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549U -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 - Google Patents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549U
KR19990018549U KR2019970031819U KR19970031819U KR19990018549U KR 19990018549 U KR19990018549 U KR 19990018549U KR 2019970031819 U KR2019970031819 U KR 2019970031819U KR 19970031819 U KR19970031819 U KR 19970031819U KR 19990018549 U KR19990018549 U KR 199900185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nel
car audio
button
support
cush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홍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1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549U/ko
Priority to PCT/KR1998/000362 priority patent/WO1999024997A1/en
Priority to US09/190,017 priority patent/US5957272A/en
Publication of KR199900185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549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01H2013/06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using bell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28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on planes with different or alterable inclination, e.g. convex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6Radio; TV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에 관한 것으로, 컨트롤 패널(50)에 형성한 버튼 삽입공(45)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내부에는 피씨비(80)의 접점을 접속시키도록 배면에 코어(1)가 부착된 버튼(3)을 원통형상을 갖는 지지대(5)의 선단에 형성시키고, 상기한 지지대(5)의 외주면으로는 주름부(7)를 연속 형성시킨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컨트롤 패널(50)의 단면 형상과 관계없이 카 오디오의 모드 선택 및 기능의 제어가 정확히 이루어지며, 또한 장시간의 반복 사용후에도 탄성력의 저하를 방지하여 피씨비(80)의 접점에 대한 단속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
본 고안은 카 오디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컨트롤 패널의 버튼 삽입공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된 가압력에 의해 피씨비의 접점을 단속하도록 한 버튼을 원통형상을 갖는 지지대의 선단에 형성하고, 상기한 지지대의 외주면으로는 주름부를 연속 형성함으로써 지지대의 탄성을 높이는 한편, 이에 따라 피씨비의 접점에 대한 단속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 오디오의 정면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에는 카 오디오의 음량을 조절하도록 한 볼륨 노브를 비롯하여 카 오디오의 모드 선택과 각 기능을 제어하는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된다.
또한, 이러한 컨트롤 패널상의 조작버튼중 볼륨 노브를 제외한 각 조작버튼은 전방으로부터 가압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한 조작버튼의 배면에 위치한 피씨비의 접점을 연결시킴에 따라 카 오디오의 모드를 선택하거나 기능을 제어하게 되며, 또한 모드의 선택이 완료되거나 소정의 기능에 대한 제어가 완료됨으로써 조작버튼의 전방으로부터 작용하는 가압력을 해제하면 조작버튼이 컨트롤 패널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피씨비의 접점을 초기의 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버튼에 작용하는 가압력의 해제시 조작버튼을 컨트롤 패널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도록 한 탄성수단의 예로써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버튼(60)의 배면과 피씨비(80)에 부착된 택트 스위치(S)간의 사이에 스폰지와 같은 탄성부재(70)를 개재시킴으로써 조작버튼(60)에 대한 조작 완료후 상기한 탄성부재(70)의 탄성에 의해 조작버튼(60)이 초기의 상태와 같이 컨트롤 패널(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택트 스위치(S)에 가해진 가압력이 제거되도록 한다.
한편, 근래에 개발된 카 오디오에서는 컨트롤 패널의 단면 형상을 곡면 형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카 오디오의 디자인을 다양화하는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얻도록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컨트롤 패널(100)의 단면을 곡면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100)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된 조작버튼(60)이 피씨비(80)의 상부에 부착된 택트 스위치(S)로부터 정확히 수직을 유지하지 못하고 컨트롤 패널(100)의 곡률에 따라 택트 스위치(S)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컨트롤 패널(100)에서는 조작버튼(60)의 조작에 의한 카 오디오의 모드 선택 및 기능에 대한 제어과정에서 조작버튼(60)의 가압돌기(65)가 택트 스위치(S)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갖게 되므로 상기한 택트 스위치(S)를 정확히 단속하지 못함으로써 카 오디오의 모드 선택과 기능 제어과정에서 카 오디오의 동작불량과 함께 조작버튼(60)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어 조작버튼(60)의 가압돌기(65)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다.
또한, 이와 함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컨트롤 패널(100)에서는 조작버튼(60)의 복귀를 위해 스폰지와 같은 탄성부재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스폰지는 소재의 특성상 내구력이 극히 낮은 관계로 장시간의 반복사용에 따라 스폰지의 특성이 열화되어 탄성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한편, 이에 따라 조작버튼의 조작완료후 조작버튼이 초기의 상태로 복귀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에 의한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컨트롤 패널의 버튼 삽입공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된 가압력에 의해 피씨비의 접점을 단속하도록 한 버튼을 원통형상을 갖는 지지대의 선단에 형성하고, 상기한 지지대의 외주면으로는 주름부를 연속 형성함으로써 지지대의 탄성을 높여 장시간의 반복 사용시에도 피씨비의 접점에 대한 단속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카 오디오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카 오디오의 컨트롤 패널과 피씨비간의 사이에 개재되어 버튼의 가압에 따라 내부의 코어가 피씨비의 접점을 접속시키도록 한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에 있어서,
컨트롤 패널에 형성한 버튼 삽입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내부에는 피씨비의 접점을 접속시키도록 배면에 코어가 부착된 버튼을 원통형상을 갖는 지지대의 선단에 형성시키고, 상기한 지지대의 외주면으로는 주름부를 연속 형성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개략 단면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을 적용한 컨트롤 패널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코어(core) 3 : 버튼
5 : 지지대 7 : 주름부
45 : 버튼 삽입공 50 : 컨트롤 패널
80 : 피씨비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 구조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10)는, 카 오디오의 컨트롤 패널과 피씨비간의 사이에 개재되어 컨트롤 패널의 버튼 삽입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버튼(3)의 가압에 따라 상기한 버튼(3)의 배면에 부착된 도전성 코어(3)가 피씨비에 형성된 패턴의 접점과 선택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카 오디오의 모드 선택이나 기능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특히 상기한 버튼(3)과 일체로 형성되어 버튼(3)을 지지하도록 한 지지대(5)의 외주면에 주름부(7)가 연속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주름부(7)는 지지대(5)의 신축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버튼(3)에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탄성에 의해 버튼(3)을 컨트롤 패널의 버튼 삽입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하며, 카 오디오의 모드 선택이나 기능의 제어를 위해 버튼(3)을 가압시킬 경우에는 상기한 주름부(7)가 압축됨으로써 버튼(3)의 배면에 부착된 코어(1)가 피씨비의 접점과 밀착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한 주름부(7)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50)의 단면 형상이 곡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부 및 하부와 중심부간의 곡률차이에 따라 피씨비(80)로부터의 이격된 간격이 서로 상이할 경우에도 탄성에 의해 버튼(3)이 컨트롤 패널(50)과의 정확한 결합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의 버튼 삽입공(45)을 통해 정확히 밀착하는 한편, 피씨비(80)의 접점에 대한 단속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10)는, 컨트롤 패널(50)과 피씨비(80)간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한 컨트롤 패널(50)의 버튼 삽입공(45)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버튼(3)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한편, 이러한 과정에서 버튼(3)의 배면에 부착된 코어(1)가 피씨비(80)에 형성된 패턴의 접점을 연결함으로써 카 오디오의 모드 선택이나 기능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이에 앞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을 카 오디오를 구성하는 컨트롤 패널(50)과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패턴이 형성된 피씨비(80)의 정면에 본 고안에 의한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10)를 밀착시킨 다음, 상기한 본 고안의 정면에 컨트롤 패널(50)의 배면으로 결합시키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지지대(5)의 선단에 형성된 버튼(3)이 컨트롤 패널(50)에 형성된 버튼 삽입공(45)을 통해 각각 컨트롤 패널(50)의 정면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컨트롤 패널(50)의 단면 형상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한 컨트롤 패널(50)의 곡률에 따라 컨트롤 패널(50)의 배면과 피씨비(80)간의 사이에 각기 다른 간격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컨트롤 패널(50)과 피씨비(80)와의 사이에 각기 다른 간격이 형성될 경우에도 지지대(5)에 형성한 주름부(7)의 탄성에 의해 상기한 지지대(5)가 신장된 상태를 갖게 되므로 지지대(5)의 단부가 피씨비(80)의 배면과 정확히 밀착하는 한편, 이에 따라 상기한 지지대(5)의 선단에 형성된 버튼(3)이 컨트롤 패널(50)과의 결합위치에 관계없이 컨트롤 패널(50)의 정면을 통해 일정한 길이로 돌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카 오디오의 모드 선택이나 기능에 대한 제어를 위해 컨트롤 패널(50)의 정면으로 돌출된 다수의 버튼(3)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후방으로 가압할 경우, 상기한 버튼(3)과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5)에 가압력이 전달됨으로써 지지대(5)의 주름부(7)가 수축하게 되며, 이에 따라 버튼(3)의 배면에 부착된 코어(1)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씨비(80)의 접점과 밀착하게 되어 상기한 피씨비(80)의 표면에 형성된 접점을 연결하는 한편, 카 오디오의 모드 선택이나 기능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카 오디오의 모드 선택이나 기능에 대한 제어가 완료되어 버튼(3)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제거될 경우에는 지지대(5)에 형성한 주름부(7)의 탄성에 의해 버튼(3)이 초기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코어(1)가 피씨비(80)의 접점으로 이탈하여 카 오디오의 모드 선택이나 기능에 대한 제어를 종료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에서 주름부(7)의 탄성에 의해 코어(1)의 접속이 단속되어 카 오디오의 모드 선택 및 기능 제어과정에서 카 오디오의 동작불량을 방지하게 되며, 스폰지와 같은 별도의 탄성수단이 불필요하여 장시간의 반복 사용시에도 탄성력의 저하가 방지되어 카 오디오의 모드 선택 및 기능의 제어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10)는, 컨트롤 패널(50)의 버튼 삽입공(45)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된 가압력에 의해 피씨비(10)의 접점을 단속하도록 한 버튼(3)을 원통형상을 갖는 지지대(5)의 선단에 형성하고, 상기한 지지대(5)의 외주면으로는 주름부(7)를 연속 형성함으로써 지지대(5)의 탄성을 높여 장시간의 반복 사용시에도 피씨비(10)의 접점에 대한 단속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며, 또한 컨트롤 패널(50)의 단면 형상과 관계없이 피씨비(80)의 접점을 단속하여 카 오디오의 모드 선택 및 기능의 제어과정에서 동작불량을 방지하는 등의 많은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

  1. 카 오디오의 컨트롤 패널(50)과 피씨비(80)간의 사이에 개재되어 버튼(3)의 가압에 따라 내부의 코어(1)가 피씨비(80)의 접점을 접속시키도록 한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에 있어서,
    컨트롤 패널(50)에 형성한 버튼 삽입공(45)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내부에는 피씨비(80)의 접점을 접속시키도록 배면에 코어(1)가 부착된 버튼(3)을 원통형상을 갖는 지지대(5)의 선단에 형성시키고, 상기한 지지대(5)의 외주면으로는 주름부(7)를 연속 형성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
KR2019970031819U 1997-11-12 1997-11-12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 KR19990018549U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819U KR19990018549U (ko) 1997-11-12 1997-11-12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
PCT/KR1998/000362 WO1999024997A1 (en) 1997-11-12 1998-11-11 Push button for control panels
US09/190,017 US5957272A (en) 1997-11-12 1998-11-12 Push button for control pan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819U KR19990018549U (ko) 1997-11-12 1997-11-12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549U true KR19990018549U (ko) 1999-06-05

Family

ID=1951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819U KR19990018549U (ko) 1997-11-12 1997-11-12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57272A (ko)
KR (1) KR19990018549U (ko)
WO (1) WO19990249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9508B2 (en) * 2000-10-20 2004-10-26 Ethicon Endo-Surgery, Inc. Detection circuitry for surgical handpiece system
US6608270B2 (en) * 2000-10-20 2003-08-19 Ethicon Endo-Surgery, Inc. Flexible switch members for hand activation handpiece switches
DE10157329C1 (de) * 2001-11-23 2003-03-06 Siemens Ag Tastaturkappe und eine solche Tastaturkappe aufweisende Tastatur
US6621024B1 (en) * 2002-04-04 2003-09-16 David P. Bello Sealed switch assembly
TW554358B (en) * 2002-08-13 2003-09-21 Umax Data Systems Inc Structure of button and method of design the same
US20040042623A1 (en) * 2002-08-28 2004-03-04 Thomas Allan Zapalski Modular bezel design for an automotive entertainment system
CN2791838Y (zh) * 2004-11-13 2006-06-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按钮装置
US7498537B1 (en) * 2007-08-24 2009-03-03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Integrated conductive radio button
DE102008038664B4 (de) * 2008-08-13 2018-05-09 Leopold Kostal Gmbh & Co. Kg Elektrische Schalteranordnung
JP5548078B2 (ja) * 2010-09-15 2014-07-16 株式会社マキタ スイッチ機構のシール構造及び動力工具
FR3027152B1 (fr) * 2014-10-10 2018-02-16 Ingenico Group Actuateu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221A (en) * 1980-06-10 1982-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witchboard
IT209794Z2 (it) * 1987-01-14 1988-11-04 Cavis Cavetti Isolati Spa Struttura di pulsantiera, particolarmente studiata per azionamento dell'alzacristalli elettrico in autoveicoli.
DE8908429U1 (ko) * 1989-07-11 1989-08-24 Grundig E.M.V. Elektro-Mechanische Versuchsanstalt Max Grundig Hollaend. Stiftung & Co Kg, 8510 Fuerth, De
JP2578870Y2 (ja) * 1990-02-02 1998-08-20 北川工業 株式会社 押し釦スイッチ
US5350890A (en) * 1992-10-01 1994-09-27 Gould Instrument Systems, Inc. Contact switch device
US5399821A (en) * 1993-10-20 1995-03-21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Keytop for push-button switch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FR2712408B1 (fr) * 1993-11-12 1996-02-16 Jaeger Clavier de commande d'un système électrique ou électronique, notamment pour système antivol de véhicule automobile .
US5510584A (en) * 1995-03-07 1996-04-23 Itt Corporation Sequentially operated snap action membrane switch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57272A (en) 1999-09-28
WO1999024997A1 (en) 199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8549U (ko)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
JPS62502882A (ja) 筆記具
US6580044B2 (en) Switch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switch device
EP1049122B1 (en) Oscillating-operation type switch apparatus
US6191373B1 (en) Dial programming switch
KR19990018554U (ko) 카 오디오용 노브 연결구
KR19990018552U (ko) 카 오디오용 노브의 결합구조
KR19990025646A (ko) 컨트롤 패널용 쿠션 패드
KR19990012817U (ko) 카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쿠션 패드
KR19990031713A (ko) 러버를 이용한 통합버튼부재
CN211929357U (zh) 车辆顶棚天窗开关
KR19980029022U (ko) 카오디오의 조작버튼 릴리이즈용 쿠션 패드
KR19990025653A (ko) 컨트롤 패널용 쿠션 패드의 공기 유통구조
KR0146428B1 (ko) 카오디오용 양방향 노브의 작동구조
CN210716227U (zh) 一种出水切换机构
KR19980029026U (ko) 카오디오용 조작버튼의 릴리이즈 구조
JP2571575Y2 (ja) スイッチ装置
KR100449732B1 (ko)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JPS6233233Y2 (ko)
KR19990025652A (ko)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조작버튼 결합구조
KR19990018551U (ko) 카 오디오용 노브의 결합구조
JPS6220110Y2 (ko)
JPS6026416Y2 (ja) ツマミ部保持装置
JPS6322886Y2 (ko)
JPS621106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