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843A - 인쇄용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인쇄용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843A
KR19990013843A KR1019980028365A KR19980028365A KR19990013843A KR 19990013843 A KR19990013843 A KR 19990013843A KR 1019980028365 A KR1019980028365 A KR 1019980028365A KR 19980028365 A KR19980028365 A KR 19980028365A KR 19990013843 A KR19990013843 A KR 19990013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cartridge
case
recording member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8642B1 (ko
Inventor
도시유끼 야마모또
히데노리 기노우찌
Original Assignee
가따오까 마사따까
알프스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따오까 마사따까, 알프스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따오까 마사따까
Publication of KR19990013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2/00Ink-ribbon cartridges
    • B41J32/02Ink-ribbon cartridges for endless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32Detachable carriers or holders f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5/00Other apparatu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or incorporated in, ink-ribbon mechanisms
    • B41J35/28Detachable carriers or holders for ink-ribbon mechanisms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Abstract

종래의 카트리지는 수상테이프가 롤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테이프 공급스풀에 감겨서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후의 수상테이프가 롤형상으로 컬된 감은 자국이 남아 수상테이프의 박리테이프를 박리할 때 혹은 박리테이프를 박리한 후, 소정 장소에 붙일 때에 경사지거나 하여 취급이 번거로웠기 때문에, 본 발명의 카트리지 (K) 는 기록부재 (16) 를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평탄한 상태로 제 2 케이스 (12) 에 수납하여 기록후의 기록부재에 컬 등의 감은 자국이 발생하지 않으며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인쇄용 카트리지
본 발명은 인쇄용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멀헤드를 이용하여 기록을 행하는 열기록장치에 사용하는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롤형상으로 감긴 기다란 라벨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상테이프와, 잉크리본을 동일 케이스내에 수납한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상기 수상테이프에 잉크리본의 잉크를 전사하여 기록하는 라벨제작용 기록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카트리지와 기록장치에 대하여 도 7, 도 8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종래의 카트리지 (R) 는 도 7 의 요부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형이 대략 장방형인 케이스 (1) 의 주위에 측벽 (1a) 이 형성되며, 이 측벽 (1a) 에 의해 케이스 (1) 의 내부가 차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 우상측에 대략 ㄷ자형으로 잘려진 헤드삽입 오목부 (1b) 가 형성되며, 이 헤드삽입 오목부 (1b) 의 좌측 상부에 테이프 반출구 (1c) 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삽입 오목부 (1b) 의 상부 우측에 테이프 배출구 (1d) 가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 우측의 측벽 (1a) 에는 2 개의 개구를 구비한 리본 위치맞춤부 (1e)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헤드삽입 오목부 (1b) 의 좌측 케이스 (1) 내부의 도시 상방의 하면에는 대략 반원형의 테이프 되감기창 (1f) 이 개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헤드삽입 오목부 (1b) 의 좌측에는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롤형상으로 기다란 수상테이프 (2) 를 감은 테이프 공급스풀 (3) 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공급스풀 (3) 의 하부에는 외주에 복수의 기어를 가지는 기어 플레이트 (3a)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상테이프 (2) 는 테이프 반출구 (1c) 에서 헤드삽입 오목부 (1b) 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삽입 오목부 (1b) 에서 화상기록된 수상테이프 (2) 가 테이프 배출구 (1d) 를 통과하여 카트리지 (R) 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헤드삽입 오목부 (1b) 의 하방에는 원하는 색의 잉크가 도포된 잉크리본 (4) 을 감은 리본 공급스풀 (5) 과, 이 리본 공급스풀 (5) 에서 풀려나오는 잉크리본 (4) 을 감는 리본 감기스풀 (6) 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잉크리본 (4) 은 테이프 반출구 (1c) 에서 인출되어 상기 헤드삽입 오목부 (1d) 로 반송되고, 후술하는 서멀헤드 (7) 에 의해 수상테이프 (2) 로 잉크가 전사되어 화상기록된다.
그리고, 기록 종료후의 사용이 끝난 잉크리본 (4) 이 테이프 배출구 (1d) 에서 케이스 (1) 의 내부로 다시 들어가서, 상기 리본 위치맞춤부 (1e) 에 의해 일시적으로 외부로 인출되고 나서 리본 감기스풀 (6) 에 감긴다.
또한, 상기 리본 위치맞춤부 (1e) 는, 잉크리본 (4) 이 컬러인 경우에 최초로 인쇄를 개시하는 색을 외부에서 확인하여, 원하는 색의 인쇄 스타트 위치를 위치결정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카트리지 (R) 를 사용하여 수상테이프 (2) 에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장치 (도시생략) 에는 상기 카트리지 (R) 를 장착하는 카세트 장착부 (도시생략) 등이 형성되어 있다.
이 카세트 장착부에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열부 (7a) 를 가지는 회동가능한 서멀헤드 (7), 플래튼 롤러 (8), 되감기 기어 (9) 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카세트 장착부에 카트리지 (R) 를 장착하면, 카트리지 (R) 의 헤드삽입 오목부 (1b) 에 서멀헤드 (7) 가 위치하고, 헤드삽입 오목부 (1b) 의 도시 상부 외측에서, 상기 서멀헤드 (7) 와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가능한 플래튼 롤러 (8)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1) 의 테이프 되감기창 (1f) 에, 외주에 복수의 기어가 형성된 테이프 되감기 기어 (9) 가 위치하며, 이 테이프 되감기 기어 (9) 가 테이프 공급스풀 (3) 의 기어 플레이트 (3a) 의 기어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잉크리본 (4) 에 컬러리본을 사용하여 컬러화상을 기록할 때에, 상기 테이프 공급스풀 (3) 의 기어 플레이트 (3a) 의 기어에 맞물려 있는 테이프 되감기 기어 (9) 를 회전구동시킨다. 그리고, 최초의 색의 잉크를 전사하여 기록한 화상테이프 (2) 를 일단 되감아서, 상기 최초의 색의 잉크를 전사한 다음에 다른 색의 잉크리본의 잉크를 반복해서 겹쳐 기록하여 원하는 색의 컬러화상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의 기록장치의 카세트 장착부에 카트리지 (R) 를 올려놓고,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상테이프 (2) 와 잉크리본 (4) 을 겹친 상태에서 서멀헤드 (7) 와 플래튼 롤러 (8) 사이로 안내한다.
그리고, 서멀헤드 (7) 를 회동시켜 수상테이프 (2) 와 잉크리본 (4) 을 발열부 (7a) 에서 플래튼 롤러 (8) 에 가압하고, 서멀헤드 (7) 의 발열부 (7a) 를 제어하여 플래튼 롤러 (8) 를 회전시켜 수상테이프 (2) 와 잉크리본 (4) 을 테이프 배출구 (1d) 측으로 보내면서 잉크리본 (7) 의 잉크를 수상테이프 (2) 에 전사하여 수상테이프 (2) 에 원하는 화상을 기록한다.
이와 같은 기록장치는 특히 가늘고 긴 라벨 등의 인쇄에 적합하여 널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카트리지 (R) 는, 수상테이프 (2) 가 롤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테이프 공급스풀 (3) 에 감겨서 케이스 (1) 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후의 수상테이프 (2) 가 롤형상으로 컬된 감은 자국이 남아서 수상테이프 (2) 의 박리테이프를 박리할 때 혹은 박리테이프를 박리한 후, 소정 장소에 붙일 때에 경사지거나 하여 취급이 번거로웠다.
또한, 수상테이프 (2) 가 롤형상의 긴 것이기 때문에, 수상테이프 (2) 에 원하는 문자 등을 기록한 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해야만 했었다. 따라서, 기록장치에 테이프 절단기구를 장착해야만 했기 때문에 기록장치가 고가로 되었다.
또한, 기록장치에 테이프 절단기구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록이 종료된 후의 수상테이프 (2) 를 가위 혹은 커터 등을 사용하여 절단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기록장치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기록부재 (수상테이프) 에 감긴 자국이 남지 않으며, 또한 기록후에 가위 등으로 기록부재를 절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록후의 기록부재의 취급이 용이한 기록장치용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잉크리본과, 이 잉크리본의 양단부를 각각 감는 공급 릴 및 감기 릴과, 상기 잉크리본의 잉크가 전사되어 화상이 기록되는 직사각형의 기록부재를 케이스 내부에 수납한 카트리지로 함으로써, 기록매체에는 감은 자국이 남지 않으며, 또한 기록후에 절단할 필요가 없어 취급하기 쉬운 기록장치용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카트리지의 케이스에 상기 기록부재를 케이스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급지롤러가 삽입되는 급지롤러 삽입부를 형성함으로써, 이 급지롤러 삽입부를 통해 기록장치의 급지롤러가 카트리지의 내부로 삽입되어 케이스 내부의 기록부재를 확실하게 카트리지의 외부에 위치하는 기록장치의 기록부에 공급할 수 있는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카트리지의 케이스에 상기 기록장치의 급지롤러의 선단부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카트리지를 기록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하였을 때에, 상기 지지부에 급지롤러의 선단이 지지되어 급지롤러가 양쪽이 지지되기 때문에, 급지롤러의 회전이 흔들리는 일없이 카트리지내의 기록부재를 안정되게 급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잉크리본을 복수 종류의 색의 잉크가 길이방향으로 도포되어 각 색의 잉크의 도포면적이 기록부재의 기록영역과 동등 이상의 면적을 가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기록부재의 기록영역 전면 (前面) 에 고품질의 컬러화상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기 릴 수납부의 넓이를 공급 릴 수납부의 넓이보다 넓게 함으로써, 기록헤드의 발열부의 발열 등으로 기록후의 잉크리본에 주름이 생기거나 변형되거나 하여, 감기 릴에 감긴 팬케이크 형상의 잉크리본이 두껍게 감겨서 외경이 커져도 잉크리본을 마지막까지 확실하게 전부 감을 수 있는 잉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용 카트리지의 요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카트리지를 기록장치에 올려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낸 기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구성 설명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낸 카트리지에 수납되는 잉크리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리본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단면도이다.
도 6(A) 및 (B) 는 본 발명의 리본 카트리지에 수납되는 기록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 은 종래의 잉크 카트리지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요부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잉크 카트리지를 올려놓은 기록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K : 카트리지 11 : 제 1 케이스
11b, 12b : 저판 11c : 절결부
11h : 감기릴 수납부 11j : 공급릴 수납부
12 : 제 2 케이스 13 : 감기릴
14 : 공급릴 15 : 잉크 리본
16 : 기록부재 16a : 수상지
16b : 점착제층 16c : 박리지
16d : 절단선 17 : 스프링 부재
18 : 급지롤러 삽입부 20 : 기록헤드
20a : 발열부 21 : 플래튼 롤러
22 : 반송 롤러 23 : 작은 롤러
24 : 급지 롤러 24a : 커트면
25 : 감기 보빈 26 : 공급 보빈
27 : 용지검출센서 28 : 리본 센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카트리지 (K) 는 요부단면도인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가공 등에 의해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케이스 (11) 와 제 2 케이스 (12) 가 일체로 형성되어, 외형이 대략 장방형이며 일측의 한 구석이 계단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방에 제 1 케이스 (11) 가 설치되며, 이 제 1 케이스 (11) 의 외주에는 내부를 차폐하는 측벽 (11a) 이 저판 (11b) 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측벽 (11a) 에 윗뚜껑 (도시생략) 이 덮여져서 내부가 공동 (空洞) 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 (11) 의 도시 우상방 단부에는 대략 ㄷ자형의 절결부 (11c) 가 형성되며, 이 절결부 (11c) 의 도시좌측 상부에 리본 반송구 (11d) 가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결부 (11c) 의 도시우측 상부에는 측벽 (11a) 의 단면으로 구성된 리본 배출부 (11e)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 (11) 의 도시우측의 측벽 (11a) 에는 대략 L 자형의 계단상의 단차부 (11f) 가 형성되며, 이 단차부 (11f) 의 근원부분에는 리본 감기구 (11g) 가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 (11) 의 공동내부는 도시좌측에 감기 릴 수납부 (11h) 가 형성되고, 도시우측의 상기 절결부 (11c) 에 공급 릴 수납부 (11j)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감기 릴 수납부 (11h) 의 넓이를 상기 공급 릴 수납부 (11j) 의 넓이보다 넓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본 감기구 (11g) 하방의 제 1 케이스 (11) 내부에는 리본 가이드 (11k) 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제 1 케이스 (11) 의 저판 (11b) 과 윗뚜껑 (도시생략) 에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케이스 (11) 내부의 상기 감기 릴 수납부 (11h) 에는 감기 릴 (13) 이, 또한 상기 공급 릴 수납부 (11j) 에는 공급 릴 (14) 이 각각 회전이 자유롭도록 제 1 케이스 (11) 의 저판 (11b) 과 윗뚜껑에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감기 릴 (13) 의 회전중심에는 보빈구멍 (13a) 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 (11) 의 내부에는 양단부가 각각 상기 감기 릴 (13) 과 공급 릴 (14) 에 감긴 잉크리본 (15) 이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잉크리본 (15) 에는 복수 종류의 색의 잉크가 길이방향으로 차례로 도포되어, 예를 들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옐로 (Y), 마젠타 (M), 시안 (C) 색의 잉크가 차례로 반복해서 도포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 색의 잉크는 적어도 후술하는 기록부재 (16) 의 기록폭과 동등한 폭으로, 길이방향은 기록부재 (16) 의 인쇄영역과 동등 이상의 길이로 도포되어 있다. 즉, 상기 복수 색의 잉크의 도포면적은 기록부재 (16) 의 기록영역과 동등 이상의 면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복수 색의 잉크의 선두부에는 각각의 색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 다른 폭을 가지는 검출마커 (15a,15b,15c)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잉크리본 (15) 의 종단에는 종단마커 (도시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잉크리본 (15) 의 반송경로는, 상기 절결부 (11c) 의 리본 반송구 (11d) 로부터 외부의 절결부 (11c) 로 인출되어 후술하는 본 발명의 기록장치에 의해 원하는 기록이 실행되면, 기록후의 잉크리본 (15) 이 절결부 (11c) 의 리본 배출부 (11e) 로 가이드되어, 상기 리본 배출부 (11e) 를 형성하는 도시우측 상부의 측벽 (11a) 외면을 따라 하방의 단차부 (11f) 로 안내된다.
그리고, 이 단차부 (11f) 에 형성되어 있는 리본 감기구 (11g) 에서 공급 릴 수납부 (11j) 로 다시 끌어넣어지고, 회전이 자유로운 리본 가이드 (11k) 로 가이드되어 제 1 케이스 (11) 의 도시 하방측의 측벽 (11a) 의 내면을 따라 안내되어 도시 좌측방향으로 끌려가서 감기 릴 (13) 에 감기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 (11) 의 도시 상부측에는 제 2 케이스 (12) 가 제 1 케이스 (11)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케이스 (12) 의 외주에는 내부를 차폐하는 측벽 (12a) 이 저판 (12b) 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측벽 (12a) 에 윗뚜껑 (도시생략) 이 덮여져서 내부가 공동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 케이스 (12) 의 도시 오른쪽 하방의 측벽 (12a) 이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제 2 케이스 (12) 의 도시 오른쪽 하방의 모퉁이부에 후술하는 기록부재 (16) 를 배출할 수 있는 수상지 배출구 (12c)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케이스 (12) 의 공동내부에는 가로가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록부재 (16) 가 저판 (12b)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립상태로 제 1 케이스 (11) 와 제 2 케이스 (12) 를 나누는 측벽 (12a) 과 평행방향으로 평탄한 상태로 정렬되어 복수 수납되어 있다.
상기 기록부재 (16) 는, 예를 들면 도 6(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에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상지 (16a) 가 배치되고, 이 수상지 (16a) 의 이면에 점착제 층 (16b) 이 형성되어, 이 점착체 층 (16b) 에 박리지 (16c) 를 점착한 상태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록부재 (16) 의 수상지 (16a) 에는 외주에서 내측으로, 예를 들면 외형이 대략 장방형인 절단선 (16d) 이 형성되어, 이 절단선 (16d) 부터 시일상의 수상지 (16a) 를 박리지 (16c) 에서 벗겨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단선 (16d) 의 절단깊이는 적어도 점착제 층 (16b) 까지 도달하며, 수상지 (16a) 를 박리지 (16c) 에서 벗겨냈을 때에 수상지 (16a) 의 이면에 점착제 층 (16b) 이 함께 달라붙어서 수상지 (16a) 가 박리지 (16c) 에서 벗겨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단선 (16d) 은 외형이 장방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하트형상 등으로 자유롭게 디자인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기록부재 (16) 와 상기 제 2 케이스 (12) 의 도시 상부의 측벽 (12a) 사이에는 공극 (12d) 이 형성되며, 이 공극 (12d) 에는 판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부재 (17) 가 설치되어 상기 기록부재 (16) 의 후측에서 항상 제 1 케이스 (11) 측의 전방으로 소정 압력으로 누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 (11) 의 절결부 (11c) 의 도시 좌측의 저판 (11b) 과 제 2 케이스의 저판 (12b) 에 걸쳐서, 상기 기록부재 (16) 를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후술하는 급지롤러 (24) 를 삽입하는 급지롤러 삽입부 (18) 가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카트리지 (K) 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부재 (16) 에 화상을 인쇄기록하는 기록장치에는 원하는 화상을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부 (도시생략) 및 상기 본 발명의 카트리지 (K) 를 올려놓는 카세트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카세트 장착부에는 상기 기록부재 (16) 에 원하는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발열부 (20a) 를 가지는 서멀헤드로 이루어지는 기록헤드 (20) 와, 원통형상의 플래튼 롤러 (21) 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록헤드 (20) 는 적어도 상기 기록부재 (16) 의 폭방향의 기록영역과 동등한 기록폭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카트리지 (K) 를 올려놓으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기록헤드 (20) 에 상기 제 1 케이스 (11) 의 절결부 (11c) 가 위치하고, 이 절결부 (11c) 의 도시 우상방 외부로서 기록헤드 (20) 의 발열부 (20a) 가 대향하는 위치에 회동이 자유로운 플래튼 롤러 (21)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록헤드 (20) 는 그 발열부 (20a) 가 플래튼 롤러 (21) 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이 자유롭도록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록헤드 (20) 보다 더 하류측이면서 또한 상기 플래튼 롤러 (21) 의 도시 우측 옆에는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반송롤러 (22)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송롤러 (22) 외주의 도시 하방측에는 작은 롤러 (23) 가 접하여 설치되며, 이 작은 롤러 (23) 는 상기 반송롤러 (22) 의 회전에 추종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반송롤러 (22) 와 작은 롤러 (23) 사이에 상기 기록부재 (16) 를 탄접하도록 끼워 지지하여 상기 기록부재 (16) 를 상기 반송롤러 (22) 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양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도록 반송롤러 (22) 가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는 상기 카트리지 (K) 에 수납되어 있는 기록부재 (16) 를 하류측의 상기 기록헤드 (20) 로 공급하는 급지롤러 (24) 가 모터 등의 구동원 (도시생략) 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급지롤러 (24) 는 원통형상으로 된 외형의 일부가 평탄상으로 커트된 커트면 (24a) 을 가지는 D 자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부에 마찰저항이 큰 고무 등이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록장치의 카세트 장착부에 카트리지 (K) 를 올려놓으면, 상기 급지롤러 (24) 가 카트리지 (K) 의 급지롤러 삽입부 (18) 에 삽입되고, 급지롤러 (24) 의 커트면 (24a) 이 기록부재 (16) 에서 멀어진 대향상태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커트면 (24a) 과 기록부재 (16)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어 급지롤러 (24) 가 회전구동하기 전의 대기상태로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급지롤러 (24) 의 도시 하방의 왼쪽에는 카세트 장착부에서 직립하는 회전가능한 감기보빈 (25) 이 설치되며, 이 감기보빈 (25) 에 상기 감기 릴 (13) 의 보빈구멍 (13a) 이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잉크리본 (15) 의 감기는 감기보빈 (25) 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감기 릴 (13) 을 회전시켜 공급 릴 (14) 에 감겨 있는 잉크리본 (15) 을 감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롤러 (22) 의 도시 우측 옆에는 용지검출센서 (27) 가 설치되며, 이 용지검출센서 (27) 로 상기 기록부재 (16) 가 보내져 왔음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은 롤러 (23) 의 도시 하방에서, 카트리지 (K) 를 카세트 장착부에 올려놓았을 때의 제 1 케이스 (11) 의 단차부 (11f) 근방에는 리본센서 (28) 가 설치되며, 이 리본센서 (28) 에 의해 상기 잉크리본 (15) 의 색마다 형성되어 있는 검출마커 (15a,15b,15c) 및 리본 엔드 마커 (도시생략) 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센서 (27,28) 는 반사형 포토센서로 이루어져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카트리지 (K) 를 사용한 기록장치의 기록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는 기록장치의 카세트 장착부에 카트리지 (K) 를 올려놓은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기록개시전의 대기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2 의 상태에서 상기 도시하지 않은 기록장치로부터 기록개시지령이 나오면, 급지롤러 (24) 가 모터 등의 구동원 (도시생략) 에 의해 시계방향인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고, D 커트면 (24a) 의 좌단부가 기록부재 (16) 를 누른다.
그러면, 기록부재 (16) 는 스프링부재 (17) 의 작용으로 후방의 공극 (12d) 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급지롤러 (24) 를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지롤러 (24) 의 원통형상의 외주면에 마찰된 최전방부의 1 장의 기록부재 (16) 가 다른 복수의 기록부재 (16) 에서 멀어져서 하류측 기록헤드 (20) 에 반송된다. 그리고, 기록부재 (16) 의 선단이 상기 반송롤러 (22) 와 작은 롤러 (23) 사이에 탄접하도록 끼워 지지되어, 반송롤러 (22) 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기록부재 (16) 의 선단은 용지검출센서 (27) 측의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이어서, 급지롤러 (24) 가 360°회전하여 1 회전하면, 원통형상의 외주가 상기 최전방부의 1 장의 기록부재 (16) 에서 멀어져서 상기 커트면 (24a) 이 제 2 케이스 (12) 에 수납되어 있는 기록부재 (16) 와 대향하는 상태로 되돌아가고, 급지롤러 (24) 의 기록부재 (16) 에 대한 누름부하가 없어진다.
또한, 상기 용지검출센서 (27) 가 보내져 온 기록부재 (16) 를 검출하여 ON 상태로 되면, 다시 소정 거리 기록부재 (16) 를 반송하고, 이 기록부재 (16) 의 후단부가 제 2 케이스 (12) 의 용지누름부 (12e) 에서 벗어나면, 반송롤러 (22) 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용지검출센서 (27) 가 OFF 상태로 될 때까지 기록부재 (16) 를 상류측의 제 2 케이스 (12) 측의 하측 간극부 (12f) 로 되돌린다.
그리고, 용지검출센서 (27) 가 OFF 상태로 되면 반송롤러 (22) 의 반전을 정지시킨다.
이어서, 감기 릴 (13) 이 걸어맞춰져 있는 감기보빈 (25) 을 시계방향인 B 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 상기 리본센서 (28) 가 원하는 색의 잉크, 예를 들면 옐로 (컬러인쇄인 경우에는 최초 인쇄는 옐로부터 실행한다) 의 검출마크 (15a) 를 검출하면, 감기 릴 (13) 의 회전을 정지시켜 리본 감기동작을 일시정지한다.
이어서, 기록헤드 (20) 를 회동시켜 그 발열부 (20a) 를 플래튼 롤러 (21) 측으로 이동시키고, 이 플래튼 롤러 (21) 와의 사이에 상기 기록부재 (16) 와 잉크리본 (15) 을 압접하여 끼워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반송롤러 (22) 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기록부재 (16) 를 하류측의 용지검출센서 (27) 까지 반송한다.
또한, 이 때 동시에 잉크리본 (15) 도 기록부재 (16) 와 함께 상류측으로 보내져서 감기 릴 (13) 에 의해 감긴다.
그리고, 용지검출센서 (27) 가 기록부재 (16) 의 선단을 검출하여 ON 으로 된 시점을 기준위치로 하고, 이 시점에서 기록헤드 (20) 의 발열부 (20a) 를 발열제어하며, 예를 들면 옐로 (Y) 색의 인쇄를 개시하고, 동시에 반송롤러 (22) 를 회전시켜 기록부재 (16) 를 소정 속도로 하류측으로 반송시키면서 기록부재 (16) 에 옐로 (Y) 색의 잉크를 전사하여 원하는 화상을 기록한다.
그리고, 사용이 끝난 잉크리본 (15) 은 감기보빈 (25) 을 회전 구동시켜 감기 릴 (13) 에 감겨서 옐로 (Y) 색의 인쇄가 종료된다.
이어서, 기록헤드 (20) 를 플래튼 롤러 (21) 에서 떨어뜨리고, 반송롤러 (22) 를 지금까지와 반대방향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용지검출센서 (27) 가 OFF 로 될 때까지 상기 기록부재 (16) 를 다시 상류측의 제 2 케이스 (12) 하측의 간극부 (12f) 로 되돌린다.
그리고, 용지검출센서 (27) 가 OFF 로 되면, 리본 감기동작에 의해 감기 릴 (13) 을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시켜 옐로 (Y) 의 다음 색, 예를 들면 마젠타 (M) 의 검출마커 (15b) 를 리본센서 (28) 가 검출할 때까지 잉크리본 (15) 을 감는다. 그리고, 리본센서 (28) 가 마젠타 (M) 의 검출마커 (15b) 를 검출하면, 다시 기록헤드 (20) 를 플래튼 롤러 (21) 에 압접한다.
그리고, 반송롤러 (22) 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기록부재 (16) 의 선단의 내밀기를 실행하고, 상술한 옐로 (Y) 와 동일한 인쇄동작으로 기록부재 (16) 에 마젠타 (M) 색을 전사하여 반복해서 기록한다.
또한, 상기 옐로 (Y) 혹은 마젠타 (M) 와 동일한 기록동작으로 시안 (C) 색을 전사하여 반복해서 기록한다.
이와 같은 기록동작에 의해 기록부재 (16) 에 원하는 색의 컬러화상의 기록을 실행하면, 반송롤러 (22) 를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 기록후의 기록부재 (16) 를 기록부재의 외부로 배출하여 본 발명의 기록장치의 기록동작이 종료된다.
다음 2 장째의 기록부재 (16) 에 대해서도 상기한 바와 동일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원하는 컬러화상의 기록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록동작으로 원하는 화상이 기록된 기록부재 (16) 가, 예를 들면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이라면, 절단선 (16d) 을 따라 시일상의 수상지 (16a) 를 벗기면, 이면에 점착제 층 (16b) 이 부착된 상태의 수상지 (16a) 가 박리지 (16c) 에서 분리되어 벗겨진다.
이 박리지 (16c) 에서 벗겨진 시일상의 수상지 (16a) 를 원하는 장소에 붙이면, 점착제 층 (16b) 의 점착력에 의해 상기 시일상의 수상지 (16a) 를 접착면에 밀착된 상태로 붙일 수 있다.
그리고, 기록부재 (16) 의 길이방향의 사이즈가 상술한 것보다 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더욱 긴 형상의 기록부재 (16') 로 된 경우에는, 이 긴 형상의 기록부재 (16') 에 맞춰 제 2 케이스 (12') 만을 크게 하는 것만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기록장치를 사용하여 파노라마 인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잉크리본 (15) 의 각 색의 잉크의 도포면적은 긴 형상의 기록부재 (16') 의 인쇄영역과 동등 이상의 면적을 가지도록 한 것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기록부재 (16) 를 수상지 등으로 된 종이로 설명하였으나, 기록부재 (16) 는 종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등의 수지필름 등으로 된 것 혹은 점착재가 붙어 있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잉크리본 (15) 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컬러 기록용의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컬러 기록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 색만, 예를 들면 흑색잉크만을 도포한 잉크리본 (15) 으로도 기록할 수 있다. 이 때, 화상과 화상 사이에 소정량 기록되지 않은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그 기록되지 않은 부분만 기록헤드 (20) 를 업 (up) 시켜, 상기 반송롤러 (22) 를 회전시켜 기록부재 (16) 만을 상기 기록하지 않은 부분의 양만큼 반송한 후, 다시 기록헤드 (20) 를 헤드다운하여 나머지 화상을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리본 (15) 의 러닝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크리본 (15) 에 컬러 기록용의 것을 사용할 때, 각 잉크의 색을 검출하는 검출마커 (15a,15b,15c) 를 3 종류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최초의 색인 옐로 (Y) 의 검출마커 (15a) 1 종류만을 규준으로, 그 후의 마젠타 (M), 시안 (C) 에 대해서는 상기 옐로 (Y) 의 검출마커 (15a) 로부터의 거리 및 순서가 각각 일정하므로, 반송롤러 (22) 의 회전수 (기록부재 (16) 의 반송거리) 에 따라 마젠타 (M), 시안 (C) 의 기록위치를 결정하거나 기준마커 (15a) 의 다음 마커를 마젠타 (M) 로 하고, 2 번째 마커를 시안 (C) 으로 하여 기록위치를 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잉크리본 (15) 으로서 리본 엔드 마커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사용할 경우, 소정 시간 리본이송동작을 실행하여도 마커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를 리본종단으로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잉크리본 (15) 의 감기동작을 헤드다운상태로 또한 용지이송동작과 연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잉크리본 (15) 을 감는 감기 릴 (14) 의 구동모터와 급지롤러 (24) 의 구동모터를 동일한 구동모터로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트리지는 잉크리본과, 이 잉크리본의 양단부를 각각 감는 공급 릴 및 감기 릴과, 상기 잉크리본의 잉크를 전사하여 화상을 기록하는 직사각형의 기록부재와, 상기 잉크리본과 상기 직사각형의 기록부재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기록부재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록후의 기록부재를 가위 등으로 절단할 필요가 없고, 기록장치에서 배출된 기록후의 기록부재의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카트리지는 케이스에 기록부재를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급지롤러가 삽입되는 급지롤러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급지롤러 삽입부를 통해 급지롤러가 카트리지의 내부로 삽입되어 내부의 기록부재를 확실하게 카트리지 외부의 기록헤드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트리지는 상기 케이스에 상기 급지롤러의 선단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카트리지 (K) 를 카세트 장착부에 올려놓았을 때에 상기 지지부로 급지롤러의 선단이 지지되어 급지롤러가 양쪽에서 지지되므로, 급지롤러의 회전이 흔들리지 않고 기록부재를 안정되게 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트리지는 잉크리본에 복수 종류의 색의 잉크가 길이방향으로 도포되며, 이 복수의 색의 잉크의 도포면적은 상기 기록부재의 기록영역과 동등 이상의 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기록부재의 기록영역 전체면에 확실하게 고품질의 컬러화상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트리지는 감기 릴 수납부의 넓이를 상기 공급 릴 수납부의 넓이보다 넓게 하였기 때문에, 기록헤드의 발열부의 발열 등으로 기록후의 잉크리본에 주름이 생기거나 변형되거나 하여 감기 릴에 감긴 팬케이크 형상의 잉크리본이 두껍게 감겨서 외경이 커져도, 감기 릴 수납부 측의 넓이가 넓기 때문에 잉크리본을 마지막까지 확실하게 전부 감을 수 있다.

Claims (4)

  1. 잉크리본과, 이 잉크리본의 양단부를 각각 감는 공급 릴 및 감기 릴과, 상기 잉크리본의 잉크를 전사하여 화상을 기록하는 직사각형의 기록부재와, 상기 잉크리본과 상기 직사각형의 기록부재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부재를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급지롤러가 삽입되는 급지롤러 삽입부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상기 급지롤러의 선단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릴을 수납하는 공급 릴 수납부와, 상기 감기 릴을 수납하는 감기 릴 수납부를 구비하고, 이 감기 릴 수납부의 넓이를 상기 공급 릴 수납부의 넓이보다 넓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KR1019980028365A 1997-07-15 1998-07-14 인쇄용카트리지 KR100318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89596 1997-07-15
JP18959697 1997-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843A true KR19990013843A (ko) 1999-02-25
KR100318642B1 KR100318642B1 (ko) 2002-06-20

Family

ID=16243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365A KR100318642B1 (ko) 1997-07-15 1998-07-14 인쇄용카트리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82913A (ko)
EP (1) EP0891871B1 (ko)
KR (1) KR100318642B1 (ko)
CN (1) CN1105652C (ko)
DE (1) DE6982204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6223A (ja) * 2002-03-25 2003-09-30 Alps Electric Co Ltd 熱転写記録装置および熱転写記録方法
JP4677329B2 (ja) 2005-11-25 2011-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カセット
US7926934B2 (en) * 2006-02-20 2011-04-19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sheet containing cassette and printer apparatus using the same cassette
JP4669406B2 (ja) 2006-02-20 2011-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セット
WO2007097383A1 (en) * 2006-02-20 2007-08-30 Canon Kabushiki Kaisha Cassette for a printer
EP1989056B1 (en) * 2006-02-20 2016-06-22 Canon Kabushiki Kaisha Cassette for a printer
JP6194499B2 (ja) * 2013-07-31 2017-09-13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装置
CN111098603A (zh) * 2018-10-25 2020-05-05 陪里你色株式会社 一体型墨盒及利用该墨盒的打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501540A (nl) * 1985-05-30 1986-12-16 Philips Nv Multifunctionele cassette voor een drukker.
JPS63128963A (ja) * 1986-11-19 1988-06-01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H0757550B2 (ja) * 1987-03-31 1995-06-2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プリンタ
DE3880961T2 (de) * 1987-11-06 1993-09-09 Victor Company Of Japan Kassette fuer druckeranordnung.
US5277502A (en) * 1990-02-24 1994-01-11 Goldstar Co., Ltd. Device for loading ink film and printing papers in color video printer
JPH04110172A (ja) * 1990-08-31 1992-04-10 Oki Electric Ind Co Ltd 消耗品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熱転写式印刷機
JPH04369574A (ja) * 1991-06-19 1992-12-22 Sony Corp リボンカートリッジ
JP3341052B2 (ja) * 1993-06-28 2002-11-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刷用カセット
JPH07329385A (ja) * 1994-06-14 1995-12-19 Minolta Co Ltd インクフィルムカセット
JPH08300750A (ja) * 1995-05-08 1996-11-19 Casio Comput Co Ltd 印字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印字カセット
JP3574223B2 (ja) * 1995-05-24 2004-10-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における印字開始方法
JPH0985928A (ja) * 1995-09-25 1997-03-31 Brother Ind Ltd テープカセット
US5909973A (en) * 1997-09-26 1999-06-08 Eastman Kodak Company Ink ribbon cartridge with an elliptical take-up sp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5275A (zh) 1999-01-20
EP0891871A3 (en) 1999-09-15
DE69822044D1 (de) 2004-04-08
EP0891871B1 (en) 2004-03-03
DE69822044T2 (de) 2005-03-03
KR100318642B1 (ko) 2002-06-20
EP0891871A2 (en) 1999-01-20
CN1105652C (zh) 2003-04-16
US6082913A (en) 2000-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6270A (ko) 카트리지 및 프린터
KR100318642B1 (ko) 인쇄용카트리지
JP3549370B2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の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記録装置
US5560722A (en) Tape unit having ribbon end tape
US8424994B2 (en) Print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2000118077A (ja) プリンタ
JPS6287368A (ja) 記録装置
JPH1178190A (ja) 記録装置
KR101451027B1 (ko) 미디어 이송 장치를 갖는 프린터
JP4256154B2 (ja) 熱転写プリンタ
JP3686799B2 (ja) サーマルヘッドおよび記録装置
KR101486326B1 (ko) 미디어의 정밀 이송이 가능한 프린터
JPH1148550A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の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記録装置
JP3549548B2 (ja) プリンタ装置
JP5235703B2 (ja) 印刷装置
JP3033283B2 (ja) 熱転写記録装置及びそのインク紙装填方法
JPH11157698A (ja) 印刷装置
RU2416524C2 (ru) Картридж и печат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H05286196A (ja) カラー熱転写記録装置
KR20150011088A (ko) 프린터의 미디어 카트리지
JPH0349971A (ja) プリント媒体用カセット
JPS615964A (ja) 感熱転写記録装置
JPH06255146A (ja) 熱転写記録装置
JP200013605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7172017A (ja) インクシート巻回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る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