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628U - 자동차의 시트백에 설치된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백에 설치된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628U
KR19990027628U KR2019970040224U KR19970040224U KR19990027628U KR 19990027628 U KR19990027628 U KR 19990027628U KR 2019970040224 U KR2019970040224 U KR 2019970040224U KR 19970040224 U KR19970040224 U KR 19970040224U KR 19990027628 U KR19990027628 U KR 199900276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back
head rest
hole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0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628U/ko
Publication of KR199900276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628U/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백에 설치된 헤드 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앞좌석의 헤드 레스트가 뒷좌석 승객의 시야를 방해함에 따라 시트백에서 제거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사용자는 일일이 헤드 레스트를 시트백에서 완전히 분리하거나 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시트백(200)에는 구멍(210)을 형성하고, 시트 프레임(220)에는 요입부(221)를 형성하며, 헤드 레스트(100)의 삽입봉(110)이 시트백(200)의 구멍(210)을 통해 요입부(221)를 관통한 후, 요입부(221) 하부의 지지부(230)에 삽입되도록 한 다음 상기 지지부(230)의 잠금장치(240)에 의해 헤드 레스트(100)의 이동이 구속될 수 있도록 하고, 일측에는 해정장치(250)를 설치하여 상기 잠금장치(240)를 해정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가 뒷좌석 승객의 시야확보를 위하여 헤드 레스트(100)를 제거할 경우에는 헤드 레스트(100)를 시트백(200) 상면에 형성된 구멍(210)으로 집어넣어, 상기 잠금장치(2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앞좌석에 승객이 탈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 상기 해정장치(250)로서 잠금장치(240)를 해정시켜 헤드 레스트(100)가 시트백(200)의 상부로 다시 올라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백에 설치된 헤드 레스트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백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목부분을 보호하는 헤드 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헤드 레스트를 시트백에 간편하게 내설하였다가, 필요시에는 간단하게 원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뒷좌석에 있는 승객의 전방시계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며, 헤드 레스트의 제거 및 설치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백에 설치된 헤드 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승차원을 지지해주며 노면으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하고 피로를 최소한으로 해주는 것으로서, 그 종류에는 용도, 배치에 따라 드라이버 시트, 패슨저 시트, 리어 시트, 차일드 시트로 구분되며, 형상의 의해 분류하게 되면, 로우백 시트, 하이백 시트, 버켓 시트로 분류되고, 기능에 따라 분류하면 고정식 시트, 조절식 시트, 변환식 시트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의 구조를 살펴보면 통상 시트 프레임에 시트 스프링을 설치하고, 그 위에 패드를 놓고, 다시 트림커버 어셈블리로 겉을 붙인 것이 많으며, 이 밖에 시트 프레임을 상자형으로 성형하고, 두꺼운 패드를 사용해서 시트쿠션 스프링을 생략한 풀폼 시트 등이 있으며, 코일 스프링을 통하여 직포 스프링이나 와이어 등을 시트 스프링으로 사용한 것도 있다.
그리고 시트 프레임은 승차원 및 시트 차체의 하중을 차체 구조물로 전달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그에 필요한 강도, 강성을 필요로 한다. 또 시트 프레임에는 시트 슬라이드 어저스터나 릭라이닝 어저스터, 시트 리프터, 럼버서포트 어저스터, 사이드서포트 어저스터 등의 기능부품 및 헤드 레스트나 시트 벨트 등의 안전부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트 프레임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강판, 강관, 강선이 일반적이지만 경량화를 위하여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수지, 목재 하드보드 등이 쓰이기도 한다.
또한 시트 스프링은 직경 2.6∼4.0 ㎜의 피아노선 또는 경강선을 가공한 시트용의 스프링이며, 넓은 의미로는 직포 스프링도 시트 스프링에 포함된다. 그리고 패드는 시트 스프링과 표피재 사이에 놓이거나 풀폼 시트로 이용되는 유연한 물체를 의미하며, 통상 1 층 또는 2,3 층의 우레탄폼, 팜록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패드의 사용목적은 시트의 형상을 보존하는 것과, 스프링타입의 시트에서는 착석한 승차원과 스프링이 접촉하는 부분에서 이질감의 해소나 쿠션체로서 스프링의 작용과 덤핑의 작용을 주는 일이며,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는 폴품 시트에서는 높은 탄성의 패드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시트의 표면에 부드러운 촉감을 갖게하는 것도 중요한 기능이다.
이 밖에 시트에 부설되는 장비를 자세힌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전방 추돌시 승차원의 머리 뒤쪽 이동을 억제해서 경부상해를 완화하는 장치인 헤드 레스트가 있는데, 상기 헤드 레스트는 상기와 같은 이유로 치수요건, 후방이동량, 접촉면적, 충격흡수성 등이 나라의 법규제에 따라 정해져 있다. 또한 상기 헤드 레스트는 시트백과 일체로 되어 있는 것과 별체로 되어 있는 것이 있으며, 표피에 대해서는 블로우 성형 또는 슬래쉬 몰드에 의한 염화비닐 시트나 봉제에 의한 퍼블릭, 레저류 등이 쓰인다.
그리고 상기 헤드 레스트 이외에도 장시간 주행시에 피로의 경감과 안락한 자세를 얻을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암레스트와 한랭시에 있어서 승차직후의 즉열효과나 시트쪽으로부터의 직접난방에 의하여 쾌적한 난방을 목적으로 하는 시트 히터가 있다.
한편, 이러한 시트의 구성품중에서 상기한 헤드 레스트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20)의 상단에 설치되며, 시트백(20)과 헤드 레스트(10)는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종래에는 뒷좌석에 승객이 있는 경우, 상기 헤드 레스트(10)로 인하여 전방의 시계가 불량해짐에 따라 승객이 답답함을 느끼게 되므로, 상기 헤드 레스트(10)를 분리하여 다른 곳에 보관해두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뒷좌석에 승객이 원하는 경우에는 일일이 시트백(20)에서 헤드 레스트(10)를 분리해야 해야 하며, 앞좌석에 탑승자가 있는 경우에는 안전을 위하여 다시 헤드 레스트(10)를 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시트백(20)에서 분리된 헤드 레스트(10)를 마땅히 보관할 장소가 없어, 아무곳에 놓게 되므로 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뒷좌석의 승객을 위하여 헤드 레스트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 때, 헤드 레스트가 시트백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므로서, 일일이 헤드 레스트를 시트백에서 제거할 필요가 없으며, 제거된 헤드 레스트를 별도의 공간에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 또한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시트백에 설치된 헤드 레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시트백과; 절곡된 요입부가 형성되고, 요입부의 하단에는 지지부가 형성된 시트 프레임과; 제 1 걸림구와 제 2 걸림구 및 걸림홈이 각각 외주연에 형성된 삽입봉이 상기 시트 프레임을 관통하여 지지부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봉의 제 1 걸림구와 지지부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도록 한 헤드 레스트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있는 삽입봉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잠금장치와, 상기 잠금장치를 해정할 수 있는 해정장치를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평상시에 헤드 레스트가 시트백의 상면위에 설치되어 있다가, 뒷좌석의 승객이 원하는 경우에는 헤드 레스트가 시트백의 구멍을 통해 시트 프레임의 요입부로 들어가도록 함과 동시에 헤드 레스트의 삽입봉이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되면서 헤드 레스트가 시트백에 내설된 상태를 유지하여 뒷좌석 승객의 전방시계가 양호해질 수 있는 것이며, 헤드 레스트를 다시 올릴 경우에는 해제장치를 사용하여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된 삽입봉이 자유롭게 되도록 함에 따라 헤드 레스트가 시트백 상면위로 위치될 수 있어, 사용자가 헤드 레스트를 시트백에서 일일이 이탈시키거나 결합시켜야 하는 불편함 및 헤드 레스트를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정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헤드 레스트 110 : 삽입봉
111a : 제 1 걸림구 111b : 제 2 걸림구
112 : 스프링 113 : 걸림홈
200 : 시트백 210 : 구멍
220 : 시트 프레임 221 : 요입부
230 : 지지부 231 : 삽입공
240 : 잠금장치 241 : 브라켓
242 : 탄성부재 243 : 작동구
250 : 해정장치 251 : 레버
252 : 케이블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 정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면에 구멍(210)이 형성된 시트백(200)과; 상측이 절곡되어 요입부(221)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삽입공(231)이 형성된 지지부(230)가 설치되어 있는 시트 프레임(220)과; 저면에 삽입봉(110)이 설치되어, 상기 요입부(221)를 관통한 후, 지지부(230)의 삽입공(231)에 삽입되며, 삽입봉(110) 외주연에는 걸림구(111a),(111b)와 스프링(112)이 설치되고, 상기 걸림구(111a),(111b) 사이에는 걸림홈(113)이 형성되도록 한 헤드 레스트(100)와; 브라켓(241)이 지지부(230)에 고정되며, 상기 브라켓(241)에는 탄성부재(242)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구(243)가 설치된 잠금장치(240)와; 케이블(252)의 일측은 시트백(200)의 외부로 돌설된 레버(251)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잠금장치(240)의 작동구(243)에 연결되도록 한 해정장치(250)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4)는 헤드레스트(100) 삽입봉에 형성된 걸림구(111a),(111b)의 완충부재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백(200)에 설치된 헤드 레스트(100)가 뒷좌석 승객의 시야를 방해하여 제거하고 싶은 경우, 일일이 헤드 레스트(100)를 시트백(200)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장소에 보관할 필요없이 헤드 레스트(100)를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 헤드 레스트(100)가 간단히 시트백(200)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뒷좌석 승객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해 줄 수 있는 것이며, 앞좌석에 승객이 있는 경우에는 앞좌석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시트백(200) 일측에 설치된 레버(251)를 작동시켜 시트백(200)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헤드 레스트(100)가 다시 시트백(20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헤드 레스트(100)의 제거 및 설치잡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시트백(200)의 상면에는 헤드 레스트(100)가 시트백(200) 내부와 외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멍(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백(200)의 내부에 설치된 시트 프레임(220)에는 상기 헤드 레스트(100)가 시트백(2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를 절곡시켜 요입부(221)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요입부(221)의 하부에는 지지부(230)를 형성하되 지지부(230)에는 삽입공(231)을 형성하여, 헤드 레스트(100)의 저면에 설치된 삽입봉(110)이 시트백(200)을 관통하여 시트 프레임(220)을 거쳐 지지부(230)의 삽입공(2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삽입봉(110)의 외주연에는 걸림구(111a),(111b)를 형성하되, 상기 지지부(230)를 사이에 두고 상측에는 제 1 걸림구(111a)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제 2 걸림구(111b)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 1 걸림구(111a)와 지지부(230)의 사이에는 스프링(112)이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걸림구(111a)와 제 2 걸림구(111b)의 사이에는 걸림홈(113)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잠금장치(240)는 브라켓(241)과 탄성부재(242)와 작동구(243)로 이루어져, 브라켓(241)이 지지부(230)에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241)에 설치된 작동구(243)가 상기 헤드 레스트(100) 삽입봉(110)의 걸림홈(113)에 걸리면서 헤드 레스트(100)의 이동을 제어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케이블(252)의 일측은 시트백(200) 일측에 설치된 레버(251)에 연결되도록 하고, 타측은 상기 작동구(243)에 연결시켜, 레버(251)의 작동에 의해 작동구(243)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해정장치(25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헤드 레스트(100)를 시트백(200)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210)으로 집어넣게 되면, 헤드 레스트(100)가 시트 프레임(220)의 요입부(221)로 들어감과 동시에 헤드 레스트(100)의 삽입봉(110) 외주연에 형성된 제 1 걸림구(111a)와 지지부(23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12)이 압축되면서 삽입봉(110)의 제 1 걸림구(111a)와 제 2 걸림구(111b)에 형성된 걸림홈(113)이 지지부(230)에 설치된 잠금장치(240)의 작동구(243) 선단에 걸리게 되면서 헤드 레스트(100)가 요입부(221)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헤드 레스트(100)를 제거하기 위하여 시트백(200)에서 일일이 헤드 레스트(100)를 빼내야 하는 불편함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헤드 레스트(100)가 시트백(200)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앞좌석에 승객이 착석을 하는 경우에는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시트백(200)의 내부로 들어간 헤드 레스트(100)를 다시 돌출되도록 해야 하는 것인데, 이때 시트백(200) 일측에 설치된 레버(251)를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레버(251)에 연결된 케이블(252)이 당겨지면서 헤드 레스트(100)의 삽입봉(110)을 고정시키고 있는 작동구(243)가 삽입봉(110)의 걸림홈(113)으로부터 이탈되고. 이에 따라 헤드 레스트(100)는 상기 제 1 걸림구(111a)와 지지부(230)의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12)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되면서 헤드 레스트(100)가 시트백(200)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레버(251)에 의해 당겨진 작동구(243)는 레버(251)에 가해진 힘을 제거함과 동시에 브라켓(241)에 설치된 탄성부재(242)에 의해 원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제 1 걸림구(111a)와 제 2 걸림구(111b)의 상면에는 완충부재(114)를 설치하여 해정장치(250)에 의해 헤드 레스트(100)가 상부로 올라갈 때, 걸림구(111a),(111b)가 지지부(230) 및 시트 프레임(220)에 부딪치면서 충격이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헤드 레스트가 시트백의 상면위에 설치되어 있다가, 뒷좌석의 승객이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 레스트를 시트백 상면에 형성된 구멍으로 집어넣어, 뒷좌석 승객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해줄 수 있는 것이며, 앞좌석에 승객이 탈 경우에는 안전을 위하여 다시 헤드 레스트를 올려야 하므로, 시트백 일측에 설치된 레버를 작동시켜 헤드 레스트가 시트백 상면위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시트백에서 헤드 레스트를 제거하거나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시트백에서 헤드 레스트를 이탈시키거나 결합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자동차의 시트백에 헤드 레스트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면에 구멍(210)이 형성된 시트백(200)과; 상면이 절곡되어 요입부(221)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삽입공(231)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230)가 설치된 시트 프레임(220)과; 저면에 삽입봉(110)이 설치되어, 상기 시트백(200)의 구멍(210)과 시트 프레임(220)의 요입부(221)를 관통한 후, 지지부(230)의 삽입공(231)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봉(110) 외주연에는 걸림구(111a),(111b)와 스프링(112)이 설치되고, 상기 걸림구(111a),(111b) 사이에는 걸림홈(113)이 형성되도록 한 헤드 레스트(100)와; 상기 헤드 레스트(10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잠금장치(240)와; 상기 잠금장치(240)를 해정할 수 있는 해정장치(2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백에 설치된 헤드 레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 프레임(220)에 설치된 지지부(230)의 저면에는 브라켓(241)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241)에는 탄성부재(242)에 연결된 작동구(243)가 설치되어 상기 작동구(243)에 의해 헤드 레스트(10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한 잠금장치(240)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백에 설치된 헤드 레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블(252)의 일측은 시트백(200)에 외부로 돌설된 레버(251)에 연결되도록 하고, 케이블(252)의 타측은 잠금장치(240)의 작동구(243)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레버(251)의 작동에 의해 작동구(243)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한 해정장치(250)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백에 설치된 헤드 레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걸림구(111a),(111b)의 상면에는 완충부재(114)를 설치하여 헤드 레스트(100)의 삽입봉(110)이 작동되는 과정에서 걸림구(111a),(111b)가 시트 프레임(220)이나 지지부(230)에 부딪치면서 충격이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백에 설치된 헤드 레스트.
KR2019970040224U 1997-12-24 1997-12-24 자동차의 시트백에 설치된 헤드레스트 KR199900276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224U KR19990027628U (ko) 1997-12-24 1997-12-24 자동차의 시트백에 설치된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224U KR19990027628U (ko) 1997-12-24 1997-12-24 자동차의 시트백에 설치된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628U true KR19990027628U (ko) 1999-07-15

Family

ID=69695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224U KR19990027628U (ko) 1997-12-24 1997-12-24 자동차의 시트백에 설치된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62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2546A (zh) * 2017-12-26 2018-05-01 北京汽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座椅靠背及汽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2546A (zh) * 2017-12-26 2018-05-01 北京汽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座椅靠背及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6506B2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構造
JP4388575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096739B1 (ko) 자동차용 테이블
GB2415616A (en) Vehicle seat assembly including a backrest mounted pivotal headrest for support of the side of a head of an occupant of the assembly
KR19990027628U (ko) 자동차의 시트백에 설치된 헤드레스트
KR100403478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100917115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리클라이닝 조절장치
KR100309036B1 (ko) 자동차의프론트시트시트백커버고정구조
JP4433291B2 (ja) 車両用シート
KR0140520Y1 (ko) 자동차 시트의 2단 리클라이닝 장치
JP4350478B2 (ja) 前滑り防止手段付き車両用シート
KR19980030417U (ko) 자동차 리어시트의 분할식 시트백 잠금장치
KR19980024605U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19990028110A (ko) 자동차용 스키 고정장치
KR20020049616A (ko)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
KR100305173B1 (ko) 자동차용시트에설치된사이드레일의로드
JP7498424B2 (ja) キーレスアンテナの取付構造
KR19990017918A (ko) 전/후 유동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100570068B1 (ko) 자동차 리어 시트용 사이드 헤드레스트
JPH06328992A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着シート
KR19980030432U (ko) 자동차 시트 가이드 레일 고정용 브라켓
KR0123761Y1 (ko) 보조 쿠션을 구비한 차량의 리어 시트
JP2023152048A (ja) 乗物用シート
JP4258477B2 (ja) 車体構造
KR100288297B1 (ko) 자동차 시트의 가이드 레일 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