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4862A - 충격 흡수기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차량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기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4862A
KR20240034862A KR1020247006895A KR20247006895A KR20240034862A KR 20240034862 A KR20240034862 A KR 20240034862A KR 1020247006895 A KR1020247006895 A KR 1020247006895A KR 20247006895 A KR20247006895 A KR 20247006895A KR 20240034862 A KR20240034862 A KR 20240034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absorber assembly
interface
cylinder
pist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오룬 쉬
페이 황
즈예 양
Original Assignee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34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4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Abstract

충격 흡수기 조립체(2)로서, 실린더(201) - 실린더(201)의 베이스는 차축 또는 휠에 연결되도록 구성됨 -; 실린더(201)와 함께 상부 챔버(2011) 및 하부 챔버(2012)를 형성하도록 상기 실린더(201) 내에 위치된 피스톤(202); 및 상기 피스톤(202) 상에 배열되고 차량 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피스톤 로드(203)를 포함하고, 피스톤 로드(203) 내에 오일 채널(204)이 제공되고, 오일 채널(204)의 상부 단부에는 오일 통과 홀이 제공되고, 오일 통과 홀은 외부와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오일 채널(204)은 하부 챔버(2012)와 연통하고, 하부 챔버(2012) 내의 오일은 오일 채널(204)을 통해 외부와 연통한다. 따라서, 피스톤 로드의 위치는 차량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조절될 수 있고, 차량의 작동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충격 흡수기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차량
관련출원에 대한 교차-참조
본 개시내용은 2021년 12월 30일자로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2123448219.2호에 기초하여 제안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은 차량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충격 흡수기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서스펜션은 차량 본체와 차축 사이의 상호 작용력을 전달하는 디바이스이며, 자동차의 4개의 주요 구성 요소 및 자동차의 주행 성능에 영향을 주는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서스펜션은 도로 표면에 의해 피드백되는 작용력 및 토크를 전달하고, 휠들의 진동을 감소시키고, 충격을 완화하고, 운전자의 주행 경험을 개선할 수 있고, 따라서 차량은 이상적인 움직임 특성들 및 안정된 주행 능력을 획득한다. 관련 기술의 서스펜션은 대부분 스프링, 안내 기구, 충격 흡수기 등으로 구성되고, 충격 흡수기의 감쇠 계수 및 스프링 강성은 일정하다. 따라서, 안락성 및 작동 안정성을 고려하는 것은 어렵다.
본 개시내용은 관련 기술에서의 기술적 문제들 중 하나를 적어도 어느 정도 해결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차량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고 차량의 작동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피스톤 로드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충격 흡수기 조립체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위에서 설명된 충격 흡수기 조립체를 갖는 차량을 추가로 제안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기 조립체는 실린더 - 실린더의 베이스는 차축 또는 휠에 연결되도록 구성됨 -; 실린더와 협력하여 상부 챔버 및 하부 챔버를 형성하도록 실린더 내에 위치된 피스톤; 및 피스톤 상에 배열되고 차량 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고, 유체 채널이 피스톤 로드 내에 배열되고, 유체 채널의 상부 단부에는 유체 홀이 제공되며, 유체 홀은 외부 환경과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유체 채널은 하부 챔버와 연통하며, 하부 챔버 내의 유체는 유체 채널을 통해 외부 환경과 연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의 충격 흡수기 조립체에 따르면, 유체 채널은 피스톤 로드 내에 배열되어, 중량의 감소 및 비용 절감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유체 채널이 하부 챔버와 연통하기 때문에, 유체가 하부 챔버의 내부 및 외부로 흐르도록 허용되어, 피스톤 로드의 위치가 차량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조절될 수 있고, 차량의 작동 안정성이 차량 안락성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개선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차량 안락성과 핸들링 안정성 사이의 모순을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더욱이, 충격 흡수기 조립체는 진동의 결과로서 조인트들에서의 마모를 방지하고 조인트들에서의 액체 누설들을 가능한 많이 방지하기 위해 오일 통로들의 안정적인 연결들을 실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실린더의 측벽 상에 제1 인터페이스가 더 형성되고, 제1 인터페이스는 실린더의 상부 단부에 가깝게 배열되고, 상부 챔버와 연통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실린더의 측벽 상에 제2 인터페이스가 더 형성되고, 제2 인터페이스는 실린더의 하부 단부에 가깝게 배열되고, 하부 챔버와 연통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격 흡수기 조립체는 버퍼를 더 포함한다. 피스톤 로드의 상부 단부는 실린더 외부로 연장되고, 버퍼는 피스톤 로드 상에 슬리브 연결되고, 버퍼는 차량 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피스톤 로드의 상부 단부는 버퍼 외부로 연장되고 차량 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격 흡수기 조립체는 커버를 더 포함한다. 버퍼는 커버를 통해 차량 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커버는 휠 커버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격 흡수기 조립체는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커넥터는 유체 채널의 상부 단부와 연통하고 외부 환경과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캐비티가 커넥터 내에 형성되고, 제3 인터페이스 및 제4 인터페이스가 커넥터 상에 형성된다. 제3 인터페이스 및 제4 인터페이스는 모두 캐비티와 연통한다. 제3 인터페이스의 연장 방향은 제4 인터페이스의 연장 방향에 수직이다. 제3 인터페이스는 유체 채널의 상부 단부와 연통하고, 제4 인터페이스는 외부 환경과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격 흡수기 조립체는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스프링은 버퍼와 실린더 사이에서 맞접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지지 부재는 실린더 상에 배열되고, 스프링은 버퍼와 지지 부재 사이에서 맞접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본 개시내용의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따른 충격 흡수기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의 차량에 따르면, 차량 본체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고, 차량의 작동 안정성이 차량 안락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개선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차량 안락성과 핸들링 안정성 사이의 모순을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또한, 중공 피스톤 로드를 이용함으로써, 중량의 감소가 실현될 수 있고, 중공 피스톤 로드에 의해 형성된 유체 채널은 유체가 피스톤 로드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진입하거나 배출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조절 방법은 간단하고, 높은 신뢰성, 낮은 비용, 및 빠른 응답 속도를 갖는다. 더욱이, 충격 흡수기 조립체는 진동의 결과로서 조인트들에서의 마모를 방지하고 조인트들에서의 액체 누설들을 가능한 많이 방지하기 위해 오일 통로들의 안정적인 연결들을 실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적인 양태들 및 이점들은 다음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주어지고, 다음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명백해지거나 또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를 통해 알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개략도이다.
참조 번호:
충격 흡수기 조립체(2), 충격 흡수기(200), 실린더(201), 상부 챔버(2011), 하부 챔버(2012), 제1 인터페이스(2013), 제2 인터페이스(2014), 피스톤(202), 피스톤 로드(203), 유체 채널(204), 스프링(205), 버퍼(206), 커버(207), 커넥터(208), 제3 인터페이스(2081), 제4 인터페이스(2082), 지지 부재(209) 및 고정 홀(2015).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고, 실시예들의 예들이 첨부 도면들에 도시되며, 여기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들을 갖는 요소들은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들로 표현된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예시적이고 본 개시내용을 설명하도록 의도되며, 본 개시내용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기 조립체(2)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충격 흡수기 조립체(2)는 차량에 사용되고, 충격 흡수기 조립체(2)는 차축과 차량의 차량 본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기 조립체(2)는 실린더(201), 피스톤(202) 및 피스톤 로드(203)를 포함한다. 실린더(201)의 베이스는 차축 또는 휠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01)의 베이스에는 고정 홀(2015)이 제공되고, 실린더(201)가 차축에 연결되도록 차축이 고정 홀(2015)을 통과한다.
피스톤(202)은 실린더(201) 내에 위치되어, 실린더(201)와 협력하여 상부 챔버(2011) 및 하부 챔버(2012)를 형성한다. 피스톤 로드(203)는 피스톤(202) 상에 배열되고, 피스톤 로드(203)는 차량 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유체 채널(204)은 피스톤 로드(203) 내에 배열된다. 유체 채널(204)의 상부 단부에는 유체 홀이 제공되고, 유체 채널(204)은 하부 챔버(2012)와 연통한다.
유체 홀은 외부 환경과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하부 챔버(2012) 내의 유체는 유체 채널(204)을 통해 외부 환경과 연통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은 유압 서스펜션 시스템을 포함한다. 유압 서스펜션 시스템은 액체 저장 디바이스를 갖는다. 액체 저장 디바이스 내의 유체는 유체 홀을 통해 유체 채널(204)에 진입할 수 있고, 또는 하부 챔버(2012) 내의 유체는 유체 홀을 통해 액체 저장 디바이스 내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피스톤 로드(203)는 중공 구조로 형성되어 유체 채널(204)을 형성하고, 유체는 유체 채널(204)을 통해 하부 챔버(2012)로 진입하도록 허용되어 피스톤(202)을 상향 이동하게 가압할 수 있으며, 피스톤(202)이 이동하여 피스톤 로드(203)를 이동하도록 가압한다.
피스톤 로드(203)가 외부 압력 하에서 하향 이동할 때, 하부 챔버(2012) 내의 유체는 유체 채널(204)로부터 배출되어 유압 오일 채널에 진입한다.
차량이 주행 동안 다양한 도로 상태들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의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은 일단 선택되면, 주행 중에 조절될 수 없고, 따라서 종래의 서스펜션은 자동차가 특정 도로 및 속도 조건 하에서 최적의 성능 매칭을 달성하는 것만을 보장할 수 있고, 단지 차량 본체 상에 지면의 작용력을 수동적으로 지탱할 수 있으나, 서스펜션 파라미터들이 상이한 도로들 및 속도들에 따라서는 변경될 수 없고, 차량 본체 상의 지면의 작용력은 능동적으로 제어될 수 없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기 조립체(2)는 차량에 적용되는데, 이는 차량 본체의 높이가 상승될 필요가 있을 때 유압 오일 채널 내의 유체가 하부 챔버(2012)에 진입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피스톤 로드(203)가 상향 이동하여 차량 본체를 들어올린다. 차량 본체가 외부 충격력을 받을 때, 피스톤 로드(203)는 충격력을 완충하기 위해 하향 이동할 수 있다.
차량의 주행 동안, 차축은 차량 본체에 대한 흔들림과 같은 진동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기 조립체(2)가 차량에 장착될 때, 실린더(201)는 차축 또는 휠에 장착되고, 피스톤 로드(203)는 차량 본체에 연결된다. 피스톤 로드(203)의 상단부는 차량 본체에 대해 정지적이고, 실린더(201)는 차축과 함께 피스톤 로드(203)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피스톤 로드(203)의 유체 채널(204)이 오일 통로들을 통해 외부 환경과 연통하도록 활성화될 수 있기 때문에, 오일 통로들의 조인트들에 대한 차축의 진동의 영향이 감소될 수 있고, 오일 통로들의 안정적인 연결들이 실현될 수 있으며, 외부 환경에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액체 저장 디바이스와 오일 통로들의 조인트들에서의 마모가 감소될 수 있고, 피스톤 로드(203)와 오일 통로들의 조인트들에서의 마모가 감소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의 충격 흡수기 조립체(2)에 따르면, 유체 채널(204)은 피스톤 로드(203) 내에 배열되어, 중량의 감소 및 비용 절감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유체 채널(204)은 하부 챔버(2012)와 연통하므로, 유체는 하부 챔버(2012)의 내부 및 외부로 유동하도록 허용되어, 피스톤 로드(203)의 위치는 차량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조절될 수 있고, 차량의 작동 안정성은 차량 안락성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개선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차량 안락성과 핸들링 안정성 사이의 모순을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더욱이, 충격 흡수기 조립체는 진동의 결과로서 조인트들에서의 마모를 방지하고 조인트들에서의 액체 누설들을 가능한 많이 방지하기 위해 오일 통로들의 안정적인 연결들을 실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인터페이스(2013)가 실린더(201)의 측벽 상에 추가로 형성되고, 제1 인터페이스(2013)는 실린더(201)의 상부 단부에 가깝게 배열되고 상부 챔버(2011)와 연통한다. 따라서, 제1 인터페이스(2013)가 제공되어, 제1 인터페이스(2013)는 외부 환경과 연통할 수 있다. 피스톤 로드(203)가 이동할 때, 상부 챔버(2011) 내의 유체는 제1 인터페이스(2013)를 통해 상부 챔버(2011)에 진입하거나 그로부터 배출되도록 허용될 수 있고, 이는 차량의 차량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체를 통한 피스톤 로드(203)의 위치의 조절을 더 용이하게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인터페이스(2014)가 실린더(201)의 측벽 상에 추가로 형성되고, 제2 인터페이스(2014)는 실린더(201)의 하부 단부에 가깝게 배열되고 하부 챔버(2012)와 연통한다. 따라서, 제2 인터페이스(2014)가 제공되어, 제2 인터페이스(2014)는 외부 환경과 연통할 수 있다. 피스톤 로드(203)가 이동할 때, 하부 챔버(2012) 내의 유체는 제2 인터페이스(2014)를 통해 하부 챔버(2012)에 진입하거나 하부 챔버로부터 배출되도록 허용될 수 있고, 이는 차량의 차량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체를 통한 피스톤 로드(203)의 위치의 조절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격 흡수기 조립체(2)는 버퍼(206)를 더 포함한다. 피스톤 로드(203)의 상부 단부는 실린더(201) 외부로 연장되고, 버퍼(206)는 피스톤 로드(203) 상에 슬리브 연결되고, 버퍼(206)는 차량 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피스톤 로드(203)의 상부 단부는 버퍼(206) 외부로 연장되고 차량 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개시내용의 충격 흡수기 조립체(2)가 차량에 장착될 때, 버퍼(206)는 차량 본체에 장착되고, 피스톤 로드(203)의 상부 단부는 차량 본체로부터 이격되어, 버퍼(206)의 배열을 통해 진동이 완충될 수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203)의 상부 단부가 버퍼(206) 외부로 연장되기 때문에, 피스톤 로드(203)의 상부 단부에 대한 차축의 진동의 영향이 더 감소되어, 진동으로 인한 조인트들에서의 마모를 더 방지하고, 조인트들에서의 액체 누설들을 가능한 많이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흡수기 조립체(2)는 커버(207)를 더 포함한다. 버퍼(206)는 커버(207)를 통해 차량 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커버(207)는 차량 본체와 연결되고, 버퍼(206)는 커버(207)와 실린더(201) 사이에 배열되어, 충격 흡수기 조립체(2)와 차량 본체 사이의 연결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커버(207)는 휠 커버이다. 휠 커버는 차량 상의 펜더(fender) 및 흙받이(mudguard)를 지칭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기존 부분이 커버(207)로서 사용되어 비용을 감소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흡수기 조립체(2)는 커넥터(208)를 더 포함한다. 커넥터(208)는 유체 채널(204)의 상부 단부와 연통하고 외부 환경과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커넥터(208)는 충격 흡수기 조립체(2)의 외부 환경으로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배열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캐비티(208)가 커넥터 내에 형성되고, 제3 인터페이스(2081) 및 제4 인터페이스(2082)가 커넥터(208) 상에 형성된다. 제3 인터페이스(2081) 및 제4 인터페이스(2082)는 모두 캐비티와 연통한다. 제3 인터페이스(2081)의 연장 방향은 제4 인터페이스(2082)의 연장 방향에 수직이다. 제3 인터페이스(2081)는 유체 채널(204)의 상부 단부와 연통하고, 제4 인터페이스(2082)는 외부 환경과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3 인터페이스(2081) 및 제4 인터페이스(2082)가 제공되어, 유체 채널(204) 외부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방향이 변경될 수 있고, 액체 저장 디바이스의 배열 위치 및 충격 흡수기 조립체(2)의 배열 위치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격 흡수기 조립체(2)는 스프링(205)을 더 포함한다. 스프링(205)은 버퍼(206)와 실린더(201) 사이에서 맞접한다. 따라서, 스프링(205)은 충격 흡수기 조립체(2)의 진동 흡수 효과를 더 개선하도록 배열된다.
선택적으로, 지지 부재(209)가 실린더(201) 상에 배열되고, 스프링(205)은 버퍼(206)와 지지 부재(209) 사이에서 맞접한다. 따라서, 지지 부재(209)는 스프링(205)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205)을 지지하도록 배열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지지 부재(209)는 실린더(201)의 주변 벽 상에 슬리브 연결될 수 있고, 지지 부재(209) 및 실린더(201)는 간섭 끼워맞춤 또는 용접을 통해 연결되어, 지지 부재(209)의 신뢰성 있는 고정을 보장할 수 있다.
제1 연결 포트 및 제2 연결 포트는 좌우 충격 흡수기들의 상호연결 또는 전후 충격 흡수기들의 상호연결을 실현하여, 롤 방지 또는 피치 방지 기능을 실현하도록 배열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좌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제1 연결 포트는 우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제2 연결 포트와 연통하여, 좌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상부 챔버는 우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하부 챔버와 연통한다. 좌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제2 연결 포트는 우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제1 연결 포트와 연통하여, 좌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하부 챔버는 우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상부 챔버와 연통한다.
유사하게, 좌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제1 연결 포트는 우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제2 연결 포트와 연통하여, 좌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상부 챔버는 우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하부 챔버와 연통한다. 좌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제2 연결 포트는 우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제1 연결 포트와 연통하여, 좌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하부 챔버는 우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상부 챔버와 연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좌우 충격 흡수기들의 연통이 실현되고, 그 후 롤 방지 기능이 실현된다.
구체적으로, 차량이 롤링하는 경향이 있을 때, 충격 흡수기의 측면이 압축되는데, 예를 들어 좌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 및 좌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가 압축된다. 이 경우, 좌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하부 챔버 내의 유체는 우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상부 챔버에 진입할 수 있고, 좌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하부 챔버 내의 유체는 우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상부 챔버에 진입할 수 있어, 우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피스톤 로드 및 우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피스톤 로드를 하강시켜 좌측 및 우측에서 일관된 높이를 실현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좌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제1 연결 포트는 좌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제2 연결 포트와 연통하고, 좌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제2 연결 포트는 좌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제1 연결 포트와 연통하여, 좌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상부 챔버는 좌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하부 챔버와 연통하고, 좌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하부 챔버는 좌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상부 챔버와 연통하고, 우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상부 챔버는 우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하부 챔버와 연통하고, 우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하부 챔버는 우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상부 챔버와 연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방 차축의 충격 흡수기들과 후방 차축의 충격 흡수기들 사이의 연통이 실현되어 피치 방지 기능을 실현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이 피칭하는 경향이 있을 때, 전방측 및 후방측의 피스톤 로드들 중 하나가 압축된다. 예를 들어, 좌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피스톤 로드 및 우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피스톤 로드가 압축된다. 좌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하부 챔버 내의 유체는 좌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상부 챔버 내로 유동할 수 있고, 우측 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하부 챔버 내의 유체는 우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상부 챔버 내로 유동할 수 있어, 좌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피스톤 로드 및 우측 후방 충격 흡수기 조립체의 피스톤 로드를 하강시켜 전방 및 후방에서 일관된 높이를 실현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본 개시내용의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따른 충격 흡수기 조립체(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대해, 차량 본체의 높이는 도로 상태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험준한 산악 도로를 통과할 때, 리프팅 모드가 활성화되어, 차량의 질량 중심을 상승시키고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주행 속도에 대한 차량 본체의 영향이 감소될 필요가 있을 때, 높이 감소 모드가 활성화되어 차량의 질량 중심을 낮출 수 있다. 분명히, 상기는 단지 단순히 예시적인 설명들이고, 차량 본체의 높이는 또한 주행 동안 실제 요건들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의 차량에 따르면, 차량 본체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고, 차량의 작동 안정성이 차량 안락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개선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차량 안락성과 핸들링 안정성 사이의 모순을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또한, 중공 피스톤 로드(203)를 이용함으로써, 중량의 감소가 실현될 수 있고, 중공 피스톤 로드(203)에 의해 형성된 유체 채널(204)은 피스톤 로드(203)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유체가 진입하거나 배출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조절 방법은 간단하고, 높은 신뢰성, 낮은 비용, 및 빠른 응답 속도를 갖는다. 더욱이, 충격 흡수기 조립체는 진동의 결과로서 조인트들에서의 마모를 방지하고 조인트들에서의 액체 누설들을 가능한 많이 방지하기 위해 오일 통로들의 안정적인 연결들을 실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설명에서, "중심", "종방향", "횡방향", 길이", "폭", "두께", "위", "아래", "전방", "후방", "좌측", "우측", "수직", "수평", "상부", "저부", "내부" 및 "외부",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축방향",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과 같은 용어에 의해 나타낸 배향 또는 위치 관계들은 첨부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는 배향 또는 위치 관계들에 기초하고, 언급된 디바이스 또는 요소가 특정 배향을 가져야 하거나 특정 배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거나 암시하기보다는, 단지 본 개시내용의 설명의 용이성 및 간결성을 위해서 사용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들은 본 개시내용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게다가, 용어들 "제1" 및 "제2"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상대적 중요성을 표시하거나 암시하거나 표시된 기술적 특징들의 수를 암시적으로 지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따라서, "제1" 또는 "제2"에 의해 제한되는 특징은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설명에 있어서, "다수"는 달리 명확하게 구체적으로 정의되지 않으면, 2개 초과를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특정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장착", "연결하다", "연결", 및 "고정"과 같은 용어들은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연결은 고정 연결, 탈착식 연결 또는 일체형 연결일 수도 있고; 또는 연결은 기계적 연결 또는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고; 또는 연결은 직접 연결,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 연결, 2개의 요소 사이의 내부 연통, 또는 2개의 요소 사이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도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대해, 본 개시내용에서의 상기 용어들의 특정 의미들은 특정 상황들에 따라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특정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제2 특징의 "위" 또는 "아래"에 있는 제1 특징은 제1 특징과 제2 특징 사이의 직접 접촉, 또는 중간 매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제1 특징과 제2 특징 사이의 간접 접촉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 "위로", "위에", 및 "상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 바로 위에 또는 비스듬히 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단순히 제1 특징이 제2 특징보다 높은 수평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아래", "하부" 또는 "밑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아래 또는 비스듬히 아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단순히 제1 특징이 제2 특징보다 더 낮은 수평 위치에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들", "예", "특정 예" 또는 "일부 예들"과 같은 참조 용어들의 설명은 실시예 또는 예와 조합하여 설명된 특정 특징들, 구조들, 재료들, 또는 특성들이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위의 용어들의 개략적인 설명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에 관한 것은 아니다. 그 외에도,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임의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 또는 예에서 적절한 방식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상이한 실시예들 또는 예들과 상이한 실시예들 또는 예들의 특징들을,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통합 또는 조합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위에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상기 실시예들은 예시적이고 본 개시내용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내용의 범주 내에서 상기 실시예들에 대한 변경들, 수정들, 대체들 또는 변형들을 행할 수도 있다.

Claims (11)

  1. 충격 흡수기 조립체로서,
    실린더 - 상기 실린더의 베이스는 차축 또는 휠에 연결되도록 구성됨 -;
    상기 실린더와 협력하여 상부 챔버 및 하부 챔버를 형성하도록 상기 실린더 내에 위치된 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 - 상기 피스톤 로드는 상기 피스톤 상에 배열되고 차량 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유체 채널이 상기 피스톤 로드 내에 배열되고, 상기 유체 채널의 상부 단부에는 유체 홀이 제공되며, 상기 유체 홀은 외부 환경과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체 채널은 상기 하부 챔버와 연통하며, 상기 하부 챔버 내의 유체는 상기 유체 채널을 통해 상기 외부 환경과 연통함 - 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측벽 상에 제1 인터페이스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상기 실린더의 상부 단부에 가깝게 배열되고 상기 상부 챔버와 연통하는, 충격 흡수기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측벽 상에 제2 인터페이스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실린더의 하부 단부에 가깝게 배열되고 상기 하부 챔버와 연통하는, 충격 흡수기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부 단부는 상기 실린더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버퍼는 상기 피스톤 로드 상에 슬리브 연결되고, 상기 버퍼는 상기 차량 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부 단부는 상기 버퍼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차량 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충격 흡수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는 상기 커버를 통해 상기 차량 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충격 흡수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휠 커버인, 충격 흡수기 조립체.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유체 채널의 상부 단부와 연통하고 외부 환경과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충격 흡수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내에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상에 제3 인터페이스 및 제4 인터페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4 인터페이스는 모두 상기 캐비티와 연통하고, 상기 제3 인터페이스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4 인터페이스의 연장 방향에 수직이고, 상기 제3 인터페이스는 상기 유체 채널의 상부 단부와 연통하고, 상기 제4 인터페이스는 상기 외부 환경과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충격 흡수기 조립체.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버퍼와 상기 실린더 사이에서 맞접하는, 충격 흡수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상에 지지 부재가 배열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버퍼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서 맞접하는, 충격 흡수기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충격 흡수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247006895A 2021-12-30 2022-12-30 충격 흡수기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차량 KR202400348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3448219.2U CN217603249U (zh) 2021-12-30 2021-12-30 减振器总成及具有其的车辆
CN202123448219.2 2021-12-30
PCT/CN2022/143873 WO2023125925A1 (zh) 2021-12-30 2022-12-30 减振器总成及具有其的车辆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862A true KR20240034862A (ko) 2024-03-14

Family

ID=8356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6895A KR20240034862A (ko) 2021-12-30 2022-12-30 충격 흡수기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40034862A (ko)
CN (1) CN217603249U (ko)
AU (1) AU2022429315A1 (ko)
WO (1) WO20231259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7603249U (zh) * 2021-12-30 2022-10-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减振器总成及具有其的车辆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4065817A1 (ja) * 2003-01-17 2006-05-1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用油圧式緩衝器
JP5015309B2 (ja) * 2009-11-24 2012-08-29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用油圧式緩衝器
CN101968093B (zh) * 2010-10-11 2012-01-25 支绍华 一种液压缓冲器
CN207349355U (zh) * 2017-11-06 2018-05-1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悬架系统的频率相关弹簧振子减振器
CN108266484B (zh) * 2018-01-17 2021-02-23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减振器及具有其的车辆
CN217603249U (zh) * 2021-12-30 2022-10-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减振器总成及具有其的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429315A1 (en) 2024-04-04
CN217603249U (zh) 2022-10-18
WO2023125925A1 (zh)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02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bound control
RU2612757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вески кабины водителя со стабилизацией поперечных колебаний вокруг продольной оси
CN102619927A (zh) 车辆振动装置、车辆座椅或乘客舱或车辆驾驶室
KR20240034862A (ko) 충격 흡수기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차량
US3895820A (en) Vehicle-height control device
KR102320225B1 (ko) 전장 및 감쇠력 조절식 역립식 에어서스펜션
JP2002370515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4989387B2 (ja) 車両用軸ばねシステム
KR20080008031A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20020045826A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KR100579227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253459B1 (ko) 2중 스프링 구조의 댐핑장치
KR20030013719A (ko) 유체 봉입형 서스펜션 부시
KR200150272Y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0215348Y1 (ko) 유압식(油壓式) 연동(連動) 현가장치
KR100229273B1 (ko) 소형화물차의 시트 유동 방지 장치
CN117048274A (zh) 主动液压互联悬架
JP3183866U (ja) 車高調整装置
KR20090052046A (ko) 서스펜션 부시
KR200187362Y1 (ko) 자동차용 리어로어암의 고정구조
JPH02293212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6342906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9980046753U (ko) 자동차 시트의 평형유지 장치
KR19980075220A (ko) 코너링시 차량 편중을 방지하는 쇽업소버 보정장치
KR970000629A (ko) 자동차의 피칭 (pitching) 방지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