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9036B1 - 자동차의프론트시트시트백커버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프론트시트시트백커버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036B1
KR100309036B1 KR1019980021750A KR19980021750A KR100309036B1 KR 100309036 B1 KR100309036 B1 KR 100309036B1 KR 1019980021750 A KR1019980021750 A KR 1019980021750A KR 19980021750 A KR19980021750 A KR 19980021750A KR 100309036 B1 KR100309036 B1 KR 100309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eat
pocket
boss
seat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1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1472A (ko
Inventor
정승태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80021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9036B1/ko
Publication of KR20000001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0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2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s, staples, clips, snap fasten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05Nets or elastic pockets tensioned against walls or back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런트시트 시트백커버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포켓에 물건을 넣기 위해서 밴드를 당겨 입구를 넓혀줄 때 너무 강하게 당기게 되면 스테플러 작업으로 고정시킨 커버가 뜯어져 버리는 일이 종종 발생되어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면에 커버(200)가 씌워진 상태에서 테두리 하단에 다수개의 삽입공(110)이 형성된 시트백베이스(100)와 상기 커버(200)가 씌워진 시트백베이스(100)의 하단에 포개지면서 테두리의 삽입공(110)과 대응된 위치에 보스공(310)이 천공된 포켓(300)과 상기 포켓(300)의 테두리를 따라 삽입공(110)과 보스공(310)에 관통되도록 보스(410)가 내측으로 돌설된 고정편(400)과 상기 고정편(400)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보스(410)에 끼워주는 스톱링(5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정편(400)으로 인하여 포켓을 사용하고자 밴드를 강하게 당기더라도 시트백베이스(100)에 스테플러 작업으로 고정시킨 커버(200)가 뜯어질 우려가 없어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심어줄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프론트시트 시트백커버 고정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론트시트 시트백 커버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커버를 시트백베이스에 씌우고 스테플러 작업을 통하여 고정시킨후 별도의 고정편으로 시트백베이스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므로써 포켓을 사용하기 위하여 밴드를 강하게 당기더라도 스테플러 작업 부위가 뜯어질 우려가 없어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심어줄수 있는 자동차의 프런트시트 시트백 커버 고정구조에 관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승객들이 편안한 자세로 앉을수 있는 앞좌석과 뒷좌석의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데, 앞좌석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경우에는 승객 한사람 한사람을 위하여 몸의 편안한 자세를 위한 세퍼레이터식 시트로 뒷좌석의 경우에는 벤치모양의 벤치식 시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앞좌석에 사용되는 세퍼레이터식 시트는 앞,뒤로 움직일수 있는 슬라이딩 기능으로 되어있고, 벤치식 시트는 자동차 언더바디를 구성하는 뒤 크로스 멤버(rear cross member)상에 주로 설치되는데, 이때 그 시트는 움직일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다. 다시말해 시트의 구성부인 시트쿠션은 한곳에 고정되어 움직일수 없는 상태이다.
상기의 시트는 착석 했을 때 히프가 얹혀지는 시트쿠션과 등이 받쳐지는 시트백과 헤드레스트의 3 가지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레스트는 시트의 시트백 위로 위치되는 머리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베개와 같은 부분으로 추돌등으로 인한 머리의 부상방지와 머리부분을 편안하게 하기 위하여 부착되어 있는데, 시트와 일체로 되어있는 것과, 탈착이 가능한 것도 있으며, 또한 기울기의 조정이 가능한 것도 있다.
그리고 운전저가 앉게되는 시트는 운전자가 장거리를 운행하더라도 편안하게 운전할수 있도록 여러 가지 기능이 부여되는데, 즉,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를 앞, 뒤로 밀고 당겨 조절할수 있는 슬라이딩기능, 시트백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리크라이닝 기능, 상황에 따라 시트를 상하로 움직이는 승강기능, 운전자의 요추를 받쳐주는 받침기능이 있다.
이러한 시트의 구조를 살펴보면 통상 시트프레임에 시트 스프링을 설치하고, 그 위에 패드를 놓고, 다시 트림커버 어셈블리로 겉을 붙인 것이 많으며, 이밖에 시트 프레임을 상자형으로 형성하고, 두꺼운 패드를 사용해서 시트쿠션 스프링을 생략한 폴폼시트등이 있으며, 코일스프링을 통하여 직포 스프링이나 와이어 등을 시트스프링으로 사용한 것도 있다.
그리고시트 프레임은 승차원 및 시트 차체의 하중을 차체 구조물로 전달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그에 필요한 강도, 강성을 필요로 한다. 또한 시트프레임에는 시트슬라이드어저스트나 릭라이닝 어저스터, 시트 리프터, 럼버서포트 어저스터, 사이드서포트 어저스터 등의 기능부품 및 헤드레스트나 시트벨트 등의 안전부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트 프레임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강판, 강관, 강선이 일반적이지만 경량화를 위하여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수지, 목재 하드보드등이 쓰이기도 한다.
또한 시트스프링은 직경 2.6 - 4.0 mm 의 파아노선 또는 강경선을 가공한 시트용의 스프링이며, 넓은 의미로는 직포스프링도 시트스프링에 포함되며, 그리고 패드는 시트스프링과 표피재 사이에 놓이거나 폴폼시트로 이용되는 유연한 물체를 의미하며, 통상 1 층 또는 2,3층의 우레탄 폼, 팜록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패드의 사용목적은 시트의 형상을 보존하는 것과 스프링 타입의 시트에서는 착석한 승차원과 스프링이 접촉하는 부분에서 이질감의 해소나 쿠션체로서 스프링의 작용과 덤핑을 주는 일이며,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는 폴폼 시트에서는 높은 탄성의 패드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시트의 표면에 부드러운 촉감을 갖게하는 것도 중요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시트백베이스(10)이면에는 커버 (20)의 사방 테두리단이 씌워져 고정되고, 상기 커버(20)표면으로는 비교적 부피가 큰 지도책이나 사용설명서를 보관하였다가 필요시 꺼낼 볼수 있도록 맵포켓(30:이하 포켓이라 칭함)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의 포켓(30)상단에는 탄지력 있는 밴드 (31)를 부착하여 상기 포켓(30)에 물건을 넣거나 꺼낼시에는 상기 밴드(31)를 잡아당겨 포켓(30)의 입구를 넓혀준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의 포켓(30)은 커버(20)에 일체로 포켓(30)을 형성한후 상기 커버(20)를 시트백베이스(10)에 부착하거나 또는 시트백베이스(10)에 먼저 커버(20)를 씌워준후 상기 커버(20)에 포켓(30)을 별도로 부착할수 도 있다.
한편 커버(20)를 시트백베이스(10)에 씌워준후 고정시킬 때에는 테두리부위를 스테플러(stapler :또는 호치케스라고도 칭함)를 사용하여 박아주게 되며, 이때 스테플러 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핀(40)이 제대로 박히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여러번 작업을 반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스테플러 작업이 완전하게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소비자가 포켓 (30)을 사용하고자 무의식중에 약간 강한 힘으로 밴드(31)를 당기게 되면 스테플러 작업만으로 고정시킨 커버(20)가 그 힘을 견디지 못하고, 쉽게 뜯어지므로서 소비자에게 상품에 대한 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테플러 작업을 하여 커버를 시트백베이스에 설치한후 포켓을 사용하고자 밴드를 강하게 당기더라도 스테플러 작업 부위가 뜯어지지 않도록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므로서 소지자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감을 가질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프런트시트 시트백 커버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에 커버가 씌워진 상태에서 테두리 하단에 다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시트백베이스와 상기 커버가 씌워진 시트백베이스의 하단에 포개지면서 테두리의 삽입공과 대응된 위치에 보스공이 천공된 포켓과 상기 포켓의 테두리를 따라 삽입공과 보스공에 관통되도록 보스가 내측으로 돌설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보스에 끼워주는 스톱링으로 구성되므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전처럼 스테플러 작업으로 커버를 시트백베이스에 고정시킨후 하단 테두리부 즉, 포켓이 위치되는 테두리부에 고정편을 끼워주므로서 포켓을 사용하기위하여 밴드를 강하게 당기더라도 고정편에 의해 스테플러 작업부위가 튿어질 우려가 없으므로서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수 있다.
도 1 은 종래 프론트시트의 시트백커버 고정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종래 시트백 커버 고정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리사시도
도 4 는 도 3 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보인 일부 평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시트백베이스 110 : 삽입공
200 : 커버 210 : 구멍
300 : 포켓 310 : 보스공
320 : 밴드 400 : 고정편
410 : 보스 411 : 스냅핀
500 :스톱링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3 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결합 일부평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론트시트 시트백 커버 고정구조에 있어서, 표면에 커버(200)가 씌워진 상태에서 테두리 하단에 다수개의 삽입공(110)이 형성된 시트백베이스(100)와 상기 커버(200)가 씌워진 시트백베이스(100)의 하단에 포개지면서 테두리의 삽입공(110)과 대응된 위치에 보스공(310)이 천공된 포켓(300)과 상기 포켓(300)의 테두리를 따라 삽입공(110)과 보스공(310)에 관통되도록 보스(410)가 내측으로 돌설된 고정편(400)과 상기 고정편(400)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보스(410)에 끼워주는 스톱링(42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210)은 커버 하단에 형성된 구멍이고, (320)은 포켓 상단에 형성된 밴드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시트백베이스(100)에 커버(200)를 씌워준후 고정시킬 때에는 종전과 같이 스테플러 작업을 통하여 커버(200)를 고정 시키더라도 스테플러 작업 부위가 쉽게 튿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 것으로서 즉, 커버 (200)가 씌워진 시트백베이스(100)의 하단으로 부착되는 포켓(300)의 테두리부에 별도의 고정편(400)을 끼워주므로서 포켓(300)에 물품을 넣기 위하여 밴드(320)를 강하게 당기더라도 상기 고정편(400)에 의해 커버(200)가 뜯어질 우려가 없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시트백베이스(100)와 커버(200),그리고 포켓(300)의 테두리부에는 각각 삽입공(110),구멍(210),보스공(310)이 각각 천공되어 있으므로 내측에 보스(410)가 돌설된 고정편(400)을 이용하여 즉, 상기 고정편(400)에 시트백베이스 (100)와 커버(200)그리고 포켓(300)의 하단부가 끼워지도록 하되 상기 고정편(400)에 돌설된 보스(410)가 포켓(300)에 형성된 보스공(310), 커버(200)에 형성된 구멍 (210), 시트백베이스(100)에 형성된 삽입공(110)에 차례로 관통되도록 끼워준다.
이처럼 고정편(400)의 보스(410)를 보스공(310)과 구멍(210)을 통한후 마지막으로 시트백베이스(100)의 삽입공(110)으로 관통되도록 한후 관통된 보스(410)끝단에 스톱링(500)을 체결하므로서 상기 고정편(400)은 스톱링(500)을 이탈시키기 전에는 절대로 빠지지 않는 것이다.
이렇게 고정편(400)으로 포켓(300)이 있는 테두리부만을 고정시켜 주게 되면 포켓(300)을 사용하기 위하여 포켓(300)상단의 밴드(320)를 강하게 당겨 입구를 넓혀주더라도 이때 당겨지는 힘을 고정편(400)이 상쇄하므로서 스테플러작업으로 고정된 커버(200)가 뜯어질 우려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제 5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단면도로서 고정핀(400)의 내측으로 돌설되는 보스(410)의 끝단에 한쌍의 스냅핀(411)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스냅핀(411)을 수축시키기 전에는 고정핀(4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보스(410)의 끝단에 스톱링(500)을 체결하지 않고서도 고정핀(400)이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고정편을 사용하므로써 포켓을 사용하고자 밴드를 강하게 당기더라도 시트백베이스에 스테플러 작업으로 고정시킨 커버가 뜯어질 우려가 없어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심어줄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프론트시트 시트백 커버 고정구조에 있어서, 표면에 커버(200)가 씌워진 상태에서 테두리 하단에 다수개의 삽입공(110)이 형성된 시트백베이스 (100); 상기 커버(200)가 씌워진 시트백베이스(100)의 하단에 포개지면서 테두리의 삽입공(110)과 대응된 위치에 보스공(310)이 천공된 포켓(300); 상기 포켓(300)의 테두리를 따라 삽입공(110)과 보스공(310)에 관통되도록 보스(410)가 내측으로 돌설된 고정편(400); 상기 고정편(400)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보스(410)에 끼워주는 스톱링(42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론트시트 시트백 커버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고정편(400)의 끝단을 스냅핀(411) 형상으로 하여 고정편(4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론트시트 시트백 커버 고정구조
KR1019980021750A 1998-06-11 1998-06-11 자동차의프론트시트시트백커버고정구조 KR100309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750A KR100309036B1 (ko) 1998-06-11 1998-06-11 자동차의프론트시트시트백커버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750A KR100309036B1 (ko) 1998-06-11 1998-06-11 자동차의프론트시트시트백커버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472A KR20000001472A (ko) 2000-01-15
KR100309036B1 true KR100309036B1 (ko) 2001-12-28

Family

ID=1953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1750A KR100309036B1 (ko) 1998-06-11 1998-06-11 자동차의프론트시트시트백커버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90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082B1 (ko) * 2015-07-08 2016-05-24 서천(주) 차량용 시트백 포켓의 제조장치
KR20170007091A (ko) 2016-03-28 2017-01-18 서천(주) 차량용 시트백 포켓
KR101756589B1 (ko) 2016-05-17 2017-07-10 주식회사 대일산업 차량용 시트 백커버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KR101759025B1 (ko) 2016-05-23 2017-07-17 주식회사 대일산업 차량용 시트 백커버 조립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003B1 (ko) * 2014-02-17 2015-02-17 (주)힐건설 건물 외벽 리모델링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082B1 (ko) * 2015-07-08 2016-05-24 서천(주) 차량용 시트백 포켓의 제조장치
KR20170007091A (ko) 2016-03-28 2017-01-18 서천(주) 차량용 시트백 포켓
KR101709924B1 (ko) * 2016-03-28 2017-02-24 서천(주) 차량용 시트백 포켓
KR101756589B1 (ko) 2016-05-17 2017-07-10 주식회사 대일산업 차량용 시트 백커버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KR101759025B1 (ko) 2016-05-23 2017-07-17 주식회사 대일산업 차량용 시트 백커버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472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1008B2 (en) Seat back structure for vehicle
US20120223564A1 (en) Armrest Mounting Assembly and Misalignment Indicator
JP2007118820A (ja) 乗員拘束装置
CN111469730B (zh) 用于模块化车辆座椅等的车辆座椅衬垫托架组件
GB2309440A (en) Vehicle having two adjacent seats with upper backrest extensions and side airbags
KR100309036B1 (ko) 자동차의프론트시트시트백커버고정구조
JP2007126029A (ja) 車両の側面衝突用乗員保護装置
GB2415616A (en) Vehicle seat assembly including a backrest mounted pivotal headrest for support of the side of a head of an occupant of the assembly
KR20060103302A (ko) 자동차용 슬라이드형 헤드레스트
JP4486868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KR20020090668A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200142998Y1 (ko) 자동차용 시트커버
US11273734B2 (en) Occupant support
JP3111636U (ja) 車両シートにおける背広背面のしわ防止具
JP7252855B2 (ja) 車両および車両用シート
WO2023054404A1 (ja) 乗り物用シート
KR200147888Y1 (ko) 자동차 시트쿠션의 사이드부 조절장치
JP2021126986A (ja) 乗物用シート
JP6693305B2 (ja) 乗物用シート
JP5809427B2 (ja) 乗り物用シート
EP1842739A1 (en) Motor vehicle seat, motor vehicle, and airbag module
KR960008991Y1 (ko) 승합자동차(乘合自動車)용 시트
KR19980046634U (ko) 자동차 시트백의 요추받침구조
KR19990027628U (ko) 자동차의 시트백에 설치된 헤드레스트
KR19990028110A (ko) 자동차용 스키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