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317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317B1
KR102034317B1 KR1020130027921A KR20130027921A KR102034317B1 KR 102034317 B1 KR102034317 B1 KR 102034317B1 KR 1020130027921 A KR1020130027921 A KR 1020130027921A KR 20130027921 A KR20130027921 A KR 20130027921A KR 102034317 B1 KR102034317 B1 KR 102034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pening
connector
contac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6306A (ko
Inventor
신지 이노우에
노리히로 아사오카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6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상하의 방향의 판별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하우징을 가지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한쪽의 면에 끼워 맞춰지는 상대 측의 접속부가 삽입되는 폭 넓은 제1 개구(18)와, 한쪽의 면과 대향하는 다른 쪽의 면에 제1 개구(18)와 연통되는 제2 개구(19)가 마련된 저배의 하우징(11)을 가지는 커넥터(10)로서, 하우징(11)의 한쪽의 면을 전면(12)으로 하고, 폭 넓은 제1 개구(18)가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었을 때, 하우징(11)은 전면(12)의 중심을 수직으로 지나는 면(28)을 축에 좌우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전면(12)의 중심을 수평으로 지나는 면(29)을 축에 상하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CONNECTOR}
본 발명은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s, 이하, 간단히 「FPC」라 함.)이나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이하, 간단히 「FFC」라 함.)이 접속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자동화된 커넥터의 조립공정에서의 하우징의 상하방향의 판별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생산효율을 높이고, 제조비용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진보에 의해, 휴대전화기를 비롯한 휴대단말기 등은 고성능화가 진행됨과 아울러, 소형화도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기기에 실장(實裝)되는 여러 가지의 전자부품 모듈이나 프린트 기판 사이를 접속하기 위해서, 평형(平型) 유연 케이블인 FPC나 FFC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 FPC나 FFC가 접속되는 커넥터도 전자기기의 진보에 맞추어 실장시키는 전자기기 내에서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저배화(低背化 : 두께를 얇게 하는 것)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FPC가 삽발(揷拔 : 꽂고 빼기)되는 FPC용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FPC용 커넥터에 의하면, FPC가 삽입되는 단말차입구(端末差入口)가 형성되고, 접촉대상물이 되는 프린트 기판에 얹어 놓이는 절연성의 소켓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소켓 하우징은 접촉대상물이 되는 프린트 기판에서의 실장 높이가 1.5㎜ 이하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하기 특허문헌 1의 FPC용 커넥터에서는 소켓 하우징 외에 프린트 기판에 용착(溶着)되는 복수의 접촉자와, 규제탭이 구비되어 있고, 이들 구성부품에 의해 FPC용 커넥터가 조립되어 있다. 현재, 커넥터의 조립은 자동화 기기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 조립은, 예를 들면, 하우징을 제조라인으로 흘리고, 이 흘러 온 하우징에 접촉자나 규제탭 등을 순차 조립하도록 행해진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2004-213917호 공보
이와 같이, 커넥터가 자동화 기기에 의해 조립되는 경우, 이 자동화 기기에는 기초가 되는 구성부품, 예를 들면 하우징을 그 방향이 일정한 상태에서 공급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 커넥터의 조립공정에서는 일반적으로 하우징을 자동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파트 피더(parts feeder)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 파트 피더에 하우징의 방향을 판별하는 기구나, 공통의 방향이 되도록 하기 위한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파트 피더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방향을 판별하거나, 공통의 방향으로 하거나 하는 경우, 하우징의 방향이 좌우 반대이면, 예를 들면 파트 피더에 막대 모양의 부재를 구비해 두고, 하우징에 이 막대 모양의 부재가 걸리도록 하는 구성을 마련해 둠으로써, 좌우의 반전(反轉)이 행해져, 올바른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FPC용 커넥터의 하우징으로 대표되는 많은 하우징의 형상이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FPC용 커넥터의 하우징으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의 형상은 고의로 상하가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하우징의 상하방향의 판별을 행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상하방향이 비대칭으로 형성된 하우징은 조립공정에서 파트 피더를 이송 중에 하우징의 방향이 상하 반대라고 판별되었을 때, 한 번 라인으로부터 벗어나고, 재차, 파트 피더로 이송되어 상하방향의 판별이 행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하우징의 상하의 방향의 판별을 행하려면 시간이 걸리며, 다음의 조립공정에 하우징이 공급되는 양이 적게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어, 결과적으로, 생산효율이 저하하고, 또, 생산 코스트가 높아져 버리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이 내포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하우징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인 면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대칭인 형상으로 함과 아울러, 수평인 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대칭인 형상으로 함으로써, 파트 피더에서의 상하의 판별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생산효율이 높아지며, 또, 제조비용이 억제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커넥터는, 한쪽의 면에 끼워 맞춰지는 상대 측의 접속부가 삽입되는 폭 넓은 제1 개구와, 상기 한쪽의 면과 대향하는 다른 쪽의 면에 상기 제1 개구와 연통되는 제2 개구가 마련된 하우징을 가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한쪽의 면을 전면(前面)으로 하고, 상기 폭 넓은 제1 개구가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면의 중심을 수직으로 지나는 면에 대해서 좌우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전면의 중심을 수평으로 지나는 면에 대해서 상하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 형태의 커넥터는, 제1 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가 연통되는 복수의 연통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연통구멍에는 컨택트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 형태의 커넥터는, 제1 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춰지는 상대 측은 FPC 혹은 FF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4 형태의 커넥터는, 제1 ~ 3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개구 또는 상기 제2 개구가 마련된 면 중 어느 한쪽의 면의 양단부에 한 쌍의 맞물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부에는 보강탭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하우징은 상하 및 좌우의 구성이 외형뿐만 아니라 내부의 구조도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의 상대 측의 접속부가 삽입되는 폭 넓은 개구가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었을 때, 어느 쪽의 방향을 상하로 하여도 동일한 형상이 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하우징에 다른 부품을 장착하는 작업에 이르기까지 행해지는 하우징의 상하의 방향의 판별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의 효율을 올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에 비해 단시간에 보다 많은 하우징을 다음의 공정으로 옮길 수 있게 되어, 제조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제2 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컨택트가 장착되는 하우징의 연통구멍도 상하 및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컨택트의 장착도 하우징의 상하의 방향에 관계없이 행할 수 있게 되어, 제조의 효율을 높이고,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제3 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FPC 혹은 FFC와 끼워 맞춰지는 범용성이 높은 커넥터를 얻을 수 있어, 설계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또, 제4 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가 기판 등과 실장될 때에 접합되는 보강탭이 장착될 때에, 이 보강탭이 장착되는 하우징의 맞물림부는 상하 및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강탭의 장착도 하우징의 상하의 방향에 관계없이 행할 수 있게 되어, 제조의 효율을 높이고,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의 한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1의 (B)는 다른 쪽으로부터 본 커넥터이다.
도 2의 (A)는 실시형태 1의 하우징의 한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2의 (B)는 다른 쪽으로부터 본 사시도하다.
도 3의 (A)는 하우징의 정면도이며, 도 3의 (B)는 배면도이다.
도 4의 (A)는 하우징의 상면도이며, 도 4의 (B)는 저면도이다.
도 5의 (A)는 하우징의 한쪽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며, 도 5의 (B)는 다른 쪽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6의 (A)는 도 2의 (A)의 VIA-VIA선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6의 (B)는 도 2의 (A)의 VIB-VIB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컨택트의 사시도이며, 도 7의 (B)는 측면도이다.
도 8의 (A)는 보강탭의 사시도이며, 도 8의 (B)는 측면도이다.
도 9의 (A)는 하우징에 컨택트를 장착하는 조립공정을 설명하는 도 6의 (A)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며, 도 9의 (B)는 하우징에 보강탭을 장착하는 조립공정을 설명하는 도 6의 (B)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실시형태 2의 하우징의 도 6의 (A)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며, 도 10의 (B)는 실시형태 2의 컨택트의 도 7의 (B)에 대응하는 측면도이고, 도 10의 (C)는 실시형태 2의 커넥터의 도 9의 (A)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커넥터를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것에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그 외의 실시형태인 것에도 동일하게 적응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형태 1]
도 1 ~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10)는 FPC(도시생략)와 접속되는 것이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 내에 장착되는 복수의 컨택트(30)와, 하우징(11)의 양측단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보강탭(36)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10)는 복수의 컨택트(30)가 프린트 기판 등에 남땜 등으로 용착되어 실장되며, 하우징(11)에 FPC가 삽입되어 컨택트(30)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하우징(11)의 양단에 장착된 보강탭(36)도 프린트 기판 등과 용착되도록 하면, 컨택트(10)를 보다 강고하게 실장시킬 수 있다. 이하, 각 구성부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도 6을 참조하여 하우징(11)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우징(11)은 저배(低背 : 두께를 얇게 함)의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12), 후면(13), 한쪽 또는 다른 쪽의 측면(14, 15), 상면(16) 및 저면(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12)에는 FPC가 삽입되는 부분이 되는 폭이 넓은 제1 개구(18)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12)과 대향하는 후면(13)에는 복수의 컨택트(30)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2 개구(19)가 형성되어 있다(도 3의 (B) 참조). 또, 전면(12)의 제1 개구(18)와 후면(13)의 제2 개구(19)가 연통되는 연통구멍(20)이 하우징(1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 내에 형성된 연통구멍(20)에는 후면(13)에 형성된 복수의 제2 개구(19)에 대응하도록 격벽(21)이 하우징(11)의 내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컨택트(30)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획되어 있다. 또, 각 격벽(21)은 하우징의 후면(13)으로부터 전면(12)의 약간 내측까지 형성되고, 그 중앙부는 FPC를 삽입할 수 있는 접속홈(22)이 제1 개구(18)의 가로 폭에 따라서 각각의 격벽(21)의 하우징(11)의 중앙과 후면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도 6의 (A) 참조).
또, 연통구멍(20)에는 컨택트(30)가 장착되는 컨택트 유지부(24)가 마련되어 있다. 컨택트 유지부는 후면(13) 측의 각 격벽(21) 및 접속홈(22)이 형성된 각 격벽(21)의 상부 및 하부의 일부에 의해, 컨택트(30)가 유지되게 된다. 또한, 전면(12)에 마련된 제1 개구(18)는 삽입되는 FPC의 가로 폭 및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며, 연통구멍(20)의 높이 방향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개구(18)의 입구는 FPC가 삽입하기 쉽게 테이퍼(23)가 제1 개구(18)의 가로방향의 폭을 따라서 상하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11)의 상면(16) 및 저면(17)은 하우징(11)이 저배의 직방체 형상이기 때문에, 표면적이 가장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 한쪽 또는 다른 쪽의 측면(14, 15)에는 후술하는 보강탭(36)이 장착되는 맞물림부(25)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맞물림부(25)는 하우징(11)의 전면(12)의 제1 개구(18)의 양단에 형성되고, 하우징(11)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된 슬릿 모양의 맞물림 홈(26)이 하우징(11)의 대략 중앙부 부근까지 형성되고, 이들 맞물림 홈(26)의 중심에는 맞물림 돌기(2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형태 1의 하우징(11)은 저면(17)을 아래로 하여 배치되었을 때, 전면(12)의 중심을 수직으로 지나는 면(28)에 대해서 좌우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전면(12)의 중심을 수평으로 지나는 면(29)에 대해서 상하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3 ~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1)은 수직 및 수평의 각 면(28, 29)에 대해서, 상면(16)과 저면(17)은 동일한 형상으로 상하 및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도 3 및 도 5 참조), 또, 한쪽의 측면(14)과 다른 쪽의 측면(15)도 동일한 형상으로 상하 및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며, 보강탭(36)이 장착되는 한 쌍의 맞물림부(25)도 상하 및 좌우로 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또한, 하우징(11) 내부의 형상도 상하 및 좌우대칭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개구(18), 제2 개구(19) 및 연통구멍(20), 또한 연통구멍(20)에 형성되는 컨택트 유지부(24)의 각 형상도 상하 및 좌우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6 참조).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컨택트(30)에 대해서 설명한다. 컨택트(30)는 소정 두께의 판상체로 형성되어 있고, 컨택트 본체(31)와, 이 컨택트 본체(31)의 위쪽 및 아래쪽으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되어 양다리로 형성된 접촉부(32)와, 컨택트 본체(31)의 접촉부(32)와 반대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3)와, 이 돌출부(33)의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마련되어 프린트 기판과 납땜 등으로 용착되는 고정부(35)로 구성되어 있다.
접촉부(32)는 양다리로 형성된 접촉부(32a, 32b)의 내측에 FPC가 삽입되었을 때, 상하의 접촉부(32a, 32b)에 의해 FPC가 끼워 지지되게 된다. 이 때, 양다리의 접촉부(32a, 32b)의 틈새는 FPC의 두께보다 약간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FPC가 삽입되었을 때에 상하의 접촉부(32a, 32b)가 확대되며, 이 때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FPC가 끼워 지지되게 된다.
고정부(35)는 컨택트 본체(31)의 접촉부(32)의 반대 측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돌출부(33)의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마련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부(35)가, 커넥터(10)가 프린트 기판에 실장되었을 때, 프린트 기판과 납땜 등으로 용착되어 고정됨과 아울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이 된다.
또, 컨택트 본체(31)의 상부에는 돌기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컨택트(30)가 하우징(11)에 삽입되었을 때, 이 돌기부(34)가 하우징(11)에 압입(壓入)됨으로써, 컨택트(30)가 하우징(11)에 위치결정 및 고정되어 장착되게 된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보강탭(36)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강탭(36)은 금속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상체로 형성된 보강탭 본체(37)와, 이 보강탭 본체(37)의 한쪽의 측면으로부터 대략 중앙부까지 오목 모양으로 형성된 감입부(嵌入部)(38)와, 이 감입부(38)의 상하에 마련된 한 쌍의 협지부(狹持部)(39)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측의 협지부(39a)의 감입부(38) 측에는 돌기(4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하측의 협지부(39b) 및 보강탭 본체(37)의 하측에는 소정의 길이 연장하여 마련된 고착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감입부(38)는 하우징(11)의 맞물림부(25)의 맞물림 돌기(27)와 끼워 맞춰지는 부분이며, 또, 한 쌍의 협지부(39a, 39b)는 하우징(11)의 맞물림부(25)의 맞물림 돌기(27)가 끼워 지지되는 부분이 된다.
다음에, 주로 도 1 및 도 9를 참조하여 커넥터(10)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의 커넥터(10)는 몰드성형이나 압연(壓延)펀칭가공에 의해 형성된 각 부품이 생산라인에 배치되며, 자동화 기기에 의해서 조립이 행해진다.
우선, 하우징(11)에 컨택트(30) 및 보강탭(36)을 장착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하우징(11)이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된다. 이 때, 하우징(11)은 파트 피더에 공급되어 이송라인이 이송되고, 이 이송 중에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다음의 공정으로 진행되게 된다. 이 때, 실시형태 1의 하우징(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12)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수직 및 수평의 면(28, 29)에 대해서, 상하 및 좌우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11)은 상하의 구조가 반대로 되어 있어도 동일한 형상이 되기 때문에, 파트 피더에 의한 상하의 판별을 행할 필요가 없어져, 종래와 같이, 상하가 반대로 이송된 하우징에 대해서, 라인으로부터 벗어나 재차 파트 피더로 공급하여 상하의 판별을 재차 행하는 공정이 필요없게 된다.
또, 하우징(11)의 좌우의 판별에 대해서는 하우징(11)이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시할 필요가 없고, 또, 전후의 판별만 종래와 같이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위시간당에 하우징(11)을 다음의 공정으로 내보낼 수 있는 양이 증가하고, 생산효율이 향상하며, 또, 제조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하우징(11)은 컨택트(30)를 장착하는 공정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컨택트(30)가 하우징(11)의 후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2 개구(19)로부터 컨택트(30)가 양다리로 형성된 접촉부(32)로부터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 때, 컨택트(30)는 세로방향이 되도록 삽입되고, 컨택트(30)에 형성된 양다리의 상하의 접촉부(32a, 32b)가 하우징(11)의 연통구멍(20)에 형성된 컨택트 유지부(24)를 따라서 삽입되며, 또한 컨택트 본체(31)의 상부의 접촉부(32a)에 형성된 돌기부(34)가 하우징(11) 내에 압입됨으로써 컨택트(30)의 장착이 완료한다. 이 컨택트 유지부(24) 및 돌기부(34)에 의해, 컨택트(30)가 하우징(11)으로부터의 빠짐방지(retaining)됨과 아울러, 위치결정되게 된다. 또, 컨택트(30)가 장착되는 방향은 컨택트(30)에 형성된 고정부(35)가 하측이 되게 된다(도 9의 (A) 참조).
다음에, 하우징(11)은 보강탭(36)을 장착하는 공정으로 이송된다. 보강탭(36)은 하우징(11)의 한쪽 및 다른 쪽의 측면(14, 15)에 형성된 맞물림부(25)에 장착된다. 이 장착은 보강탭(36)의 감입부(38)를 하우징(11)의 맞물림부(25)의 맞물림 돌기(27)에 끼워 넣게 하고, 이 맞물림 돌기(27)를 보강탭(36)의 협지부(39)가 끼워 지지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때, 상하의 협지부(39a, 39b)에 의해 하우징(11)의 맞물림부(25)에 마련된 맞물림 홈(26)이 맞물린다. 또, 보강탭(36)의 상측의 협지부(39a)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40)가 하우징(11)의 맞물림 돌기(27)에 압입됨으로써 고정되게 된다. 또한, 보강탭(36)이 장착되는 방향은 보강탭(36)의 하측의 협지부(39b) 및 보강탭 본체(37)의 하측에 형성된 고착부(41)가 하측이 되게 된다(도 9의 (B) 참조). 이상으로, 커넥터(10)의 조립이 완료한다.
또한, 실시형태 1의 커넥터에서는 커넥터에 FPC가 접속되었을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FFC 등과 접속하도록 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의 커넥터에서는 상대 측에 FPC나 FFC가 접속되기 위해서, 양다리로 형성된 접촉부를 가지는 컨택트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가지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실시형태 2의 커넥터에서는 막대 모양의 접촉부를 가지는 컨택트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가지는 경우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 의해 상대 측은 FPC나 FFC에 한정되지 않고 기판용 커넥터나 전선용 커넥터와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또한, 실시형태 2의 커넥터는 실시형태 1의 커넥터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2의 커넥터(10A)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측 커넥터(미도시)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하우징(11A)과, 하우징(11A) 내에 장착되는 복수의 컨택트(30A)와, 하우징(11A)의 양측단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보강탭(36)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1A)은 저배의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12A)에는 상대 측의 컨택트가 삽입되는 부분이 되는 폭이 넓은 제1 개구(18A)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12A)과 대향하는 후면(13A)에는 복수의 컨택트(30A)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2 개구(19A)가 형성되어 있다(도 3의 (B) 참조). 또, 전면(12A)의 제1 개구(18A)와 후면(13A)의 제2 개구(19A)가 연통되는 연통구멍(20A)이 하우징(11A)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A) 내에 형성된 연통구멍(20A)에는 후면(13A)에 형성된 복수의 제2 개구(19A)에 대응하도록 격벽(21A)이 하우징(11A)의 내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컨택트(30A)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획되어 있다. 또, 연통구멍(20A)에는 컨택트(30A)가 장착되는 컨택트 유지부(24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A)의 한쪽 또는 다른 쪽의 측면에는 보강탭(36)이 장착되는 맞물림부(25)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은 실시형태 1의 하우징(11)과 공통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실시형태 2의 하우징(11A)은, 실시형태 1의 하우징(11)과 마찬가지로, 저면(17A)을 아래로 하여 배치되었을 때, 전면(12A)의 중심을 수직으로 통과하는 면(28)에 대해서 좌우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도 3 참조), 전면(12A)의 중심을 수평으로 지나는 면(29)에 대해서 상하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실시형태 2의 하우징에 대해서도 실시형태 1의 하우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30A)는 소정 두께의 판상체로 형성되어 있고, 컨택트 본체(31A)와, 이 컨택트 본체(31A)의 대략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된 막대 모양의 접촉부(32A)와, 컨택트 본체(31A)의 접촉부(32A)와 반대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3)와, 이 돌출부(33)의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마련되어 프린트 기판과 납땜 등으로 용착되는 고정부(35)로 구성되어 있다.
접촉부(32A)는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대 측 커넥터가 삽입되었을 때, 상대 측의 컨택트와 접촉부(32A)가 접촉하게 된다. 또한, 고정부(35), 돌기부(34)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의 컨택트(30)와 공통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형태 2의 보강탭도 실시형태 1의 보강탭(36)과 공통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실시형태 2의 커넥터(10A)의 조립은 실시형태 1의 커넥터와 동일한 조립공정에 의해서 행할 수 있으며(도 10의 (C) 참조), 실시형태 1의 커넥터(10)의 조립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에서는 접촉부(32A)를 막대 모양으로 형성했지만, 접촉부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대 측에 따라 변경해도 된다.
또, 실시형태 1, 2의 하우징의 형상은 상기의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상하 및 좌우가 대칭인 구성을 가지고 있으면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 2의 컨택트는 모두 동일한 크기가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면, 길이가 긴 컨택트와 길이가 짧은 컨택트를 준비하고, 이들을 교호(交互)로 하우징에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커넥터에 FPC 등이 접속되었을 때, 교호로 배열된 컨택트의 협지부가 엇갈리게 FPC 등을 끼워 지지하기 때문에, 높은 유지력을 얻을 수 있어서 안정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10, 10A : 커넥터 11, 11A : 하우징
12, 12A : 전면 13, 13A : 후면
14 : 한쪽의 측면 15 : 다른 쪽의 측면
16 : 상면 17, 17A : 저면
18, 18A : 제1 개구 19, 19A : 제2 개구
20, 20A : 연통구멍 21, 21A : 격벽
22 : 접속홈 23 : 테이퍼
24, 24A : 컨택트 유지부 25 : 맞물림부
26 : 맞물림 홈 27 : 맞물림 돌기
28 : 수직의 면 29 : 수평의 면
30, 30A : 컨택트 31, 31A : 컨택트 본체
32, 32A : 접촉부 33 : 돌출부
34 : 돌기부 35 : 고정부
36 : 보강탭 37 : 보강탭 본체
38 : 감입부 39 : 협지부
40 : 돌기 41 : 고착부

Claims (4)

  1. 한쪽의 면에 끼워 맞춰지는 상대 측의 접속부가 삽입되는 제1 개구와, 상기 한쪽의 면과 대향하는 다른 쪽의 면에 상기 제1 개구와 연통되는 제2 개구와, 상기 제1 개구 또는 상기 제2 개구가 마련된 면 중 어느 한쪽의 면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맞물림부가 마련된 하우징을 가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한쪽의 면을 전면(前面)으로 하고, 상기 제1 개구가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면의 중심을 수직으로 지나는 면에 대해서 좌우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전면의 중심을 수평으로 지나는 면에 대해서 상하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 및 하측으로부터 상하 방향 중앙 부근까지 형성된 슬릿 모양의 맞물림 홈과, 상기 맞물림 홈의 중심에 형성된 맞물림 돌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전면의 중심을 수직으로 통과하는 면에 대해서 좌우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전면의 중심을 수평으로 통과하는 면에 대해서 상하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맞물림부에는, 오목 모양으로 형성된 감입부와 상기 감입부의 상하에 마련된 한 쌍의 협지부를 구비하는 보강탭이, 상기 맞물림부가 형성된 면측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가 연통되는 복수의 연통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연통구멍에는 컨택트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춰지는 상대 측은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 혹은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삭제
KR1020130027921A 2012-03-19 2013-03-15 커넥터 KR102034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62252 2012-03-19
JP2012062252A JP2013196892A (ja) 2012-03-19 2012-03-19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306A KR20130106306A (ko) 2013-09-27
KR102034317B1 true KR102034317B1 (ko) 2019-10-18

Family

ID=49194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921A KR102034317B1 (ko) 2012-03-19 2013-03-15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3196892A (ko)
KR (1) KR102034317B1 (ko)
CN (1) CN103326160B (ko)
TW (1) TWI565150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3046A (ja) 2000-02-10 2001-08-1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
JP2002334734A (ja) 2001-05-07 2002-11-22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端構造
JP2004213917A (ja) * 2002-12-27 2004-07-29 Jst Mfg Co Ltd Fpc用コネクタ
JP2008066245A (ja) * 2006-09-11 2008-03-21 Molex Inc 中継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6902Y2 (ja) * 1993-12-17 2001-02-19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6722915B1 (en) * 2002-12-30 2004-04-2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circuit boards to flat flexible cables
JP2005294163A (ja) * 2004-04-02 2005-10-20 Jst Mfg Co Ltd 補強タブ付き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3046A (ja) 2000-02-10 2001-08-1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
JP2002334734A (ja) 2001-05-07 2002-11-22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端構造
JP2004213917A (ja) * 2002-12-27 2004-07-29 Jst Mfg Co Ltd Fpc用コネクタ
JP2008066245A (ja) * 2006-09-11 2008-03-21 Molex Inc 中継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306A (ko) 2013-09-27
CN103326160A (zh) 2013-09-25
CN103326160B (zh) 2017-03-22
TWI565150B (zh) 2017-01-01
TW201351797A (zh) 2013-12-16
JP2013196892A (ja) 201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1251B2 (ja) コネクタ
US9300091B2 (en) Connector with interposed ground plate
US830849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1232437B1 (ko) 보드간 컨넥터
JP5912632B2 (ja) コネクタ
JP2015035352A (ja) コネクタ
KR101539873B1 (ko) 기판 접속용 단자
JP5859938B2 (ja) レセプタクル型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934110B (zh) 连接器
JP2014170726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用いる電気コネクタ
CN107425324B (zh) 连接器
US10707619B2 (en) Movable connector
JP2014191882A (ja) 電気コネクタ
KR101357166B1 (ko) 회로기판 실장용 커넥터 구조
US6702619B2 (en) Horizontal electric connector
CN110233373B (zh) 连接器部件
KR20060048136A (ko) 기판취부형 전기커넥터
KR102034317B1 (ko) 커넥터
JP2016096152A (ja) コネクタ
JP2019033035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8170174A (ja) 多接点コネクタ
EP2750253A1 (en) Connector
JP2008171627A (ja) 雌型端子金具
EP3047498B1 (en) Active electrical component
WO2023243443A1 (ja)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