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6793A - 자동차 맥퍼슨형 타입의 현가장치 스프링 변형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맥퍼슨형 타입의 현가장치 스프링 변형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6793A
KR19990056793A KR1019970076805A KR19970076805A KR19990056793A KR 19990056793 A KR19990056793 A KR 19990056793A KR 1019970076805 A KR1019970076805 A KR 1019970076805A KR 19970076805 A KR19970076805 A KR 19970076805A KR 19990056793 A KR19990056793 A KR 19990056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spring
shock absorber
wheel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76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6793A/ko
Publication of KR19990056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793A/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 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바아 및 링크를 코일 스프링과 결착시켜 적절한 휠의 위치를 파악함은 물론 주행시 휠의 강성을 유지하여 차량의 휠에 안정감을 줌으로써 승차감의 향상을 꾀하고자 하는 스프링의 변형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가 서포트에 코일 스프링과 쇽 업소버가 장치되고, 쇽 업소버의 하부에 너크암과 휠이 결착 결합되는 현가 장치에 있어서;
현가 서포트(24)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1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스프링 시트(22)의 저면부에 쇽 업소버(12)가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더(20)를 장착하는 것과, 하부 스프링 시트(22) 저면부 일측에 차에 보디에 장착된 스테빌라이저 바아(18)와 상호 결합되어 상하로 작동이 이루어지는 스테빌라이저 바아 링크(16)를 결착시켜 휠(14)의 상승으로 쇽 업소버(12)와 코일 스프링(10)이 각을 갖게 되면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링크(16)가 하부로 작동되어 쇽 업소버(12)와 코일 스프링(10)의 사잇각을 감소시켜 코일 스프링(10)의 변형과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진 자동차 맥퍼슨형 타입의 현가장치 스프링 변형 방지장치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맥퍼슨형 타입의 현가장치 스프링 변형 방지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맥퍼슨형 타입의 현가장치 스프링 변형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코일 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바아 및 링크를 코일 스프링과 결착시켜 적절한 휠의 위치를 파악함은 물론 주행시 휠의 강성을 유지하여 차량의 휠에 안정감을 줌으로써 승차감의 향상을 꾀하고자 하는 스프링의 변형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축은 장치되어 있는 바퀴를 통해서 자동차의 중량을 지지하는 것이지만, 주행중에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적인 하중을 받으므로 그들의 하중에 충분히 견딜만한 강도와 강성이 필요하며, 구조상으로는 좌우의 바퀴를 1개의 차축으로 연결한 차축식과 좌우의 바퀴가 각각 별개로 운동할 수 있도록 만든 분할 차축식으로 나눌수 있다.
현가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하지 않도록 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하는 장치이며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새시 스프링, 새시 스프링의 자유 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좋게하는 쇽 업소버 및 자동차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현가는 구동 바퀴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이나 제동시의 각 바퀴의 제동력을 차체에 전달함과 동시에 선회시의 원심력에도 견디고, 각 바퀴를 차체에 대해서 올바른 위치에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도 가지고 있다.
즉 현가 장치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상하 방향으로 유연한 결합을 필요로 한다.
또한 바퀴가 발생하는 구동력, 제동력 및 선회시의 원심력 등에 견딜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강한 결합이 필요하다.
상기와 구성되고 작동되는 현가 장치의 한 예로서 앞 차축에 연결 결합 장착되는 맥퍼슨형 일명 스트러트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스트러트형은 구조가 간단하며 구성 부품이 적고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 하중량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로드 홀딩, 승차감이 좋다.
아울러 엔진룸의 유효 공간을 넓게 잡을 수 있는 것이다.
그 구성 상태는 조향 너클(100)과 일체로 되며, 쇽 업소버(102)를 내장하고 있는 스트러트, 현가 암, 현가암과 스트러트 하부를 연결하는 볼 조인트 및 코일 스프링(104)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트러트의 상부는 현가 서포트(106)를 거쳐서 차체 보디(108)에 장치되며 현가 서포트(106)에는 스러스트 베어링이 삽입되어 있으며 스러스트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은 스트러트와 스프링 시트와의 사이에 장치되며 스프링 시트는 현가 서포트의 스러스트 베어링에 접하고 있다.
차량의 중량은 현가 서포트를 거쳐서 보디를 지지하며 핸들을 끊었을 경우에는 너클과 함께 스트러트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트러트형은 쇽 업소버에 걸리는 횡력을 최소화 하기 위해 쇽 업소버과 코일 스프링축 사이에는 사잇각 α가 존재하게 설계되는 것이다.
상기 휠이 도로면에 형성된 요철이나 기타 장애물에 의해 상승이되면 코일 스프링이 바깥쪽으로 밀려 휠의 위치가 변화므로 인해 쇽 업소버와 스프링 사이에는 α의 각이 생기게 되는데 α각이 커지는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간의 접촉 및 변형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코일 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바아 및 링크를 코일 스프링과 결착시켜 적절한 휠의 위치를 파악함은 물론 주행시 휠의 강성을 유지하여 차량의 휠에 안정감을 줌으로써 승차감의 향상을 꾀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가 서포트에 코일 스프링과 쇽 업소버가 장치되고, 쇽 업소버의 하부에 너크암과 휠이 결착 결합되는 현가 장치에 있어서;
현가 서포트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스프링 시트의 저면부에 쇽 업소버가 좌우로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더를 장착하는 것과, 하부 스프링 시트 저면부 일측에 차의 보디에 장착된 스테빌라이저 바아와 상호 결합되어 상하로 작동이 이루어지는 스테빌라이저 바아 링크를 결착시켜 휠의 상승으로 쇽 업소버와 코일 스프링이 각을 갖게 되면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링크가 하부로 작동되어 쇽 업소버와 코일 스프링의 사잇각을 감소시켜 코일 스프링의 변형과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 스프링 변형 방지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 는 도 1의 스프링 변형 방지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3 은 종래 맥퍼슨형 타입의 현가 장치 전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코일 스프링
(12) : 쇽 업소버
(14) : 휠
(16) : 스테빌라이저 바아 링크
(18) : 스테빌라이저 바아
(20) : 슬라이더
(22) : 하부 스프링 시트
(24) : 현가 서포트
(26) : 차체 보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 스프링 변형 방지 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는 도 1의 스프링 변형 방지 장치의 작동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현가 서포트에 코일 스프링과 쇽 업소버가 장치되고, 쇽 업소버의 하부에 너크암과 휠이 결착 결합되는 현가 장치에 있어서;
현가 서포트(24)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1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스프링 시트(22)의 저면부에 쇽 업소버(12)가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더(20)를 장착하는 것과, 하부 스프링 시트(22) 저면부 일측에 차의 보디에 장착된 스테빌라이저 바아(18)와 상호 결합되어 상하로 작동이 이루어지는 스테빌라이저 바아 링크(16)를 결착시켜 휠(14)의 상승으로 쇽 업소버(12)와 코일 스프링(10)이 각을 갖게 되면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링크(16)가 하부로 작동되어 쇽 업소버(12)와 코일 스프링(10)의 사잇각을 감소시켜 코일 스프링(10)의 변형과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로면에 요철이나 장애물이 존재할때 휠(14)은 상승이 된다.
휠(14)이 상승이 되면 쇽 업소버(12)도 따라 상승하게 되는데 쇽 업소버(12)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쇽 업소버(12)가 상승되면 차체 보디(26)에 장착된 스테빌라이저 바아(18)가 하부 스프링 시트(22) 저면부에 결착된 스테빌라이저 바아 링크(16)를 당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테빌라이저 바아 링크(16)가 하부로 당겨지면 하부 스프링 시트(22)가 당겨지게 되며 하부 스프링 시트(22)는 쇽 업소버(12)가 슬라이더(20)면을 타고 내려오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10)축과 쇽 업소버(12)축 사이에 형성된 사잇각을 줄임으로서 스프링의 변형 및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스프링 기울임각을 휠이 변함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코일 스프링의 변형 및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아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발명이 것이다.

Claims (1)

  1. 현가 서포트에 코일 스프링과 쇽 업소버가 장치되고, 쇽 업소버의 하부에 너크암과 휠이 결착 결합되는 현가 장치에 있어서;
    현가 서포트(24)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1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스프링 시트(22)의 저면부에 쇽 업소버(12)가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더(20)를 장착하는 것과, 하부 스프링 시트(22) 저면부 일측에 차의 보디에 장착된 스테빌라이저 바아(18)와 상호 결합되어 상하로 작동이 이루어지는 스테빌라이저 바아 링크(16)를 결착시켜 휠(14)의 상승으로 쇽 업소버(12)와 코일 스프링(10)이 각을 갖게 되면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링크(16)가 하부로 작동되어 쇽 업소버(12)와 코일 스프링(10)의 사잇각을 감소시켜 코일 스프링(10)의 변형과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맥퍼슨형 타입의 현가장치 스프링 변형 방지장치.
KR1019970076805A 1997-12-29 1997-12-29 자동차 맥퍼슨형 타입의 현가장치 스프링 변형 방지장치 KR19990056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805A KR19990056793A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 맥퍼슨형 타입의 현가장치 스프링 변형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805A KR19990056793A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 맥퍼슨형 타입의 현가장치 스프링 변형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793A true KR19990056793A (ko) 1999-07-15

Family

ID=6617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805A KR19990056793A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 맥퍼슨형 타입의 현가장치 스프링 변형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67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331B1 (ko) * 2003-10-21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횡력 저감용 차량의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
KR100616010B1 (ko) * 2004-11-17 2006-08-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스트럿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331B1 (ko) * 2003-10-21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횡력 저감용 차량의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
KR100616010B1 (ko) * 2004-11-17 2006-08-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스트럿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9313B2 (en) Steering controlled anti-roll automobile suspension
US6793228B2 (en) Anti-roll suspension for automobiles
KR0139520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US6722676B2 (en) Anti-roll automobile suspension
US4875703A (en) Double link type suspension including a stabilizer bar
USRE34151E (en) Double link type suspension system
JPS6164506A (ja) ストラツト型サスペンシヨン
KR19990056793A (ko) 자동차 맥퍼슨형 타입의 현가장치 스프링 변형 방지장치
KR100264649B1 (ko) 자동차용 맥퍼어슨식 독립현가현가장치
JP3701958B2 (ja) サブフレームのマウントブッシュ
KR19990029094U (ko) 스프링 각도 설정이 용이한 스러스트 베어링 설치 구조를 갖는 현가장치
CN208630285U (zh) 一种防震汽车悬架
KR100345119B1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0131306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200147907Y1 (ko) 자동차 스티어링 너클의 체결 유지구조
KR100283225B1 (ko)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
KR20000013586U (ko) 자동차의 전륜 현가장치
KR100261426B1 (ko)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
KR20050006804A (ko) 현가장치
KR100398211B1 (ko) 자동차용 반독립 후륜 현가장치
KR100559884B1 (ko)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
KR100261428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0201087B1 (ko)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너클
KR20000016932U (ko) 탄성링크를 이용한 독립식 현가장치
KR20070030990A (ko) 자동차의 스트러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