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584A - 자동차 연료 탱크용 리저버의 평행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연료 탱크용 리저버의 평행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584A
KR19990017584A KR1019970040563A KR19970040563A KR19990017584A KR 19990017584 A KR19990017584 A KR 19990017584A KR 1019970040563 A KR1019970040563 A KR 1019970040563A KR 19970040563 A KR19970040563 A KR 19970040563A KR 19990017584 A KR19990017584 A KR 19990017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fuel tank
holding device
shock absorber
parallel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5660B1 (ko
Inventor
한상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0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5660B1/ko
Publication of KR19990017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5Height adjusting or leve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6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hydropneumat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22Magnetic elements
    • B60G2600/26Electromagnets; Soleno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연료 탱크용 리저버의 평행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탄성부재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홈(11)과 그 중앙으로 쇽 업소오버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12) 및 에어 탱크(20)에 연결된 튜브(13)(14)(15)(16)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17)를 일체형으로 구비한 하부 하우징(10)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14)의 외측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더(31)와 중앙에 구멍(32)을 일체형으로 형성한 상부 하우징(30)을 구비하며, 쇽 업소오버의 일측에 구비된 변위감지 센서(40)(41)(42)(43)와 ECU(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탱크용 리저버의 평행유지장치.

Description

자동차 연료 탱크용 리저버의 평행유지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연료 탱크용 리저버의 평행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사진 노면을 주행시 차체가 기울어지게 되고 연료탱크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연료 리저버 캡이 기울어지게 되어 연료 펌프 내로 연료의 흡입이 불확실하게 되어 엔진이 정지되거나 출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주행중에 노면의 불균일로 발생하게 되는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는 현가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차체나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도록 되어 있다.
현가 장치는 개략적으로 노면에서 받게 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새시 스프링과 새시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 업소어버 및 새시 스프링과 새시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 업소오버 및 자동차가 옆으로 흔들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테이빌라이저등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 현가 장치는 구동 바퀴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이나 제동할 때에 각 바퀴의 제동력을 차체에 전달함과 동시에 선회할 때의 원심력에 곁디고, 각 바퀴를 차체에 대해 바른 위치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현가장치는 프론트 현가 장치와 리어 현가 장치로 구분되며, 프론트 현가장치는 프레임과 차축사이를 연결하여 차의 중량을 지지하고, 바퀴의 진동을 흡수함과 동시에 조향기구의 일부를 설치하고 있다.
프론트 현가 장치의 형식은 차축현가식과 독립현가식(분할 차축식 현가 장치)으로 구분되며, 통상 승차감이나 조정성을 중시하는 승용차에서는 독립현가식을 많이 사용하고 버스나 트럭에서는 차축현가식을 많이 사용한다.
리어 현가 장치는 차축현가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승용차에서는 승차기분이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독립현가식을 사용하고 있는 것도 있다.
상기 프론트 현가장치에서 사용되는 맥퍼슨 타입은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너클(도시는 생략함)과 일체로 되어 쇽 업소오버(100)가 설치된 스트러트(110)과 현가아암, 현가아암과 스트러트(110)아랫부분을 연결하는 보올 조인트 및 탄성부재(1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트러트(110)의 윗부분은 서포오트(130)를 통해 차체에 결합되고 현가 서포오트(130)에는 트러스트 베어링이 삽입되어 있어 스트러트이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탄성부재(120)는 스트러트과 시이트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이 시이트는 서포오트의 트러스트 베어링과 접해 있다.
그리고, 차의 무게는 현가 서포오트를 통해 차체가 지지하며, 조향을 할 때에는 너클과 함께 스트러트이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현가장치는 주행중 발생하게 되는 진동등은 1차적으로 타이어의 탄력성으로 안충하는 작용을 하고 이어 너클을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2차적인 충격(진동)은 그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쇽 업소오버(100)를 통해서 현가 서포오트(130)로 전달되는데 이때 이 쇽업소버(100)의 상하작용에 의해 완충이 됨과 동시에 그 외측에 구비되어 있는 탄성부재(120)를 통해서 더 완화되어 승차감이 좋은 상태에서 주행을 계속하게 된다.
주행중 발생하게 되는 진동과 충격을 타이어와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 및 그 외측에 구비되어 있는 탄성부재를 통해서 그 충격을 완화하여 승차감이 좋은 상태에서 주행을 하게 되나 경사진 노면을 주행시 그 경사면과 동일한 상태로 차체가 기울어지게 됨으로 그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연료탱크로부터 연료가 연료펌프를 통해 기화기로 송출되는 과정중 연료 탱크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리저브 탱크가 기울어지게 되어 연료의 송출이 불가능(균일)하게 되는 원인으로 차량의 시동이 꺼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료의 송출 불균일로 인해 엔진의 출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사진 노면을 주행시 연료탱크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연료 리저버가 기울어지게 되어 것을 방지토록 하여 연료의 흡입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엔진이 정지되거나 출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연료 탱크용 리저버의 평행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평행 유지장치가 설치된 부위를 도시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평행 유지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 예시도,
도 3 은 도 2 의 종단면상태시의 작용도로서,
3a는 편편한 노면을 주행중인 상태이며,
3b는 경사진 노면을 주행 시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평행 유지장치의 블록도,
도 5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러트부를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부 하우징 11;홈
12;구멍 13,14,15,16;튜브
17;삽입부 20;에어 탱크
30;상부 하우징 31;가이더
32;구멍 40,41,42,43;변위감지 센서
50;ECU 60;밸브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홈과 구멍 및 에어 탱크에 연결된 튜브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를 일체형으로 구비한 하부 하우징을 구비하고 이 삽입부의 외측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더와 구멍을 일체형으로 형성한 상부 하우징을 구비하며, 쇽 업소오버의 일측에 구비된 변위감지 센서와 연결된 ECU로 구성하되, 상기 에어탱크와 튜브를 연결하는 전자밸브로 구비되어 경사진 노면을 주행시 차체의 기울기가 낮은 쪽에 공기를 공급하여 그 높이를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 연료 펌프내로 흡입되는 연료의 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평행 유지장치가 설치된 부위를 도시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평행 유지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 예시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종단면상태시의 작용도이다.
쇽 업소오버가 설치된 스트러트의 그 하부로는 보올 조인트 및 탄성부재로 구비되고 상부는 서포오트로 차체에 결합되며 서포오트에 트러스트 베어링이 삽입되어 있는 프론트 현가장치에 있어서, 스트러트를 밀어 올리기 위하여 쇽 업소오버의 상부에 상, 하부 하우징(30)(10)과 그 내부로 공기압에 의해 팽창되는 튜브(13)(14)(15)(1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튜브(13)(14)(15)(16)에 에어 탱크(2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자밸브(60) 및 이 전자밸브(60)를 제어하기 위한 ECU(50) 그리고, 각각의 쇽 업소오버의 변위량에 의해 차체가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변위 감지센서(40)(41)(42)(43)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하우징(10)은 쇽 업소오버를 관통하고 그 외측의 저면으로 구비되어 있는 탄성부재의 상단부에 안착되어 평상시 차체의 하중을 받힘과 동시에 그 상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상부 하우징(30)을 받히도록 한 것으로 홈(11)과 중앙의 구멍(12)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30)은 하부 하우징(10)의 상단부에 얹혀지는 것으로 하부 하우징(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튜브의 팽창에 의해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삽입부(14)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하는 가이더(31)와 중앙의 구멍(32)을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변위 감지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대각선방향으로 작동하도록 구비하고 2개의 센서가 감지되었을 때 작동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3a는 편편한 노면을 주행중인 상태이며, 3b는 경사진 노면을 주행시이다.
편편한 노면을 주행시는 평상시와 같이 차체의 하중과 노면으로부터 받게 되는 진동으로 인해 발생된 충격력은 1차적으로 타이어에 의해 완충되고 그 한도를 넘는 충격력은 쇽 업소오버의 상하작용에 의해 완충이 되는 것을 종래와 동일하나 경사진 노면을 주행할 경우에는 쇽 업소오버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변위 감지 센서(40)(43)가 그 변위량을 시그널로 변환하여 ECU(50)에 전달하고 이 ECU(50)는 이를 판단하여 전자밸브(60)를 개방함과 동시에 에어 탱크(20)의 내부에 채워져 있던 압축공기가 튜브(13)(16)내로 들어감과 동시에 팽창이 시작된다.
튜브(13)(16)의 팽창으로 상부 하우징(30)의 가이더(31)는 그 내측과 접해 있는 삽입부(17)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상부 가이더(31)의 윗면이 스트러트의 저면과 접해있음으로 이를 들어올리게 되면서 차체가 평행을 이루게 되어 연료탱크내의 연료가 채워져 있는 리져버를 평행하게 유지하여 연료펌프로 유입되는 오일의 량이 항상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차량의 기울기가 경사면에서 수평으로 변경될 때는 ECU(50)의 신호에 의해 전자밸브(60)가 폐쇄되면서 튜브의 내측에 채워져 있는 공기가 해제되어 차량은 평행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주행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경사진 노면을 주행시 연료탱크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리저버가 기울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토록 함으로써 연료 흡입이 불활실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행중 엔진이 정지되거나 출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쇽 업소오버가 설치된 스트러트의 그 하부로는 보올 조인트 및 탄성부재로 구비되고 상부는 서포오트로 차체에 결합되며 서포오트에 트러스트 베어링이 삽입되어 있는 프론트 현가장치에 있어서, 탄성부재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홈(11)과 그 중앙으로 쇽 업소오버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12) 및 에어 탱크(20)에 연결된 튜브(13)(14)(15)(16)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17)를 일체형으로 구비한 하부 하우징(10)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14)의 외측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더(31)와 중앙에 구멍(32)을 일체형으로 형성한 상부 하우징(30)을 구비하며, 쇽 업소오버의 일측에 구비된 변위감지 센서(40)(41)(42)(43)와 ECU(50)로 구성하되, 상기 에어 탱크로부터 각각의 튜브로 공기를 선택적으로 보내도록 한 전자밸브(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탱크용 리저버의 평행유지장치.
KR1019970040563A 1997-08-25 1997-08-25 자동차 연료 탱크용 리저버의 평행유지 장치 KR100235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563A KR100235660B1 (ko) 1997-08-25 1997-08-25 자동차 연료 탱크용 리저버의 평행유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563A KR100235660B1 (ko) 1997-08-25 1997-08-25 자동차 연료 탱크용 리저버의 평행유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584A true KR19990017584A (ko) 1999-03-15
KR100235660B1 KR100235660B1 (ko) 1999-12-15

Family

ID=1951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563A KR100235660B1 (ko) 1997-08-25 1997-08-25 자동차 연료 탱크용 리저버의 평행유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56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660A (ko) * 2015-03-20 2016-09-28 고재원 에어튜브와 스프링이 결합된 자동차의 쇽업소버
WO2016171425A1 (ko) * 2015-04-22 2016-10-27 고재원 개별 공압펌프를 갖는 자동차용 쇽업소버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432B1 (ko) 2009-02-05 2010-11-02 현담산업 주식회사 연료공급모듈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660A (ko) * 2015-03-20 2016-09-28 고재원 에어튜브와 스프링이 결합된 자동차의 쇽업소버
WO2016171425A1 (ko) * 2015-04-22 2016-10-27 고재원 개별 공압펌프를 갖는 자동차용 쇽업소버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5660B1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06055B (zh) 一种重卡驾驶室前悬置装置及汽车
KR100235660B1 (ko) 자동차 연료 탱크용 리저버의 평행유지 장치
KR20240034862A (ko) 충격 흡수기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차량
KR102343565B1 (ko)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CN201395025Y (zh) 组合式空气悬挂
KR100762970B1 (ko) 화물차량의 피동바퀴축 승강장치
KR20090059455A (ko) 차량의 현가장치
KR200198940Y1 (ko) 리어 쇽 업소버의 고정용 부시
JP3166581B2 (ja) トラニオン型サスペンション
KR100353132B1 (ko) 트럭의 피동륜 승강장치 및 방법
KR0185445B1 (ko) 자동차용 현가시스템
KR200209487Y1 (ko) 트럭의 피동륜 승강장치
KR200334931Y1 (ko) 상용차용 리어 에어 서스펜션
KR100264261B1 (ko) 차량의 과하중 경보장치
KR200140934Y1 (ko) 거친도로에 적합한 현가장치
KR10026019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0120252Y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0116863Y1 (ko) 자동차의 전륜현가장치
KR19980022202A (ko) 차량의 차고 유지 장치
KR19980054163A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구조
CN110901322A (zh) 一种轻型带举升结构挂车空气悬架系统
KR19990056793A (ko) 자동차 맥퍼슨형 타입의 현가장치 스프링 변형 방지장치
JPH1111132A (ja) 車高制御装置
KR19990011058U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구조
KR20070027086A (ko) 차량의 스트러트용 인슐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