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7259A -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7259A
KR20010027259A KR1019990038929A KR19990038929A KR20010027259A KR 20010027259 A KR20010027259 A KR 20010027259A KR 1019990038929 A KR1019990038929 A KR 1019990038929A KR 19990038929 A KR19990038929 A KR 19990038929A KR 20010027259 A KR20010027259 A KR 20010027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ue
call
request signal
subscriber
stand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8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경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38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7259A/ko
Publication of KR20010027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25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04M3/523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with call distribution or queue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64Distributing or queue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설 교환기에서 호 대기(CAMP) 기능을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호 대기(CAMP) 큐에 요청한 호 정보가 영원히 남는 것을 방지하는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외부로부터 수신한 통화요청 신호를 해당 착신 가입자에게 연결하는 단계; 상기 착신 가입자가 비지(busy)한 상태일 경우, 상기 통화요청 신호의 대기(CAMP)를 요구한 후, 큐(queue)에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 후, 상기 착신 가입자의 통화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착신 가입자의 통화상태가 비지(busy)한 경우, 기 설정된 상기 큐에서의 상기 통화요청 신호 대기시간을 재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 설정 후, 상기 대기시간이 초과하였을 경우, 상기 큐에서 상기 통화요청 신호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 대기(CAMP) 기능 수행 중에 수신한 호가 영원히 큐(Queue)에 남게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큐(Queue)를 원활하게 사용함으로써 다수의 호가 큐에 남게됨으로써 큐의 기능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queue in CAMP of Private Exchange}
본 발명은 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설 교환기에서 호 대기(CAMP) 기능에서 서비스를 받지 못한 호의 정보가 큐에 남아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PBX란 Private Branch Exchange의 약어로 전화망의 구내교환기를 말한다.
구내교환기는 관청, 회사, 공장, 호텔 등의 사업장에서 구내의 내선(구내 전화회선)전화기 상호간 또는 내선전화기와 국선(전화국 전화회선)간의 교환접속을 행하는 교환기이다.
구내교환기는 국선으로부터 내선에의 착신접속, 내선으로부터 국선으로의 발신접속, 내선간 상호접속 등 모든 접속을 수동으로 하는 공전식 구내교환기에서부터 기계접점 개폐방식기의 계전기식 구내교환기, 크로스바 구내교환기 등의 변천을 거쳐 마이크로프로세서나 IC메모리 등을 이용한 축적 프로그램 제어방식의 전자식 구내교환기(EPBX)로 변천, 발전하였다.
전자식 구내 교환기(EPBX)는 지정시간 호출, 데이터의 동시전송 등 100가지가 넘는 각종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되었고 지역 통신망인 LAN은 물론 종합정보통신망(ISDN)구축에 없어서는 안되는 기기가 되었다.
통화로 방식에는 공간분할 통화로 방식과 시분할 통화로 방식이 있으며, 시분할방식 중 전기신호의 몇 가지 형식에서 음성신호(아날로그신호)를 부호화 하여 교환하는 디지털 방식의 PBX를 디지털PBX라고 한다.
디지털PBX는 구내에서 사용하는 PC, 워드프로세서, 팩시밀리 등의 OA기기를 접속해 데이터와 음성을 디지털신호로 변환·다중화하여 한 가닥의 회선(전송로)에 여러 신호를 동시에 전송·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PBX는 보다 고도의 통신수단인 디지털 네트워크의 핵심기기로 효과적인 LAN 구축과 ISDN구축에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사설 교환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호 대기(CAMP) 기능은 가입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 중에 하나이다.
여기에서 호 대기(CAMP)는
1) 발신자가 호 대기(CAMP)를 요구하면
2) 호 대기(CAMP) 큐에 정보를 저장하여 통화 중인 착신자를 감시하고
3) 착신자가 유휴 상태가 되면 발신자에게 알리고
4) 발신자가 인식하면 착신자에게 링을 울리고 호 대기(CAMP) 큐에서 정보를 제거한 후,
5) 착신자가 응답하면 통화가 이루어지는 기능이다.
호 대기(CAMP)는 그 기능 자체만으로도 복잡성으로 인해 구현 및 수행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그룹 서비스, 멀티라인, 착신전화(Call Forward), 호 전환(Call Transfer) 등 다른 기능과 연동되면 그 복잡성은 한층 더 커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서비스에 실패한 호 대기(CAMP) 정보가 큐에 영원히 남아 있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일이 계속적으로 반복되면 큐가 풀(Full)이 되어서 결국은 어떤 가입자도 호 대기(CAMP) 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설 교환기에서 호 대기(CAMP) 기능을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호 대기(CAMP) 큐에 요청한 호 정보가 영원히 남는 것을 방지하는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 관리 방법은 외부로부터 수신한 통화요청 신호를 해당 착신 가입자에게 연결하는 단계; 상기 착신 가입자가 비지(busy)한 상태일 경우, 상기 통화요청 신호의 대기(CAMP)를 요구한 후, 큐(queue)에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 후, 상기 착신 가입자의 통화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착신 가입자의 통화상태가 비지(busy)한 경우, 기 설정된 상기 큐에서의 상기 통화요청 신호 대기시간을 재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 설정 후, 상기 대기시간이 초과하였을 경우, 상기 큐에서 상기 통화요청 신호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화요청 신호 대기시간은 상기 착신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설정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가입자와 통화를 수신하는 착신 가입자 입장에서의 신호의 흐름이 표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 관리 방법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외부로부터 수신한 통화요청 신호를 해당 착신 가입자에게 연결한다(단계:S100).
여기에서, (단계:S100)을 상세히 살펴보면, 외부의 발신 가입자로부터 수신한 통화요청신호를 사설 교환기(미도시)에서 수신한 후(단계:S11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 가입자와 통화하기 위한 내선 점유를 요구한다(단계:S120).
이 때, 상기 착신 가입자는 상기 내선 점유의 요구에 대한 응답신호를 상기 발신 가입자에게로 전송하는데 이는 상기 착신 가입자가 비지(busy)한 상태인지 아이들(idle)한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상기 착신 가입자가 비지(busy)한 상태일 경우(단계:S200), 상기 통화요청 신호의 대기(CAMP)를 요구한 후, 큐(queue)에 설정한다(단계:S300).
여기에서, (단계:S300)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착신 가입자가 비지(busy)한 상태일 때, 상기 발신 가입자는 상기 착신 가입자에게 통화요청 신호의 대기(CAMP)를 요구하는데 이를 수신한 상기 착신 가입자는 큐(Queue)에 상기 통화요청 신호의 대기를 저장하고 상기 통화요청 신호의 대기에 대한 응답(response)을 한 후, 이를 상기 발신 가입자가 수신한다(단계:S320)
상기 설정 후, 상기 착신 가입자의 통화상태를 확인한다(단계:S400).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착신 가입자의 통화상태가 비지(busy)한 경우, 기 설정된 상기 큐에서의 상기 통화요청 신호 대기시간을 재 설정한다(단계:S500).
여기에서, 상기 통화요청 신호 대기시간을 재 설정한다는 것은 매 초 간격으로 상기 큐를 검사하여 큐의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 가입자의 통화상태를 감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착신 가입자가 비지(busy)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기 설정한 상기 대기시간을 일정간격 줄여나간다는 것이다.
한편, 상기 대기시간은 상기 착신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 재 설정 후, 상기 대기시간이 초과하였을 경우, 상기 큐에서 상기 통화요청 신호를 삭제한다(단계:S700).
즉, 상기 대기시간을 60초로 설정하였다면 상기 착신 가입자의 통화상태를 확인할 때마다 1초씩 줄여나가서 최종적으로 60번 상기 착신 가입자의 상태를 검사할 때까지 상기 착신 가입자가 비지(busy)한 상태라면 해당 통화요청 신호를 상기 큐에서 삭제한다.
참고적으로 상기 대기시간을 너무 짧게 설정해 놓으면 수신한 통화요청 신호에 대한 통화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수행하기에 무리가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30분에서 60분 정도의 간격을 둠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호 대기(CAMP) 기능 수행 중에 수신한 호가 영원히 큐(Queue)에 남게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큐(Queue)를 원활하게 사용함으로써 다수의 호가 큐에 남게됨으로써 큐의 기능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외부로부터 수신한 통화요청 신호를 해당 착신 가입자에게 연결하는 단계;
    상기 착신 가입자가 비지(busy)한 상태일 경우, 상기 통화요청 신호의 대기(CAMP)를 요구한 후, 큐(queue)에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 후, 상기 착신 가입자의 통화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착신 가입자의 통화상태가 비지(busy)한 경우, 기 설정된 상기 큐에서의 상기 통화요청 신호 대기시간을 재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 설정 후, 상기 대기시간이 초과하였을 경우, 상기 큐에서 상기 통화요청 신호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요청 신호 대기시간은
    상기 착신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 관리 방법.
KR1019990038929A 1999-09-13 1999-09-13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 관리 방법 KR20010027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929A KR20010027259A (ko) 1999-09-13 1999-09-13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929A KR20010027259A (ko) 1999-09-13 1999-09-13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259A true KR20010027259A (ko) 2001-04-06

Family

ID=19611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929A KR20010027259A (ko) 1999-09-13 1999-09-13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725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6806A (ko) * 1988-04-07 1989-11-30 강진구 사설교환기에 있어서 호처리 방법
KR930011560A (ko) * 1991-11-29 1993-06-24 정용문 중계대로 입력된 내선가입자의 자동대기 및 제거방법
KR19990021856A (ko) * 1995-05-26 1999-03-25 컬피넨 아아레, 카자스테 아아미 전화접속 및 교환시스템 설정방법
KR19990042279A (ko) * 1997-11-26 1999-06-15 유기범 전전자 교환기의 통화중 대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6806A (ko) * 1988-04-07 1989-11-30 강진구 사설교환기에 있어서 호처리 방법
KR930011560A (ko) * 1991-11-29 1993-06-24 정용문 중계대로 입력된 내선가입자의 자동대기 및 제거방법
KR19990021856A (ko) * 1995-05-26 1999-03-25 컬피넨 아아레, 카자스테 아아미 전화접속 및 교환시스템 설정방법
KR19990042279A (ko) * 1997-11-26 1999-06-15 유기범 전전자 교환기의 통화중 대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4041B1 (en) Call transfer with automatic return
EP0550975B1 (en) A method of redirecting a telephone call to an alternate destination
US5282243A (en) Recording of automatic number identification to identify lost customers
US5943397A (en) Network assisted callback system
US63396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allback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JPH03160859A (ja) Ani情報またはdnis情報あるいはその両方を供給する方法及び装置
JPH08317435A (ja) 災害用電話システム、及び交換機、電話機
US6466661B2 (en) Method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as well as exchange, service computer and communications network
KR20010027259A (ko) 사설 교환기의 호 대기 기능에서 큐 관리 방법
KR100582569B1 (ko) 내선 가입자의 호를 전환하여 보류시키는 방법
KR20120060488A (ko) 시스템 외부 가입자의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3097114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制御方式ならびに電話機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624678B1 (ko) 통화중 가입자에 대한 자동 통화 전환 방법
JP3710555B2 (ja) 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
KR100241883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과 통화중인 국선 호의 전환 방법
KR100331242B1 (ko)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상태 공유장치 및 방법
JPH104458A (ja) データエントリシステム
KR100250667B1 (ko) 센트릭스 기능을 이용한 링픽업 방법
JP3174686B2 (ja) 電話装置
JP2561009B2 (ja) 着信転送方法と装置
JP2729704B2 (ja) 内線代表制御装置
JP2737258B2 (ja) 加入者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着信転送方式
KR930007238B1 (ko) 프로세스 번호 승계 방식에 의한 프로세스간 제어 상태 이전방법
JPH04288758A (ja) Isdnにおける呼び返し方式
JP3287380B2 (ja) 構内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