각각은 제 2 리셉터클 홈부를 각각 접속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1. 제 7 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강화 부재 각각은 리셉터클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 납땜부 (141e, 142e)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2.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청구항 제 7 항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플러그 벽부는 제 1 및 제 2 리셉터클 홈부에 결합하는데 적합한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장치.
KR1020060045511A 2005-05-23 2006-05-22 접속 및 비접속의 반복을 견딜 수 있는 전기 접속 장치 KR100770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49363 2005-05-23
JP2005149363A JP4478609B2 (ja) 2005-05-23 2005-05-23 プラグコネクタ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110A KR20060121110A (ko) 2006-11-28
KR100770191B1 true KR100770191B1 (ko) 2007-10-25

Family

ID=3738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511A KR100770191B1 (ko) 2005-05-23 2006-05-22 접속 및 비접속의 반복을 견딜 수 있는 전기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72434B2 (ko)
JP (1) JP4478609B2 (ko)
KR (1) KR100770191B1 (ko)
CN (1) CN1881705A (ko)
DE (1) DE102006023979B4 (ko)
TW (1) TWI2907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0941443Y (zh) * 2006-08-08 2007-08-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JP4913522B2 (ja) * 2006-09-29 2012-04-11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回路基板相互接続用コネクタ装置
JP4858050B2 (ja) * 2006-09-29 2012-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12347B2 (ja) * 2007-04-24 2010-02-1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接続体
US7682199B2 (en) 2007-05-07 2010-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TWM330605U (en) * 2007-08-24 2008-04-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809816B2 (ja) * 2007-08-31 2011-11-0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TW200952294A (en) * 2008-06-06 2009-12-16 Asustek Comp Inc Connector
JP5553502B2 (ja) * 2008-12-19 2014-07-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078168B2 (ja) * 2009-03-26 2012-11-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881333B2 (ja) * 2010-09-08 2016-03-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CN202004200U (zh) * 2011-01-06 2011-10-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JP5908225B2 (ja) * 2011-07-06 2016-04-2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34243B2 (ja) * 2011-09-09 2015-12-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JP5214798B1 (ja) * 2011-12-27 2013-06-19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CN103904501A (zh) * 2012-12-28 2014-07-02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CN104137344B (zh) * 2013-02-27 2017-06-30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连接器、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和插口件
CN103117477B (zh) * 2013-03-13 2015-06-24 昆山宏泽电子有限公司 具有金属增强结构的卡缘连接器
JP5881666B2 (ja) * 2013-11-19 2016-03-09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9391398B2 (en) 2014-03-20 2016-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JP6034339B2 (ja) * 2014-07-29 2016-11-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388152B2 (ja) * 2014-08-07 2018-09-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56835B2 (ja) 2014-11-14 2017-01-1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及び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6391517B2 (ja) 2015-03-30 2018-09-1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385875B2 (ja) * 2015-04-01 2018-09-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319210B2 (ja) * 2015-07-02 2018-05-09 Smk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CN106356656A (zh) * 2015-07-17 2017-01-25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组件及其插座连接器与插头连接器
JP6498622B2 (ja) * 2016-03-14 2019-04-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638823B1 (ko) * 2016-11-29 2024-02-21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실장 금구 및 그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JP6806593B2 (ja) * 2017-02-28 2021-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42359B2 (ja) * 2017-05-10 2021-03-1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761375B2 (ja) * 2017-05-29 2020-09-23 京セラ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2542024B1 (ko) 2018-02-23 2023-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41368B1 (ko) 2018-05-24 2019-11-07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JP6681951B2 (ja) * 2018-08-08 2020-04-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937400B2 (ja) * 2018-08-21 2021-09-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7093273B2 (ja) * 2018-09-07 2022-06-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16749B2 (ja) * 2018-10-11 2021-01-20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セット
JP2020077490A (ja) * 2018-11-06 2020-05-21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セット
KR102659117B1 (ko) * 2018-12-27 2024-04-18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JP1638606S (ko) * 2018-12-28 2019-08-05
JP1638446S (ko) * 2018-12-28 2019-08-05
JP7309370B2 (ja) * 2019-01-22 2023-07-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JP6817477B2 (ja) * 2020-02-10 2021-01-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21197299A (ja) * 2020-06-16 2021-1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液状物質の侵入を防止する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組立体を用いた電子装置
CN214505933U (zh) 2020-08-03 2021-10-26 广濑电机株式会社 连接器
JP7379309B2 (ja) 2020-10-27 2023-11-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中央凸部を有するハウジングを備えたコネクタを保護するための保護部材、及び、保護部材を配置したコネクタ
JP7484960B2 (ja) 2022-04-26 2024-05-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755A (ko) * 1995-07-10 1997-02-24 한승준 자동차용 총합 전기 분배장치의 케이스
EP0800241A2 (en) * 1996-04-05 1997-10-08 Molex Incorporated Shielded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KR19990028397A (ko) * 1995-06-28 1999-04-15 세이취크 제이 엘. 기판-기판 취합형 커넥터 어셈블리
JP2000123913A (ja) * 1998-10-19 2000-04-28 Kel Corp 嵌合型コネクタ
JP2000133342A (ja) * 1998-10-20 2000-05-12 Hirose Electric Co Ltd フローティング電気コネクタ
KR20010039799A (ko) * 1999-10-25 2001-05-15 나가토시 다쯔미 플러그와 리셉터클 사이의 단락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한로킹기구
JP2002198115A (ja) * 2000-12-22 2002-07-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US6503101B1 (en) 2001-12-04 2003-01-0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path
KR20040081405A (ko) * 2004-09-01 2004-09-21 (주)마루스솔루션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9789A (en) * 1993-02-23 1993-11-09 Molex Incorporated Retention system for circuit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JP3746106B2 (ja) * 1996-06-27 2006-02-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6095824A (en) * 1997-02-06 2000-08-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0113926A (ja) * 1998-10-01 2000-04-21 Hirose Electric Co Ltd 表面実装型コネクタ
JP3595936B2 (ja) * 2001-04-05 2004-12-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実装用コネクタ
US6464515B1 (en) * 2001-11-28 2002-10-1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igh-speed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JP3677601B2 (ja) * 2002-04-05 2005-08-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ホールドダウン付きコネクタ
WO2004010538A1 (en) * 2002-07-23 2004-01-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ow-profile connector
JP4181895B2 (ja) * 2003-02-25 2008-11-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リセプタクル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397A (ko) * 1995-06-28 1999-04-15 세이취크 제이 엘. 기판-기판 취합형 커넥터 어셈블리
KR970008755A (ko) * 1995-07-10 1997-02-24 한승준 자동차용 총합 전기 분배장치의 케이스
EP0800241A2 (en) * 1996-04-05 1997-10-08 Molex Incorporated Shielded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5921814A (en) 1996-04-05 1999-07-13 Molex Incorporated Shielded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JP2000123913A (ja) * 1998-10-19 2000-04-28 Kel Corp 嵌合型コネクタ
JP2000133342A (ja) * 1998-10-20 2000-05-12 Hirose Electric Co Ltd フローティング電気コネクタ
KR20010039799A (ko) * 1999-10-25 2001-05-15 나가토시 다쯔미 플러그와 리셉터클 사이의 단락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한로킹기구
JP2002198115A (ja) * 2000-12-22 2002-07-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US6503101B1 (en) 2001-12-04 2003-01-0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path
KR20040081405A (ko) * 2004-09-01 2004-09-21 (주)마루스솔루션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23979A1 (de) 2006-11-30
CN1881705A (zh) 2006-12-20
US20060264075A1 (en) 2006-11-23
US7172434B2 (en) 2007-02-06
TW200703817A (en) 2007-01-16
DE102006023979B4 (de) 2009-07-16
JP2006331679A (ja) 2006-12-07
TWI290784B (en) 2007-12-01
JP4478609B2 (ja) 2010-06-09
KR20060121110A (ko) 200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191B1 (ko) 접속 및 비접속의 반복을 견딜 수 있는 전기 접속 장치
TWI539680B (zh) Substrate to substrate connector
US9190750B2 (en) Board-to-board connector
JP7445703B2 (ja) コネクタ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9287643B2 (en) Electric connector
US20160294082A1 (en) Connector
US7258567B2 (en) Board mounting type connector with metal fastening member
US8113884B2 (en) Connector
WO2010003100A1 (en) Board-to-board connector
JP2014175304A (ja) 電気コネクタ
US9577371B2 (en) Connector with retaining portion having reinforcing portion
US20220052468A1 (en) Receptacle connector
KR20080103537A (ko) 커넥터
JP3929946B2 (ja) コネクタ
EP1478052B1 (en) Sheath stripping pressure contact terminal
US11837811B2 (en)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JP7140034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7326928B2 (ja) 端子及びコネクタ
JP2005332734A (ja) 圧接端子とそれを備えた圧接コネクタ
JP2023175512A (ja) 電気コネクタ
JP6435850B2 (ja) 電気コネクタ
KR102034317B1 (ko) 커넥터
JP2023016919A (ja) コネクタ
JP202311511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