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480B1 -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0480B1 KR101070480B1 KR1020030050357A KR20030050357A KR101070480B1 KR 101070480 B1 KR101070480 B1 KR 101070480B1 KR 1020030050357 A KR1020030050357 A KR 1020030050357A KR 20030050357 A KR20030050357 A KR 20030050357A KR 101070480 B1 KR101070480 B1 KR 1010704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plug connector
- connector
- plug
- rec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15—Terminal blocks providing connections to wires or cab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뿐만 아니라 여기에서 채택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는 높이가 낮아지고 협폭이 되도록 축소된다. 플러그 커넥터는 직선으로 배열되고 서로로부터 반대하는 방향으로 대면하며 측면들이 노출된 두 개의 제1접점을 갖는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와 두 개의 제2접점을 수용하는 리세스를 갖고, 요부의 내부에서 제1접점과 부합하는 위치들에서 노출된다.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상호 결합할 때, 제2접점의 탄성 접점피스는 플러그 커넥터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제1접점의 일측과 접촉한다.
접점, 플러그 커넥터, 리셉터클 커넥터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와 도 3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 직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하고 있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선 VI-VI를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102 : 하우징
6 : 리세스
8 : 접점 수용홈
10 : 플러그 커넥터
100 : 리셉터클 커넥터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cellular telephone)과 같은 소형 전기/전자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뿐만 아니라 상기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통해서 배선과 인쇄회로기판(인쇄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의 예는 일본 무심사 실용신안등록공고 제8(1996)-636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와이어에 연결되는 제1커넥터(플러그 커넥터)와 인쇄기판에 고정되는 제2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로 제작된다.
와이어의 코어와 연결하는 절연성 변위접점(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는 와이어의 팁(tip)에 연결된다. 부가적으로, 크림프 접점(crimp contact)은 와이어의 차폐형 외부덮개에 크림핑된다. 와이어의 팁은 제1하우징 내에 하우징되어 플러그 커넥터를 구성한다.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하우징하기 위한 제2하우징을 갖고, 상기 절연성 변위접점과 플러그 커넥터의 크림프 접점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제2접점은 상기 제2하우징 내에 제공된다.
이러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단일 와이어를 연결하도록 형체화된다. 각각의 제2접점은 외부 양측면으로부터 상기 절연성 변위접점 또는 크림프 접점을 접촉시키기 위한 한 쌍의 아암(arm)을 갖는다.
상술된 공지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점들이 서로 결합할 때, 상기 커넥터들은 회로기판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서 배열된다. 그러므로, 커넥터들은 회로기판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고, 어셈블리는 높이가 낮아진다. 그러나,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점들은 플러그 커넥터의 각각의 접점의 양측면에 가요성 아암을 구비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즉, 아암들은 회로기판에 평행한 커넥터의 폭방향에서 예정된 이동범위를 요구하여 필요한 접점압력을 확보한다. 결과적으로, 커넥터의 폭은 증가해진다. 커넥터의 단자 수가 2개까지 증가되는 경우에, 접점들은 수평방향에서 더 넓은 공간을 요구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커넥터를 장착영역에 제한이 있는 소형 전기/전자 장치에 사용하는 것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관점에서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가 낮을 뿐만 아니라 협폭인 소형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와,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사용되려는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배선에 연결되는 제1접점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상기 제1접점에 접촉하는 제2접점을 갖고,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서로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대면하는 측면을 갖고; 상기 제1접점에는 상기 배선이 상기 회로기판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부착되려는 배선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접촉면이 제공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하나의 측면에 노출되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갖고, 상기 리세스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배선을 향하는 측면에 개방되며; 상기 제2접점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세스에 수용되는 때 상기 제1접점의 접촉면에 접촉하기 위해 상기 리세스에 노출되는 접촉부와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 연결부를 갖고; 상기 제1접점은 직선을 따라 배열되고 서로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대면하는 한 쌍으로서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제2접점은 직선을 따라 배열되고 서로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대면하며 상기 제1접점에 대응하는 한 쌍으로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는 서로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대면하는 측면을 갖는 절연성 플러그 하우징;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에서 배선을 접촉하여 지지하는 와이어 연결부와, 상기 측면 상에 노출되는 접촉면을 갖는 접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접점들은 상기 하우징에서 직선을 따라 배열되고, 서로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대면하고 있다.
본 발명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내부에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는 리세스를 갖는 리셉터클 하우징-상기 리세스는 그의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플러그 커 넥터에 연결되는 배선을 향하는 측면으로 개방됨-;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세스에 수용되는 때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점을 접촉시키는 리세스에 노출되는 접촉부와,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회로기판 연결부를 갖는 접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접점들은 직선을 따라 배열되고 서로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대면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점들에 대응하는 한 쌍으로 제공된다.
채택되는 구조체에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는 리세스가 개방하고 있는 측면의 반대편 측벽 상에 컷아웃이 제공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컷아웃에 상보하는 돌기가 제공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완전하게 결합하는 동안 상기 컷아웃에 끼워진다.
또한, 채택되는 구조체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하는 동안 서로 결합하는 체결부가 제공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배선이 상기 접촉면 및 접촉부보다 도출되어 있는 측면을 향하여 계속하여 형성된다.
채택되는 구조체에서, 2개의 평행한 접점 수용홈은 상부를 향해 개방하고 있는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하우징에 제공되고; 상기 제1접점(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점)들은 절연성 변위타입 접점들이고; 상기 제1접점들은 상기 접점 수용홈에 제공되고; 배선은 상기 제1접점들에 접촉된 절연성 변위이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접점 수용홈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면하는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선의 인출을 방지하기 위한 만곡부[화살표 헤드(arrowhead)]는 상기 배선이 도출되는 측면을 향하는 접점 수용홈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접점의 접촉부는 배선의 축방향(길이방향)으로 분리된 다수의 탄성 접촉단편들로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서로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대면하는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제1접점은 배선을 연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 접속부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하나의 측면에 노출되는 접촉면을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는 상부에서 개방되어 있고 배선을 향하는 측면에 개방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2접점은 상기 리세스에 노출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세스에 수용된 때 상기 제1접점의 접촉면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와,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회로기판 연결부를 갖는다. 상기 제1접점들은 직선을 따라 배열되고 서로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대면하는 한 쌍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2접점들은 직선을 따라 배열되고 서로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대면하며 상기 제1접점들에 대응하는 한 쌍으로 제공된다. 그러므로, 하기 효과가 나타난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점들은 플러그 커넥터의 접점들의 일측면에 접촉하고; 그러므로 폭방향에서 상기 접점들에 요구되는 공간이 감소된다. 따라서, 커넥터 어셈블리는 높이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폭이 작아지므로, 커넥터 어셈블리의 소형화는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는 서로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대면하는 측면을 갖는 절연성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에서 배선을 접촉하여 유지하기 위한 와이어 연결부와, 측면에 노출되는 접촉면을 갖는 접점들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접점들은 상기 하우징에서 직선을 따라 정렬되고, 서로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대면한다. 따라서, 상기 접점들의 접촉부는 플러그 커넥터의 측면 상에 제공되어 높이가 낮아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내부에 형성된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갖는 리셉터클 하우징-상기 리세스는 상부에 개방하고 있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연결되는 배선을 향하는 측면에 개방하고 있음-과;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세스에 수용된 때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점과 접촉하기 위해 상기 리세스에 노출되는 접촉부와, 회로기판에 연결되기 위한 회로기판 연결부를 갖는 접점들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접점들은 직선을 따라서 배열되고 서로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대면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점들에 대응하는 한 쌍으로 제공된다. 그러므로,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서로 조립될 때 높이가 낮추어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에는 리세스가 개방하고 있는 측면의 반대편 측벽에 컷아웃이 제공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는 상기 컷아웃에 상보하는 돌기가 제공되며, 상기 돌기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완전한 결합동안 컷아웃에 끼워지고,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사이의 완전한 결합은 가시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플러그 커넥터가 거꾸로 장착되면, 상기 돌기와 컷아웃은 초기 결합동안 결합한다. 플러그 커넥터는 리세스로부터 돌출하고 더 이상 가압될 수 없는 상태로 될 것이다. 그러므로, 부적절한 결합은 가시적으로 확보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오류성 결합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동안 서로 결합하는 체결부가 제공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배선이 상기 접촉면 및 접촉부보다 도출되어 있는 측면을 향하여 계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프라잉 힘(prying force)이 배선에 인가될 때 결합해제에 대해 더욱 저항하게 된다.
이 후에,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이하, 간단히 "어셈블리"라 칭함),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먼저, 플러그 커넥터(10)는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플러그 커넥터(10)는 절연성 플러그 하우징(2; 이하, 간단히 "하우징"으로 칭함)으로 제작되고, 실질적으로 얇은 직육면체로 형성된다. 하우징(2)은 수평상으로 대칭이 되도록 제작된다. 리세스(6)는 하우징(2)의 종방향(3: longitudinal direction)에서 그의 중심에 하우징(2)의 외부측면을 구성하는 측벽(4)에 형성된다. 한 쌍의 접점 수용홈(8; 이하, 간단히 "수용홈"이라 칭함)은 리세스(6)의 내부면에 형성된다. 수용홈(8)은 하우징의 종방향(3), 즉 배선(W)의 종방향을 따라 서 연장하고, 하우징(2)의 상부면(12)을 향하여 개방한다. 절연성 변위접점(11; 제1접점)은 2개 수용홈(8)의 각각에 제공된다.
하우징(2)의 형상은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하우징(2)의 구조는 수평상으로 대칭이므로, 그의 단일 측면이 설명될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부가적으로 편리함을 위하여, 도 1에서 상방으로 대면하고 있는 플러그 커넥터(10)의 표면이 상부면(12)으로서 언급될 것이고, 배선(W)이 도출되는 하우징(2)의 측면 상의 측벽은 전방벽(22)으로 언급될 것이다. 리세스(6)는 하우징(2)의 상부면(12)으로부터 하부면(14; 도 2b 참조)으로 연장하고, 하우징(2)의 내부를 향해서 형성되어 하우징(2)의 측면에 개방하고 있다. 상부면(12)에서 개방하고 있고 종방향(3)으로 연장하고 있는 좁은 홈(16; narrow groove)은 리세스(6)의 내부를 향해서 형성된다. 홈(16)과 수용홈(8)은 상부면(12)으로 개방하고 있는 채널(18)을 통해서 서로 소통한다. 채널(18)은 종방향(3)에서 리세스(6)의 거의 중심에 형성된다.
수용홈(8)은 홈(16)보다 더 길고 더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그의 후방부는 후방벽(44)의 일부인 벽(20)에 의해서 폐쇄되고, 수용홈(8)은 전방벽(22)을 향해서 개방하고 있다. 배선(W)의 폭방향으로 넓고 하우징(2)의 상부면12)으로부터 바닥벽(26)까지 연장하는 광폭부(24; wide portion)는 종방향(3)에서 수용홈(8)의 거의 중심에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와이어 배치홈(28)은 전방벽(22)에 형성되고, 수용홈(8)에 대응한다. 와이어 배치홈(28)은 상부면(12)의 양측면으로부터 와이어 배치홈(28)으로 연장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만곡부(30; 화살표 헤드)를 갖는다. 배선(W)이 통과하기 위한 갭(31)은 한 쌍의 만곡부(30) 사이에 형성된다. 배선(W) 을 안내하기 위한 아치형 테이퍼(30a)는 상부면(12)을 향해서 만곡부(30)의 측면에 형성되어, 배선(W)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다음, 수용홈(8)에 수용되는 접점(11)들이 설명될 것이다. 하나가 도 1에서 하우징(2)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접점(11)들은 단일 금속판을 펀칭하고 만곡시킴으로써 각각 형성된다. 각각의 접점(11)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베이스부(32)와; 종방향(3)에서 베이스부(32)의 양단부를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 절연성 변위판(34; 와이어 접속부)와; 연결부(35)를 통해서 베이스부(32)로부터 상방으로 만곡되는 접촉판(36)으로 구성된다. 접촉판(36)의 외부면은 하기에 설명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접점(132; 제2접점)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면(36a)이다.
배선(W)의 종방향(3)에서 분리되는 절연성 변위판(34)의 쌍은 상방으로 개방하는 슬롯(38)을 각각 갖는다. 2개의 슬롯(38)은 배선(W)의 종방향(3)으로 정렬되고, 그 곳으로 가압되는 상태에서 배선(W)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바브(barb), 즉 돌기(40)는 절연성 변위판(34)의 하단부에서 양측면에 형성된다.
접촉판(36)은 종방향(3)을 따라서 연장하는 수직판이다. 외부로 돌출하는 비드(42; bead)는 접촉판(36)의 중심에서 종방향(3)을 따라 형성된다. 비드(42)의 작동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접촉판(36)의 판 두께와 동일한 두께인 돌기(43)는 접촉판(36)의 종방향(3)에서 양 에지에 형성된다.
접점(11)을 하우징(2)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접점(11)은 상부면(12)의 측면으로부터 수용홈(8)으로 가압된다. 삽입동안, 베이스부(32)와 접촉판(36)은 광폭부(24)와 홈(16)에 각각 억지끼움된다. 동시에, 연결부(35)는 채널(18)에 배열된다. 돌기(40, 43)는 광폭부(24)와 홈(16)의 내부면과 각각 마찰식으로 결합하여, 하우징(2)으로부터 접점의 인출을 방지한다.
접점(11)들은 하우징(2)의 수용홈(8) 내부에 배치된다. 이 후에, 배선(W)은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방식에 의해서 접점(11)들 각각의 상부에 배치되고 절연성 변위판(34)의 슬롯(38)들에 가압된다. 벽(20)들은 배선(W)의 배치동안 배선(W)의 팁(21)을 위치설정하도록 작용한다. 배선(W)이 슬롯(38)에 가압될 때, 배선(W)의 외부덮개는 슬롯(38)의 엣지에 의해서 찢기고, 와이어의 코어(미도시)와 접점판(36)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배선(W)의 단부가 도출되고 있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측면을 향하는 배선(W)의 단부는 만곡부(30)를 변형시키는 동안 갭(31)을 통해서 와이어 배치홈(28)으로 가압된다. 와이어 배치홈(28)으로 가압된 배선(W)은 만곡부(30)의 자유단에 의해 상부로부터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플러그 커넥터(10)에는 배선이 도출되는 단부로부터 대향하는 후방벽(44)의 하부 중앙에 탭(46; 돌기)가 제공된다. 탭(46)의 하부면(46)과 하우징(2)의 하부면(14)은 동일평면 상에 있다. 탭(46)의 작동은 후술될 것이다. 부가하여, 상방으로 대면하는 테이퍼(5a)를 갖는 래치돌기(5; 체결부)는 와이어가 도출되는 측면을 향하는 측벽(4)에 제공된다. 더욱이,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결합하는 동안 가이드로서 작용하는 테이퍼(4a, 44a)는 측벽(4)과 후방벽(44)의 상부 엣지에 각각 형성된다.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10)와 결합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얇은 평행육면체 절연성 리셉터클 하우징(102)(이하, 단순히 "하우징"이라 칭함)을 포함한다. 하우징(102)은 거의 중심에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104)를 갖는다. 리세스(104)는 하우징(102)의 상부면으로 개방하고 있고, 전방을 향하여 개방하고 있다. 리세스(104)는 후방벽(108), 내부벽(110) 및 하부벽(112)에 의해 구획된다. 부가하여, 플러그 커넥터(10)의 탭(46)에 상보하는 컷아웃(114)은 후방벽(108)의 상부 엣지에 제공된다.
하우징(102)이 수평상으로 대칭이므로, 하우징(102)의 일측이 설명될 것이다. 상부면(106)으로부터 하부면(118)으로 연장하는 리세스(120)는 하우징(102)의 측벽(116)에 형성된다. 종방향(3)을 따라 연장하는 그루브(124)는 리세스(120)의 내부를 향하여 형성된다. 두 개의 리브(126, 126)는 내부벽(110) 각각으로부터 리세스(104)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하도록 제공된다. 리브(126, 126)는 종방향(3)으로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안에서 소정 간격으로 제공된다. 리브(126, 126)에 평행한 리브(128)는 리브(126)들 사이의 중간점에서 하우징(102)과 일체로 몰딩된다. 리브(126, 128)들은 리세스(120)에 인접한 접점 지지벽(130)에 의해서 연결된다. 접점(132)은 접점 지지벽(130)에 설치된다. 하부면(118)까지 관통하는 직사각형 개구(134)는 리브(126)와 리브(128)사이의 하부벽(112)에 제공된다.
다음으로, 하우징(102)에 장착되는 접점(132)들이 설명될 것이다. 도 3에서 하우징(102)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접점(132)들은 단일 금속판를 펀칭하거나 만곡시킴으로써 각각 형성된다. 각 접점(132)은 상부 엣지에 컷아웃(136)을 갖는 판형상의 베이스부(138); 컷아웃(136) 내부의 두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고, 아치형으로 하방으로 구부러지며, 베이스부(138)의 하부의 엣지 근처에서 또한 아치형으로 다시 상방으로 구부려지는 접점부, 즉 탄성접점피스(140)(이후에, 단순히 “접점피스”로 칭함)를 포함한다.
두 개의 접점피스(140)는 리브(126)와 리브(12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접점(132)이 리세스(104)에 배치된 때 리세스(104)의 내부를 향하여 가장 잘 배치되는 연장부(140a)는 접점피스(140)의 팁에 형성된다. 연장부(140)는 접점(11)과 접점(132)이 상호 결합된 때 체결부로서 작용하나, 자세한 것은 후술될 것이다. 접점피스(140)의 팁은 가이드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연장부(140a)의 상부에서 베이스부(138)를 향하여 경사지게 구부려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치된 접점피스(140)는 대체로 탄성을 갖고, 접점피스(140)의 판두께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분리된 두개의 돌기(139)는 베이스부(138)의 양측 엣지에 제공된다. 회로기판(미도시)이 설치되는 면이 되는 회로기판 연결부(141)는 베이스부(138)의 단부를 컷아웃(136)으로부터 대향되며, 접점피스(140)로부터 대향되는 방향으로 구부림에 의해서 형성된다.
다음으로, 하우징(102)에 접점(132)을 설치하는 방법은 후술될 것이다. 접점(132)의 베이스부(138)가 상부로부터 리세스(120)의 그루브(124)에 강제맞춤되면, 접점피스는 접점지지벽(130)을 커버하기 위하여 배열된다. 이 때에, 접점피스(140)의 하부는 개구(134)의 내부에 배치된다. 하부벽(112)이 접점피스(140)를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접점피스(140)에 의해 충분한 만곡이 가능하다. 접점피스(140)는 리브들(126, 128)사이에 접점피스(140)가 보호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두 개의 접점피스(140)의 형상은 중간 리브(128)의 존재 때문에 유지되고, 외부의 원인에 의해 인가된 프라잉(prying)힘이나, 오결합에 기인한 과도한 변형을 방지한다. 부가적으로 접점지지벽(130)은 땜납이 회로기판 연결부(141)가 회로기판(미도시)에 납땜될 때 접점피스(140)를 향하여 리세스(104)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접점(132)이 그루브(124)에 강제맞춤된 때, 돌기(139)는 그루브(124)와 마찰결합되고, 여기서 베이스부(138)에 고정된다. 하방으로 대면하는 숄더(shoulders; 144)를 갖는 한 쌍의 래치돌기(146)는 하우징(102)의 리세스(104) 내부, 전방벽(142)과 인접한 내부벽(110)에 형성된다. 래치돌기(146)의 작동은 후술될 것이다. 플러그 커넥터(10)와 결합하는 동안 가이드로서 작동하는 테이퍼(148)는 리세스(104)를 구획하는 후방벽(108)과 내부벽(110)의 상부 엣지의 내측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결합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결합에 선행하는 직전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각각의 상호결합된 커넥터들(10, 110)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Ⅵ-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대면하는 벤드(30)와 함께 리셉터클 커넥터(110)의 리세스(104)에 부합되는 위치에 존재한다. 플러그 커넥터(10)가 이 상태로부터 리세스(104)에 하향으로 가압되면, 플러그 커넥터(10)의 측벽들(4)은 플러그 커넥터(10)가 리세스(104)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리세스(104)의 내부벽(110)을 따라 이동한다. 플러그 커넥터(10)의 래치돌기(5)는 리세스(104)의 래치돌기(146)(체결부)와 결합하고, 여기서 커넥터들은 상호 고정된다. 프라잉힘이 도출 단부에서 배선(W)에 인가될지라도, 래치돌기(5, 146)의 결합에 의해서 플러그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커넥터(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완전히 결합된 때, 플러그 커넥터(10)의 탭(46)은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컷아웃(114)에 들어가고, 플러그 커넥터(10)의 하부면(14)과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상부면(106)은 동일평면이 된다. 여기서, 커넥터들의 완전한 결합은 가시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거꾸로 가압되는 경우에, 탭(46)은 결합동작의 초기단계에서 컷아웃(114)과 인접하고, 플러그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어떤 가압도 될 수 없다. 이 때에, 오결합의 가시적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플러그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커넥터(100)로부터 돌출되는 상태에 있다. 부가적으로, 탭(46)은 플러그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로부터 제거될 때 배선(W)이 상방으로 잡아당겨지는 동안 플러그 커넥터(10)를 당기기 위하여 손가락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쥐어지는 레버로 작용한다.
다음으로, 커넥터들(10, 100)의 완벽한 결합동안 접점(11, 132)사이의 결합상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서로 결합한 때, 접점(11)의 비드(42)는 접점(132)의 연장부(140a)를 통과하여 그와 함께 결합한다. 그것에 의해서, 접점(11, 32)은 상호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상호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추출은 방지된다. 즉, 연장부(140a)와 비드(42)는 또한 커넥터들(10, 100)을 위한 체결부로서 작용한다.
접점들(11, 132)의 전기접촉부는 어셈블리(1)의 내부에 있고, 여기서 외부로부터 접촉이 방지된다. 두 개의 접점피스들(140)이 각 접점(11)에 제공되는 사실 뿐 만 아니라, 전기결합의 신뢰성도 증대시킨다. 부가적으로, 비드(42)와 연장부(140a)가 서로를 향하여 돌출하기 때문에, “클릭(click)”이 서로 통과할 때 느껴진다. 커넥터들(10, 100) 사이의 완벽한 결합은 또한 이 “클릭”에 의해 지각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로부터 도출된 배선(W)이 도 5에 나타난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구부려진다면, 리셉터클 커넥터(100)로부터 플러그 커넥터(10)의 분리는 래치돌기(5, 146)사이의 결합 뿐만 아니라, 상호 체결된 접점들(11, 132)에 의해서 방지된다. 래치돌기들(5, 146)은 접점들(11, 132)의 접촉부보다 플러그 커넥터(10)로부터 도출되는 배선(W)의 단부와 가깝게 배치되므로, 체결기능이 특히 효과적이다.
부가하여, 배선(W)이 상방으로 구부려지는 경우, 배선(W)의 상방운동은 플러그 커넥터(10)의 하우징(2)의 하부벽(26)에 의해서 방지되고, 하우징(2)에 대한 손 상가능성은 없다. 와이어가 하방으로 구부려질 경우, 힘이 밴드(30)에 인가되어도, 힘은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하우징(102)의 하부벽(112)에 의해서 수용되며, 밴드(30)가 손상될 가능성은 없다.
바람직한 구성은 상기에 상세하게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구성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변화 및 개조는 이후에 청구되는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 예를 들자면, 플러그 커넥터(10)의 접점들은 크림프타입(crimp type)접점이 될 수 있다.
Claims (6)
-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로서,배선에 연결되는 제1접점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상기 제1접점에 접촉하는 제2접점을 갖고,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고,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서로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대면하는 측면을 갖고;상기 제1접점은,직사각형 형상의 베이스부와,상기 베이스부의 양단부에서 만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연결되는 상기 배선이 상기 회로기판에 평행해지도록 상기 배선을 접속 및 유지시키는 한 쌍의 절연성 변위판과,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결부를 통해 만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측면에 노출되는 접촉면을 가지며, 양단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된 접촉판을 구비하고,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갖고, 상기 리세스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배선을 향하는 측면이 개방되며 상기 배선을 향하는 측면의 내부벽에 래치돌기가 형성되며;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배선을 향하는 측면의 측벽에는 래치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며;상기 제2접점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세스에 수용되는 때 상기 제1접점의 접촉면에 접촉하기 위해 상기 리세스에 노출되는 접촉부와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 연결부를 갖고;상기 제1접점은 직선을 따라 배열되고 서로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대면하는 한 쌍으로서 제공되고; 그리고상기 제2접점은 직선을 따라 배열되고 서로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대면하며 상기 제1접점에 대응하는 한 쌍으로서 제공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플러그 커넥터로서,서로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대면하는 측면을 갖는 절연성 플러그 하우징; 및접점을 포함하고,상기 접점은,직사각형 형상의 베이스부와,상기 베이스부의 양단부에서 만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에서 배선을 접속 및 유지시키는 한 쌍의 절연성 변위판과,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결부를 통해 만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측면에 노출되는 접촉면을 가지며, 양단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된 접촉판을 구비하고,상기 접점은 상기 하우징에서 직선을 따라 배열되고, 서로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대면하며,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배선을 향하는 측면의 측벽에는 래치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 커넥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는 리세스가 개방하고 있는 측면의 반대편 측벽 상에 컷아웃이 제공되고;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컷아웃에 상보하는 돌기가 제공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완전하게 결합하는 동안 상기 컷아웃에 끼워지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2214880A JP3745318B2 (ja) | 2002-07-24 | 2002-07-24 | 電気コネクタ組立体 |
JPJP-P-2002-00214880 | 2002-07-24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4518A Division KR20110103901A (ko) | 2002-07-24 | 2011-07-27 |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10325A KR20040010325A (ko) | 2004-01-31 |
KR101070480B1 true KR101070480B1 (ko) | 2011-10-05 |
Family
ID=299972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50357A KR101070480B1 (ko) | 2002-07-24 | 2003-07-22 |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
KR1020110074518A KR20110103901A (ko) | 2002-07-24 | 2011-07-27 |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4518A KR20110103901A (ko) | 2002-07-24 | 2011-07-27 |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1385232B1 (ko) |
JP (1) | JP3745318B2 (ko) |
KR (2) | KR101070480B1 (ko) |
CN (1) | CN100392915C (ko) |
DE (1) | DE60317612T2 (ko) |
TW (1) | TWM240711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75444B2 (en) * | 2005-02-23 | 2007-02-13 | Molex Incorporated | Plug connector and construction therefor |
JP4579021B2 (ja) * | 2005-03-23 | 2010-11-10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4889243B2 (ja) * | 2005-06-09 | 2012-03-07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 コネクタ装置 |
JP5351005B2 (ja) * | 2009-12-22 | 2013-11-27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電気コネクタ組立体 |
KR101166230B1 (ko) * | 2010-01-27 | 2012-07-18 |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 커넥터 |
JP2012003874A (ja) * | 2010-06-15 | 2012-01-05 | Fujitsu Ltd | 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およびプラグコネクタ |
KR101134292B1 (ko) | 2010-07-23 | 2012-04-13 |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기구 |
JP5913014B2 (ja) * | 2012-09-06 | 2016-04-27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JP6068405B2 (ja) * | 2014-08-27 | 2017-01-25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組立体 |
EP3213374B1 (en) | 2014-10-27 | 2022-10-26 | Amphenol FCI Asia Pte Ltd | Power connector |
GB2547958B (en) * | 2016-03-04 | 2019-12-18 | Commscope Technologies Llc | Two-wire plug and receptacle |
US20230013728A1 (en) * | 2021-07-19 | 2023-01-19 | Fci Usa Llc | Power connector for compact electronic systems |
WO2024030483A1 (en) * | 2022-08-04 | 2024-02-08 | W. L. Gore & Associates, Inc. | Electrical connector for smart garments |
TWI845020B (zh) * | 2022-11-14 | 2024-06-11 | 大陸商東莞立訊技術有限公司 | 電連接器及其安裝方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63091A (ja) * | 1994-03-22 | 1995-10-13 | Amp Japan Ltd | 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端子 |
JPH086368A (ja) * | 1994-06-15 | 1996-01-12 | Seiko Epson Corp |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JPH1022015A (ja) * | 1996-06-21 | 1998-01-23 | Molex Inc | プリント回路基板用コネクタ |
JPH10162913A (ja) * | 1996-11-26 | 1998-06-19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コネクタ |
KR19990028397A (ko) * | 1995-06-28 | 1999-04-15 | 세이취크 제이 엘. | 기판-기판 취합형 커넥터 어셈블리 |
KR20010039799A (ko) * | 1999-10-25 | 2001-05-15 | 나가토시 다쯔미 | 플러그와 리셉터클 사이의 단락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한로킹기구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10305A (en) * | 1971-08-10 | 1973-01-09 | M Clark | Solderless electrical outlet assembly for service cord |
JPH0750969B2 (ja) * | 1988-05-31 | 1995-05-31 | 矢崎総業株式会社 | 電気接続箱 |
JPH031460A (ja) * | 1989-05-30 | 1991-01-08 | Amp Japan Ltd | 電気コネクタ |
WO1997045896A1 (en) * | 1996-05-30 | 1997-12-04 | The Whitaker Corporation |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
-
2002
- 2002-07-24 JP JP2002214880A patent/JP374531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
- 2003-07-22 KR KR1020030050357A patent/KR10107048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7-23 TW TW092213439U patent/TWM240711U/zh unknown
- 2003-07-24 CN CNB031580335A patent/CN100392915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7-24 DE DE60317612T patent/DE60317612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7-24 EP EP03254599A patent/EP138523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11
- 2011-07-27 KR KR1020110074518A patent/KR2011010390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63091A (ja) * | 1994-03-22 | 1995-10-13 | Amp Japan Ltd | 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端子 |
JPH086368A (ja) * | 1994-06-15 | 1996-01-12 | Seiko Epson Corp |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KR19990028397A (ko) * | 1995-06-28 | 1999-04-15 | 세이취크 제이 엘. | 기판-기판 취합형 커넥터 어셈블리 |
JPH1022015A (ja) * | 1996-06-21 | 1998-01-23 | Molex Inc | プリント回路基板用コネクタ |
JPH10162913A (ja) * | 1996-11-26 | 1998-06-19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コネクタ |
KR100263597B1 (ko) * | 1996-11-26 | 2000-08-01 | 이마이 기요스케 | 로우 프로파일 전기 커넥터 조립체 |
KR20010039799A (ko) * | 1999-10-25 | 2001-05-15 | 나가토시 다쯔미 | 플러그와 리셉터클 사이의 단락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한로킹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60317612D1 (de) | 2008-01-03 |
JP2004055485A (ja) | 2004-02-19 |
CN100392915C (zh) | 2008-06-04 |
CN1489244A (zh) | 2004-04-14 |
JP3745318B2 (ja) | 2006-02-15 |
KR20040010325A (ko) | 2004-01-31 |
TWM240711U (en) | 2004-08-11 |
KR20110103901A (ko) | 2011-09-21 |
DE60317612T2 (de) | 2008-10-23 |
EP1385232A2 (en) | 2004-01-28 |
EP1385232B1 (en) | 2007-11-21 |
EP1385232A3 (en) | 2005-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103901A (ko) |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 |
JP3142283U (ja) | ラッチを備えたコネクタガイド及びそのためのコネクタ | |
JP3142837U (ja) | 嵌合保護を備えるプラグコネクタ | |
JP3142836U (ja) | 嵌合保護及び整合手段を備えるプラグコネクタ | |
US7179126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 |
JP3386783B2 (ja) | 電気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 |
JP3121388U (ja) | プラグ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 | |
US5240430A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cable to circit board application | |
EP2019455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0675046B1 (ko) | 편평형 도체의 접속을 위한 전기 커넥터 | |
EP1628366B1 (en) | Electric connector | |
US6165017A (en) | Cable end connector | |
US8662927B2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to cables | |
US7942708B2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or | |
JP3424150B2 (ja) | 電気コネクタ | |
US8870606B2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to cables | |
US6319040B1 (en) | Plug electrical connector | |
JPH06176826A (ja) | 被膜導体用電気コネクタ | |
US7261597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low profile | |
CN210607776U (zh) | 柔性软板电连接器 | |
US20050118861A1 (en) | Electrical connector connecting with cables | |
US6183281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02298984A (ja) | コネクタ | |
US7559792B2 (en) | Connector with easily replacement of a slider | |
US6346013B1 (en) | Audio jack having securely retained contacts there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