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856A - 전화접속 및 교환시스템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전화접속 및 교환시스템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856A
KR19990021856A KR1019970708330A KR19970708330A KR19990021856A KR 19990021856 A KR19990021856 A KR 19990021856A KR 1019970708330 A KR1019970708330 A KR 1019970708330A KR 19970708330 A KR19970708330 A KR 19970708330A KR 19990021856 A KR19990021856 A KR 19990021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or
call command
connection
queu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트리 이밸래
유니 킨누넨
Original Assignee
컬피넨 아아레, 카자스테 아아미
노키아 텔리커뮤니케이션즈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컬피넨 아아레, 카자스테 아아미, 노키아 텔리커뮤니케이션즈 오와이 filed Critical 컬피넨 아아레, 카자스테 아아미
Publication of KR1999002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85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Arrangements for recalling a calling subscriber when the wanted subscriber ceases to be bus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64Distributing or queue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교환시스템(100 및 116)을 포함한 전화시스템내의 전화접속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따라 동작하는 교한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어떤 자유로운 접속도 유효하지 않을 시에 조작원(107)이 자유롭게 될 접속을 기다릴 대기행렬 리스트내에 수신된 호출명령에 관한 정보를 위치시키는 식으로 유지되는 특정 대기행렬 리스트가 상기 방법에 이용되고, 상기 방법에서 접속(108a 내지 108c, 114 및 115)의 로딩이 모니터되며, 요구된 접속(108a 내지 108c, 114 및 115)이 자유롭게 검출될 시에, 상기 접속(108a 내지 108c, 114 및 115)은 조작원(107)의 사용을 위해 예약되며, 상기 조작원(107)은 대기행렬 리스트상에서 호출명령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 후에, 조작원(107)은 호출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과잉 밀집방향에서 자유로운 접속을 자동으로 찾아, 조작원(107)이 더욱 쉽게 작업하게 된다.

Description

전화접속 및 교환시스템 설정방법
본 발명은 전화시스템내의 전화접속을 설정(Set-up)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전화시스템은 어느 교환국(exchanges)이 하나 이상의 다른 교환국, 하나 이상의 가입자 단말장비 및 하나 이상의 조작원의 작업국(Work stations)에 접속되는 다수의 교환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교환국, 하나 이상의 조작원, 하나 이상의 작업국 및, 상기 교환국에 접속하는 하나 이상의 가입자 단말장비를 포함한 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화 시스템은 가입자 단말장비 및 하나 이상의 조작원을 가진 교환시스템을 포함한다. 조작원은 종종 이미 행해진 호출상의 통계적 데이터 및 미리 행해진 호출 명령(Order)에 관련된 정보를 가진 서버(Sever)를 사용한다.
어느 가입자(가입자 A)는 호출을 명령하게 할 수 있다:
즉, 다른 가입자(가입자 B)와 접촉하도록 서버로부터 호출을 미리 명령할 수 있다. 명령된 시간에 조작원은 가입자 A 및 가입자 B 둘다 호출하여, 둘다 호출된 후에 그들간에 접속한다. 교환국이 예를 들어 자동 D × 200 교환국으로 실현될 시에, 지역(local) 호출은 쉽게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교환국에 접속된 가입자의 수와 비교하여 교환국간에 단지 소수의 접속이 있을시에 장거리 호출은 피크시간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예를 들어 오일 필드(Oil field)에 대한 전화접속을 조정하고, 어느 교환국이 수백만의 가입자를 포함할 수 있지만, 그로부터 단지 수십의 유출(Outgoing) 접속이 있는 교환국에서 일어난다.
그 경우에, 조작원은 두 직접 명령된 장거리 호출을 설정하려고 해야 한다.
명령된 호출을 연결하도록 접속이 자유롭게 된 경우에 조작원이 단기간에 반복해서 노력함으로써 체크해야 함에 따라 피크시간 동안 호출을 설정하기가 어렵다. 이는 끊임없는 노력을 좌절시키나, 조작원은 접속이 자유로운 시기를 알 수 없고, 성공적이기 전에 많은 가능성을 잃어버릴 수 있다. 게다가, 서로 다른 교환국에서의 조작원은 유입(incoming) 및 유출 호출 양자 모두가 동일한 접속부를 사용할 시에 동일한 접속부에 대해 경쟁을 매우 쉽게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유로운 접속이 유효한 시기를 모르고 호출을 연결할려고 계속 노력할 필요가 없는 교환 시스템을 성취하는 것이다.
이는 서두에 기술된 방법으로 성취되는 데, 이런 방법에서, 어떤 자유로운 접속도 유효하지 않을 시에 조작원이 자유롭게 될 접속을 기다릴 대기행렬(queuing) 리스트내에 수신된 호출명령에 관한 정보를 위치시키는 식으로 유지되는 특정 대기행렬 리스트가 이용되고, 접속의 로딩(loading)이 모니터 되며, 요구된 접속이 자유롭게 검출될 시에, 상기 접속은 조작원의 사용을 위해 예약되며, 상기 조작원은 대기행렬 리스트상에서 기다리는 호출명령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교환시스템은 호출명령에 관한 정보가 어떤 자유로운 접속도 유효하지 않을 시에 자유롭게 될 접속을 기다리도록 위치되는 대기행렬 리스트를 유지하는 수단, 접속 로딩을 모니터하고, 자유로운 접속을 검출하는 수단, 조작원의 사용에 대한 상기 자유로운 접속을 예약하는 수단 및, 자유로운 접속이 유효할 시에 대기행렬 리스트상의 호출명령에 관해 조작원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당한 잇점이 본 발명으로 성취된다. 호출설정에 접속된 자유로운 접속을 위한 대기행렬은 자동화 되고, 동시에 자유로운 접속을 위한 조작원간의 경쟁은 멈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자유롭게 된 접속은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원의 사용을 위해 자동으로 예약된다. 조작원이 과잉 밀집현상(congested situation)에서 많은 호출에 힘써야 할 시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불필요하게 혜택을 받은 어떤 가입자 또는 잊어버린 어떤 가입자의 호출명령 없이 적당한 명령으로 호출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교환시스템 및 조작원 작업국간의 ISDN 버스의 사용은 고속전송을 허용한다.
이하, 도면에 따라 예를 참조로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시스템을 필수 구성요소로 실현하는 한 가능방식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접속을 설정하는 방법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1에 도시되고 본 발명에 따른 단 하나의 솔루면인 블록도는 전화시스템을 설명한 것으로서, 상기 전화시스템은 3개의 교환시스템(100), (113) 및 (116), 작업국(103 및 111), 교환시스템(100 및 116)내의 하나 이상의 조작원 (107, 112), 서버(104)와 가입자 단말장비(108a 내지 108c) 및 (110a 내지 110c)를 포함한다. 교환국(101)은 대기행렬 리스트를 유지하고, 예를 들어 ISDN 버스(종합정보통신망)(106)의 작업국(103)과 통신하는 수단(102)을 포함한다. 본 예에서는 3개의 접속부(114)가 교환국(101 및 109)간에 나타나 있고, 2개의 접속부(115)가 교환국(101 및 113)간에 나타나 있다. 예를 들면, LAN(근거리 통신망)은 서버 및 작업국간의 접속부(105)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솔루션에서, 몇몇 가입자 단말 장비(108a 내지 108c)로부터의 호출자는 장거리 호출, 즉 호출 조작원(107)으로부터 예를 들어 교환국(101 내지 109)간의 접속을 요구하는 호출을 명령해야 한다. 가입자(108a 내지 108c)는 조작원(107)을 직접 호출하거나, 바람직한 호출에 관한 정보를 미리 서버(104)의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호출할 수 있다. 호출명령 및, 그에 대해 메모리내에 종종 저장된 정보는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가입자 A 및 가입자 B에 관한 정보 및 호출 시간을 포함한다. 명령된 호출을 설정할 시간일 시에 조작원은 서버(104)로부터 통지문(notification) 및, 호출설정에 관한 설정정보를 수신한다. 장거리 호출수와 비교하여 교환국(101 및 109)간에 단지 몇 개의 접속부(114)가 있기 때문에, 장거리 호출을 행할 가능성은 일반적으로 대기(wait)되어야 한다. 혼잡한 상황에서, 장거리 호출은 다수의 가입자 단말장비(108a 내지 108c)로부터 요구되고, 동시에 서버(104)로부터의 장거리 호출의 통지문은 조작원(107)의 작업국(103)에 도달한다. 동시에, 장거리 호출명령도 유사하게 어떤 다른 교환시스템내의 조작원(112)의 작업국(111)에 도달하고, 그들중 다수는 또한 교환국(101)으로 지시된다. 그때 조작원(107 및 112)은 접속이 자유롭게 되는 시기를 정확히 알아, 신규 호출이 연결될 수 있게 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솔루션에서, 교환국(101)은 접속부(108a 내지 108c, 114 및 115)의 로딩을 모니터하고, 요구된 접속부(108a 내지 108c, 114 및 115)가 자유롭게 됨을 검출하는 수단(102)을 포함한다. 자유로운 접속이 있을 시에 조작원(107)의 사용을 위해 예약되고, 조작원(107)은 대기 행렬 리스트상에서 최장시간동안 기다린 호출명령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접속은 예정된 시간주기동안 예약되어, 조작원(107)이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호출은 리스트, 즉 FIFO형(선입 선출)인 리스트내에 위치된 명령으로 대기행렬 리스트상에 있다. 그 경우에, 정보는 대기행렬 리스트상의 2개의 호출명령에 관해 조작원(107)에 제공되고, 상기 리스트에 먼저 위치된 상기 명령중 하나가 먼저 연결된다.
조작원(107)이 호출을 명령된 수로 연결하도록 노력하고, 직접 접속이 불가능할 시에, 조작원(107)은 명령을 대기행렬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조작원(104)은 프로그램이 교환국(101)에 연결된 스크린 이벤트(screen events) 및 호출제어 가능성에 관해 설명하는 작업국을 갖는다. 조작원(107)은 대기행렬 다이얼을 누름으로써 명령을 대기행렬로 전달한다. 이 후에, 조작원(107)은 이런 호출로부터 자신을 분리시켜, 서버(104)로부터 다른 가입자(108a 내지 108c) 및 통지문을 서브할 수 있다.
접속이 자유로울시에, 접속의 로딩을 모니터하는 수단(102)은 접속이 자유로운 조작원(107)에게 통지하고, 접속은 예약된다. 통지문은 양호하게도 ISDN 버스(106)를 통해 교환기(101)로부터 수신된다. 이가 개인용 호출일 경우, 호출을 대기행렬로 전달된 동일한 조작원은 통지문을 수신한다. 호출명령이 서버(104)로부터 수신될 경우, 최장 시간 자유로운 조작원(107)은 통지문을 수신한다.
접속이 예를 들어 가입자(110a 내지 110c)중 하나인 가입자 B를 위해 준비가 되어 있을 시에, 조작원(107)은 가입자(108a 내지 108c)중 하나인 가입자 A와 접촉한다. 이런 접속이 또한 예를 들어 대기행렬 되어야 할 경우, 가입자 A(108a 내지 108c)가 통화중이기 때문에, 조작원(107)은 다른 가입자를 서브하도록 분리할 수 없지만, 조작원(107)은 접속이 자유롭게 되게 하고, 대기행렬 시간이 종료하거나, 대기행렬을 인터럽트하게 하도록 기다려야 한다. 모든 상황에서, 대기행렬은 예정된 시간 한계가 초과되거나 조작원(107)이 대기행렬을 인터럽트할 시에 자동으로 정지된다. 조작원(107)은 그의 작업국(104)에서 대기행렬의 인터럽션의 통지문을 수신한다. 접속이 가입자 A (108a 내지 108c)를 위해 자유롭게 될 시에, 조작원(107)은 가입자를 서로 접속시키고, 일반적으로 이런 접속에서 분리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솔루션을 플로우챠트에 의해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예를 들어 작업국(103)의 스크린상의 윈도우로서 조작원(107)의 동작가능성을 나타낸 프로그램으로서 양호한 형으로 실현된다. 그 경우에, 교환시스템(100)은 접속 및 자유로운 접속의 로딩을 모니터하는 대기행렬 예약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수단(102)을 포함한다. 실제 대기행렬 프로그램은 블록(202)에서 개시한다. 그 전에 즉, 플로우챠트내의 점선위에서 조작원(107)은 조작원(107)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되는 루틴 절차를 실행한다.
블록(200)에서, 조작원(107)이 호출명령을 수신한 후에 조작원(107)은 호출을 연결할 수 있는지 (블록(201))를 노력한다.
자유로운 접속이 유효한 경우, 호출은 연결되고, 플로우챠트의 루틴은 블록(213)에서 종료한다. 호출이 직접 연결될 수 있는 경우에(블록(202)), 대기행렬 예약 프로그램은 개시되고, 명령에 관한 정보는 대기행렬로 전달될 수 있고 (블록(203)), 프로그램의 실행은 종료될 수 있다(블록(210)). 그때, 명령에 관한 정보가 대기행렬로 전달될 수 있고, 조작원(107)이 포지티브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다이얼 할 수 있는지가 조작원(107)의 작업국(103)의 스크린상에서 조회(inguire) 되는데, 여기서 프로그램의 실행이 계속하거나 종료한다. 프로그램의 실행이 종료하거나(블록(210)), 루틴이 종료할(블록(213)) 때마다, 조작원(107)은 다음 호출명령을 핸들링하는 대기(stand-by) 위치로 세트시킨다. 대기행렬시간은 블록(204)내에서 대기행렬 및 인터럽션에 모니터된다. 조작원(107)이 대기행렬을 인터럽트하거나, 또는 대기행렬 시간이 종료할 경우에, 프로그램은 조작원(107)에 통지하고(블록(214)), 프로그램의 실행은 종료한다. 프로그램이 계속할 시에, 프로그램은 자유로운 접속(블록(205)) 및, 블록(206)에서 설정을 위한 그의 시간을 모니터하고 기다린다. 호출에 관한 정보는 대기행렬 리스트내에 위치되는 명령으로 대기행렬 리스트상에 있다. 그래서, 대기행렬 리스트상의 2개의 호출명령중에서, 상기 리스트내에 먼저 위치된 하나는 먼저 조작원(107)에 통지되고, 먼저 설정된다. 명령된 호출을 위한 시간일 시에, 접속은 예약되고 (블록(207)), 조작원(107)은 통지를 받는다(블록(208)).
조작원(107)이 호출명령의 통지문 및 예약된 접속을 가질시에, 호출이 연결될 수 있는지가 체크된다(블록(209)).
시간 감시(supervision)는 또한 접속예약에 관련되고 (블록(211)), 조작원이 예정된 시간주기내에서 호출을 연결하지 않을 경우, 접속은 블록(212)에서 다른 명령을 위해 자유로게 되고, 프로그램의 실행은 종료한다(블록(210). 조작원이 예약된 주기내에서 호출을 연결할 시에, 명령에 관련된 대기행렬 예약 프로세스는 블록(210)에서 종료한다.
본 발명이 도면을 다라 예를 참조로 전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지만,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기술된 발명의 사상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

Claims (14)

  1. 전화시스템은 교환국(101 및 109)이 하나 이상의 다른 교환국(101, 109 및 113), 하나 이상의 가입자 단말 장비(108a 내지 108c 및 110a 내지 110c)와 하나 이상의 조작원(107 및 112)의 작업국(103 및 111)에 접속되는 다수의 교환시스템(100 및 116)을 포함할 시에 전화시스템내의 전화접속 설정방법에 있어서,
    어떤 자유로운 접속도 유효하지 않을시에 조작원(107)이 자유롭게 될 접속을 기다릴 대기행렬(queuing) 리스트내에 수신된 호출명령에 관한 정보를 위치시키는 식으로 유지되는 특정 대기행렬 리스트가 이용되고,
    접속(108a 내지 108c, 114 및 115)의 로딩(loading)이 모니터되며(108a 내지 108c, 114 및 115)은 조작원(107)의 사용을 위해 예약되며, 상기 조작원(107)은 대기행렬 리스트상에서 기다리는 호출명령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내의 전화접속 설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원(107)이 호출명령에 관한 정보를 대기행렬 리스트로 전달한 후에, 조작원(107)은 다음 호출명령을 핸들링하기 위해 대기위치로 세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내의 전화접속 설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원(107)은 대기행렬 리스트상에서의 호출명령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호출명령에 관한 정보는 대기행렬 리스트에서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내의 전화접속 설정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국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서버(104)가 이용되고 상기 호출명령이 가입자(108a 내지 108c)에서 직접 나오거나 호출명령이 미리 공급된 서버(104)에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내의 전화접속 설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원(107)은 호출명령이 대기행렬 리스트내에 위치된 명령으로 대기행렬 리스트상의 호출명령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내의 전화접속 설정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명령에 관한 정보는 예정된 대기행렬 시간동안 대기행렬 리스트상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내의 전화접속 설정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원(107)은 대기행렬 시간이 종료한 후에 대기행렬의 종료통지문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내의 전화접속 설정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원(107)은 필요시 대기행렬을 인터럽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내의 전화접속 설정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접속이 예정된 예약시간동안 조작원(107)의 사용을 위해 예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내의 전화접속 설정방법.
  10. 교환국(101), 하나 이상의 조작원(107), 하나 이상의 작업국(103) 및, 상기 교환국(101)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가입자 단말장비(108a 내지 108c)를 포함한 교환시스템(100)에 있어서,
    호출명령에 관한 정보가 어떤 자유로운 접속도 유효하지 않을시에 자유롭게 될 접속을 기다리도록 위치되는 대기행렬 리스트를 유지하는 수단(102),
    접속(108a 내지 108c, 114 및 115)로딩을 모니터하고, 자유로운 접속(108a 내지 108c, 114 및 115)을 검출하는 수단(102),
    조작원(107)의 사용에 대한 상기 자유로운 접속(108a 내지 108c, 114 및 115)을 예약하는 수단(102) 및,
    자유로운 접속(108a 내지 108c, 114 및 115)이 유효할 시에 대기행렬 리스트상의 호출명령에 관해 조작원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10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시스템은 호출명령이 미리 공급되는 서버(10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출명령이 가입자(108a 내지 108c)에서 조작원(107)로 직접 오거나, 호출명령이 서버(104)에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시스템(100)은 호출명령에 관한 정보가 대기행렬 리스트내에 위치된 동일한 명령으로 호출명령에 관한 정보를 조작원(107)에 전송하는 수단(1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내의 전화접속 설정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시스템은 호출명령에 관한 정보가 조작원(107)에 전송될 시에 호출명령에 관한 정보를 대기행렬 리스트에서 삭제하는 수단(1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내의 전화접속 설정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시스템(100)은 ISDN 버스(106)를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교환국(101) 및 작업국(103)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내의 전화접속 설정방법.
KR1019970708330A 1995-05-26 1996-05-23 전화접속 및 교환시스템 설정방법 KR199900218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52586 1995-05-26
FI952586A FI100573B (fi) 1995-05-26 1995-05-26 Menetelmä liittyen puhelinyhteyden muodostamiseen ja puhelinkeskusjärj estelm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856A true KR19990021856A (ko) 1999-03-25

Family

ID=8543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330A KR19990021856A (ko) 1995-05-26 1996-05-23 전화접속 및 교환시스템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084957A (ko)
EP (1) EP0829157A1 (ko)
JP (1) JPH11505970A (ko)
KR (1) KR19990021856A (ko)
CN (1) CN1185881A (ko)
AU (1) AU707408B2 (ko)
BR (1) BR9609125A (ko)
CA (1) CA2222244C (ko)
FI (1) FI100573B (ko)
NZ (1) NZ307574A (ko)
RU (1) RU2177210C2 (ko)
WO (1) WO19960379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259A (ko) * 1999-09-13 2001-04-06 윤종용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94272B (zh) * 2007-07-12 2011-03-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国际话务台系统及其席间联络的实现方法
CN101478384B (zh) * 2008-01-03 2011-05-04 凌群电脑股份有限公司 网络设备的同步与对应关系的建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1203A (en) * 1988-05-17 1991-02-05 Canon Kabushiki Kaisha Line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US5040208A (en) * 1989-11-03 1991-08-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ordinated voice and data display having temporary storage of transaction data
US4969185A (en) * 1989-12-29 1990-11-06 At&T Bell Laboratories Automated booking of telecommunications calls
US5155761A (en) * 1990-01-26 1992-10-13 Intervoice, Inc. Automatic call back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5311574A (en) * 1991-10-23 1994-05-10 At&T Bell Laboratories Automatic customer call back for automatic call distribution systems
US5444774A (en) * 1992-06-26 1995-08-22 At&T Corp. Interactive queuing sytem for call cent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259A (ko) * 1999-09-13 2001-04-06 윤종용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22244A1 (en) 1996-11-28
WO1996037988A1 (en) 1996-11-28
CN1185881A (zh) 1998-06-24
RU2177210C2 (ru) 2001-12-20
FI952586A (fi) 1996-11-27
CA2222244C (en) 2004-07-20
BR9609125A (pt) 1999-02-23
FI100573B (fi) 1997-12-31
FI952586A0 (fi) 1995-05-26
AU5695996A (en) 1996-12-11
EP0829157A1 (en) 1998-03-18
US6084957A (en) 2000-07-04
NZ307574A (en) 1998-12-23
JPH11505970A (ja) 1999-05-25
AU707408B2 (en) 199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4159B1 (ko) 무교환 자동 전화 착신 분배 시스템 및 자동 호출 전송 방법
EP0622938B1 (en) Work at home ACD agent network
EP0802665A2 (en) Work at home acd agent network with cooperative control
JPH0799840B2 (ja) 電話呼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GB2339110A (en) Network call parking service
KR19990021856A (ko) 전화접속 및 교환시스템 설정방법
JPS62188500A (ja) 検出通知機能を持つ発信音検出法
JP2590100B2 (ja) 衛星通信システム
RU97121293A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телефон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и коммут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KR100273819B1 (ko) 안내대를갖춘전전자교환기의호정보처리방법
KR930006034B1 (ko) 공통선 신호방식(No.7)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3기능 구현방법
KR100270737B1 (ko) 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에서착신되는음성호처리방법
JPH04129365A (ja) モニタ制御方式
JPH04180435A (ja) 優先処理方式
JPS63177691A (ja) 優先接続制御方式
JPH06188899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優先通信制御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中継装置
JPH104440A (ja) 通信制御手順の動的変更方式および方法
JPH0343821B2 (ko)
JPH05153674A (ja) H1チヤネル接続方法
JPH09162992A (ja) 交換機における端末接続制御方式
JPS6086957A (ja) 回線共用方式
JPH04256265A (ja) 局線着信呼制御方式
JPS6310874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H07321933A (ja) 自動着信呼分配方式
JPH0396043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