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9616A -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9616A
KR20020049616A KR1020000078808A KR20000078808A KR20020049616A KR 20020049616 A KR20020049616 A KR 20020049616A KR 1020000078808 A KR1020000078808 A KR 1020000078808A KR 20000078808 A KR20000078808 A KR 20000078808A KR 20020049616 A KR20020049616 A KR 20020049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
hook
back frame
fram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8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2694B1 (ko
Inventor
홍성학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78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694B1/ko
Publication of KR20020049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6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43Back-rests or cushions shape of the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60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 B60N2/6018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6045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보강리브가 구비된 후크를 이용하여 시트백을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시킴으로써, 충돌 사고시에 뒷좌석 승객의 무릎이 시트백 프레임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막아 상해를 줄이고 별도의 스크류나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히 시트백 프레임에 걸어맞춤하여 부품 및 공정수를 줄일 수 있는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 결합구조는 탑승자가 시트쿠션에 앉아 등을 기대는 부분으로 내부에는 패드(32)가 충진되어 있고 걸림부(46)를 지닌 후크(40)가 재봉 등에 의해서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시트백(30)과, 이 시트백(30)의 걸림부(46)가 걸어맞춤되는 고정패널(22)을 지닌 시트백 프레임(2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STRUCTURE FOR FIXING A SEAT BACK TO A SEAT BACK FRAM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보강리브가 구비된 후크를 이용하여 시트백을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에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RV차량과 같은 다인승 차량에는 보다 많은 열의 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시트는 탑승자가 앉는 부분인 시트쿠션과 등을 기대는 부분인 시트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프론트 시트의 경우에는 시트백의 상부에 머리를 기대고 쉴 수 있는 헤드레스트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중에서, 프론트 시트는 운전석 시트와 조수석 시트로 각각 분리되어 있어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시트의 높이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의 배치상태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시트백과 시트백 프레임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선 Ⅲ-Ⅲ을 따라 취한 시트백과 시트 프레임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을 만들기 위해서는 원단을 재봉해서 시트백(10)을 만든 후에, 이 시트백(10)을 시트백 프레임(20)에 결합하여 하나의시트백 조립체를 완성하게 된다. 이때, 시트백(10)에는 시트백 프레임(2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후크(12)가 구비되어 있어, 조립시에는 도 3에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12)를 시트백 프레임(20)의 고정패널(22)에 걸어맞춤하여 결합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시트백 결합구조에서는 도 1의 리어시트(4)에 앉아있는 승객이 충돌 사고시에 몸이 앞으로 이동하면서 도 3의 화살표 방향(P)을 따라 승객의 무릎이 프론트시트(2)를 구성하는 시트백 프레임(20)의 고정패널(22)과 직접적으로 부딪치기 때문에 부상을 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후크를 삽입한 후에, 별도의 스크류나 클립을 이용하여 고정하므로, 부품수 및 제조 공정수가 많고 그로 인해 제조 코스트가 상승하는 원인이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충돌 사고시에 뒷좌석 승객의 무릎이 시트백 프레임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막아 상해를 줄일 수 있고, 별도의 스크류나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도 자체 구조로서 간단히 시트백 프레임에 걸어맞춤하여 부품 및 공정수를 줄일 수 있는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의 배치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시트백과 시트백 프레임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선 Ⅲ-Ⅲ을 따라 취한 시트백과 시트 프레임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과 시트백 프레임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후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Ⅵ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7은 도 5에서 선 Ⅶ-Ⅶ을 따라 취한 시트백과 시트 프레임의 결합 단면도,
도 8은 도 6에서 선 Ⅷ-Ⅷ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시트백 프레임 22:고정패널
30:시트백 32:패드
40:후크 42, 44:연장부
46:걸림부 48:보강리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는 탑승자가 시트쿠션에 앉아 등을 기대는 부분으로 내부에는 패드가 충진되어 있고 걸림부를 지닌 후크가 재봉 등에 의해서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시트백과, 이 시트백의 걸림부가 걸어맞춤되는 고정패널을 지닌 시트백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한 시트프레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 표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과 시트백 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천이나 가죽 등의 원단을 재봉하여 만든 본 발명의 시트백(30)조립체에는 수직으로 길게 연장되는 후크(40)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으며, 조립시에 후크(40)는 시트백 프레임(20)의 고정패널(22)에 걸어맞춤되어 시트백(30)을 시트백 프레임(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후크(40)는 재봉 등의 방법으로 시트백(30)에 일체로 부착된다.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후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Ⅵ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채용한 후크(40)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2개의 연장부(42, 44)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연장부(42, 44)사이에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리브(48)가 연결되어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양 연장부(42, 44)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보강리브(48)에 의해서 충분히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도 5에서 선 Ⅶ-Ⅶ을 따라 취한 시트백과 시트 프레임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서 선 Ⅷ-Ⅷ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7에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 조립체의 조립시에는, 시트백(30)을 시트백 프레임(20)의 바깥에 배치시킨다. 이때, 후크(40)는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재봉선을 중심으로 후크(40)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동시키면서 걸림부(46)와 연장부(44)사이를 시트백 프레임(20)의 고정패널(22)에 삽입하면 된다.
이 상태에서, 2개의 연장부(42, 44)는 시트백(30)과 고정패널(22)간에 소정의 폭의 간격을 제공하면서 삽입되어 있고, 이들 연장부(42, 44)사이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수의 보강리브(4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충돌 사고시에 탑승자의 무릎이 고정패널(22)과 직접적으로 부딪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리어시트에 앉아있는 승객의 무릎을 통해서 전달되는 충격력을 2개의 연장부(42, 44)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보강리브(48)에 의해서 흡수함으로써, 승객의 무릎에 가해지는 반발력이 최소화되어 무릎부위의 상해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후크(40)는 도 7에 타원(H)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부(46)를 이용하여 시트백 프레임(20)의 고정패널(22)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스크류나 클립과 같은 별도의 체결기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7에 타원(R)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백(30)과 시트백 프레임(20)간에는 보강리브(48)폭만큼의간격이 제공되므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영역을 제공함과 동시에, 충격흡수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2개의 연장부(42, 44)사이에는 패드(32)와 동일 재질의 폼을 충진시킬 수도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보강리브가 구비된 후크를 이용하여 시트백을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시킴으로써, 충돌 사고시에 뒷좌석 승객의 무릎이 시트백 프레임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막아 상해를 줄이고 별도의 스크류나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히 시트백 프레임에 걸어맞춤하여 부품 및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그밖에도, 후크를 플라스틱으로 제조함으로써 스틸로 제조된 보호 장비에 비해서 가볍고 스크류나 클립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부품수 및 공수감소에 따른 원가절감을 꾀할 수 있으며 경량화가 가능하다.

Claims (2)

  1. 탑승자가 시트쿠션에 앉아 등을 기대는 부분으로 내부에는 패드(32)가 충진되어 있고 걸림부(46)를 지닌 후크(40)가 재봉 등에 의해서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시트백(30)과,
    상기 시트백(30)의 걸림부(46)가 걸어맞춤되는 고정패널(22)을 지닌 시트백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40)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2개의 연장부(42, 44)와, 이들 연장부(42, 44)사이를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리브(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
KR10-2000-0078808A 2000-12-19 2000-12-19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 KR100422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808A KR100422694B1 (ko) 2000-12-19 2000-12-19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808A KR100422694B1 (ko) 2000-12-19 2000-12-19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616A true KR20020049616A (ko) 2002-06-26
KR100422694B1 KR100422694B1 (ko) 2004-03-12

Family

ID=27683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808A KR100422694B1 (ko) 2000-12-19 2000-12-19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26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948B1 (ko) * 2008-06-28 2010-07-14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주택바닥면에 구비된 한방훈증설비구조
CN107650932A (zh) * 2017-11-09 2018-02-02 中唐空铁集团有限公司 一种包覆式座椅靠背结构
CN111757691A (zh) * 2018-02-21 2020-10-09 阿希礼家具工业公司 具有带有附接装置的装饰罩的沙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797A (ko) * 2002-11-11 2004-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강성 증대용 리어 시트의 프레임 구조
KR101254034B1 (ko) 2011-08-01 2013-04-12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커버 조립구조가 개선된 시트백 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062B1 (ko) * 1998-06-11 2002-06-20 정주호 자동차의무릎보호충격흡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948B1 (ko) * 2008-06-28 2010-07-14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주택바닥면에 구비된 한방훈증설비구조
CN107650932A (zh) * 2017-11-09 2018-02-02 中唐空铁集团有限公司 一种包覆式座椅靠背结构
CN107650932B (zh) * 2017-11-09 2024-02-06 中唐空铁集团有限公司 一种包覆式座椅靠背结构
CN111757691A (zh) * 2018-02-21 2020-10-09 阿希礼家具工业公司 具有带有附接装置的装饰罩的沙发
CN111757691B (zh) * 2018-02-21 2022-05-10 阿希礼家具工业有限公司 具有带有附接装置的装饰罩的沙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2694B1 (ko) 200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0714A (en) Cushion construction for child's safety seat for use in automobiles
KR100422694B1 (ko)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
US7469970B2 (en) Reinforcing structure for three-point type seat belt
US6460926B1 (en) Transparent head restraint assembly
JP3020048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832459B1 (ko)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보조쿠션
KR101051608B1 (ko) 차량용 시트의 보조 헤드레스트
US6471295B1 (en) Headrest arrangement for a vehicle seat
JP2588343Y2 (ja) 防護板付シートバック
KR19990006272U (ko) 자동차용 시트
JP5490548B2 (ja) 自動車シート
JPH0633871Y2 (ja) ヘツドレスト
KR200141721Y1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 시트의 헤드레스트
JPH0236753Y2 (ko)
KR0174413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
KR0120077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장치
KR0174411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
JP2022147827A (ja) 乗物用シート
KR0132479Y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구조
KR19990053367A (ko)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를 통한 머리 완충구조
KR19980031699U (ko) 자동차의 y자형 시트 벨트
KR20050115108A (ko) 차량 시트의 안전장치
KR19990018586A (ko) 목 받침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장치
KR19980018813U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20060072345A (ko)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시트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