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565B1 -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565B1
KR102343565B1 KR1020210065493A KR20210065493A KR102343565B1 KR 102343565 B1 KR102343565 B1 KR 102343565B1 KR 1020210065493 A KR1020210065493 A KR 1020210065493A KR 20210065493 A KR20210065493 A KR 20210065493A KR 102343565 B1 KR102343565 B1 KR 102343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auxiliary
fixing plate
vehicle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셈
Priority to KR1020210065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3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 B60G11/3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 B60G11/4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and also flui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5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axle or suspension arm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fluid spring
    • B60G15/1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fluid spring and fluid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1Leaf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60G2204/4306Bracket or knuckle for rigid axles, e.g. for clamping
    • B60G2204/43065U-shaped bolts crossing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50Pressure
    • B60G2400/51Pressure in suspension unit
    • B60G2400/512Pressure in suspension unit in spring
    • B60G2400/5122Fluid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24Steering, corn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노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충격을 높은 효율로 완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코너링 안정성을 향상 및 차량의 롤링 또한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안정적 주행 및 편리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으며, 아울러, 에어서스펜션 기능 상실 시 차량의 비상주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차고 조절을 원하는대로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The vehicle's air suspension system}
본 발명은 노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충격을 높은 효율로 완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코너링 안정성을 향상 및 차량의 롤링 또한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안정적 주행 및 편리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으며, 아울러, 에어서스펜션 기능 상실 시 차량의 비상주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차고 조절을 원하는대로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의 서스펜션장치는 주행 중에 노면으로부터 타이어와 차축을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차체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화물차의 서스펜션장치는 양단이 상향 만곡되어 있는 여러 겹의 판스프링 양단을 차체에 고정 및 그 하측 중간에 차축을 설치한 것으로, 차축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판스프링의 휨에 의해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판스프링에서 자주 발생되는 와인드 업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판스프링 서스펜션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94014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94014호 등으로 제안된 판스프링만을 이용한 서스펜션장치는 진폭이 큰 강한 충격은 비교적 흡수가 잘되나 빠르고 순간적인 충격에는 판스프링의 응답성이 떨어져서 충격력의 일부가 차체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9401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노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충격을 높은 효율로 완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코너링 안정성을 향상 및 차량의 롤링 또한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안정적 주행 및 편리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으며, 아울러, 에어서스펜션 기능 상실 시 차량의 비상주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차고 조절을 원하는대로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단부가 차체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축결합되는 판스프링과; 구동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후단부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에 후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안착판부를 포함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안착판부에 하부가 안착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저면에 위치고정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신축하는 에어스프링과; 상기 차체 프레임과 상기 구동축 사이에 배치되는 쇽업쇼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브라켓의 고정판부와 안착판부가 높낮이 차이가 있는 단차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고정판부의 후측과 상기 안착판부의 전측 사이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고정판부와 상기 안착판부를 연결하는 연결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의 고정판부는 상기 판스프링의 후단부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후단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후단부를 위치고정시키는 보조고정판부와, 상기 보조고정판부의 후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안착판부를 포함하는 보조지지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지지브라켓의 보조고정판부와 보조안착판부가 높낮이 차이가 있는 단차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보조지지브라켓은 상기 보조고정판부의 후측과 상기 보조안착판부의 전측 사이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보조고정판부와 상기 보조안착판부를 연결하는 보조연결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지지브라켓의 고정판부와 상기 보조지지브라켓의 보조고정판부 사이에 상기 판스프링의 후단부를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브라켓의 고정판부의 중앙과 상기 보조지지브라켓의 보조고정판부의 중앙에 각각 위치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공 주변의 상기 고정판부의 각 모서리부위 및 상기 보조고정판부의 각 모서리부위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후단부에 상기 위치고정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위치고정공과 상기 관통공을 수직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판스프링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체결공을 각각 수직관통하는 U볼트와; 상기 볼트 및 상기 U볼트와 각각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구동축의 양측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수직형성되는 지지판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구동축의 양측에 상기 쇽업쇼버의 하부와 결합되는 축부재가 구비된 연결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의 양측에 상기 쇽업쇼버의 상부와 결합되는 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지지브라켓의 하부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보조지지브라켓을 보강하는 보강판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체 프레임의 일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지지브라켓에 일측이 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차체 프레임의 타측에 축결합되어 차량의 코너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레터럴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지지브라켓 사이에 차량의 롤링을 방지하기 위한 크로스멤버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지지브라켓의 보조안착판부와 상기 지지브라켓의 안착판부를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하여 상기 에어스프링의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의 안착판부의 상부에 상기 에어스프링의 하부가 안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에어스프링은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저면에 상부가 위치고정되는 외측에어백과; 상기 외측에어백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에어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측에어백의 상부에 스토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의 저면에 상부가 고정 및 하부가 지지브라켓의 안착판부에 안착고정되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ECAS system)이 적용된 에어스프링을 통해 노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충격을 높은 효율로 완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터럴바를 통해 차량의 코너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크로스멤버를 통해 차량의 롤링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대용량 에어탱크 적용으로 안정적 주행 및 운전자용 에어건 사용이 가능하여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더불어, 에어드라이어 적용으로 시스템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에어스프링의 에어 누기로 인한 에어서스펜션 기능 상실시 에어스프링의 스토퍼부의 서스펜션 역할을 통해 차량의 비상주행이 가능하고, 아울러, 차량의 차고 조절을 운전석에서 원하는대로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판스프링, 지지브라켓, 에어스프링 및 쇽업쇼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저면사시도이고,
도 7은 에어스프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에어스프링의 스토퍼부가 서스펜션 역할을 수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판스프링(10), 지지브라켓(20), 에어스프링(30) 및 쇽업쇼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판스프링(10)의 전단부는 일예로, 상기 차체 프레임(3)의 양측 중간부 하부, 즉, 상기 차체 프레임(3)의 일측 중간부 하부와 타측 중간부 하부에 각각 축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판스프링, 지지브라켓, 에어스프링 및 쇽업쇼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브라켓(20)은 크게,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판부(210)와 안착판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부(210)는 차량의 구동축(7)의 양측 상부방향, 즉, 상기 구동축(7)의 일측 상부방향과 타측 상부방향에 각각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10)의 후단부를 위치고정시킨다.
상기 안착판부(220)는 상기 고정판부(2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상기 고정판부(210)에 일체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스프링(30)의 하부는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안착판부(220)의 상부에 하부가 안착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스프링(30)의 상부는 상기 차체 프레임(3)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저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에어스프링(30)은 화물차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의 축전지의 전류로 구동되는 에어컴프레셔로부터 제공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차체 프레임(3)의 상하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쇽업쇼버(40)는 상기 차체 프레임(3)과 상기 구동축(7) 사이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브라켓(2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판부(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부(230)는 상기 고정판부(210)의 후측과 상기 안착판부(220)의 전측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되어 상기 고정판부(210)와 상기 안착판부(220)를 연결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연결판부(230)의 상부에 상기 고정판부(210)의 후측이 일체연결 및 상기 연결판부(230)의 하부에 상기 안착판부(220)의 전측이 일체연결되어 상기 고정판부(210)와 상기 안착판부(220)가 높낮이 차이가 있는 단차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20)의 고정판부(210)와 안착판부(220)가 상기 연결판부(230)를 통해 높낮이 차이가 있는 단차구조를 이루게 됨에 따라 상기 안착판부(220)에 안착고정된 상기 에어스프링(30)의 하부가 노면에서 발생되는 충격 등에 의해 상기 고정판부(210) 방향으로 밀려 이동될 우려가 없도록 상기 에어스프링(30)과 상기 안착판부(220)의 결합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차체 프레임(3)과 상기 안착판부(220) 사이에 상기 에어스프링(30)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브라켓(20)의 고정판부(21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10)의 후단부 상부에 수평으로 안착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20)의 고정판부(210)와 상기 판스프링(10)의 후단부의 상호결합력 향상 및 상기 에어스프링(30)을 안착지지하는 상기 안착판부(220)의 지지력을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지지브라켓(20)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보조지지브라켓(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브라켓(25)은 일예로, 크게, 보조고정판부(251)와 보조안착판부(2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판부(251)는 상기 판스프링(10)의 후단부 하부에 수평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10)의 후단부 하부를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판부(251)의 하부방향에 상기 구동축(7)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안착판부(252)는 상기 보조고정판부(251)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상기 보조고정판부(25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안착판부(252)의 상부에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안착판부(220)가 안착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지지브라켓(25)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연결판부(25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연결판부(253)는 상기 보조고정판부(251)의 후측과 상기 보조안착판부(252)의 전측 사이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보조고정판부(251)와 상기 보조안착판부(252)를 연결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보조연결판부(253)의 상부에 상기 보조고정판부(251)의 후측이 일체연결 및 상기 보조연결판부(253)의 하부에 상기 보조안착판부(252)의 전측이 일체연결되어 상기 보조고정판부(251)와 상기 보조연결판부(253)가 높낮이 차이가 있는 단차구조를 이룰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20)의 고정판부(210)와 상기 보조지지브라켓(25)의 보조고정판부(251) 사이에 상기 판스프링(10)의 후단부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20)의 고정판부(210)의 중앙과 상기 보조지지브라켓(25)의 보조고정판부(251)의 중앙에 각각 위치고정공(20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고정공(200) 주변의 상기 고정판부(210)의 각 모서리부위 및 상기 보조고정판부(251)의 각 모서리부위에 체결공(20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10)의 후단부 중앙에는 상기 위치고정공(200)과 연통되는 관통공(1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50)는 일예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볼트(510), U볼트(520) 및 너트(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510)는 상기 보조고정판부(251)의 위치고정공(200), 상기 판스프링(10)의 관통공(101) 및 상기 고정판부(210)의 위치고정공(200)을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U볼트(520)가 상기 판스프링(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U볼트(520)의 상부는 상기 보조고정판부(251)의 체결공(201)과 상기 고정판부(210)의 체결공(201)을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530)는 상기 볼트(510)의 상부 및 상기 U볼트(520)의 상부에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축(7)의 양측 상부, 즉, 상기 구동축(7)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각각 2개의 지지판부(71)가 상기 구동축(7)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다.
2개의 상기 지지판부(7)의 상부방향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지지브라켓(25)의 보조고정판부(251)가 위치할 수 있다.
노면에서 발생되는 충격 등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10)의 후단부 및 상기 보조고정판부(251)가 상기 구동축(7)의 상부방향으로 하강할 경우, 2개의 상기 지지판부(71)의 상부가 하강하는 상기 보조고정판부(251)의 저면과 접하면서 상기 판스프링(10)의 후단부와 함께 상기 보조고정판부(251)의 하강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10)의 후단부와 함께 상기 보조고정판부(251)의 하강을 제한하는 2개의 상기 지지판부(71)를 통해 2개의 상기 지지판부(71)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볼트(510)의 헤드(511)가 상기 구동축(7)의 상부부위에 부딪치면서 상기 볼트(510)의 헤드(511) 및 상기 구동축(7)의 상부부위가 훼손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축(7)의 상부와 상기 보조고정판부(251)의 하부 사이에 상기 볼트(510)의 고정 및 고정해제를 위한 작업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축(7)의 양측에 연결브라켓(7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72)은 상기 지지판부(71)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축(7)의 일측 하부와 타측 하부에 각각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72)의 중간부에는 상기 연결브라켓(72)의 중간부를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쇽업쇼버(4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수평연장되는 축부재(7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72)의 축부재(721)는 상기 쇽업쇼버(40)의 하부를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쇽업쇼버(4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체 프레임(3)의 양측에 축부재(31)가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체 프레임(3)의 축부재(31)는 상기 판스프링(10)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차체 프레임(3)의 일측 내측면 부위와 타측 내측면 부위에서 각각 상기 쇽업쇼버(4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축부재(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체 프레임(3)의 축부재(31)는 상기 쇽업쇼버(40)의 상부를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쇽업쇼버(4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저면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지지브라켓(25)의 하부에는 상기 보조지지브라켓(25)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상기 보조지지브라켓(25)을 보강하는 보강판부(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부(26)는 상기 보조지지브라켓(25)의 하부 중간부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부(26)는 일예로, 후측보강판(261)과 전측보강판(26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보강판(261)은 상기 보조안착판부(252)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보조지지브라켓(25)의 보조안착판부(252)의 하부 중간부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보강판(262)은 상기 후측보강판(261)의 전측에서 상기 보조고정판부(251)의 하부 후측 방향으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체 프레임(3)의 일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브라켓(20)과 상기 차체 프레임(3)의 타측 사이에 차량의 코너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레터럴바(27)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차체 프레임(3)의 일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상부에 일측브라켓(21)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브라켓(21)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상기 차체 프레임(3)의 타측 내측면 부위에 타측 브라켓(32)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터럴바(27)의 일측은 상기 일측브라켓(21)의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터럴바(27)의 타측은 상기 타측 브라켓(32)의 하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7)의 양측, 즉, 상기 구동축(7)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안착판부(220) 사이에는 차량의 롤링을 방지하기 위한 크로스멤버(28)가 체결부재(29)에 의해 수평으로 체결고정될 수 있다.
일예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멤버(28)의 전측부 일측과 전측부 타측에는 프레스 가공 중 노칭가공 등을 통해 일측수용홈(281)과 타측수용홈(28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수용홈(281)과 상기 타측수용홈(282)에는 상기 보조지지브라켓(25)의 보조안착판부(252)의 후측부위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일측수용홈(281) 주변의 상기 크로스멤버(28)의 전측부 일측부위와 상기 크로스멤버(28)의 후측부 일측에 체결공(28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수용홈(282) 주변의 상기 크로스멤버(28)의 전측부 타측부위와 상기 크로스멤버(28)의 후측부 타측에도 상기 체결공(283)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크로스멤버(28)의 체결공(283)과 마주보는 상기 안착판부(220) 부위에도 체결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9)는 상기 크로스멤버(28)의 체결공(283)과 상기 안착판부(220)의 체결공(221)을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하여 상기 에어스프링(30)의 하부부위에 일정깊이로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지지브라켓(25)의 보조안착판부(252)와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안착판부(220)를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하여 상기 에어스프링(30)의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9)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안착판부(220)의 상부에 상기 에어스프링(30)의 하부가 안착고정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보강판부(26)의 후측보강판(261)을 기준으로 보조안착판부(25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체결공(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안착판부(252)의 체결공(5)과 마주보는 상기 안착판부(220)의 일측과 타측에도 상기 체결공(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9)는 상기 보조안착판부(252)의 체결공(5)과 상기 안착판부(220)의 체결공(5)을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하여 상기 에어스프링(30)의 하부부위에 일정깊이로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에어스프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스프링(30)은 일예로,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외측에어백(310)과 내측에어백(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에어백(3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고정브라켓(310)은 각각 상기 외측에어백(31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차체 프레임(3)의 전측부의 반대측인 후측부 일측 저면과 후측부 타측 저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내측에어백(320)은 상기 외측에어백(3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측에어백(320)의 상부 중간부에는 고무 등 다양한 종류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스토퍼부(330)가 상기 내측에어백(32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에어스프링의 스토퍼부가 서스펜션 역할을 수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에어스프링(30)의 외측에어백(310)의 훼손 등에 의해 상기 외측에어백(3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외측에어백(310) 외부방향으로 누기될 경우, 상기 외측에어백(310)의 상부고정브라켓(310)이 하강하면서 상기 에어스프링(30)의 상하길이가 노면에서 발생되는 충격 등에 의해 급격하게 수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330)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측에어백(310)의 상부고정브라켓(310)의 저면을 안착지지하여 상기 상부고정브라켓(310)의 하강을 제한할 수 있고, 이로서 차량의 비상주행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스프링(30)으로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컴프레셔(8)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축전지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전원공급부(6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는 에어펌프(82)에서 제공하는 압축공기를 저장 및 상기 에어스프링(30)으로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에어탱크(81)와; 대기를 제습하여 건조한 공기를 상기 에어펌프(82)로 제공 및 상기 에어펌프(82)가 상기 에어탱크(81)에 제공하는 압축공기를 다시 제습하는 에어드라이어(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차체 프레임(3)의 저면에 상부가 고정 및 하부가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안착판부(220)에 안착고정되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ECAS system)이 적용된 상기 에어스프링(30)을 통해 노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충격을 높은 효율로 완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레터럴바(27)를 통해 차량의 코너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크로스멤버(28)를 통해 차량의 롤링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대용량의 상기 에어탱크(81) 적용으로 안정적 주행 및 운전자용 에어건 사용이 가능하여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에어드라이어(83) 적용으로 시스템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기 에어스프링(30)의 에어 누기로 인한 에어서스펜션 기능 상실시 상기 에어스프링(30)의 스토퍼부(330)의 서스펜션 역할을 통해 차량의 비상주행이 가능하고, 아울러, 상기 에어스프링(30)을 통해 차량의 차고 조절을 운전석에서 원하는대로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판스프링, 20; 지지브라켓,
30; 에어스프링, 40; 쇽업쇼버.

Claims (13)

  1. 전단부가 차체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축결합되는 판스프링과;
    구동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도록 상기 판스프링의 후단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후단부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에 후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안착판부를 포함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판스프링의 후단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후단부를 위치고정시키는 보조고정판부와, 상기 보조고정판부의 후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안착판부를 포함하는 보조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안착판부에 하부가 안착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저면에 위치고정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신축하는 에어스프링과;
    상기 차체 프레임과 상기 구동축 사이에 배치되는 쇽업쇼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2. 전단부가 차체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축결합되는 판스프링과;
    구동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후단부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에 후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안착판부를 포함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구동축의 양측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수직형성되는 지지판부와;
    상기 지지브라켓의 안착판부에 하부가 안착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저면에 위치고정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신축하는 에어스프링과;
    상기 차체 프레임과 상기 구동축 사이에 배치되는 쇽업쇼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3. 전단부가 차체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축결합되는 판스프링과;
    구동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후단부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에 후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안착판부를 포함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구동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지지브라켓 사이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고정되어 차량의 롤링을 방지하는 크로스멤버와;
    상기 지지브라켓의 안착판부에 하부가 안착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저면에 위치고정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신축하는 에어스프링과;
    상기 차체 프레임과 상기 구동축 사이에 배치되는 쇽업쇼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의 고정판부와 안착판부가 높낮이 차이가 있는 단차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고정판부의 후측과 상기 안착판부의 전측 사이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고정판부와 상기 안착판부를 연결하는 연결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브라켓의 보조고정판부와 보조안착판부가 높낮이 차이가 있는 단차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보조지지브라켓은 상기 보조고정판부의 후측과 상기 보조안착판부의 전측 사이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보조고정판부와 상기 보조안착판부를 연결하는 보조연결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의 고정판부와 상기 보조지지브라켓의 보조고정판부 사이에 상기 판스프링의 후단부를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의 고정판부의 중앙과 상기 보조지지브라켓의 보조고정판부의 중앙에 각각 위치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공 주변의 상기 고정판부의 각 모서리부위 및 상기 보조고정판부의 각 모서리부위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후단부에 상기 위치고정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위치고정공과 상기 관통공을 수직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판스프링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체결공을 각각 수직관통하는 U볼트와;
    상기 볼트 및 상기 U볼트와 각각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양측에 상기 쇽업쇼버의 하부와 결합되는 축부재가 구비된 연결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의 양측에 상기 쇽업쇼버의 상부와 결합되는 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브라켓의 하부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보조지지브라켓을 보강하는 보강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의 일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지지브라켓에 일측이 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차체 프레임의 타측에 축결합되어 차량의 코너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레터럴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브라켓의 보조안착판부와 상기 지지브라켓의 안착판부를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하여 상기 에어스프링의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의 안착판부의 상부에 상기 에어스프링의 하부가 안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스프링은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저면에 상부가 위치고정되는 외측에어백과;
    상기 외측에어백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에어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측에어백의 상부에 스토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13. 삭제
KR1020210065493A 2021-05-21 2021-05-21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KR102343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493A KR102343565B1 (ko) 2021-05-21 2021-05-21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493A KR102343565B1 (ko) 2021-05-21 2021-05-21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565B1 true KR102343565B1 (ko) 2021-12-29

Family

ID=79176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493A KR102343565B1 (ko) 2021-05-21 2021-05-21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5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562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공기 스프링의 스토퍼 완충장치
KR100794014B1 (ko) 2006-02-17 2008-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판스프링 서스펜션
US20090243246A1 (en) * 2008-03-26 2009-10-01 Richardson Gregory A Suspension system with enhanced stability
CN209037343U (zh) * 2018-11-09 2019-06-28 青岛泰格车辆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半挂车的空气悬架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562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공기 스프링의 스토퍼 완충장치
KR100794014B1 (ko) 2006-02-17 2008-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판스프링 서스펜션
US20090243246A1 (en) * 2008-03-26 2009-10-01 Richardson Gregory A Suspension system with enhanced stability
CN209037343U (zh) * 2018-11-09 2019-06-28 青岛泰格车辆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半挂车的空气悬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29772B (zh) 用于重型车辆的车轴/悬架系统的阻尼空气弹簧和减震器的组合
CA2512848A1 (en) Lightweight, low part-count, suspension system for wheeled vehicles
KR101726377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US5024462A (en) Combined air and leaf spring suspension for heavy weight vehicle
US6739608B2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CN108706055B (zh) 一种重卡驾驶室前悬置装置及汽车
KR102237177B1 (ko) 차고 조절이 가능한 독립 현가장치
KR102343565B1 (ko)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US20030025288A1 (en) Air cushion suspension assembly for use with over the road trucks
CN112937242A (zh) 一种汽车及其具有后桥驱动功能的汽车空气悬架
US11813911B2 (en) Suspension mount for an automotive vehicle
CN201559498U (zh) 汽车的非独立悬架系统以及汽车
US6206391B1 (en) Rear suspension using a torsional spring integral with trailing arm
CN114750559A (zh) 商用车全浮驾驶室前悬结构
EP1968845A1 (en) Suspension unit and industrial vehicle comprising such a unit
US10882369B2 (en) Longitudinal leaf spring device having bump stop unit
KR100235660B1 (ko) 자동차 연료 탱크용 리저버의 평행유지 장치
CN117533419A (zh) 一种驾驶室悬置装置及汽车
CN214138729U (zh) 一种驾驶室前悬置装置
CN215284259U (zh) 一种空气悬挂
CN215970995U (zh) 空气悬架气囊组件及具有其的车辆
KR200300862Y1 (ko) 보조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현가장치
KR200492108Y1 (ko) 자동차 바디 완충장치
KR20090059455A (ko) 차량의 현가장치
CN105416414A (zh) 一种重型卡车驾驶室前悬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