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249U -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249U
KR19990021249U KR2019970034746U KR19970034746U KR19990021249U KR 19990021249 U KR19990021249 U KR 19990021249U KR 2019970034746 U KR2019970034746 U KR 2019970034746U KR 19970034746 U KR19970034746 U KR 19970034746U KR 19990021249 U KR19990021249 U KR 199900212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fascia
hole
bumper
vehicle body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4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249U/ko
Publication of KR199900212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249U/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범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클램프에 의해 차체에 범퍼 패시아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는 단부에 지지부(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지지부(12)에는 결합구멍(12a)이 형성된 차체(2)와; 단부에 상기 지지부(12)에 면접촉되는 결합부(16)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결합부(16)에는 상기 결합구멍(12a)과 대응되는 체결구멍(16a)이 형성된 범퍼 패시아(6)와; 상기 결합구멍(12a)과 대응되는 나사구멍(22a)이 형성된 상판(22)과, 상기 체결구멍(16a)과 대응되는 조립구멍(26a)이 형성된 하판(26)이 서로 면접촉되는 상기 차체(2)의 지지부(12)와 상기 범퍼 패시아(6)의 결합부(16)의 두께 만큼의 간격을 두고 연결판(24)에 의해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클램프(20)와; 상기 클램프(20)의 저면에서 상기 나사구멍(22a)에 체결되는 볼트(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는 클램프가 차체의 지지부와 범퍼 패시아의 결합부를 잡아주기 때문에 오랜 기간이 지나도 차체와 범퍼 패시아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으며, 따라서, 자동차가 항상 새차와 같은 외관을 항상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범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클램프에 의해 차체에 범퍼 패시아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에는 차체를 보호하기 위한 범퍼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범퍼는 규격화된 강도를 보유하여야 하며, 이런 강도를 가지는 범퍼는 차량의 저속충돌시에는 파손되지 않고 완충력에 의해 차체를 보호하게 되며, 고속충돌시에는 완충과 동시에 파손되어 엔진실로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범퍼는 범퍼 패시아의 내측에 완충력을 지닌 에너지업소버가 제공되고, 동시에 강도를 보유하는 임팩트빔이 제공되어 있다. 범퍼는 차체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이른바 롱지튜디널이라 불리는 종방향프레임상에 체결되어 있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범퍼 패시아의 고저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1에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종래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차체(2)의 단부에는 결합구멍(3a)이 형성된 지지부(3)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구멍(3a)에는 스피드 너트(4)가 끼워져 고정된다.
범퍼 패시아(6)의 단부에는 차체(2)의 지지부(3)에 면접촉되는 결합부(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7)에는 볼트(8)가 체결될 수 있도록 스피드 너트(4)의 나사구멍(4a)과 대응되는 체결구멍(7a)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구멍(7a)의 상부에는 접촉되는 차체(2)와 범퍼 패시아(6)의 사이에 갭이 생기지 않도록 스피드 너트(4)의 머리부분이 삽입되는 안착홈(7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범퍼 패시아(6)를 차체(2)에 고정하려먼, 먼저, 차체(2)의 결합구멍(3a)에 스피드 너트(4)를 끼워 넣은다. 그리고, 볼트(8)로 범퍼 패시아(6)의 체결구멍(7a)을 통해 스피드 너트(4)의 나사구멍(4a)에 체결하면, 스피드 너트(4)가 벌어지면서 차체(2)에 고정되어 빠지지 않으므로 범퍼 패시아(6)는 차체(2)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종래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는 자동차를 오랜 기간 사용하면, 차체(2)를 잡아주고 있는 스피드 너트(4)의 내구력이 약해져 서로 면접촉되어 있는 차체(2)와 범퍼 패시아(6)의 사이에 갭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자동차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차체(2)와 범퍼 패시아(6)의 사이에 마찰이 생겨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를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차체와 범퍼 패시아의 사이에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차체 6: 범퍼 패시아
8: 볼트 12: 지지부
12a: 결합구멍 16: 결합부
16a: 체결구멍 20: 클램프
22: 상판 22a: 나사구멍
24: 연결판 26: 하판
26a: 조립구멍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단부에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지지편에는 결합구멍이 형성된 차체와; 단부에 지지부에 면접촉되는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결합부에는 결합구멍과 대응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된 범퍼 패시아와; 결합구멍과 대응되는 나사구멍이 형성된 상판과, 체결구멍과 대응되는 조립구멍이 형성된 하판이 서로 포개어진 차체의 지지부와 범퍼 패시아의 결합부의 두께 만큼의 간격을 두고 연결판에 의해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클램프와; 클램프의 저면에서 나사구멍에 체결되는 볼트로 구성된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차체(2)의 단부에는 결합구멍(12a)이 형성된 지지부(12)가 일체로 형성되고, 범퍼 패시아(6)의 단부에는 지지부(12)의 결합구멍(12a)과 대응되는 체결구멍(16a)이 형성된 결합부(16)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차체(2)의 지지부(12)와 범퍼 패시아(6)의 결합부(16)는 결합구멍(12a)과 체결구멍(16a)이 통하도록 면접촉된다.
또한, 서로 면접촉되는 차체(2)의 지지부(12)와 범퍼 패시아(6)의 결합부(16)를 잡아주도록 클램프(20)가 끼워져 있다.
클램프(20)는 상판(22)과 하판(26)이 연결판(24)에 의해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판(22)과 하판(26)의 사이에는 서로 면접촉되어 있는 차체(2)의 지지부(12)와 범퍼 패시아(6)의 결합부(16)의 두께 만큼의 간격을 두고 있다.
그리고, 클램프(20)의 상판(22)은 상면 중앙에 연장부(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볼트(8)가 체결될 수 있도록 차체(2)의 결합구멍(12a)과 대응되는 나사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연장부(23)는 나사구멍(22a)을 길게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나사구멍(22a)이 길게 형성되어야 체결되는 볼트(8)의 지지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클램프(20)의 하판(26)은 범퍼 패시아(6)를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중앙에는 범퍼 패시아(6)의 체결구멍(16a)과 대응되는 조립구멍(26a)이 형성되어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 패시아(6)를 차체(2)에 고정하려먼, 차체(2)의 지지부(12)에 범퍼 패시아(6)의 결합부(16)를 면접촉한다. 이 때, 차체(2)의 결합구멍(12a)과 범퍼 패시아(6)의 체결구멍(16a)이 통하도록 한다. 그리고, 서로 면접촉된 차체(2)의 지지부(12)와 범퍼 패시아(6)의 결합부(16)에 나사구멍(22a)과 조립구멍(26a)이 통하도록 클램프(20)를 끼운다. 그런 다음, 저면에서 볼트(8)로 각각의 구멍들을 통과시켜 나사구멍(22a)에 체결하면, 범퍼 패시아(6)는 차체(2)에 고정된다. 물론, 클램프(20)가 차체(2)의 지지부(12)와 범퍼 패시아(6)의 결합부(16)를 상,하에서 잡아주기 때문에 오랜 기간이 지나도 차체(2)와 범퍼 패시아(6)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는 클램프가 차체의 지지부와 범퍼 패시아의 결합부를 잡아주기 때문에 오랜 기간이 지나도 차체와 범퍼 패시아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으며, 따라서, 자동차가 항상 새차와 같은 외관을 항상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단부에 지지부(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지지부(12)에는 결합구멍(12a)이 형성된 차체(2)와;
    단부에 상기 지지부(12)에 면접촉되는 결합부(16)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결합부(16)에는 상기 결합구멍(12a)과 대응되는 체결구멍(16a)이 형성된 범퍼 패시아(6)와;
    상기 결합구멍(12a)과 대응되는 나사구멍(22a)이 형성된 상판(22)과, 상기 체결구멍(16a)과 대응되는 조립구멍(26a)이 형성된 하판(26)이 서로 면접촉되는 상기 차체(2)의 지지부(12)와 상기 범퍼 패시아(6)의 결합부(16)의 두께 만큼의 간격을 두고 연결판(24)에 의해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클램프(20)와;
    상기 클램프(20)의 저면에서 상기 나사구멍(22a)에 체결되는 볼트(8)로 구성된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
KR2019970034746U 1997-11-29 1997-11-29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 KR199900212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746U KR19990021249U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746U KR19990021249U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249U true KR19990021249U (ko) 1999-06-25

Family

ID=6969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746U KR19990021249U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24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1249U (ko)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
KR200181380Y1 (ko) 자동차의 범퍼조립체
KR19990021219U (ko)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고정구조
KR200142375Y1 (ko) 자동차 프런트 범퍼 페시아 취부용 브라켓
KR200150866Y1 (ko) 자동차의 범퍼체결용 너트 스피드
KR0112680Y1 (ko) 승용차용 리어범퍼의 설치구조
KR0132793Y1 (ko) 차량용 리어범퍼 보강구조
KR100240027B1 (ko) 자동차용 범퍼
KR970001738B1 (ko) 차량의 범퍼마운팅 시스템
KR200145550Y1 (ko)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
KR19980026174U (ko) 리어 범퍼 취부 구조
KR100502143B1 (ko) 자동차용 범퍼
KR20000002859U (ko) 차량의 범퍼 백 빔 구조
KR200151366Y1 (ko) 자동차 임팩트바의 취부구조
KR0140242Y1 (ko) 범퍼 스테이
KR200146028Y1 (ko) 자동차의 범퍼 조립구조
KR19980065868U (ko) 범퍼 체결용 사이드 플레이트
KR200149005Y1 (ko) 차량의 범퍼 조립구조
KR100231991B1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 상단 고정 구조
KR200151749Y1 (ko) 자동차용 범퍼스테이의 취부구조
KR200170190Y1 (ko) 자동차의 범퍼 스테이 설치구조
KR20050049046A (ko) 자동차의 범퍼 커버 결합구조
KR19990008707U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범퍼 커버 구조
KR19990029602U (ko) 자동차용 범퍼 페시아 체결클립
KR19990028302U (ko) 자동차의 범퍼 패시아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