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732B1 -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732B1
KR100449732B1 KR10-2002-0046559A KR20020046559A KR100449732B1 KR 100449732 B1 KR100449732 B1 KR 100449732B1 KR 20020046559 A KR20020046559 A KR 20020046559A KR 100449732 B1 KR100449732 B1 KR 100449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panel
hole
tension arm
electronic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3564A (ko
Inventor
홍성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6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732B1/ko
Publication of KR20040013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7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Landscapes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개시된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가진 제1패널과, 제1패널에 결합되는 지지부와 외부에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관통홀에 삽입되는 노브와 이 노브와 지지부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아암을 구비하고 제1패널의 배면에 조립되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며, 텐션아암은, 노브가 관통홀의 축방향과 반경방향으로 모두 유동될 수 있도록 적어도 그 두 방향에 대해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에 의하면, 노브가 관통홀과의 편심에 적응하여 어느 정도 유동됨으로써 편심을 보상하고, 이 편심에 의해 발생되는 노브의 작동불량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제품의 조작패널{Operation panel of electric appliances}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제품을 작동시키기 의한 조작버튼을 구비한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은, 전자제품의 외관부에 설치되며 전자제품이 가진 여러 가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시키기 위한 조작버튼(button) 등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일반소비자가 사용하는 비데오 플레이어 또는 디스크 플레이어 등의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은 버튼의 배치 등의 사용상의 편의성 뿐 아니라 외관도 미적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전자제품의 전방에 위치되는 종래의 조작패널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보면, 프런트패널(110)과 이에 조립되는 조작버튼(130)이 도시되어 있다.
프런트패널(110)에는 조작버튼(130)의 노브(132)가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조작버튼(1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기(113)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버튼(130)은 전자제품(미도시)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보드(control board)(미도시)와 연결되어 전자제품(미도시)를 작동시키는 기능버튼으로서, 지지부(131)와, 프런트패널(110)의 관통부(111)에 끼워지는 노브(132) 및 지지부(131)와 노브(132)를 연결하는 탄성부(133)을 구비한다. 지지부(131)에는 프런트패널(110)의 결합돌기(113)에 결합되는 중공형상의 결합보스(134)가 형성되어 있다.
프런트패널(110)의 배면으로부터 조작버튼(130)의 노브(132)와 결합보스(134)를 프런트패널(110)의 관통홀(111)과 결합돌기(113)에 각각 끼운다. 그리고나서, 별도의 나사(미도시)를 이용하여 조작버튼(130)을 프런트패널(110)에 체결하거나, 결합보스(134)에 까워져서 돌출된 결합돌기(113)의 상부에 열을 가하여 결합돌기(113)와 결합보스(134)를 융착시킴으로써 프런트패널(110)과 조작버튼(130)의 조립을 완료한다. 그러면, 노브(132)가 프런트패널(110)의 전면으로 돌출된다.
탄성부(133)는 노브(132)가 관통홀(111)내에서 왕복작동될 수 있도록 지지부(131)와 노브(132)를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런트패널(110)의 전방으로부터 노브(132)를 누름으로써 전자제품(미도시)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노브(132)가 관통홀(111)내에서 자연스럽게 작동되기 위해서는 노브(132)의 중심과 관통홀(111)의 중심이 정확히 일치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관통홀(111)을 노브(132)에 비해 너무 크게 하면 전자제품의 외관품위를 떨어뜨릴 우려가 있으므로, 관통홀(111)의 외경과 노브(132)의 외경과의 차이는 십분의 일 밀리미터 오더(order)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사출성형물인 프런트패널(110)은 치수의 정밀도가 그다지 높지 않고, 또 비용적인 측면에서 사출시의 치수관리를 엄격하게 하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관통홀(111)과 노브(132)와의 편심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크며, 편심의 정도가 지나칠 경우에는 노브(132)가 관통홀(111)에 끼어서 작동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제품의 외관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 프런트패널(110)의 전방에 제2패널(120)을 더 설치하고 노브(132)가 제2패널(120)까지 관통되도록 설치될 경우에는 조작버튼(130)과 프런트패널(110)과의 조립오차와, 프런트패널(110)과 제2패널(120)과의 조립오차가 누적되어 노브(132)와 관통홀(111,121)의 편심이 더욱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노브가 관통홀에 대해서 어느 정도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노브와 관통홀의 편심을 보상할 수 있도록 개선된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전자제품의 전방에 위치되는 종래의 조작패널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조작버튼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제1패널 211,221......관통홀
213......결합돌기 220......제2패널
231,241......지지부 234......결합보스
230,240a,240b,240c......조작버튼
232,242a,242b,242c......노브
233,243a,243b,243c......텐션아암
235,245a,245b,245c......전환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가진 제1패널; 상기 제1패널에 결합되는 지지부와, 외부에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노브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노브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제1패널의 배면에 조립되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텐션아암은, 상기 노브가 상기 관통홀의 축방향과 반경방향으로 모두 유동될 수 있도록 적어도 그 두 방향에 대해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상기 텐션아암은, 상기 노브로부터 상기 지지부로 연장될 때 그연장방향이 전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환부를 가지며, 이 전환부에 의해 전환된 각도의 총합은 9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수의 텐션아암을 구비하는 경우, 각 텐션아암은 상기 노브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제1패널의 표면쪽에 결합되는 제2패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노브는 상기 제2패널의 관통홀에까지 삽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패널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상기 제2패널에 형성되는 관통홀보다 크며, 상기 노브는 상기 제2패널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의해 가이드되어 유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에 의하면, 노브가 관통홀과의 편심에 적응하여 어느 정도 유동됨으로써 편심을 보상하고, 이 편심에 의해 발생되는 노브의 작동불량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보면, 제1패널(210)에는 다수의 관통홀(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조작버튼(230)을 결합시키기 의해 돌출형성된 결합돌기(213)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버튼(230)은 제1패널(210)의 배면으로부터 조립되며, 관통홀(211)에 삽입되는 노브(232)와, 제1패널(210)의 배면에 결합되는 지지부(231), 및 지지부(231)와 노브(232)를 연결하는 텐션아암(tension arm)(233)을 구비한다.
노브(232)는 관통홀(211)에 삽입되어 삽입방향으로 왕복작동되면서 전자제품(미도시)에 설치된 제어보드(미도시)의 스위치(미도시)에 접촉되어 이를 작동시킨다. 그러므로, 노브(232)의 외경은 관통홀(211)의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노브(232)와 관통홀(211)의 외경에 너무 차이가 나면 외관품위를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그 차이는 십분의 일 밀리미터 오더(order)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231)에는 결합돌기(213)에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형상의 결합보스(234)가 마련되어 있다.
텐션아암(233)은 노브(232)가 탄성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지지부(231)와 노브(232)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텐션아암(233)이 노브(232)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브(232)는 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키는 방향 즉, 관통훌(211)의 축방향으로의 동작 외에도 관통홀(211)과의 편심을 보상하는 방향 즉, 관통홀(211)의 반경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텐션아암(233)을 형성함에 있어서, 노브(232)로부터 시작하여 지지부(231)까지 연장될 때, 그 연장되는 방향이 적어도 90도 이상 변화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면, 관통홀(211)과 노브(232)가 다소 편심되어 있더라도 텐션아암(233)이 관통홀(211)의 반경방향으로 유동되면서 노브(232)가 관통홀(211)에 정확히 삽입되어, 관통홀(211)의 축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텐션아암(233)은 노브(232)에서 출발하여 전환부(235)를 거쳐지지부(231)에 연결된다. 전환부(235)에서 텐션아암(233)의 연장방향이 180도 만큼 변환된다. 이처럼 텐션아암(233)의 연장방향이 전환되는 전환부(235)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으며, 다수의 전환부(235)가 있을 경우에는 이에 의해 전환되는 각도의 총합이 90도 이상이 되도록 텐션아암(233)을 형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노브(232)가 관통홀(211)의 편심에 대응하여 관통홀(211)의 반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텐션아암(233)을 형성함으로써, 편심에 의한 외관품위의 저하를 방지하는 한편 노브(232)가 관통홀(211)에 끼어서 작동되지 않는 작동불량현상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널(210)의 전방에는 노브(232)가 삽입되는 관통홀(221)을 구비한 제2패널(220)이 더 조립될 수도 있다. 따라서, 노브(232)는 제1패널(210)과 제2패널(220)을 같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제2패널(220)의 전방으로부터 노브(232)를 눌러서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제2패널(220)의 관통홀(221)과 노브(232)가 편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조작버튼(230)은 제1패널(210)에 조립되고 제2패널(220)은 제1패널(210)에 조립되므로 2단계에 걸친 조립오차의 누적에 의해 노브(232)와 관통홀(221)이 편심될 가능성이 더 높다. 그러나, 노브(232)가 관통홀(211)과의 편심에 대응하여 관통홀(211)의 반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텐션아암(23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편심에 의한 노브(232)의 작동불량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 이처럼 노브(232)가 제1패널(210)과 제2패널(220)을 관통하여 설치될 때에는, 노브(232)가 두 개의 관통홀(211,221)에 의해 이중으로 구속되지 않도록 제1패널(210)의 관통홀(211)은제2패널(220)의 관통홀(221)보다 크게 형성하고, 노브(232)가 관통홀(221)에 의해서만 가이드되면서 유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텐션아암(243a,243b,243c)은 비단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도 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242a,242b,242c)와 지지부(241)까지의 연장경로중에 방향이 전환되는 하나 이상의 전환부(245a,245b,245c)를 가지며, 노브(242a,242b,242c)로부터 지지부(241)에 연결될 때까지의 전환된 각도의 총합이 적어도 90도 이상이 된다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에 의하면, 노브와 지지부를 연결하는 텐션아암의 형상을 변경하여 노브가 관통홀의 편심에 대응하여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심에 의한 작동불량현상을 개선함과 동시에 외관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가진 제1패널;
    상기 제1패널에 결합되는 지지부와, 외부에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노브와, 상기 노브가 상기 관통홀의 축방향과 반경방향으로 모두 유동될 수 있도록 적어도 그 두 방향에 대해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상기 지지부와 상기 노브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제1패널의 배면에 조립되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텐션아암은 상기 노브로부터 상기 지지부로 연장될 때 그 연장방향이 전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환부를 가지며, 이 전환부에 의해 전환된 각도의 총합은 90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텐션아암을 구비하는 경우, 각 텐션아암은 상기 노브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제1패널의 표면쪽에 결합되는 제2패널을 더 구비하며,
    상기 노브는 상기 제2패널의 관통홀에까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다수의 텐션아암을 구비하는 경우, 각 텐션아암은 상기 노브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상기 제2패널에 형성되는 관통홀보다 크며, 상기 노브는 상기 제2패널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의해 가이드되어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KR10-2002-0046559A 2002-08-07 2002-08-07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KR100449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559A KR100449732B1 (ko) 2002-08-07 2002-08-07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559A KR100449732B1 (ko) 2002-08-07 2002-08-07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564A KR20040013564A (ko) 2004-02-14
KR100449732B1 true KR100449732B1 (ko) 2004-09-22

Family

ID=37320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559A KR100449732B1 (ko) 2002-08-07 2002-08-07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7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3761A (ja) * 1991-10-22 1993-05-07 Canon Inc 電子機器のパネル構造
KR19990013593U (ko) * 1997-09-27 1999-04-15 전주범 전자제품용 노브
KR20010047279A (ko) * 1999-11-19 2001-06-15 윤종용 세탁기의 콘트롤패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3761A (ja) * 1991-10-22 1993-05-07 Canon Inc 電子機器のパネル構造
KR19990013593U (ko) * 1997-09-27 1999-04-15 전주범 전자제품용 노브
KR20010047279A (ko) * 1999-11-19 2001-06-15 윤종용 세탁기의 콘트롤패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564A (ko) 200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1533B2 (en) Seamless mouse
JPH1153983A (ja) 多幅キー用のキースイッチ組立体
KR100449732B1 (ko)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JPS5829867Y2 (ja) スイツチ装置
KR100497386B1 (ko) 조작버튼 구조체
KR19990031713A (ko) 러버를 이용한 통합버튼부재
KR200146982Y1 (ko) 노브 일체형 구조의 판넬
TWI771190B (zh) 鍵盤
KR0133489Y1 (ko) Tv의 버튼 연결 구조
KR19980031749U (ko) 전자제품의 제어노브 구조
KR19980018904U (ko) 전자제품의 제어노브 구조
JP2000123669A (ja) 連結つまみ
KR0126454Y1 (ko) 시소노브장치
JP2002231089A (ja) 操作ボタン取付装置
KR20050041686A (ko) 버튼유니트
KR200159451Y1 (ko)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작동 구조
KR100535821B1 (ko) 토션바를 가지는 시소형 스위치 버튼
KR200267393Y1 (ko) 버튼스위치용 고정유니트
KR200325905Y1 (ko) Tv의 전원버튼 어셈블리
KR20040000747A (ko)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KR200295991Y1 (ko) 모니터 스위치
KR19990025929U (ko) 기능선택 스위치와 버튼을 일체화시킨 오퍼레이팅 패널조립체
KR19990024008U (ko)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
KR20040059682A (ko) 전자레인지 콘트롤러의 버튼장치
KR19980011097U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판넬의 내부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