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432B1 - 연료공급모듈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연료공급모듈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432B1
KR100991432B1 KR1020090009349A KR20090009349A KR100991432B1 KR 100991432 B1 KR100991432 B1 KR 100991432B1 KR 1020090009349 A KR1020090009349 A KR 1020090009349A KR 20090009349 A KR20090009349 A KR 20090009349A KR 100991432 B1 KR100991432 B1 KR 100991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coupling
supply module
protrud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072A (ko
Inventor
오관범
신석호
Original Assignee
현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9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432B1/ko
Publication of KR20100090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17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related to fuel pipes or their connections, e.g. joints or 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공급모듈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탱크에 내입되어 연료탱크 내에 저수되어 있는 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모듈에 있어서, 기존에 탄성부재가 외주연에 권취되어 있는 연결파이프를 사용하여 플레이트부와 리저브컵 상호간의 연결하는 구조를, 연결파이프를 삭제하고 플레이트부와 리저브컵에 제 1, 2결합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2결합부재에 탄성부재 양단이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리저브컵 내부에 삽입되는 연결파이프 일단에 결합되어 연료공급모듈의 전체길이를 결정하는 고정링 대신, 플레이트부와 리저브컵에 후크부와 고정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후크부가 고정부재에 내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연료공급모듈의 부품수 절감 및 그로 인한 제작공정의 단순화와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연료공급모듈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연료공급모듈, 플레이트부, 리저브컵, 탄성부재, 연료탱크

Description

연료공급모듈 결합구조{COMBINED STRUCTURE OF FUEL SUPPLY MODULE}
본 발명은 연료공급모듈을 구성하는 플레이트부와 리저브컵 상호간 연결에 기존의 연결파이프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여, 부품수의 절감을 꾀할 수 있도록 한 연료공급모듈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연료공급모듈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료탱크 내부에 조립되어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하고 연료량을 운전자에게 지시하는 기능을 하는 연료공급모듈은, 상부의 플레이트부(100)와 하부의 리저브컵(110)이 연결파이프(130)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상기 연료공급모듈은 플레이트부(100)가 연료탱크에 형성되어 있는 탱크 조립홀에 조립이 되어 고정되고, 연료공급모듈의 리저브컵(110)은 연료탱크 내부 바닥면에 지지된다.
리저브컵(110) 내부 및 외부에는 연료펌프, 압력조절밸브, 연료필터, 연료게이지 등이 조립되어 있어, 연료공급모듈은 연료탱크 내부의 특정위치에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처럼, 리저브컵(110)이 특정위치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연료탱크에 형성된 연료탱크 조립홀에 고정되어 있는 플레이트부(100)와 리저브컵(110)의 연결방식에 따라 고정된다.
단순한 연결파이프(130)의 조립/연결로 리저브컵(110)은 탱크 바닥면에 지지가 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연결파이프(130)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20)를 추가로 조립하여, 리저브컵(110) 또는 리저브컵(110)과 조립된 리저브컵 커버(111)를 탄성부재(1200의 텐션으로 연료탱크의 바닥면과 항상 접촉, 지지가 되게끔 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료공급모듈은 탄성부재(120)를 결합하고 있는 연결파이프(130) 외에, 리저브컵(110) 내부에 내입되는 연결파이프(130)의 일단에 고정링(Stop Ring)(140)을 결합하여 연료공급모듈의 전체 전장을 결정하도록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성요소가 증가되고 그로 인해 연료공급모듈의 제조원가와 제조공정수 및 제조시간이 증가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프링과 연결파이프 및 연료공급모듈의 전체 전장을 결정하기 위해 고정링을 사용하는 종래의 연료공급모듈에서, 연결파이프를 리저브컵 내부에 압입하는 방식을 비롯하여, 연결파이프에 권취된 탄성부재가 연결파이프가 리저브컵에서 탈거됨으로 인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료공급모듈의 전체 전장을 결정하는 고정링 및 연료공급모듈의 구성요소인 리저브컵과 플레이트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파이프를 삭제하여, 연료공급모듈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연료공급모듈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첫 번째 실시예로, 연료탱크의 상부면에 수평 또는 경사각을 이루며 결합되고, 저면으로 복수개의 제 1결합부재를 돌출형성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단에서, 연료탱크의 저면에 하부면이 접촉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 1결합부재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 2결합부재를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하는 커버를 상단에 결합하는 리저브컵과; 상기 제 1, 2결합부재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플레이트부와 리저브컵 상호간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와; 상기 커버의 상면에 돌출형성되며, 길이방향을 향해 내부 동공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저면에서 복수개의 고정부재와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후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 번째 실시예로, 연료탱크의 상부면에 수평 또는 경사각을 이루며 결합되고, 저면으로 복수개의 제 1결합부재를 돌출형성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단에서, 연료탱크의 저면에 하부면이 접촉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 1결합부재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 2결합부재를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하는 커버를 상단에 결합하는 리저브컵과; 상기 제 1, 2결합부재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플레이트부와 리저브컵 상호간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와; 상기 제 2결합부재를 내입한 채로, 커버의 상면에 돌출형성되며, 길이방향을 향해 내부 동공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와; 상기 제 1결합부재를 내입한 채로, 플레이트부의 저면에서 복수개의 고정부재와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후크부;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결합부재는 상호간 대응되는 일단에 제 1, 2돌기를 각각 돌출형성하며, 상기 제 1, 2돌기가 탄성부재의 양단에 내입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탄성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결합부재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향해 제 1, 2내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이 제 1, 2결합부재의 내입공에 각각 일정길이 내입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탄성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크부는 연료펌프의 내부 저면에 리저브컵이 접촉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부를 하강시켜 탄성부재를 압축할 시, 상기 고정부재의 내부 동공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내입되어 결합하되, 상기 후크부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고리부가 고정부재의 외주연에 천공형성되어 있는 걸림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여, 플레이트부에 일단이 위치 고정되어 있는 탄성부재의 타단이 리저브컵을 연료탱크의 저면을 향해 밀어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료공급모듈을 구성하는 플레이트부와 리저브컵의 상호연결에 연결파이프와 고정링을 삭제하고 탄성부재만을 사용하여 이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연료공급모듈의 구성에 비해 부품수가 절감되고 그로 인하여 작업공구와 원가가 절감됨과 동시에, 제작시간 및 제작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공급모듈 결합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공급모듈 결합구조는 연료공급모듈을 구성하는 플레이트부와 리저브컵의 상호 연결구조를 개선한 연료공급모듈 결합구조 에 관한 것으로, 플레이트부(10), 리저브컵(20), 탄성부재(30), 고정부재(40), 후크부(50), 제 1, 2결합부재(60, 70), 제 1, 2돌기(61, 71), 제 1, 2내입공(62, 72)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공급모듈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를 연료펌프에 적용시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료공급모듈은 상부에 위치되는 플레이트부(10)와, 상기 플레이트부(10)의 하단에 위치되어 연결되는 리저브컵(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부(10)와 리저브컵(20)은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30)에 의해 상호간 연결되며, 연료탱크(8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연료탱크(80) 내 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레이트부(10)는 후술 될 리저브컵(20)을 연료탱크(80)에 내입한 후, 연료탱크(80)에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탱크 조립홀(81)과 수평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10)는 저면을 향해(리저브컵(20)을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 1결합부재(60)를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제 1결합부재(60)의 일단에는 제 1결합부재(6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 1돌기(61)가 돌출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10)는 복수개의 제 1결합부재(60)의 외측 각각에 후크부(50)를 형성하는데, 상기 후크부(50)는 상기 제 1결합부재(60)와 마찬가지로 플레이트부(10)의 저면을 향해 돌출형성되도록 하되, 일단 외주연에는 고리부(51) 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리저브컵(20)은 내부에 연료펌프 및 연료필터와 같은 구성요소가 내입 설치되도록 내부에 일정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며, 개구된 상부를 밀폐하기 위해 상측에 커버(21)를 고정결합한다. 또한, 상기 커버(21)에는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제 2결합부재(70)를 돌출형성하는데, 상기 복수개의 제 2결합부재(70)는 플레이트부(10)의 복수개 제 1결합부재(60)와 각각 마주보며 대응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결합부재(70)의 일단에는 제 2결합부재(7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직경을 가지며 제 1돌기(61)와 마주보며 대응되는 제 2돌기(71)를 각각 돌출형성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커버(21)에는 제 2결합부재(70)와 마찬가지로,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40)를 형성하도록 하는데, 상기 고정부재(40)는 길이방향으로 향해 내부에 동공(42)이 천공형성되도록 하고, 외주연에는 후술 될 고리부(51)가 걸리도록 걸림홀(41)을 천공형성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고정부재(40)는 후크부(50)와 대응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플레이트부(10)와 리저브컵(20)을 상호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부재(30)의 일단은 제 1돌기(61)를 내입하며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은 제 2돌기(71)를 내입하며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제 1, 2돌기(61, 71)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플레이트부(10)와 리저브컵(20) 상호간을 연결하도록 한다. 물론, 탄성부재(30)는 탄성부재(30) 자체가 지니고 있는 탄성력에 의해 상, 하로 유동되어 압축 및 인장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은 플레이트부(10)와 리저브컵(20)을 연료탱크(80) 내부에 설치시, 리저브컵(20)을 연료탱크(80)에 내입하되, 상기 플레이트부(10)를 하단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플레이트부(10)의 하강에 의해 탄성부재(30)가 압축하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30)의 압축에 의해 탄성부재(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있는 리저브컵(20)이 하단으로 밀리게 되어, 상기 리저브컵(20)의 바닥이 연료탱크(80) 내부 저면과 접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부(10)는 하강하면서 고리부(51)가 형성된 후크부(50)의 일단이 내부 동공(42)을 가지는 고정부재(40)에 대응되며 끼워지게 되고, 일정길이 내입 후, 상기 후크부(50) 외주연에 돌출형성된 고리부(51)가 고정부재(40)의 외주연에 천공된 걸림홀(41)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부(10)와 리저브컵(20)이 고정되는 것이다. 즉, 상기 후크부(50)의 고리부(51)가 걸림홀(41)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연료공급모듈의 전체 전장(H)이 결정되는 것이다. (이는 도 5를 참조로 후술 될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공급모듈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부(10)는 저면을 향해 복수개의 제 1결합부재(60)를 돌출형성하되, 상기 제 1결합부재(60)는 길 이방향으로 향해 내부에 제 1내입공(62)을 천공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10)는 저면을 향해 복수개의 후크부(50)를 돌출형성하도록 하는데, 상기 후크부(50)는 제 1결합부재(60)를 내입한 채로(이를 위해, 상기 후크부(5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홀(52)을 천공형성하고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저면을 향해 연장형성되고 일단 외주연에 고리부(51)를 돌출형성하도록 한다. (물론,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리부(51)는 외주연 둘레 전체에 걸쳐 단일개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개로 나뉘어져 상호간 이격되며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 고리부(51)의 형태에 따라 고리부(51)가 끼워지는 고정부재(40)의 걸림홀(41) 또한 그와 대응되는 형태로 천공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리저브컵(20)은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21)에, 제 1결합부재(60)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 2결합부재(70)를 상부로 돌출형성하며, 상기 제 2결합부재(70) 또한, 제 1결합부재(60)와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으로 향해 제 2내입공(72)을 천공형성한다. 또한, 상기 커버(21)에는 제 2결합부재(70)를 내입한 채로, 상부를 향해 연장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40)를 돌출형성하며(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재(4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동공(42)을 천공형성하고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고정부재(40)의 일단 외주연에는 상기 후크부(50)의 고리부(51)가 끼워지는 걸림홀(41)을 천공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일단이 제 1결합부재(60)의 제 1내입공(62)에 내입 고 정되고, 타단이 제 2결합부재(70)의 제 2내입공(72)에 내입 고정되어, 플레이트부(10)와 리저브컵(20)을 상호간 연결한다.
즉, 두 번째 실시예에서는 후크부(50)가 제 1결합부재(60)를 내입하고 있고, 고정부재(40)는 제 2결합부재(70)를 내입하고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단이 제 1, 2결합부재(60, 70)에 고정되는 탄성부재(30)가, 제 1, 2결합부재(60, 70)의 제 1, 2내입공(62, 72)에 양단이 내입고정되면서 1차적으로 고정 및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고, 더불어, 제 1, 2결합부재(60, 70)를 감싸는 형태로 상호간 체결되는 상기 후크부(50)와 고정부재(40)로 인해 2차적으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공급모듈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플레이트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의 또 다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 번째 실시예는 상기 도 2의 첫번째 실시예나, 도 5의 두 번째 실시예와 구성은 동일하되, 상기 도 2에서처럼 후크부(50)가 복수개로 형성되고, 고정부재(40)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후크부(50)가 내부에 내부 동공(42')을 형성하여 원형 단면을 가지며 플레이트부(10)의 저면에 돌출형성되고, 고정부재(40) 또한 상기 후크부(50)와 동일하게 내부에 동공(42)을 형성하며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커버(21)의 상면에 돌출형성된다.
또한, 도 2 또는 도 5와 같이, 후크부(50)가 고정부재(40)에 내입되는 형태가 아닌, 고정부재(40)가 후크부(50)의 내부 동공(42')에 내입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재(40)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고리부(51)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후크부(50)의 외주연에는 고리부(51)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걸림홀(41)을 천공형성하여, 상기 다수개의 걸림홀(41)이 고리부(51)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해, 도 6 내지 도 8에서 보인 세번째 실시예는, 도 2의 첫번째 실시예 및 도 5의 두번째 실시예와는 달리, 고정부재(40)가 후크부(50)에 내입되는 형태이며, 또한, 고리부(51)가 고정부재(40)에 형성되고, 걸림홀(41)이 후크부(50)에 형성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에서 설명된 걸림홀(41)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천공길이(H)가 자유롭게 조절됨은 당연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연료공급모듈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공급모듈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2를 연료펌프에 적용시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공급모듈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공급모듈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
도 7은 도 6의 플레이트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사시도.
도 9는 도 6의 또 다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표시>
10: 플레이트부 20: 리저브컵
21: 커버 30: 탄성부재
40: 고정부재 41: 걸림홀
42, 42': 동공 50: 후크부
51: 고리부 52: 홀
60: 제 1결합부재 61: 제 1돌기
62: 제 1내입공 70: 제 2결합부재
71: 제 2돌기 72: 제 2내입공
80: 연료탱크 81: 탱크 조립홀

Claims (7)

  1. 연료탱크(80)의 상부면에 수평 또는 경사각을 이루며 결합되고, 저면으로 복수개의 제 1결합부재(60)를 돌출형성하는 플레이트부(10)와;
    상기 플레이트부(10)의 하단에서, 연료탱크(80)의 저면에 하부면이 접촉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 1결합부재(60)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 2결합부재(70)를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하는 커버(21)를 상단에 결합하는 리저브컵(20)과;
    상기 제 1, 2결합부재(60, 70)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플레이트부(10)와 리저브컵(20) 상호간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30)와;
    상기 커버(21)의 상면에 돌출형성되며, 길이방향을 향해 내부 동공(42)을 천공형성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40)와;
    상기 플레이트부(10)의 저면에서 복수개의 고정부재(40)와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후크부(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모듈 결합구조.
  2. 연료탱크(80)의 상부면에 수평 또는 경사각을 이루며 결합되고, 저면으로 복수개의 제 1결합부재(60)를 돌출형성하는 플레이트부(10)와;
    상기 플레이트부(10)의 하단에서, 연료탱크(80)의 저면에 하부면이 접촉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 1결합부재(60)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 2결합부재(70)를 상 부를 향해 돌출형성하는 커버(21)를 상단에 결합하는 리저브컵(20)과;
    상기 제 1, 2결합부재(60, 70)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플레이트부(10)와 리저브컵(20) 상호간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30)와;
    상기 제 2결합부재(70)를 내입한 채로, 커버(21)의 상면에 돌출형성되며, 길이방향을 향해 내부 동공(42)을 천공형성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40)와;
    상기 제 1결합부재(60)를 내입한 채로, 플레이트부(10)의 저면에서 복수개의 고정부재(40)와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후크부(50);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모듈 결합구조.
  3. 연료탱크(80)의 상부면에 수평 또는 경사각을 이루며 결합되고, 저면으로 복수개의 제 1결합부재(60)를 돌출형성하는 플레이트부(10)와;
    상기 플레이트부(10)의 하단에서, 연료탱크(80)의 저면에 하부면이 접촉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 1결합부재(60)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 2결합부재(70)를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하는 커버(21)를 상단에 결합하는 리저브컵(20)과;
    상기 제 1, 2결합부재(60, 70)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플레이트부(10)와 리저브컵(20) 상호간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30)와;
    상기 커버(21)의 상면에 돌출형성되며, 길이방향을 향해 내부 동공(42)을 천공형성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플레이트부(10)의 저면에서 고정부재(40)의 내부 동공(42)에 내입되도록 돌출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향해 내부 동공(42')을 형성하는 후크부(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모듈 결합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결합부재(60, 70)는 상호간 대응되는 일단에 제 1, 2돌기(61, 71)를 각각 돌출형성하며, 상기 제 1, 2돌기(61, 71)가 탄성부재(30)의 양단에 내입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탄성부재(3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모듈 결합구조.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결합부재(60, 70)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향해 제 1, 2내입공(62, 72)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부재(30)의 양단이 제 1, 2결합부재(60, 70)의 제 1, 2내입공(62, 72)에 각각 일정길이 내입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탄성부재(3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모듈 결합구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50)는 연료펌프의 내부 저면에 리저브컵(20)이 접촉될 수 있도 록 플레이트부(10)를 하강시켜 탄성부재(30)를 압축할 시, 상기 고정부재(40)의 내부 동공(42)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내입되어 결합하되, 상기 후크부(50)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고리부(51)가 고정부재(40)의 외주연에 천공형성되어 있는 걸림홀(41)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여, 플레이트부(10)에 일단이 위치 고정되어 있는 탄성부재(30)의 타단이 리저브컵(20)을 연료탱크(80)의 저면을 향해 밀어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모듈의 결합구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는 연료펌프의 내부 저면에 리저브컵(20)이 접촉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부(10)를 하강시켜 탄성부재(30)를 압축할 시, 상기 후크부(50)의 내부 동공(42')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내입되어 결합하되, 상기 고정부재(40)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고리부(51)가 후크부(50)의 외주연에 천공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걸림홀(41)에 대응되며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여, 플레이트부(10)에 일단이 위치 고정되어 있는 탄성부재(30)의 타단이 리저브컵(20)을 연료탱크(80)의 저면을 향해 밀어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모듈의 결합구조.
KR1020090009349A 2009-02-05 2009-02-05 연료공급모듈 결합구조 KR100991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349A KR100991432B1 (ko) 2009-02-05 2009-02-05 연료공급모듈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349A KR100991432B1 (ko) 2009-02-05 2009-02-05 연료공급모듈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072A KR20100090072A (ko) 2010-08-13
KR100991432B1 true KR100991432B1 (ko) 2010-11-02

Family

ID=4275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349A KR100991432B1 (ko) 2009-02-05 2009-02-05 연료공급모듈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4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660B1 (ko) 1997-08-25 1999-12-15 정몽규 자동차 연료 탱크용 리저버의 평행유지 장치
KR100513472B1 (ko) 2003-08-11 2005-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연료유동음 감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660B1 (ko) 1997-08-25 1999-12-15 정몽규 자동차 연료 탱크용 리저버의 평행유지 장치
KR100513472B1 (ko) 2003-08-11 2005-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연료유동음 감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072A (ko) 201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5951B2 (ja) 逆止弁、高圧を案内する構成部分および燃料高圧ポンプ
CN108700007B (zh) 燃料供给装置
JP2019031975A (ja) 燃料噴射システム用の燃料高圧ポンプ
KR100991432B1 (ko) 연료공급모듈 결합구조
KR100931545B1 (ko) 케미컬 관체 고정장치
CN205824064U (zh) 一种链条张紧器
US9540269B2 (en) Manifold bracket assembly for a modular encapsulated water treatment system
JP5851942B2 (ja) 高圧ポンプ
RU120695U1 (ru) Модуль клапана обратного
CN205503888U (zh) 液压张紧器链条导轨
US20210095626A1 (en) High pressure fuel pump
JP4484645B2 (ja) 流体濾過フィルタの安全装置
JP4742150B2 (ja) 吸引ディーゼルユニットとポンプモジュールにおける上昇した第一充填弁
CN205971209U (zh) 安全带导向罩与钣金件的连接结构
CN203115000U (zh) 一种弹簧减震机构
CN209839288U (zh) 一种液压电磁阀阀套
CN214092105U (zh) 一种燃油滤清器总成
CN219453617U (zh) 润滑油过滤器及具有该润滑油过滤器的润滑泵
KR101052007B1 (ko) 연료필터용 퀵 커넥터
RU4303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заряда
KR102586682B1 (ko) 퀵 커넥터
CN205145776U (zh) 一种滤芯的安全阀结构
CN109826732B (zh) 低压外置泵总成
CN208619254U (zh) 一种可提高过滤杂质效果的柴油滤清器
CN112628043A (zh) 一种燃油滤清器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