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139A - 압축된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압축된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139A
KR19990024139A KR1019980054308A KR19980054308A KR19990024139A KR 19990024139 A KR19990024139 A KR 19990024139A KR 1019980054308 A KR1019980054308 A KR 1019980054308A KR 19980054308 A KR19980054308 A KR 19980054308A KR 19990024139 A KR19990024139 A KR 19990024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data
data
input
signal
compressed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석
Original Assignee
박선면
지디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면, 지디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선면
Priority to KR1019980054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4139A/ko
Publication of KR19990024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139A/ko

Links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예컨대 MP3와 같은 압축 포맷에 따라 압축된 음악 데이터를 인덱스 정보와 함께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에 저장해두고 비교적 랜덤하게 액세스하여 액세스된 음악 데이터로부터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압축된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카세트 플레이어는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카세트 테이프의 제1 채널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된 음악 데이터를 독출하고 제2 채널에 저장되어 있는 인덱스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압축된 음악 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 제2 제어 신호 및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를 받아들이고,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며,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독출 모드를 나타낼 때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에 공급하여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를 구동하고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압축된 음악 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 데이터를 받아들여 데이터 버스를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는 사용자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들과 상기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데이터 버스 상의 상기 압축된 음악 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음악을 재생한다.

Description

압축된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
본 발명은 음악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된 음악 데이터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호처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음성 및 영상 신호의 압축 기술이 보편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음성 신호는 통상 오디오 엠펙(Audio MPEG) 기법에 의해 압축되는데, 오디오 엠펙은 그 발전 단계에 따라 레이어 1(Layer 1) 내지 레이어 3(Layer 3)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레이어 1(Layer 1) 내지 레이어 3(Layer 3)의 오디오 엠펙 표준을 각각 엠피1(MP1) 내지 엠피3(MP3)이라 약칭하기도 한다. 이중에서도 특히 MP3 포맷의 음악 데이터는 웨이브(Wave 또는 Wav) 포맷의 데이터를 12:1 내지 14:1로 압축시킨 것으로서, 파일이 콤팩트하고 음질이 좋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많이 선호하고 있다. MP3 포맷의 음악 데이터는 크기가 작아서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등에 쉽게 복사할 수 있기 때문에, MP3은 인터넷을 통해 음악을 공유하는 대표적인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발명자의 발명적 개념은 주로 이러한 MP3 포맷에 의해 압축된 음악 데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악이란 사용자가 많은 종류의 곡을 마련해두고 취향에 따라 그리고 일시적인 기분에 따라 그중 일부의 곡을 선택해서 청취하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음악 데이터의 경우에는 여타의 데이터와 달리 다수의 곡을 저장해두는 일종의 데이터베이스화가 강하게 요구된다. MP3의 압축 효율이 매우 높다고는 하지만, 한 곡당 3∼6 메가바이트(Mbyte) 정도의 용량을 차지하기 때문에 예컨대 100곡을 저장해두고자 하는 경우 대략 300∼600 Mbyte의 저장 용량이 필요하게 된다. 하드 디스크의 저장 용량이 점차로 커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각 응용프로그램의 크기 또한 함께 증가되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 사용자로서는 수백 Mbyte에 이르는 많은 수의 곡을 하드 디스크에 직접 저장해두기에는 상당한 기억장치의 부담을 안게 된다.
이에 따라 MP3 포맷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백업하거나 기록해두고 이를 재생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컴퓨터에 인터페이스시켜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는 장치로서 현재 상용화된 것으로는 집 드라이브(ZIP Drive)나 재즈 드라이브(Jaz Drive) 또는 콤팩트 디스크 롬 기입기기(CD-ROM Writer)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집 드라이브(ZIP Drive)나 재즈 드라이브(Jaz Drive)는 일반적인 데이터의 저장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음악 데이터의 백업에는 매체 비용 측면에서 적합하지가 않다. 또한 이들 드라이브들은 음악을 직접 재생할 수 없기 때문에, 음악을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드라이브에 저장된 데이터를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나 주기억장치에 적재시킨 후 적재된 데이터로부터 음악을 재생하여야만 한다. 기록가능형 콤팩트 디스크(Recordable CD)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CD-ROM 기입기기의 경우에는, 디스크 뿐만 아니라 드라이브의 가격이 높아서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는 적지 않은 부담이 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형 MP3 플레이어도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플레이어는 값이 비싸고, 특히 저장 매체로써 CD 또는 메모리 칩을 사용하기 때문에 저장용량 대비 가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저장 매체로써 CD를 사용하는 플레이어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선택하여 저장해둘 수 없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원하는 곡을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별도의 외부 기억장치를 사용해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다. 저장 매체로써 메모리 칩을 사용하는 플레이어의 경우에는, 통상 메모리 소자로써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이 사용되기 때문에 데이터가 휘발성을 가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하고자하는 경우 기존의 데이터가 지워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휴대형 MP3 플레이어의 저장 매체로써 하드 디스크를 고려해볼 수도 있지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는 진동이나 충격에 약하기 때문에 좋은 대안이 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예컨대 MP3와 같은 압축 포맷에 따라 압축된 음악 데이터를 대량으로 저장해두고 비교적 랜덤하게 액세스하여 액세스된 음악 데이터로부터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타의 매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저렴한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를 사용하여 압축된 음악 데이터를 기록하고 재생할 수 있는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되는 데이터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데이터 기록 채널에서 임의의 한 곡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를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카세트 플레이어는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카세트 테이프의 제1 채널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된 음악 데이터를 독출하고 제2 채널에 저장되어 있는 인덱스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압축된 음악 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 제2 제어 신호 및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를 받아들이고,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며,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독출 모드를 나타낼 때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에 공급하여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를 구동하고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압축된 음악 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 데이터를 받아들여 데이터 버스를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는 사용자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들과 상기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데이터 버스 상의 상기 압축된 음악 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음악을 재생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의 장치는 컴퓨터(2)에 접속되어 사용되며, 인터페이스부(10) 및 카세트 플레이어(12)를 포함한다. 컴퓨터(2)는 확장 슬롯 상에 설치되는 오디오 카드(미도시됨)와 오디오 카드로부터 출력되는 음악 신호를 음압으로 변환하는 스피커(미도시됨)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컴퓨터(2)는 확장 슬롯을 통해 CD-ROM 드라이브(4)와 같은 광디스크 재생 장치에 접속되어 있으며, 통신 회선을 통해 인터넷(6)에 접속된다. 한편, 카세트 플레이어(12)는 기록 및 재생 신호처리부(14), 데크부(16) 및 모터 구동부(26)를 포함한다.
컴퓨터(2)는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인터페이스부(10) 및 카세트 플레이어(12)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10)는 컴퓨터(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모드가 설정되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에는 기입 모드와 독출 모드가 있다. 인터페이스부(10)가 기입 모드에 있을 때에는 컴퓨터(2)로부터의 음악 데이터가 카세트 플레이어(12)에 전달되어 기록된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0)가 독출 모드에 있을 때에는 카세트 플레이어(12)로부터 독출된 음악 데이터가 컴퓨터(2)로 전달되어 음악 재생이 이루어진다.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후술하는 프로그램을 컴퓨터(2)의 주기억장치에 적재하고 이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컴퓨터(2)로부터 인터페이스부(10)로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 및 제어신호가 각각 어드레스 버스(8a) 및 제어 버스(8b)를 통해 출력됨으로써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가 동작하게 된다. 사용자가 컴퓨터(2)의 모니터를 보면서 마우스 또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와 사용하여 명령을 입력하면, 해당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데이터 버스(8b)를 통해 인터페이스부(10)로 출력된다.
데이터 기록 시에, 인터페이스부(10)는 컴퓨터(2)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받아들이고, 이에 응답하여 자체 동작 모드를 기록 모드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컴퓨터(2)로부터 데이터 버스(8c)를 통해 인터페이스부(10)에 출력되는 MP3 음악 데이터는 기록 및 재생 신호처리부(14)에 전달된다. 기록 및 재생 신호처리부(14)는 인터페이스부(10)로부터 받아들여진 데이터를 증폭하고 변조하여 데크부(16)의 좌우측 기록 헤드들(18a, 20a)에 출력함으로써, 기록 헤드들(18a, 20a)이 변조된 신호를 카세트 테이프(22)에 기록하도록 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0)는 컴퓨터(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 구동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모터 구동부(26)에 출력한다.
모터 구동부(26)는 모터 구동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데크부(16) 내에 있는 스핀들 모터(24)를 회전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확한 양방향 모터 제어를 위해, 스텝핑 모터가 스핀들 모터(24)에 채용된다. 그리고, 모터 구동부(26)는 단극성 2상 여자 방식으로 여자신호를 발생하는 여자신호 발생회로와, 발생된 여자신호를 증폭하는 전력증폭회로를 포함한다.
데이터 재생 시에, 인터페이스부(10)는 컴퓨터(2)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받아들이고, 이에 응답하여 자체 동작 모드를 재생 모드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카세트 플레이어(12)의 좌우측 재생 헤드들(18b, 20b)에 의해 독출진 신호는 기록 및 재생 신호처리부(14)에 의해 증폭되고 복조된 후 인터페이스부(10) 및 데이터 버스(8c)를 통해 컴퓨터(2)로 전달된다. 기록 및 재생 신호처리부(14)는 재생 헤드들(18b, 20b)에 의해 독출된 신호 또는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슬라이싱 회로를 포함하고 있으며, 독출된 신호가 MP3 포맷의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복원되어 인터페이스부(10)에 입력되도록 한다. 데이터 재생 시에도, 인터페이스부(10)는 컴퓨터(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 구동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모터 구동부(26)에 출력함으로써, 모터 구동부(26)가 데크부(16) 내에 있는 스핀들 모터(24)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카세트 플레이어(12) 내에 있는 좌우측 기록 헤드들(18a, 20a)은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를 카세트 테이프(22)에 기록하고, 이에 상응하여 좌우측 재생 헤드들(18b, 20b)도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를 카세트 테이프(22)로부터 독출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되는 데이터 포맷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테이프의 두 채널 중 우측 채널(R-채널)에는 MP3 포맷의 음악 데이터가 기록된다. 한편, 좌측 채널(L-채널)에는 음악 데이터가 기록되는 대신에 우측 채널(R-채널)에 기록되는 음악 데이터에 대해 곡 단위로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려주는 트랙 인덱스 정보(TI1, TI2, TI3)가 기록된다.
즉, 테이프 상에서 최초의 곡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좌측 채널(L-채널)에는 첫 번째 곡의 시작을 알려주는 제1 트랙 인덱스 정보(TI1)가 기록되고, 제1 트랙 인덱스 정보(TI1)가 종료된 지점 이후 우측 채널(R-채널)에는 첫 번째 곡에 대한 음악 데이터(D1)가 기록된다. 마찬가지로 두 번째 곡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좌측 채널(L-채널)에는 두 번째 곡의 시작을 알려주는 제2 트랙 인덱스 정보(TI2)가 기록되고, 제2 트랙 인덱스 정보(TI2)가 종료된 이후 우측 채널(R-채널)에는 두 번째 곡에 대한 음악 데이터(D2)가 기록된다. 이처럼 좌측 채널(L-채널)에 기록되는 트랙 인덱스 정보들(TI1, TI2, TI3)은 재생시에 컴퓨터(2)가 현재 곡의 인덱스 번호를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해줌은 물론, 되감기(Rewinding)나 빨리 감기(Fast Forwarding)을 통해 특정 곡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트랙 인덱스 정보들(TI1, TI2, TI3)은 각 곡의 인덱스 번호를 포함한 특정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곡의 길이, 테이프 시작 지점으로부터의 총 진행 시간, 및 곡 제목 등의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추가적인 정보가 데이터 기록 채널인 우측 채널(R-채널)의 시작 부분에 기록될 수도 있다. 컴퓨터(2)는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이러한 추가적인 정보를 받아들여서 모니터 상에 플레이어의 진행 상태 등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테이프의 데이터 기록 채널 즉 우측 채널(R-채널)에 기록되는 임의의 한 곡의 음악 데이터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 포맷을 보여준다. 먼저 각 곡의 시작 직후에는 데이터의 시작을 알려주는 시작 비트(32)가 기록된다. 본 실시예에서 시작 비트(32)는 한 비트의 0으로 되어 있다. 시작 비트(32) 뒤에는 MP3 포맷으로 되어 있는 한 곡의 음악 데이터(34)가 기록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 비트의 0으로 되어 있는 종료 비트(36)이 실리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작 비트(32) 및 종료 비트(34)로 두 비트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소정 비트 패턴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보여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는 인터페이스부(10) 및 카세트 플레이어(16)와 아울러, 컴퓨터(2) 내에 적재되는 소프트웨어(40)를 포함한다.
소프트웨어(40)에 있어서, 표시 및 입력 제어 루틴(41)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화면 상에 표시되는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을 사용자가 더블클릭하였을 때부터 활성화된다. 표시 및 입력 제어 루틴(41)이 활성화되었을 때, 화면 상에는 재생(PLAY), 중지(STOP), 되감기(REW), 빨리감기(FF), 탐색(SEARCH) 및 일시정지(STILL) 등의 카세트 플레이어 제어 아이콘과, 음량(VOLUME), 카세트 테이프에 삽입된 곡의 수, 현재 재생중인 곡의 인덱스 번호, 곡의 제목, 테이프 시작 지점으로부터의 누적 재생 시간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참고하면서 음악을 감상할 수 있고, 마우스를 사용하여 원하는 아이콘을 누름으로써 해당 기능을 선택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임의의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이러한 선택 정보는 기록 및 재생 제어 루틴(42)에 전달된다.
기록 및 재생 제어 루틴(42)은 사용자가 입력한 선택 정보를 표시 및 입력 제어 루틴(41)으로부터 받아들이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를 다른 제어 루틴들 및 인터페이스부(10)에 출력한다. 또한, 기록 및 재생 제어 루틴(42)은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인덱스 정보 및 그밖의 여러 가지 상태 정보를 받아들이고 표시 및 입력 제어 루틴(41)에 전달함으로써, 표시 및 입력 제어 루틴(41)이 화면 상에 장치의 현재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기록 및 재생 제어 루틴(42)은 인터페이스부(10)에 대한 제어 신호들을 제공함으로써 인터페이스부(10)가 기록 모드 또는 독출 모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모터 제어 루틴(44)은 기록 및 재생 제어 루틴(42)의 제어 하에 카세트 플레이어(16)의 스핀들 모터(24)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발생한다. 발생된 제어신호들은 데이터 버스(도 4에는 도시되지 않음) 및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모터 구동부(26)로 출력된다. 모터 제어 신호들은 재생(PLAY), 중지(STOP), 되감기(REW), 빨리감기(FF), 탐색(SEARCH) 및 일시정지(STILL) 등의 카세트 플레이어 주행 속도에 상응하여 마련이 된다. 특히, 탐색(SEARCH) 기능 수행을 위한 제어 루틴은 어느 한쪽 방향으로 모터를 고속으로 회전시킨 후 테이프의 좌측 채널(L-채널)로부터 독출되는 트랙 인덱스 정보를 토대로 저속으로 역회전시킴으로써, 최단시간 내에 원하는 곡의 시작 지점을 찾을 수 있도록 해준다.
포맷팅 루틴(46)은 예컨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외부의 신호원(56)으로부터 입력되는 MP3 음악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기록 및 재생 제어 루틴(42)으로부터 출력되는 인덱스 정보를 받아들인다. 포맷팅 루틴(46)은 받아들여진 MP3 음악 데이터 및 인덱스 정보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포맷으로 포맷팅하여 데이터 버스를 통해 인터페이스부(10)로 출력한다.
MP3 복호화 루틴(48)은 데이터 재생 시에 동작하는 부분으로서, 카세트 플레이어(16)에 의해 독출되어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입력된 MP3 포맷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이를 복호화하여 CD 포맷의 음악 데이터를 복원한다. 오디오 신호 처리 루틴(50)은 MP3 복호화 루틴(48)으로부터의 CD 포맷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EFM 복조를 행한 후 에러정정 복호화를 행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복원한다. 복원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컴퓨터(2)의 오디오 카드(52)에 의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되고 증폭된 후, 스피커(54)를 통해 출력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10)를 보다 상세하게 보여준다. 인터페이스부(10)는 병렬 페리페럴 인터페이스(60: Parallel Peripheral Interface, 이하 PPI로 약칭함)와 입출력 어드레스 디코더(62)를 포함한다. PPI(60)에는 인텔사에 의해 제공되는 8255 PPI IC가 사용된다. 한편, 입출력 어드레스 디코더(62)는 디멀티플렉서(64), 딥(DIP) 스위치(66) 및 비교기(6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멀티플렉서(64)로는 2-to-4 라인 디코더인 74LS139 IC가 사용되고, 비교기(68)로는 텍서스 인스트루먼트사에 의해 제공되는 8비트 비교기인 74LS688 IC가 사용된다.
비교기(64)는 어드레스 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들(A4∼A9)과 딥 스위치(66)의 논리 상태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디멀티플렉서(64)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키는 인에이블 신호(EN)를 출력한다. 비교기(68)의 출력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디멀티플렉서(64)는 어드레스 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어드레스 신호들(A2, A3)을 받아들이고 이를 디코딩하여 PPI(60)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칩 선택신호(/CS)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0)는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들(A2∼A9)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딥 스위치(66)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인터럽트 요구(IRQ)를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교기(64) 및 딥 스위치(66)가 다른 디코딩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PPI(60)의 제어 입력 단자들(/RD, /WR, A0, A1, RESET)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들(/IOR, IOW, A0, A1, RESET)은 PPI(6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PPI(60)가 기입 모드에 있을 때, 데이터 버스를 통해 PPI(60)에 입력되는 신호들은 L-채널 및 R-채널의 기입 데이터로써 기록 및 재생 신호 처리부(14)로 출력되거나 모터 제어 신호로써 모터 구동부(26)에 출력된다. 한편, PPI(60)가 독출 모드에 있을 때, 기록 및 재생 신호 처리부(14)로부터 입력되는 독출 데이터들은 데이터 버스를 통해 컴퓨터로 입력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는 컴퓨터의 확장 슬롯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보드(72) 형태로 제작된다. 이때 카세트 플레이어(80)는 별도의 박스 형태로 제작되어 컴퓨터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카세트 플레이어(80)의 전면에는 카세트 테이프를 전면에서 로딩할 수 있는 테이프 삽입구(82)가 마련되어 있으며, 위에서 기술한 소프트웨어 이외에 인위적으로 테이프를 방출시킬 수 있는 방출 버튼(84) 및 전원 온/오프 버튼(86)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세트 플레이어(80)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줄 수 있는 LED 표시등(88)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보드(72) 상에는 커넥터(74)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커넥터(74)와 카세트 플레이어(80) 후단의 커넥터(미도시됨)를 플랫 케이블(76)로 연결함으로써 보드(72)와 카세트 플레이어(8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카세트 플레이어(96)가 외장형으로 제작되어 컴퓨터 외부에 설치된다. 이때 카세트 테이프는 카세트 플레이어(96)의 상부면에 구비된 랙(98)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보드(92)와 카세트 플레이어(96)는 각각의 후단 사이에서 케이블(94)을 통해 연결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는 컴퓨터에 설치되는 대신에 독자적으로 음악 재생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예컨대 휴대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8의 장치는 제어부(100), 입력부(102), 인터페이스부(110), 카세트 플레이어(112), MP3 디코더(130), 증폭부(132) 및 스피커(134)를 포함한다.
제어부(100)는 입력부(10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응답하여,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발생해서 장치의 각 부분에 공급한다. 인터페이스부(110)는 제어부(1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MP3 음악 데이터를 카세트 플레이어(112)에 전달하거나 카세트 플레이어(112)에 의해 재생된 MP3 음악 데이터를 MP3 디코더(130)로 출력한다. 카세트 플레이어(112)에 있어서 기록 및 재생 신호처리부(14), 카세트 데크(16) 및 모터 구동부(26)의 기능 및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부(120)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회로로 구성되며,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해준다. 인터페이스부(110)는 도 5에 표시된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데, 다만 PPI(60)의 B 채널을 통해 표시부(120)에 대한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점만이 상이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터페이스부(110)가 제어부(100), 기록 및 재생 신호처리부(14) 및 MP3 디코더(130)사이에서만 인터페이스 기승을 수행하고, 모터 구동부(26) 및 표시부(120)에 대한 제어 신호는 재어부(100)가 직접 공급할 수도 있다.
MP3 디코더(13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독출된 MP3 음악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디코딩하여 아날로그 음악 신호를 재생한다. 증폭부(132)는 재생된 음악 신호를 받아들이고 증폭하며, 스피커(134)는 증폭된 신호를 음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이상의 실시예들에서는 인덱스 정보들이 곡단위로 저장되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덱스 정보들이 곡단위가 아니라 하나의 곡이 소정 시간의 길이로 분할된 트랙 단위로 기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기록 기능은 없이 재생 기능만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이전에 음악 데이터를 저장한 카세트 테이프를 사용하여 음악을 재생하거나, 음반업자가 판매하는 테이프를 사용하여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아울러 카세트 테이프의 저장용량을 높이기 위하여 카세트 플레이어 내부에 있는 기록 및 재생 헤드들의 간극은 일반적인 카세트 플레이어에 비해 좁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반적인 카세트 플레이어용 헤드들이 채용될 수도 있다.
한편,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씨디롬이나 디스켓과 같은 저장 매체에 격납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MP3와 같은 압축 포맷에 따라 압축된 음악 데이터를 인덱스 정보와 함께 오디오 대량으로 카세트 테이프에 저장해두고 비교적 랜덤하게 액세스하여 액세스된 음악 데이터로부터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는 CD나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DAT)와 같은 여타의 매체에 비해 가격이 크게 저렴하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가 손쉽게 많은 음악을 저장해두고 이를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카세트 테이프의 제1 채널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된 음악 데이터를 독출하고 제2 채널에 저장되어 있는 인덱스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압축된 음악 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 데이터를 출력하는 카세트 플레이어;
    상기 제1 제어 신호, 제2 제어 신호 및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를 받아들이고, 상기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며,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독출 모드를 나타낼 때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를 구동하고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압축된 음악 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 데이터를 받아들여 데이터 버스를 통해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및
    사용자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들과 상기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데이터 버스 상의 상기 압축된 음악 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음악을 재생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압축된 음악 데이터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는
    테이프를 주행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 테이프상의 상기 제1 및 제2 채널로부터 상기 압축된 음악 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 데이터를 각각 독출하기 위한 제1 및 제2 헤드를 구비하는 데크부;
    상기 제1 및 제2 헤드에 의해 각각 독출된 상기 압축된 음악 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 데이터를 증폭하고 복조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여자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압축된 음악 데이터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가 소정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경우에만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인에이블시키는 칩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입출력 어드레스 디코더;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독출 모드를 나타낼 때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를 구동하고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압축된 음악 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 데이터를 받아들여 상기 제어 수단에 출력하는 병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압축된 음악 데이터 재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재생 장치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을 받아들임으로써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 및 입력 제어 수단;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받아들이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상기 제1 및 제2 제어 신호와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상기 표시 및 입력 제어 루틴에 제공하는 재생 제어 수단;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의 제어 하에 상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모터 제어 수단; 및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에 의해 독출되는 상기 압축된 음악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이를 복호화하여 압축되지 않은 디지털 음악 데이터를 복원하는 복호화 수단;을 포함하는 압축된 음악 데이터 재생 장치.
  5.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카세트 테이프의 제1 채널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된 음악 데이터를 독출하고 제2 채널에 저장되어 있는 인덱스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압축된 음악 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 데이터를 출력하는 카세트 플레이어; 및
    상기 제1 제어 신호, 제2 제어 신호 및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를 받아들이고, 상기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며,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독출 모드를 나타낼 때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에 공급하여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를 구동하고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압축된 음악 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 데이터를 받아들여 데이터 버스를 통해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이 접속된 컴퓨터 내에 선택적으로 격납되며,
    상기 재생 장치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을 받아들임으로써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 및 입력 제어 수단;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받아들이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상기 제1 및 제2 제어 신호와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상기 표시 및 입력 제어 루틴에 제공하는 재생 제어 수단;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의 제어 하에 상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모터 제어 수단; 및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에 의해 독출되는 상기 압축된 음악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이를 복호화하여 압축되지 않은 디지털 음악 데이터를 복원하는 복호화 수단;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6.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카세트 테이프의 제1 채널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된 음악 데이터를 독출하고 제2 채널에 저장되어 있는 인덱스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압축된 음악 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 데이터를 출력하는 카세트 플레이어;
    상기 제어 신호를 받아들이고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에 공급하여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를 구동하며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압축된 음악 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 데이터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사용자의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수단;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해주는 표시부;
    상기 인터페이스부 수단을 통해 독출된 상기 압축된 음악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디코딩하여 아날로그 음악 신호를 재생하는 디코더;
    상기 아날로그 음악 신호를 받아들이고 증폭하여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된 증폭된 신호를 음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압축된 음악 데이터 재생 장치.
KR1019980054308A 1998-12-11 1998-12-11 압축된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 KR19990024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308A KR19990024139A (ko) 1998-12-11 1998-12-11 압축된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308A KR19990024139A (ko) 1998-12-11 1998-12-11 압축된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139A true KR19990024139A (ko) 1999-03-25

Family

ID=6595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308A KR19990024139A (ko) 1998-12-11 1998-12-11 압축된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41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064B1 (ko) * 1999-03-26 2001-12-22 유수근 디지털 음악 고속 녹음장치 및 녹음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064B1 (ko) * 1999-03-26 2001-12-22 유수근 디지털 음악 고속 녹음장치 및 녹음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046B1 (ko) 기록장치, 재생장치, 기록방법 및 재생방법
US6421305B1 (en) Personal music device with a graphical display for contextual information
JP3141241B2 (ja)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959306B1 (ko) 중복 데이터 탐색 시스템 및 방법
JP3256981B2 (ja) データ記録方法
CA2628043A1 (en) Method for reproducing multi-angle data in a seamless manner
KR19990024139A (ko) 압축된 음악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
KR970063148A (ko)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순차재생방법
JP2002074909A (ja) オーディオプレーヤ
JP3305886B2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2630001B2 (ja) 音楽再生装置
JPH07220371A (ja) 記録再生装置
JPH10172267A (ja) オーディオ装置
JPH0536192A (ja) 音楽再生装置
JPH07192436A (ja) ミニディスクレコーダ
JP3994303B2 (ja) 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KR19990073245A (ko) 시디와플레시메모리를이용한자동차용엠피3플레이어
JP3486813B2 (ja) 情報再生装置
KR20040026884A (ko) 엠피쓰리 파일에 대한 부가정보 제공방법
JP2001291379A (ja) 録音再生装置
JPH06231527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0429259B1 (ko) 오디오 시스템에서의 화일 재생 방법
JPH06214724A (ja) 情報記録再生システム
JP3552425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0339818A (ja) 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