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598A - 헬멧 - Google Patents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598A
KR19990013598A KR1019980026844A KR19980026844A KR19990013598A KR 19990013598 A KR19990013598 A KR 19990013598A KR 1019980026844 A KR1019980026844 A KR 1019980026844A KR 19980026844 A KR19980026844 A KR 19980026844A KR 19990013598 A KR19990013598 A KR 19990013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helmet
liner
op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6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나이마사토
혼다아키라
노이리시게루
오노나오토
하세가와켄이치
Original Assignee
마츠우모토타케오
카부시키가이샤혼다아쿠세스
츠우치다쇼죠
티이에스테크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184185A external-priority patent/JP300839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4039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72517A/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우모토타케오, 카부시키가이샤혼다아쿠세스, 츠우치다쇼죠, 티이에스테크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우모토타케오
Publication of KR19990013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5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42B3/062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with reinforcing means
    • A42B3/063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with reinforcing means using layered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42B3/283Air inlets or outlets, with or without closure shutte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멧의 셸(shell)의 외면에 돌출하는 부분이 적게 하고, 공기저항의 증가를 방지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셸(2)에 홈부(12)를 형성하고, 이 홈부(12)에 벤틸레이션용 관통구멍(13)을 형성한다. 상기 홈부(12)에 장착 베이스(15)를 설치한다. 이 장착 베이스(15)을 따라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부재(16)를 설치한다. 이 슬라이드 부재(16)는 앞쪽의 경사운동판(25)과 뒤쪽의 미끄럼운동판을 축부(26)에 의해 연결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16)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장착 베이스(15)와 경사운동판(25)의 걸어맞춤에 의해 경사운동판(25)의 앞쪽이 올라간다. 또 슬라이드 부재(16)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경사운동판(25)이 닫힌다.

Description

헬멧(HELMET)
본 발명은 헬멧(helmet)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헬멧으로서 일본국 실공평 6-13215 호 공보에는, 흡기구멍이 횡방향으로 긴 슬릿(slit)형으로 형성되고, 셔터(shutter)가 상하방향으로 미끄럼운동(공보 제8면 제17∼18행) 하여 외기를 받아들이는 벤틸레이션(ventilation)용 흡기구멍을 설치한 헬멧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헬멧의 전면에 설치한 벤틸레이션용 흡기구멍에서는 셔터를 개폐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직접적으로 흡기구멍에 유입된다.
한편, 헬멧의 전면 이외에 마련하는 벤틸레이션에서는 흡기구멍을 개방한 것만으로는 공기가 충분하게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예를들면 일본국 실공평 6-406호 공보의 환기장치에는, 헬멧의 모자체 외면에 공기입구와 연통하는 연통구멍을 개구시킨 비교적 얇은 평면, 대략 타원형의 작고 얇은 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가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되고, 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주 가장자리 하면에 유도덕트(誘導duct)에 형성한 걸어맞춤편이 걸어맞춤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공보 제4면 제36∼41행) 상기 유도덕트를 앞방향으로 함으로써 외기를 도입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도덕트를 전후방향으로 미끄럼운동시켜 상기 연통구멍을 개폐함으로써 외기도입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환기장치에는 유도덕트가 모자체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연통구멍을 개방한 경우든지 그 연통구멍을 폐쇄한 경우든지, 어떤 경우에도 상기 유도덕트에 의해 주행시에 있어서 공기저항의 증가 및 바람 가르는 소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이 종류의 헬멧으로서 일본국 특개평 5-279905호 공보등에는, 쉴드(shield)는 그 양 단부가 쉴드 개폐기구에 의해 셸(shell)의 측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설치되고, 그 쉴드 개폐기구를 커버(cover:공보 도1)로 덮어 이 커버가 셸의 외면보다 돌출된다. 또한 일본국 실공평 6-16886호 공보에는, 셸이 경질강화수지제의 셸 상부몸체와 합성수지제의 셸 하부몸체로 분할되고, 그 셸 하부몸체가 외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포개져 일체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셸을 상하로 분할하는 것에 의해 셸을 용이하게 제작가능(공보 제4면 제18∼23행)케 한 풀 페이스(full face)형 헬멧이 있는데, 이 헬멧에서는 상기 겹침부분에 의해 하부몸체의 두께만큼 외면에 단차부가 형성된다.
이들 종래기술 같이 헬멧의 셸에는 쉴드의 단부를 덮기 위한 커버에 의한 돌출부분이나 제작방법에 의해 단차부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셸의 외면은 매끄러운 곡면으로 구성되고, 좌우대칭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풀 페이스형 헬멧에서는 앞쪽 하부에 턱 덮개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측면에서 보아 앞쪽의 투영면적이 커진다. 그리고 이 풀 페이스형 헬멧을 장착한 상태로 주행중에 후방확인 등을 위해 머리부를 움직이면 공력저항에 변화가 발생된다. 그러나 상술한 헬멧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의 공력저항 변화에 대한 고려가 전혀 되어 있지 않았다.
또 예를들면 일본국 특공평 5-19293호 공보등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 셸의 내면에 발포 스티로폼(發泡 styrofoam)등으로 된 충격흡수 라이너를 끼워 장착하고, 이 충격흡수 라이너의 내측에 스폰지(sponge)등으로 된 쿠션(cushion)재를 통기성과 신축성에 우수한 표장(表裝)커버로 피복한 내장체를 장착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헬멧은 일반적으로 장착감 위에서 경량이고, 비교적 소형인 것이 애호받는다. 예를들면, 헬멧의 좌우폭이 넓은 것보다 좌우폭이 좁은 것 쪽이 외관상 및 공력상에서도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헬멧의 외측을 형성하는 상기 셸은 형틀을 사용하여 성형되고, 그 형틀의 설계 및 제조에 코스트(cost)를 요하기 때문에 다품종을 갖추는 것은 실제상 곤란하다. 또 소정의 강도가 요구되는 헬멧에서는 경량화와 슬림(slim)화를 계획하기 때문에, 종래의 셸과 충격흡수 라이너를 그대로 얇게 구성하여 경량화와 슬림화를 꾀한다 하더라도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제1목적으로서, 본 발명은 셸의 외면에 돌출하는 부분이 적고, 공기저항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2목적으로서, 본 발명은 주행중에 장착자가 머리부를 움직여도 바람에 의한 모멘트(moment)의 변화가 적은 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3목적으로서, 본 발명은 필요한 강도를 가지면서 종래에 비교하여 경량화와 슬림화가 가능한 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헬멧은, 셸에 마련한 벤틸레이션용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셸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슬라이드(slide) 부재를 구비하고, 이 슬라이드 부재는 앞쪽이 상기 셸로부터 이격방향으로 승강하여 상기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경사운동판과, 앞쪽에 상기 경사운동판을 승강가능하게 연결한 조작부를 갖는 것으로, 조작부를 전후로 이동함으로써 경사운동판의 앞쪽이 셸로부터 이격되도록 승강하여 그 경사운동판의 내면으로 유입된 외기가 관통구멍으로 유도된다. 또한 조작부를 후방으로 이동하면 개방안내부에 경사운동판이 걸어맞춤되어 그 경사운동판이 열리는 한편, 조작부를 전방으로 이동하면 폐쇄안내부에 경사운동판이 걸어맞춤되어 그 경사운동판이 닫힌다. 또 상기 경사운동판이 앞쪽을 향해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전단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형상에 의해 개방한 상태에서도 공기저항이 감소됨과 동시에 바람 가르는 소리의 발생도 억제된다. 더욱이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경사운동판의 폭방향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셸에 마련되고, 상기 경사운동판의 폭방향 일측 하부에는 전후방향의 공기안내 리브를 돌출되게 설치한 것으로, 이 공기안내 리브에 의해 외기가 관통구멍으로 집중된다.
또한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헬멧은, 턱 덮개부를 갖는 셸과, 이 셸의 전면에 마련한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셸의 측부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쉴드(shield)를 구비한 풀 페이스형 헬멧에 있어서, 상기 셸의 정상부 후방으로부터 상기 측부를 향해 경사진 제1의 정류판(整流板)을 설치한 것으로, 머리부를 하방향으로 움직이면 전면(前面)투영면적에서 하부측의 면적이 커지지만, 머리부를 하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정상부의 후방에 설치한 제1정류판이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바람에 의한 모멘트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셸의 후방 하부에 띠 모양의 제2의 정류판을 설치한 것으로, 머리부를 좌우로 움직이면 턱 덮개부가 향한 쪽의 전면투영면적이 증가하지만, 그 좌우로 움직인 타측으로 제2정류판이 상대적으로 이동하므로 바람에 의한 모멘트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정류판과 제2정류판 사이에 경계선이 없고, 쉴드커버(shield cover)에 의해 제1정류판이 셸의 한쪽 측부에서 다른쪽 측부로 연속한 것으로 됨과 동시에 제2정류판이 쉴드커버의 앞쪽으로부터 연속한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 제2정류판은 중공(中空)띠 모양을 이루는 것으로, 중공의 띠 모양이므로 머리부의 이동시에 있어서 투영면적을 크게하면서도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정류판 외면에 전후방향의 정류홈을 형성한 것으로, 이 정류홈이 공기의 흐름을 정류한다.
한편 제3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헬멧은, 합성수지제의 셸 내면에 충격흡수용 라이너(liner)를 설치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용 라이너는 인너(inner) 라이너와 아우터(outer) 라이너로 이루어지고, 이들 아우터 라이너와 인너 라이너의 사이에 보강시트(補强sheet)를 설치한 것으로, 보강시트에 의해 충격력이 분산되어 충격흡수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라이너의 강도가 향상되고, 라이너를 얇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이너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셸을 사용하고, 라이너의 두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부 형상에 꼭 맞는 헬멧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시트를 상기 아우터 라이너의 내면에 붙여서 설치한 것으로, 아우터 라이너에 가해진 충격력이 분산되어 아우터 라이너의 충격흡수성이 향상된다. 또 라이너의 측부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헬멧의 좌우폭 치수를 억제할 수 있으며, 라이너의 후부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헬멧의 전후폭 치수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보강시트가 수지코팅한 직물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수지코팅한 직물체를 사용함으로써 유연성과 강성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충격력 및 관통력에 대한 강도도 향상된다. 더구나 상기 보강시트의 주위에는 절개부를 형성한 것이므로 아우터 라이너 내면의 곡면형상에 맞춰서 보강시트를 붙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헬멧 본체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헬멧 본체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헬멧 본체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헬멧 본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헬멧 본체의 사시도로, 헬멧 본체에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요동판을 구비한 개폐부재의 장착 베이스와 슬라이드 부재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개폐기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개폐기구의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요동판이 열린 상태의 개폐기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개구부의 상부 좌우에 설치되는 개폐부재의 장착 베이스와 슬라이드 부재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개폐기구의 사시도로, 상하의 연통구멍이 열린 상태를 보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개구부의 하부 우측에 설치한 개폐부재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개폐기구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개폐기구의 사시도로, 상하의 연통구멍이 열린 상태를 보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쉴드 유지기구을 구비한 개폐기구에 관한 정면도로, 도15(A)는 셸에 형성한 홈부와 관통구멍을 보이고, 도15(B)는 그 홈부에 장착되는 개폐부재를 보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쉴드 유지기구를 구비한 개폐부재의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쉴드 노브의 종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쉴드 유지기구와 쉴드 노브의 조작예를 보이는 단면도로, 도18(A)는 걸림노브를 스토퍼 부재로부터 빠지게 하는 조작, 도18(B)는 쉴드를 여는 조작을 보인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쉴드 완전 폐쇄상태에 있어서 쉴드 유지기구를 구비한 개폐부재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쉴드와 개구부 하부 가장자리의 사이에 미소 간극을 형성한 상태의 쉴드 유지기구를 구비한 개폐부재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헬멧 본체의 평면도로, 중앙의 경사운동판 및 우측의 경사운동판이 떼어져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상측 정류판 근처의 종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경사운동판의 요부 종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상측 정류판을 사용한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하측 정류판의 종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쉴드와 장착 베이스의 측면도로, 탄성통체를 단면하고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장착 베이스를 떼낸 상태의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쉴드를 장착축에 장착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쉴드의 장착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쉴드 커버의 배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쉴드 커버의 장착을 설명하는 일부 절결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쉴드 커버의 떼어냄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헤드 파트의 종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헤드 파트를 떼어낸 상태의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로우 파트의 일부 절결 측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로우 파트의 종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헬멧 본체에 장착된 상태의 로우 파트의 종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통기로를 보이는 라이너의 종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로우 파트를 떼어낸 상탱의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로우 파트의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끼워붙임띠의 요부 정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걸림수단에 의해 라이너 내면에 장착된 로우 파트의 단면도,
도 4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턱 가이드의 장착을 보이는 사시도,
도 4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아우터 라이너와 인너 라이너를 중첩시킨 모자체 라이너의 측면도,
도 4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아우터 라이너와 인너 라이너를 중첩시킨 모자체 라이너의 단면도,
도 4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아우터 라이너의 저면도,
도 4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아우터 라이너의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셸(shell) 3 : 개구부(開口部)
4 : 턱 덮개부 5A : 모자체 라이너(충격흡수용 라이너)
6 : 쉴드(shield) 12 : 홈부
13 : 관통구멍 14 : 개폐부재(開閉部材)
15 : 장착 베이스 16 : 슬라이드 부재(slide 部材)
21 : 경사안내면(개폐안내부) 23 : 폐쇄안내홈(폐쇄안내부)
24 : 미끄럼운동판(조작부) 25 : 경사운동판
30 : 공기안내 리브 101 : 상측 정류판(제1정류판)
112, 122 : 관통구멍 115, 125 : 경사운동덮개(개폐부재)
130 : 정류홈 131 : 하측 정류판(제2정류판)
146 : 회전중심 단부 181 : 쉴드 커버(shield cover)
311 : 아우터 라이너(outer liner) 312 : 인너 라이너(inner liner)
315L, 315R, 315B : 보강시트(補强 shee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다. 본 발명의 헬멧 본체(1)는 외각(外殼)을 이루는 합성수지제의 셸(2) 전면에 개구부(3)를 마련하고, 이 개구부(3)의 하부에 턱 덮개부(4)를 설치한 풀 페이스형에서, 상기 셸(2)의 내면에 비이즈(beads) 발포 폴리(poly) 염화 비닐리덴(vinylidene)제의 충격흡수 라이너(5)를 설치한다. 상기 셸(2)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hylene)이나 ABS수지 등의 탄성변형 가능한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성형된다. 상기 개구부(3)는 개폐가능한 쉴드(6)에 의해 가려지는데, 이 쉴드(6)는 상기 셸(2)의 좌우 양측면에 설치한 장착축부(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셸(2)의 내면 좌우 양 측부에는 턱 벨트(顎belt:8)가 한쌍의 리벳(rivet:9)에 의해 고정된다. 또 상기 개구부(3)의 가장자리에는 탄성테두리부재(3A)가 장착된다.
상기 셸(2)의 머리 정상부 앞쪽 좌우에는 벤틸레이션용의 좌, 우 개폐기구(11R)(11L)가 설치된다. 도6 내지 도9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들 개폐기구(11R)(11L)는 상기 셸(2)에 홈부(12)를 형성함과 함께 이 홈부(12)의 중앙 앞쪽에서 셸(2)의 중앙쪽으로 관통구멍(13)을 형성하고, 상기 홈부(12)에 개폐부재(14)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 개폐부재(14)는 상기 홈부(12)에 설치되는 장착 베이스(15)와, 이 장착 베이스(1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슬라이드 부재(16)로 이루어지고, 도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장착 베이스(15)는 상기 셸(2)의 외면과 면일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장착 베이스(15)는 상기 홈부(12)에 대응하여 마름모꼴 형상의 외틀부(17)와, 이 외틀부(17)내에 형성되어 앞쪽이 개구하는 하판부(18)를 가진다. 상기 외틀부(17)의 안쪽 가장자리와 상기 하판부(18)의 바깥쪽 가장자리 사이에는 일측 및 타측 안내홈(19)(20)이 형성되고, 그 일측 안내홈(19)은 셸(2)의 좌우방향 중앙쪽에 위치한다. 상기 타측 안내홈(20)에는 상기 개폐부재(14)의 개방위치와 패쇄위치에 대응하여 2개소에 걸어맞춤홈(20A)(20A)이 형성된다. 상기 하판부(18)의 앞쪽 가장자리에는 하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폭방향의 경사안내면(21)이 마련되고, 이 경사안내면(21)의 하부에는 상기 관통구멍(13)의 상부에 배치되는 링부(ring部:22)가 한 계단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안내면(21)의 좌우에는 폐쇄안내홈(23)(23)이 전후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데, 이들 폐쇄안내홈(23)(23)은 앞쪽이 낮고 후방을 향해서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16)는 뒤쪽에 위치하는 미끄럼운동판(24)과 앞쪽에 위치하는 경사운동판(25)을 구비하며, 이들 미끄럼운동판(24)과 경사운동판(25)은 양자간의 각도를 변경가능하도록 힌지부(hinge部)인 축(26)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일측 안내홈(19)에는 상기 미끄럼운동판(24)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돌출테두리(24A)가 끼워지고, 상기 미끄럼운동판(24)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타측 안내홈(20)에 끼워지는 탄성테두리부(27)가 설치된다. 이 탄성테두리부(27)는 그 전후가 미끄럼운동판(24)과 연결되고, 이 와 대향하는 미끄럼운동판(24)의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홈(28)이 형성되어 탄성변형 가능하며, 그 탄성테두리부(27)에는 상기 각 걸어맞춤홈(20A)(20A)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걸어맞춤돌기(27A)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운동판(25)의 하면에는 상기 경사안내면(21)에 걸어맞춤되는 가이드로드(guide rod:29)가 폭방향으로 길게 돌출 설치되고, 이 가이드로드(29)의 양단에는 대응하는 상기 폐쇄안내홈(23)(23)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핀부(29A)(29A)가 각각 연장되어 돌출된다. 또한 상기 경사운동판(25)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공기를 상기 관통구멍(13)으로 안내하는 안내리브(guide rib:30)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운동판(24)의 외면에는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돌기부(3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13)에 대응하여 상기 라이너(5)에는 구멍(5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16)는 상기 장착 베이스(15)의 외틀부(17)내에 수납되어 폐쇄상태에서는 상기 장착 베이스(15)와 거의 동일면을 이루게 된다. 또 상기 개폐부재(14)의 외면은 상기 셸(2)의 외면 형상에 거의 일치된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폐쇄상태에서는 상기 걸어맞춤돌기(27A)가 앞쪽의 걸어맞춤홈(20A)에 끼워져 걸리는데, 이 상태에서 상기 미끄럼운동판(24)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가이드로드(29)가 경사안내면(21)상에 얹히게 될 뿐만 아니라 하판부(18) 위로 올라가게 되어 도7 및 도9에 보이는 바와 같이 경사운동판(25)의 앞쪽이 약간 열리고, 이에 따라 경사운동판(25)의 내면을 통과하는 공기가 안내리브(30)에 의해 링부(22)내로 안내되어 관통구멍(13)으로부터 헬멧 본체(1)내에 공기가 유입된다. 한편, 미끄럼운동판(24)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면 끼움핀부(29A)가 폐쇄안내홈(23)에 안내됨으로써 경사운동판(25)이 닫혀 외틀부(17)내에 수납된다.
상기 셸(2)에는 상기 개구부(3)의 상부 좌우에 벤틸레이션용 개폐기구(41L)(41R)가 상기 탄성테두리부재(3A)에 근접되게 설치된다. 도10 및 도1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들 개폐기구(41L)(41R)는 상기 개구부(3)의 상부 좌우에 홈부(42)(42)를 형성함과 함께 각 홈부(42)(42)의 상하에 셸(2)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상하 관통구멍(43)(43A)을 형성하고, 상기 홈부(42)(42)에 개폐부재(44)(44)를 각각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 개폐기구(41L)(41R)의 개폐부재(44)(44)는 각각 상방이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하부가 상기 개구부(3)의 탄성테두리부재(3A)에 근접되게 설치된다. 상기 개폐부재(44)는 상기 홈부(42)에 설치되는 장착 베이스(45)와, 이 장착 베이스(4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슬라이드 부재(46)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 베이스(45)에는 상기 상하 관통구멍(43)(43A)에 대응하도록 그 상하에 연통구멍(47)(47A)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46)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46)에는 상기 위쪽 연통구멍(47)과 연통가능한 구멍(48)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 베이스(45)의 좌우에는 안내홈(49)(49)이 각각 형성되고, 각 안내홈(49)에는 관통구멍(43)(43A)의 개방과 폐쇄 위치에 대응하여 상하 걸어맞춤홈(49A)(49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46)의 좌우에는 상기 장착 베이스(45)의 각 안내홈(49)(49)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상기 탄성테두리부(27)(27)가 각각 설치되고, 이 각 탄성테두리부(27)에는 상기 상기 걸어맞춤홈(49A)(49A)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걸어맞춤돌기(27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46)에는 상기 구멍(48)의 둘레에 복수의 돌기부(31)가 설치된다. 또 상기 위쪽 관통구멍(43)에 대응하여 상기 라이너(5)에는 통기구멍(543)이 형성되고, 상기 아래쪽 관통구멍(43A)에 대응하여 상기 라이너(5)의 외면에는 통기홈부(543A)가 형성되는데, 이 통기홈부(543A)는 상기 개구부(3)의 주변쪽을 향해서 확대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46)가 하부에 위치할 때에는 그 슬라이드 부재(46)에 의해 상하의 연통구멍(47)(47A)이 모두 폐쇄되며,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 부재(46)를 상방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도1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46)의 구멍(48)과 위쪽 연통구멍(47)이 연통함과 동시에 아래쪽 연통구멍(47A)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위쪽 연통구멍(47)으로부터 들어온 공기는 셸(2)의 관통구멍(43), 라이너(5)의 구멍(543)을 통해서 헬멧 본체(1)내로 유입되는 한편, 아래쪽 연통구멍(47A)으로부터 들어온 공기는 셸(2)의 관통구멍(43A) 후방에 위치한 통기홈부(543A)에 의해 쉴드(6)의 내면을 따라 흐른다. 이와 같이 아래쪽 연통구멍(47A)에서 들어온 공기는 쉴드(6)의 내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쉴드(6) 내면의 흐림을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셸(2)에는 상기 개구부(3)의 하부 우측에 벤틸레이션 개폐기구(51)가 상기 탄성테두리부재(3A)에 근접하여 설치된다. 도12 내지 도1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 개폐기구(51)는 상기 셸(2)에 홈부(52)를 형성함과 함께 이 홈부(52)의 상부에 셸(2)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네모 형태의 관통구멍(53)을 형성하고, 상기 홈부(52)에 개폐부재(54)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 개폐부재(54)는 하부가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상부가 상기 개구부(3)의 탄성테두리부재(3A)에 근접되게 설치된다. 상기 개폐부재(54)는 상기 홈부(52)에 설치되는 장착 베이스(55)와, 이 장착 베이스(5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슬라이드 부재(56)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 베이스(55)에는 상기 관통구멍(53)에 삽입되는 통 모양의 연통구멍(57)(57A)이 상하 2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56)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장착 베이스(55)의 좌우에는 안내홈(58)(58)이 형성되고, 이 각 안내홈(58)에는 양 연통구멍(57)(57A)의 폐쇄위치와, 위쪽 연통구멍(57)만의 개방위치 및 양 연통구멍(57)(57A)의 개방위치들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의 걸어맞춤홈(58A)이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슬라이드 부재(56)의 좌우에는 상기 각 안내홈(58)(58)들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상기 탄성테두리부(27)(27)가 설치되고, 이 탄성테두리부(27)(27)들에는 상기 각 걸어맞춤홈(58A)들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걸어맞춤돌기(27A)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위쪽 연통구멍(57)의 후부는 상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그 연통구멍(57)으로 들어온 공기가 셸(2)과 라이너(5)의 틈새로부터 상방으로 흐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라이너(5)의 외면에는 개구부(3)의 주변쪽을 향해서 확대되는 통기홈부(55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래쪽 연통구멍(57A)으로 들어온 공기는 상기 라이너(5)에 형성한 구멍(557A)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슬라이드 부재(56)에는 복수의 돌기부(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56)가 상부에 위치할 때에는 그 슬라이드 부재(56)에 의해 상하 연통구멍(57)(57A)이 모두 폐쇄되는데, 이 위치에서는 슬라이드 부재(56)의 걸어맞춤돌기(27A)가 장착 베이스(55)의 상부 걸어맞춤홈(58A)에 끼워져 걸린다. 통기에 즈음하여 슬라이드부재(56)를 하방으로 슬라이드시켜 걸어맞춤돌기(27A)가 중앙의 걸어맞춤홈(58A)에 끼워져 걸리는 위치에서는 위쪽 연통구멍(57)만이 열리고, 이 연통구멍(57)에서 들어온 공기는 상방을 향해서 흘러 쉴드(6)의 내면을 따라 흐른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56)를 하방으로 더욱 슬라이드시켜 걸어맞춤돌기(27A)가 하부의 걸어맞춤홈(58A)에 끼워져 걸리는 위치에서는 아래쪽 연통구멍(57A)도 열리며, 이 연통구멍(57A)에서 들어온 공기는 라이너(5)의 구멍(557A)을 통해서 헬멧 본체(1)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56)의 조작에 의해 위쪽 연통구멍(57)만에서 공기를 받아들이거나, 상하의 연통구멍(57)(57A)에서 공기를 받아들이거나 할 수 있다.
상기 셸(2)에는 상기 개구부(3)의 하부 좌측에 벤틸레이션 개폐기구(61)가 상기 탄성테두리부재(3A)에 근접하여 설치된다. 도15 및 도20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개폐기구(61)는 상기 셸(2)에 홈부(62)를 형성함과 함께 이 홈부(62)의 상부에 셸(2)의 내외를 연통하는 네모 형태의 관통구멍(63)을 형성하고, 상기 홈부(62)에 쉴드 유지기구를 구비한 개폐부재(64)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 개폐부재(64)는 하부가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상부가 상기 개구부(3)의 주변에 근접되게 설치된다. 상기 개폐부재(64)는 상기 홈부(62)에 설치되는 장착 베이스(65)와, 이 장착 베이스(6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슬라이드 부재(66)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 베이스(65)의 상부에는 상기 관통구멍(63)에 삽입되는 통 모양의 연통구멍(67)이 형성되는데, 이 연통구멍(67)은 정면이 대략 삼각 형상을 이룬다. 또한 그 장착 베이스(65)의 좌우에는 각각 안내홈(68)(69)이 형성되어 이들 좌우 안내홈(68)(69) 사이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66)가 끼워지며, 이 슬라이드 부재(66)의 우측에 상기 우측 안내홈(69)에 끼워지는 돌출테두리(66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안내홈(68)에는 상기 연통구멍(67)의 폐쇄위치, 반개방위치 및 개방위치에 각각 대응하여 3개의 걸어맞춤홈(68A)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66)의 좌측에는 상기 걸어맞춤돌기(27A)를 구비한 탄성테두리부(27)가 설치되어 상기 안내홈(68)에 끼워진다. 또 상기 연통구멍(67)의 후부에 있어서, 라이너(5)의 외면에는 개구부(3)의 주변쪽을 향해서 확대되는 통기홈부(56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66)에는 돌기부(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66)가 상부에 위치할 때에는 그 슬라이드 부재(66)에 의해 연통구멍(67)이 폐쇄되는데, 이 위치에서는 걸어맞춤돌기(27A)가 상부의 걸어맞춤홈(68A)에 끼워져 걸린다. 통기에 즈음하여 슬라이드 부재(66)를 하방으로 슬라이드시켜 걸어맞춤돌기(27A)가 중앙의 걸어맞춤홈(68A)에 끼워져 걸리는 위치에서는 연통구멍(67)이 부분적으로 열리고, 또 슬라이드 부재(66)를 하방으로 더욱 슬라이드시켜 걸어맞춤돌기(27A)가 하부의 걸어맞춤홈(68A)에 끼워져 걸리는 위치에서는 연통구멍(67)이 완전히 열린다. 이와 같이하여 열린 연통구멍(67)에서 들어온 공기는 상방을 향해 흘러 쉴드(6)의 내면을 따라 흐른다.
한편 상기 연통구멍(67)의 우측에는 쉴드 유지기구(71)가 설치된다. 이 쉴드 유지기구(71)는 도1에 보이는 바와 같이 헬멧 본체(1)의 턱 덮개부(4) 중앙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우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턱 덮개부(4)의 거의 중앙으로는 도1에 있어서 개폐기구(51)(61)의 사이 및 이 근방 위치이다. 상기 쉴드 유지기구(71)는 상기 쉴드(6)의 하부측에 걸고 벗기는 스토퍼 부재(stopper 部材:72)를 구비한다. 이 스토퍼부재(72)는 도15 및 도1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선단에 전방을 향하는 훅부(hook部:73)를 가지며, 그 길이방향 중앙에는 네모 형태의 단차구멍(74)을 형성되어 이 단차구멍(74)에 별도 몸체의 조작노브인 미세조정용 노브(knob:75)가 삽입 배치되고, 이 미세조정용 노브(75)의 기초단에는 상하방향으로 긴 누름부(75A)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단차구멍(74)은 상단차부(74A)와 하단차부(74B)를 구비하며, 이들 상, 하 단차부(74A)(74B)는 상기 누름부(75A)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됨과 함께 상기 미세조정 노브(75)의 상하방향 두께보다 상기 단차구멍(74)의 상하방향내 치수가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미세조정용 노브(75)의 선단측이 상하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누름부(75A)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탄성돌기편(78)에 대향하는 면에 만곡단면 형상을 갖는 돌기부(75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재(72)의 후면에는 상하 2개소에 걸림홈(76)(76A)이 형성되는데, 이들 걸림홈(76)(76A)들은 상기 단차구멍(74)보다 하방에 형성되며, 위쪽 걸림홈(76)의 아래쪽 모서리부(76K)는 비스듬하게 모떼기가 실시된다. 또한 상기 장착 베이스(65)의 상부에는 상기 스토퍼부재(72)를 종방향으로 삽입하는 안내홈인 삽입홈(77)이 형성되는데, 이 삽입홈(77)은 하측을 향해서 안쪽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삽입홈(77)의 오른쪽 가장자리(77R)에 상기 스토퍼부재(72)의 오른쪽 가장자리가 걸어맞춤되고, 그 삽입홈(77)의 왼쪽 가장자리(77L)에 상기 스토퍼부재(72)의 왼쪽 가장자리가 걸어맞춤되는데, 이들 삽입홈(77)의 오른쪽 가장자리(77R) 및 왼쪽 가장자리(77L)는 그 상부가 앞쪽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77)을 따라 상기 스토퍼부재(7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삽입홈(77)의 후부에는 상단을 장착 베이스(65)에 일체로 설치함과 함께 하단을 자유단으로 한 탄성돌기편(78)이 설치되고, 이 탄성돌기편(78)의 하부에는 앞쪽을 향한 걸림돌기(79)가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76)(76A)에 끼워져 걸린다. 또한 그 걸림돌기(79)는 선단 상부에 모서리부(79A)가 형성되고, 선단 하부에 걸림모서리부(79B)가 형성된다. 또 상기 장착 베이스(65)에 상기 스토퍼부재(72)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미세조정용 노브(75)의 선단은 약간 하방향으로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돌기편(78), 걸림돌기(79) 및 상하의 걸림홈(76)(76A)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재(72)의 상하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80)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16에 보이는 하부위치에서, 상기 미세조정용 노브(75)를 비스듬히 상방향으로 누르면 미세조정용 노브(75)의 선단이 상방으로 회전운동하여 누름부(75A)의 하부가 하단차부(74B)의 내면에 접촉하는 한편 누름부(75A)의 상부에 위치하는 돌기부(75B)가 탄성돌기편(78)에 접촉하고, 누름부(75A)의 하부는 하단차부(74B)에 접촉하여 규제되므로 미세조정용 노브(75)를 상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한 지레대의 원리에 의해 상기 돌기부(75B)가 탄성돌기편(78)을 누르게 됨으로써 탄성돌기편(78)이 그 탄성변형에 의해 후측으로 휘어진다. 이에 따라 하단의 걸림돌기(79)가 위쪽 걸림홈(76)에서 빠지므로 미세조정용 노브(75)의 조작에 의해 스토퍼부재(72)가 상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스토퍼부재(72)를 상방으로 이동하면 걸림돌기(79)가 아래쪽 걸림홈(76A)에 끼워져 걸린다. 이 경우 위쪽 걸림홈(76)의 아래쪽 모서리부(76K)에는 모떼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돌기(79)가 걸림홈(76) 바닥의 구석으로부터 빠지면 스토퍼부재(72)가 이동가능하게 된다. 한편 그 아래쪽 걸림홈(76A)에 걸린 위치에서는 미세조정용 노브(75)를 밀어올려도 누름부(75A)는 장착 베이스(65)의 상부부분(65J)을 누르기 때문에 탄성돌기편(78)은 탄성변형되지 않고, 이에 따라 걸림돌기(79)가 아래쪽 걸림홈(76A)에서 빠지지 않으며, 또한 이와 함께 탄성돌기편(78)의 하단이 이탈방지부(72A)에 걸리므로 스토퍼부재(72)의 상방 이동이 규제된다. 한편 스토퍼부재(72)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미세조정용 노브(75)를 조작하든가, 훅부(73)를 하방으로 눌러주면 탄성돌기편(78)이 약간 휘어져 스토퍼부재(72)가 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모서리부(79A)를 만곡모양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미세조정용 노브(75)를 하방향으로 눌러주면 상술한 지레대 원리에 의해 이번에는 누름부(75A)의 하부가 탄성돌기편(78)을 후측으로 누르게 된다. 또 스토퍼부재(72)의 하부위치에서는 이 스토퍼부재(72)의 하면 접촉부(72B)가 상기 장착 베이스(65)에 접촉하여 이 이상의 하방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72A)에 의해 스토퍼부재(72)의 하단은 첨예하게 되므로 후면측에 라이너(5)의 표장재등이 있는 경우에도 스무스(smooth)하게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쉴드(6)에는 상기 스토퍼부재(72)에 대응하여 쉴드 노브(81)가 장착된다. 도1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쉴드 노브(81)는 상기 쉴드(6)의 하부 가장자리(6F)에 장착부재(82)를 배치하는데, 이 장착부재(82)는 테두리 모양의 전부(前部:83)와 단면이 대략 L형인 후부(後部:84)를 가지며, 상기 쉴드(6)의 하부 가장자리(6F)를 내외면에서 파지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모양 전부(83)의 하부 좌우에는 규제돌기부(85)(85)가 형성된다. 상기 쉴드 노브(81)는 상기 장착부재(82)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노브(86)를 구비하는데, 이 걸림노브(86)는 상기 장착부재(82)의 상기 테두리모양 전부(83)의 바깥에 끼워지는 앞틀부(87)와, 이 앞틀부(87)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규제돌기부(85)(85)를 삽입하는 전후방향의 요동안내부(88)와, 이 요동안내부(88)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부재(72)의 훅부(73)가 걸거나 벗겨지는 걸림부인 가로대부(89)를 구비한다. 상기 앞틀부(87)의 상부에는 단면이 대략 네모 형태인 횡축(87A)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횡축(87A)은 앞쪽의 하부 모서리가 만곡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장착부재(82)는 캡(cap:91)에 의해 고정되고, 이 캡(91)은 나사(92)에 의해 고정되는데, 그 캡(91)은 상기 장착부재(82)의 안쪽에 끼워짐과 함께 이 장착부재(82)를 상기 쉴드(6) 전면과의 사이에 끼워 부착하는 좌우의 누름리브(91A)를 가진다. 상기 캡(91)의 상부에는 상기 횡축(87A)을 상기 쉴드(6) 전면과의 사이에 끼워서 고정하는 상부위치결정부(93)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앞틀부(87)의 만곡하면부(87B)에 접촉하는 아래쪽 접촉테두리부(9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82)의 테두리모양 전부(83)의 윗부분(83A)상에 상기 횡축(87A)을 얹어놓고, 그 장착부재(82)의 안쪽에 상기 캡(91)을 끼워 이 캡(91)을 나사(92)에 의해 쉴드(6)에 고정함으로써 장착부재(82)가 쉴드(6)에 고정된다. 또 걸림노브(86)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같은 탄성과 강도를 가지는 수지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쉴드(6)의 전면과 상부위치결정부(93) 사이에 끼워져 부착된 상기 횡축(87A)이 걸림노브(86)의 하부를 앞쪽으로 당기면 토션바(torsion bar)로서 작용하여 상기 가로대부(89)가 전후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되며, 또 전방으로 요동시킨 후 손을 놓으면 횡축(87A)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걸림노브(86)는 후방으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걸림노브(86)는 상기 횡축(87A)을 중심으로 요동가능하고, 이 요동은 상기 규제돌기(85)가 걸어맞춤되는 요동안내부(88)의 범위에서 행해진다.
또한 상기 쉴드 유지기구(7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77)은 쉴드(6)의 하부 가장자리(6F)가 열리는 방향을 거의 따라서 상기 스토퍼부재(72)를 앞쪽 상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고, 이 열림방향에 대하여 상기 훅부(73)의 걸림면인 걸림부(73A)가 거의 교차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1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73A)는 상기 장착축(7)의 중심에서 연장한 가상선상을 거의 따르는 방향이다.
다음에, 상기 쉴드 유지기구(71)와 쉴드노브(81)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19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부위치에 있는 스토퍼부재(72)의 훅부(73)를 걸림노브(86)의 가로대부(89)에 걸어줌으로써 쉴드(6)가 완전 폐쇄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미세조정용 노브(75)를 사용하여 스토퍼부재(72)를 상방으로 이동하고, 걸림돌기(79)를 윗쪽 걸림홈(76)에 걸어줌으로써 스토퍼부재(72)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며, 도20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개구부(3)의 주변과 쉴드(6)의 하부 가장자리(6F) 사이에 미소간극을 형성한 상태로 로크(lock)할 수 있어 이 미소간극에서 들어오는 외기에 의해 쉴드(6) 내면의 흐림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쉴드(6)의 개방은 도18에 보이는 바와 같이 걸림노브(86)의 하부를 앞쪽으로 당겨주면 훅부(73)로부터 가로대부(89)가 빠져 쉴드(6)를 열 수 있다.
상기 셸(2)의 후방 상부에는 제1정류판으로서 띠 모양의 상측 정류판(101)이 설치된다. 도21 내지 도25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상측 정류판(101)은 중앙과 좌우에 각각 벤틸레이션의 중앙개폐기구(102)와 측부개폐기구(103)(103)를 가진다. 상기 중앙개폐기구(102)에 대응하여 상기 셸(2)에는 관통구멍(111)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111)에 대응하여 상기 상측 정류판(101)에 개구부(112)가 형성됨과 함께 이 개구부(112)의 좌우에 전후방향에서 후방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융기부(113)(113)가 형성되는데, 이들 융기부(113)(113)는 후방을 향해서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융기부(113)의 내측에는 축받이부(114)가 설치되고, 이 축받이부(114)에 경사운동덮개(115)의 축부(116)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도2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 융기부(113)(113)의 후부에는 선단을 자유단으로 한 탄성결합편(117)이 하방을 향해 돌출되고, 이 탄성결합편(117)의 내면에는 상기 경사운동덮개(115)의 개폐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돌기(117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운동덮개(115)의 좌우 가장자리에는 선단을 자유단으로 한 탄성편(118)이 하방을 향해 돌출되고, 이 탄성편(118)의 하부 외면에 상기 위치결정돌기(117A)에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돌기(118A)가 형성된다. 또 도21 및 도2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2)의 후부 중앙에는 전후방향이 슬릿 모양을 이루는 위치결정돌기(119)가 돌출되어, 이 위치결정돌기(119)를 상기 중앙의 관통구멍(112)에 삽입함으로써 상측 정류판(101)의 위치를 맞출 수 있다. 또 도4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멍(111)의 일부를 구성하는 라이너 관통구멍(511)이 모자체 라이너(5B)에 형성된다.
상기 좌우개폐기구(103)에 대응하여 상기 셸(2)에는 관통구멍(121)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121)에 대응하여 상기 상측 정류판(101)에 개구부(122)가 형성됨과 함께 이 개구부(122)의 좌우에 전후방향에서 후방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융기부(123)(123)가 형성되는데, 이들 융기부(123)(123)는 후방을 향해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좌우개폐기구(103)는 상기 중앙개폐기구(102)과 동일한 모양으로, 상기 융기부(123)의 내측에 상기 축받이부(114)가 형성되어 이 축받이부(114)에 좌우 경사운동덮개(125)의 축부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좌우 융기부(123)의 후부에는 상기 위치결정돌기(117A)를 구비한 상기 탄성결합편(117)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운동덮개(125)의 좌우 가장자리에는 상기 걸어맞춤돌기(118A)를 구비한 탄성편(11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과 측부에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융기부(113)(123) 사이에 정류홈(130)이 형성된다. 또 도3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멍(121)의 일부를 구성하는 라이너 관통구멍(521)이 모자체 라이너(5B)에 형성된다.
그리고 도22에 보이는 바와 같이 경사운동덮개(115)(125)의 앞쪽을 폐쇄한 상태에서 주행하면 경사운동덮개(115)(125)의 후방에 부압이 발생하여 헬멧 본체(1)내의 공기가 관통구멍(111)(121)으로부터 빠져나가게 되어 배기할 수 있고, 역으로 경사운동덮개(115)(125)의 후측을 눌러 경상운동덮개(115)(125)의 앞쪽을 열어주면 외부공기가 경사운동덮개(115)(125)에 안내되어 관통구멍(111)(121)을 통해 헬멧 본체(1)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셸(2)의 후방 하부에는 제2정류판으로서 띠 모양의 하측 정류판(131)이 설치된다. 도25의 단면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하측 정류판(131)은 상부에 경사진 기립면(起立面:132)을 가짐과 함께 이 기립면(132)의 상단에서 상기 셸(2)의 하방을 향하는 만곡면(133)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상기 만곡면(133)의 상부와 기립면(132)과 내면을 연결하는 보강용 리브(132R)가 복수개소에 설치된다. 또 상기 하측 정류판(131)의 중앙에는 측부보다 들어간 홈부(134)가 형성된다. 더욱이 도2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정류판(131)의 내부에는 중공부(135)가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 그 하측 정류판(131)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외면이 곡면으로 구성되는 셸(2)의 외면에서, 후상부에 경사진 상측 정류판(101)을 설치하고, 후부에 하측 정류판(131)을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헬멧에서는 얻을 수 없었던 주행시의 장착감을 얻을 수 있다. 우선, 장착자가 턱을 당기는 동작을 하면 턱 덮개부(4)의 위치가 낮아져 헬멧 본체(1)의 하방에 받는 바람의 영향이 증가하지만, 동시에 뒤쪽 상부의 상측 정류판(101)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셸(2)의 상부를 흐르는 공기가 상측 정류판(101)의 저항을 받음과 동시에 정류되고, 더욱이 그 공기는 하측 정류판(131)을 따라 흘러서 정류되며, 이에 따라 상기 헬멧 본체(1)의 하방에 받는 바람의 영향, 즉 턱을 당기는 동작에 의해 더욱더 턱을 내리게 하는 바람의 영향이 경감된다. 또한 주행중에 머리부를 좌우로 기울게 하면 기울어진 방향에 헬멧 본체(1)의 바람을 받는 면적이 증가하지만, 이 경우는 기울어진 방향과 다른쪽 방향의 정류판(101)(131)에 바람이 부딪쳐 머리부를 기울인 경우에도 좌우에 있어서 바람이 부딪치는 면적변화가 적기 때문에 장착자는 머리부를 기울이는 동작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도26 내지 도3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셸(2)의 좌우에는 쉴드용 장착 베이스(141)가 설치되고, 이 장착 베이스(141)를 설치하기 위한 상하의 암나사구멍(142)(142)이 셸(2)에 형성된다. 이들 암나사구멍(142)(142)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 베이스(141)에는 상하의 조정구멍(143)(143)이 형성되는데, 이들 조정구멍(143)(143)은 장착부재인 나사(144)에 비해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나사(144)를 헐겁게 함으로써 상기 장착 베이스(141)의 설치위치를 상하전후로 조정가능하게 된다. 상기 상부 조정구멍(143)의 주위에는 상기 쉴드(6)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통 모양의 상기 장착축(7)이 설치되고, 이 장착축(7)의 상단 주위에는 한쌍의 이탈방지편(145)(145)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장착축(7)의 외측에 끼워지는 장착구멍(146)이 상기 쉴드(6)의 단부에 형성되고, 이 장착구멍(146)에는 상기 이탈방지편(145)이 끼워져 통과할 수 있는 1개의 절결홈(147)이 상기 쉴드(6)의 개방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또 상기 장착 베이스(141)의 높이방향 중앙에는 중공의 탄성통체(彈性筒體:148)가 설치되는데, 이 탄성통체(148)는 상부 중앙을 상기 장착 베이스(141)에 연결하며, 중공형상에 의해 그 하부만곡면(149)이 탄성변형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통체(148)의 상부에는 돌기 모양의 스토퍼(150)가 설치된다. 이들 탄성통체(148)와 스토퍼(150)에 대응하여 상기 쉴드(6)의 단부에는 개구부(151)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51)의 하부 가장자리(152)는 상기 장착축(7)을 중심으로한 원호모양을 이룸과 함께 그 하부 가장자리(152)의 중앙에는 상기 하부만곡면(149)을 가압하는 가압돌기(153)가 형성되는데, 이 가압돌기(153)는 앞쪽 및 뒤쪽 경사부(153A)(153B)를 가진다. 또 상기 탄성통체(148)의 하부만곡면(149) 상부에는 상기 개구부(151)의 하부 가장자리(152) 상면과 간격을 두고 끼워지는 테두리편(148A)이 돌출된다. 그리고 개구부(151)의 상부 가장자리 후방에는 상기 스토퍼(150)가 접촉하는 접촉부(154)가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쉴드(6)의 폐쇄위치에서는 상기 하부만곡면(149)의 앞쪽 가장자리(149A)가 상기 가압돌기(153)의 앞쪽경사부(153A)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쉴드(6)의 개방위치에서는 상기 스토퍼(150)가 접촉부(154)에 접촉함과 함께 상기 하부만곡면(149)의 뒤쪽 가장자리(149B)가 상기 가압돌기(153)의 뒤쪽경사부(153B)에 의해 가압되며, 폐쇄한 위치 및 소정각도로 개방한 위치에서 각각 쉴드(6)가 위치고정된다.
상기 장착 베이스(141)에는 상기 장착축(7)의 후방에 축부(161)가 돌출 설치되고, 이 축부(161)에 회전아암(回轉arm:162)의 장착구멍(163)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축부(161)는 선단에 이탈방지편(164)이 돌출 설치되고, 이 이탈방지편(164)이 삽입 통과될 수 있는 절결홈(165)이 상기 장착구멍(163)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구멍(163)의 주위에는 상기 이탈방지편(164)이 미끄럼운동하는 원주홈부(166)가 형성되고, 이 원주홈부(166)에는 상기 이탈방지편(164)과 대향한 위치에 그 이탈방지편(164)이 접촉하는 접촉부(166A)가 형성된다. 이 접촉부(166A)에 상기 이탈방지편(164)이 접촉한 위치에서, 상기 장착축(7)의 이탈방지편(145)에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테두리(162A)가 상기 회전아암(162)에 형성되어 이 걸어맞춤테두리(162A)에 의해 상기 장착구멍(146)의 상기 절결홈(147)이 폐쇄된다. 더욱이 상기 쉴드(6)의 단부에는 그 쉴드(6)의 폐쇄위치에서 상기 조정구멍(143)이 나사(144)로 조작가능한 조작구멍(167)이 형성된다.
다음에, 상기 쉴드(6)의 설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28에 보이는 바와 같이 쉴드(6)를 개방한 상태의 방향에서, 그 쉴드(6)의 단부에 형성한 장착구멍(146)을 장착축(7)에 끼운다. 쉴드(6)를 개방한 상태의 방향에서는 후방의 이탈방지편(145)과 절결홈(147)이 동일방향이므로 이 절결홈(147)과 대향하는 장착구멍(146)의 가장자리를 앞쪽의 이탈방지편(145) 하방에 꽂고, 이후 절결홈(147)을 후방의 이탈방지편(145)에 통과되게 끼움으로써 앞쪽의 이탈방지편(145)에 의해 제1의 이탈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쉴드(6)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양 이탈방지편(145)(145)에 의해 장착축(7)으로부터 장착구멍(146)이 빠지지 않아 제2의 이탈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29 상태의 회전아암(162)을 장착축(7) 쪽으로 회전하여 도26에 보이는 바와 같이 회전아암(162)의 걸어맞춤테두리(162A)를 장착축(7) 및 후방의 이탈방지편(145)에 걸어맞춤으로써 절결홈(147)의 상부가 막히기 때문에 제3의 이탈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쉴드(6)의 설치에 있어서는, 개구부(151)의 하부 가장자리(152)가 상기 탄성통체(148)의 테두리편(148A)을 뛰어넘어 탄성통체(148)의 하부만곡면(149)에 걸어맞춤되므로 그 테두리편(148A)에 의해 제4의 이탈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쉴드(6)를 떼어낼시에는 쉴드(6)를 완전 개방위치로 회전하여 장착과 반대의 수순으로 떼어낸다.
한편 설치상태에서의 쉴드(6)의 위치맞춤을 행하는 경우는, 쉴드(6)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하의 나사(144)(144)를 풀어 헐겁게 하고, 쉴드(6)가 개구부(3)의 탄성테두리부재(3A)에 바르게 맞도록 장착 베이스(141)의 위치를 결정하여 나사(144)(144)를 조인다. 이 경우 쉴드(6)의 단부에 조작구멍(16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쉴드(6)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그 위치를 바르게 맞출 수 있다.
상기 장착 베이스(141)의 상부 후방에는 앞쪽과 하측이 개구한 상측 장착훅(171)이 셸(2)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 베이스(141)의 하부 전방에는 앞쪽과 하측이 개구한 한쌍의 하측 장착훅(172)(172)이 앞뒤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들 장착훅(171)(172)은 나사(173)에 의해 셸(2)에 고정된다.
쉴드 커버(181)는 상기 장착 베이스(141) 및 장착훅(171)(172)을 감싸 상기 셸(2)의 측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이 쉴드 커버(181)에 의해 상기 상측 정류판(101) 및 하측 정류판(131)의 단부가 덮여진다. 도30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쉴드 커버(181)의 내면에는 상기 상측 장착훅(171)에 걸고 벗김 가능한 상측 삽입부(182)와, 상기 한쌍의 하측 장착훅(172)(172)에 걸고 벗김 가능한 한쌍의 하측 삽입부(183)(183)가 설치된다. 상기 상측 삽입부(182)는 상측과 후측이 개구하여 상기 상측 장착훅(171)과 셸(2)의 외면 사이에 앞쪽으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하측 삽입부(183)은 상측과 후측이 개구하여 상기 하측 장착훅(172)과 셸(2)의 외면 사이에 앞쪽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쉴드 커버(181)의 내면에는 그 상방 앞쪽에 홈모양의 장착가이드부(184)가 설치되는데, 이 장착가이드부(184)는 개방시에 있어서 상기 쉴드(6)의 단부 위쪽 가장자리(6T)에 걸어맞춤된다.
상기 헬멧 본체(1)에는 쉴드(6)의 개방시에 상기 쉴드 커버(181)의 벗어짐을 규제하는 규제기구(185)가 설치된다. 이 규제기구(185)는 도30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쉴드 커버(181)의 내면에 앞쪽과 하측이 개구한 수납홈(186)을 돌출 설치하고, 이 수납홈(186)에 끼워지는 끼움부(187)를 상기 쉴드(6)의 단부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쉴드(6)의 폐쇄시에는 상기 수납홈(186)내에 상기 끼움부(187)가 끼워져 걸림으로써 쉴드 커버(181)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그리고 상기 상측 정류판(101) 및 하측 정류판(131)의 단부를 덮어 이들을 연결하도록 쉴드 커버(181)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셸(2)의 외면에 상측 정류판(101), 하측 정류판(131) 및 쉴드 커버(181)를 설치한 헬멧에 있어서는, 장착자가 머리부를 하측으로 움직이면 헬멧 본체(1)의 전면투영면적은 머리 정상부쪽의 면적이 감소하여 주행시에 있어서 공력특성(空力特性)이 변화하지만, 머리부를 하측으로 움직이면 상측 정류판(101)이 전면투영면적쪽에 나타나 상기 공력특성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하게 된다. 또 헬멧 본체(1)의 형상은 장착자의 머리부 형상에 부합된 외형이기 때문에 전후방향의 길이에 비하여 좌우폭이 좁다. 이 때문에 헬멧 본체(1)의 장착자가 머리부를 좌우로 움직이면 공력저항의 변화가 나타나지만, 상기 상측 정류판(101), 하측 정류판(131) 및 쉴드 커버(181)에 의해 그 공력저항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특히 중공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쉴드 커버(181)와 중공형상으로 볼록한 하측 정류판(131)에 의해 머리부를 좌우방향으로 움직인 경우에도 공력저항의 변화를 경감할 수 있고, 주행시에 있어서 후방 확인시 등의 동작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더구나 쉴드 커버(181)와 하측 정류판(131)은 부풀어 오른 중공형상이므로 장착에 의한 헬멧 본체(1)의 중량 증가도 경감할 수 있다.
상기 라이너(5)는 볼 덮개부(4)로부터 장착자의 볼 부분에 대응하여 셸(2)의 내면에 설치되는 턱체 라이너(5A)와, 나머지 부분에 설치된 모자체 라이너(5B)로 이루어지고, 모자체 라이너(5B)는 그 턱체 라이너(5A)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모자체 라이너(5B)는 상기 셸(2)내에 끼워져 장착되는 아우터 라이너(311)와, 이 아우터 라이너(311)내에 끼워져 장착되는 인너 라이너(312)로 이루어지고, 이 인너 라이너(31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아우터 라이너(311)의 가장자리(313)에 접촉하는 테두리부(314)가 설치된다. 도44 내지 도4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아우터 라이너(311)의 내면에는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보강시트(315L)(315R)(315B)가 접착제에 의해 부분적으로 들러붙게 부착된다. 또 상기 보강시트(315L)(315R)(315B)를 인너 라이너(312)의 외면에 들러붙도록 부착하여도 좋다. 이 보강시트(314L)(315R)(315B)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직물 등의 직물체 양면에 폴리염화비닐수지 코팅을 실시함으로써 유연성과 강성을 갖추는 것으로, 예를들면 두께는 0.65㎜ 정도이고, 타포린(tarpaulin)등이 쓰인다. 이 타포린은 가장 알맞는 예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수지 직물 등의 직물체에 폴리염화비닐수지를 코팅하여 이루어지며, 그외에도 합성수지를 도포한 방수돛베(防水帆布)등도 있다. 또한 상기 보강시트(315L)(315R)(315B)에 쓰이는 상기 직물체는 부직포도 좋고, 더욱이 보강시트(315L)(315R)(315B)에는 아라미드(aramid) 섬유의 직포나 부직포에 각종의 수지코팅을 실시한 것 등을 쓸 수도 있다. 상기 보강시트(315L)(315R)는 아우터 라이너(311)의 좌우 측부, 보강시트(315B)는 아우터 라이너(311)의 후부에 설치되며, 모두 상기 가장자리(313)의 근방에 위치한다. 또 도47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보강시트(315L)(315R)(315B)는 상기 통기구멍(543), 구멍(513) 및 라이너 관통구멍(511)(521)의 개구위치와 어긋난 위치에 접착된다. 더욱이 보강시트(315L)(315R)(315B)의 주위에는 단면이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 절결된 형태의 절개부(316)가 복수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절개부(316)는 V자 모양이지만, U자 모양이나 홈 모양도 좋다.
그리고 모자체 라이너(5B)의 조립에 있어서는, 미리 아우터 라이너(311)의 내면에 보강시트(31L)(315R)(315B)를 접착해 놓는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인너 라이너(312)의 외면에 접착해 놓아도 좋다. 접착에 있어서 보강시트(31L)(315R)(315B)의 주위에는 절개부(31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강시트(315L)(315R)(315B)의 주위가 출렁거림 없이 아우터 라이너(311)의 곡면을 따라 균일하게 부착될 수 있다. 우선, 그 아우터 라이너(311)를 셸(2)내에 끼워 넣고, 다음에 아우터 라이너(311)내에 인너 라이너(312)를 끼워 넣는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일체 구성의 라이너에서는 살이 두껍기 때문에 끼워넣을때에 라이너가 스트레스를 받을 염려가 있고, 이 때문에 강도상 안전율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도 있었으나, 본 발명의 모자체 라이너(5B)는 일체의 것에 비해서 개개의 라이너(311)(312)의 두께가 대략 2분의 1이므로 끼워넣을때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또 강도 등의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아우터 라이너(311)와 인너 라이너(312)의 재질을 바꿀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발포재등으로 된 아우터 라이너(311)와 인너 라이너(312)를 조립하면, 도45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보강시트(315L)(315R)(315B)를 설치하지 않은 부분은 아우터 라이너(311)의 내면과 인너 라이너(312)의 외면이 밀착한다. 그리고 셸(2)에 충격력이 가해지면, 아우터 라이너(311)의 내면, 혹은 인너 라이너(312)의 외면에 부착된 보강시트(315L)(315R)(315B)에 의해 충격력이 분산되어 양호한 충격흡수성을 얻을 수 있다. 아우터 라이너(311)에 부착된 경우, 보강시트(315L)(315R)(315B) 사이에 있어서도 보강시트(315L)(315R)(315B)에 의해 구속되므로 아우터 라이너(311)의 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모자체 라이너(5B)를 얇게 할 수 있으며, 헬멧 본체(1)의 경량화와 슬림화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좌우 측부에 보강시트(315L)(315R)를 배치함과 함께, 후부에 보강시트(315B)를 배치하였으므로 모자체 라이너(5B)의 좌우 측부의 두께를 얇게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모자체 라이너(5B)의 후부의 두께를 얇게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좌우 치수 및 전후 치수가 작은 셸(2)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모자체 라이너(5B)의 내측에는 내장체(200)가 장착된다. 이 내장체(200)는 장착자의 머리 정상부에 접촉하는 헤드 파트(head part:201)와, 장착자의 볼 부분에 접촉하는 좌우 한쌍의 볼 파트부(頰 part:202) 및 장착자의 목부에 접촉하는 네크 파트부(neck part部:203)를 일체로 한 로우 파트(low part:204)로 구성되고, 이들 헤드 파트(201)와 로우 파트(204)는 함께 상기 모자체 라이너(5B)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헤드 파트(201)는 유연성이 우수한 쿠션재(205)와, 이 쿠션재(205)의 표면을 덮는 통기성이 우수한 천으로 이루어지는 표장커버(表裝cover:206)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3)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모자체 라이너(5B)의 천정부분을 감싸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헤드 파트(201)는 상기 모자체 라이너(5B)의 내면 상부를 감싸는 대략 타원형의 정상부(頂部:207)와, 상기 개구부(3) 상부의 모자체 라이너(5B) 내면을 덮어 장착자의 이마부분에 접촉하는 전부(208)를 좌우방향으로 폭이 좁은 연결부(209)에 의해 연결한다. 그리고 이 연결부(209)에는 상기 쿠션재(205)를 설치하지 않은 내외의 표장커버(206)(206)를 중첩시켜 폭방향으로 복수개소에서 봉착(縫着) 또는 접착한다. 또 상기 전부(208)의 앞쪽 가장자리에는 폴리에스테르등으로 된 메시(mesh:210)를 개재하여 인너 커버(211)가 접착 또는 봉착에 의해 연결된다. 이 인너 커버(211)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수지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3) 위치의 라이너(5) 가장자리를 따르는 띠부(212)와, 이 띠부(212)의 전단 가장자리에 돌출 설치되는 장착부(213)로 구성된다. 이 장착부(213)는 상기 개구부(3)의 위쪽 가장자리측 셸(2)과 모자체 라이너(5B)의 사이에 삽입됨과 함께, 그 장착부(213)에는 상기 관통구멍(43A)의 후방에 삽입되는 삽입돌기편(214)이 돌출 형성된다. 이 삽입돌기편(214)은 상기 관통구멍(43A)에 연통하는 홈부(214A)를 구비하는데, 이 홈부(214A)는 하방을 향해서 확대 형성되고, 상기 띠부(212)의 길이방향 끝 가장자리에는 모자체 라이너(5B)와 턱체 라이너(5A)의 겹침부분에 삽입되는 삽입돌기편(215)이 형성된다. 또 상기 연결부(209)와 정상부(207)의 후부 외면에는 한쪽의 면파스너(面fastener:216)(216)가 설치되고, 이들 한쪽 면파스너(216)(216)에 착탈 가능한 다른쪽 면파스너(216A)(216A)가 상기 모자체 라이너(5B)의 내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헤드 파트(201)의 전부(208)에는 상기 관통구멍(43A)에 연통하는 구멍(217)이 형성된다.
상기 로우 파트(204)의 볼 파트부(202)는 외면측에 가요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대략 평판모양의 기판(基板:221)을 가지며, 이 기판(221)에는 상기 턱 벨트(8)가 삽입 통과하는 끼움구멍(2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판(221)의 내면에는 상기 끼움구멍(222)의 상부에 제1의 상부 쿠션재(223)가 접착됨과 함께 이 제1의 상부 쿠션재(223) 내면에 같은 모양의 제2 상부 쿠션재(224)가 접착되고, 상기 끼움구멍(222)의 하부에는 제1의 하부 쿠션재(223A)가 접착됨과 함께 이 제1의 하부 쿠션재(223A) 내면에 제2의 하부 쿠션재(224A)가 접착된다. 그리고 상부 쿠션재(223)(224)와 하부 쿠션재(223A)(224A)는 사이에 간격을 둔 별개 몸체며, 또 이들 쿠션재(223)(224)(223A)(224A)는 모두가 스폰지(sponge) 모양의 것으로, 제2의 쿠션재(224)(224A)가 제1의 쿠션재(223)(223A)보다 다공질(多孔質)의 것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볼 파트부(202)에 있어서 내면쪽의 통기성을 확보하며, 제2의 쿠션재(224)(224A)는 제1의 쿠션재(223)(223A)보다 얇게 형성된다. 또 하측의 상기 제1,2의 쿠션재(223A)(224A) 하부 가장자리에는 제2의 쿠션재(223A)(224A)와 동일 재질의 제3 쿠션재(225)가 대략 U자 모양으로 감겨져서 접착된다.
상기 기판(221)의 앞쪽 테두리부(221A)는 상기 볼 덮개부(4)의 내측에 배치되고, 그 기판(221)의 만곡 테두리부(221B)는 상기 개구부(3)의 측부에 면하여 배치되며, 이 만곡 테두리부(221B)의 후방에 거의 수평방향의 상부 테두리부(221C)가 형성된다. 이들 앞쪽 테두리부(221A), 만곡 테두리부(221B) 및 상부 테두리부(221C)에는 통기성이 우수한 천으로 이루어지는 표장커버(226)가 봉착되는데, 이 표장커버(226)는 상기 쿠션재(223)(224)(223A)(224A)를 감싸는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된다. 또한 그 표장커버(226)에는 볼 파트부(202)의 내면측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멍(222)에 대응되게 전후방향의 절단개구부(227)가 형성되며, 이 절단개구부(227)의 상하에 각각 혀편(舌片:228)(228)이 봉착되고, 이들 혀편(228)(228)의 선단에 걸림수단으로 기능하는 한쪽 면파스너(229)(229)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221)의 외면에는 상기 면파스너(229)(229)와 착탈 가능한 걸림수단으로 기능하는 다른쪽 면파스너(229A)(229A)가 상기 끼움구멍(222)의 상하에 위치되어 설치된다.
더욱이 상기 표장커버(226)는 상기 상부 테두리부(221C)의 상방에 만곡 상태로 돌출하는 주머니 모양의 귓집부(226A)를 구비하는데, 이 귓집부(226A)는 장착자의 귀 상방에 접촉되며, 그 귓집부(226A)의 내부에는 쿠션재(230)가 설치된다. 상기 귓집부(226A)의 하방에는 외면측 표장커버(226)의 가장자리를 실(絲)에 의해 보강한 만곡 모양의 보강 테두리부(231)가 형성되는데, 이 보강 테두리부(231)는 기단이 상기 상부 테두리부(221C)의 후단측에 있다. 또한 그 보강 테두리부(231)의 선단측에는 상기 표장커버(226)로 이루어지는 혀부(舌部:232)가 형성되어 이 혀부(232)에 한쪽 면파스너(233)가 설치되고, 이 한쪽 면파스너(233)가 착탈 가능한 다른쪽 면파스너(233A)가 상기 기판(221)의 아래쪽 후부 외면에 설치된다. 또 좌우의 볼 파트부(202)(202)는 상기 네크 파트부(203)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 네크 파트부(203)는 상기 표장커버(226)를 내외에 설치한 주머니 모양을 이루며, 그 내부에 쿠션재(234)가 설치된다.
상기 로우 파트(204)의 주위에는 헬멧 본체(1)의 하부 개구에 있어서 상기 셸(2)과 라이너(5) 사이에 삽입되는 끼워붙임띠(235)가 설치되는데, 이 끼워붙임띠(235)의 일측 선단에는 폭이 좁은 삽입부(236)가 형성됨과 함께 타측 선단에는 슬릿 모양을 이루는 한쌍의 구멍(237)(237A)이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 삽입부(236)의 길이(L)는 상기 구멍(237)(237A)의 간격(L1)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도4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236)를 앞쪽의 구멍(237)으로부터 뒤쪽의 구멍(237A)에 끼워 통과시킬 때 삽입부(236)의 여유분만큼 상기 끼워붙임띠(235)의 길이, 즉 로우 파트(204)의 직경을 조정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끼워붙임띠(235)는 좌우의 상기 볼 파트부(202) 하부와 각각 커버인 좌우의 인조 가죽(人工 leather:238)(238)에 의해 연결됨과 함께 상기 네크 파트부(203)와 폴리에스테르등으로 이루어지는 메시(239)에 의해 연결된다. 또 상기 턱체 라이너(5A)의 내면측에는 도38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인입홈(400)이 형성되고, 이 인입홈(400)에 의해서 셸(2)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개구부(3)에 이르는 통기로(400A)가 형성되며, 이 통기로(400A)에 대응하여 상기 인조 가죽(238)에 통기구멍(238A)이 복수 형성된다.
상기 볼 파트부(202)의 기판(221) 외면에는 한쪽의 걸림수단인 2개의 암후크(雌hook:241)(242)가 설치되고, 각 암틀후크(241)(242)와 결합 분리되는 다른쪽 걸림수단인 수후크(雄hook:244)(245)가 상기 턱체 라이너(5A)의 내면에 설치된다. 또한 턱체 라이너(5A)측에 설치한 수후크(244)(245) 중, 한쪽 수후크(244)는 턱체 라이너(5A)의 내측에 양면 접착테이프(243A) 등에 의해 설치 고정한 수지로 된 내장판(內裝板:243)에 직접 고정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되지만, 다른쪽 수후크(245)는 상기 내장판(243)에 형성된 구멍(246)으로부터 돌출하여 턱체 라이너(5A)와 내장판(243)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가동판(可動板:247)에 설치된다. 상기 내장판(243)에 형성되는 구멍(246)은 수후크(245)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이 구멍(246)의 범위내에서 상기 수후크(245)가 가동한다. 그래서 볼 파트부(202)의 암후크(241)(242)와 턱체 라이너(5A)의 내장판(243) 및 가동판(247)에 장착된 수후크(244)(245)를 결합하고, 또한 상기 끼워붙임띠(235)를 상기 셸(2)과 라이너(5)의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로우 파트(204)를 헬멧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다.
도43에 보이는 바와 같이 301은 턱 커튼(chin curtain)으로, 인조 가죽으로 된 대략 초승달 모양의 덮개부(302) 앞 가장자리에 끼워붙임띠(303)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부(302)의 앞쪽 중앙에는 복수의 통기구멍(302A)이 형성된다. 상기 턱 커튼(301)은 헬멧 본체(1)에 상기 로우 파트(204)를 장착한 후, 그 로우 파트(204)의 상기 끼워붙임띠(235)와 상기 턱체 라이너(5A)의 사이에 상기 끼워붙임띠(235)를 삽입함으로써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내장체(200) 장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34에 보이는 바와 같이 헤드 파트(201)의 인너 커버(211)에 형성된 삽입돌기편(214)을 모자체 라이너(5B)의 통기홈부(543A)에 삽입하면서 인너 커버(211)의 장착부(213)를 상부 가장자리측의 셸(2)과 모자체 라이너(5B)의 틈새에 삽입하고, 또 띠부(212)의 단부에 형성한 삽입돌기편(215)을 모자체 라이너(5B)와 턱체 라이너(5A)의 겹침부분에 삽입한다. 이후 연결부(209)와 정상부(207)의 한쪽 면파스너(216)(216)를 상기 모자체 라이너(5B)의 내면에 설치된 다른쪽 면파스너(216A)(216A)에 걸어서 헤드 파트(201)를 모자체 라이너(5B)의 내면에 위치결정하여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하여 모자체 라이너(5B)에 설치된 헤드 파트(201)는 모자체 라이너(5B)에 형성된 통기홈부(543A)와 인너 커버(211)에 형성된 삽입돌기편(214)의 홈부(214A)가 연통되고, 또 헤드 파트(201)의 전부(208)에 형성된 구멍(217)과 헬멧 본체(1)의 관통구멍(43A)이 연통하여 이들 통기홈부(543A)와 관통구멍(43A)을 경유한 외기를 헬멧 본체(1)의 내부로 도입할 수 있다. 또 인너 커버(211)에 형성된 삽입돌기편(214)을 셸(2)과 모자체 라이너(5B)의 틈새에 삽입함으로써 셸(2) 개구부(3) 위치의 라이너(5) 가장자리가 헤드 파트(201)의 전부(208)에 봉착한 메시(210)와 인너 커버(211)의 띠부(212)에 감싸이도록 덮여진다. 이후 모자체 라이너(5B)에 로우 파트(204)의를 장착한다. 이 로우 파트(204)의 장착시 우선, 로우 파트(204)의 볼 파트부(202)에 형성된 끼움구멍(222)에 턱 벨트(8)를 끼워 통과시킨다. 또 볼 파트부(202)는 그 각 쿠션재(223)(224)(223A)(224A)를 고정하는 기판(221)이 표장커버(226)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표장커버(226)의 절단 개구부(227)에서 연장 설치되는 혀편(228)(228)을 상부 쿠션재(223)(224)와 하부 쿠션재(223A)(224A)의 틈새로부터 기판(221)에 형성한 상기 끼움구멍(222)에 통과시킨 후, 혀편(228)(228)의 선단측에 형성한 면파스너(229)(229)를 기판(221)에 형성된 면파스너(229A)(229A)에 걸고, 또 표장커버(226)의 보강테두리부(231)에 형성한 혀부(232)의 면파스너(233)를 상기 기판(221)의 아래쪽 후부에 형성한 면파스너(233A)에 걸어 볼 파트부(202)의 각 쿠션재(233)(224)(223A)(224A)를 고정한다. 또 로우 파트(204)의 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끼워붙임띠(235)를 고리모양으로 이어주기 위해 끼워붙임띠(235)의 일측 선단에 형성된 삽입부(236)를 끼워붙임띠(235)의 타측 선단에 형성된 슬릿 모양의 구멍(237)(237A)에 삽입한다. 이때 끼워붙임띠(235)의 길이(L)가 상기 구멍(237)(237A)의 간격(L1)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삽입부(236)의 여유분만큼 상기 끼워붙임띠(235)의 길이, 즉 로우 파트(204)의 직경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하여 로우 파트(204)의 직경을 조정한 후, 기판(221)의 외면에 설치된 암후크(241)(242)와 턱체 라이너(5A)에 장착된 수후크(244)(245)를 끼워 맞춘다. 이때 턱체 라이너(5A)측에 설치된 수후크(244)(245) 중, 한쪽의 수후크(244)는 턱체 라이너(5A)의 내측에 설치고정한 내장판(243)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타측의 수후크(245)는 상기 모자체 라이너(5B)와 내장판(243)의 사이에 개재된 가동판(247)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후크(245)가 내장판(243)에 형성된 구멍(246)의 범위내에서 가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암후크(241)(242)와 수후크(244)(245)의 설치위치에 다소 오차가 생긴다 하더라도 가동판(247)에 설치된 수후크(245)의 위치를 비켜 놓으면 각 후크(241)(242)(244)(245)를 간단하게 끼워 맞출 수 있다. 이후, 고리 모양으로 이어진 상기 끼워붙임띠(235)를 헬멧 본체(1)의 하부 개구에 있어서, 상기 셸(2)과 라이너(5)의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라이너(5)의 하단 가장자리부를 인조 가죽(238)(238)과 메시(239)에 감싸이도록하여 로우 파트(204)를 장착한다. 이때 인조 가죽(238)에 형성된 통기구멍(238A)이 턱체 라이너(5A)에 형성된 인입홈(400)의 개구부에 위치하여 통기구멍(238A)과 인입홈(400)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로(400A)가 연통한다. 이와 같이하여 로우 파트(204)를 충격흡수 라이너(5)의 내면에 장착함으로써 볼 파트부(202)가 장착자의 볼 부분에, 표장커버(226)의 상부 테두리부(221C)에 돌출하는 주머니 모양의 귓집부(226A)가 장착자의 귀 상방에 각각 접촉함과 함께 네크 파트부(203)가 장착자의 목부에 접촉한다. 이후, 로우 파트(204)의 끼워붙임띠(235)와 턱체 라이너(5A)의 사이에 턱 커텐(301)의 끼워붙임띠(303)를 삽입하여 턱 커텐(301)을 장착함으로써 조립작업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셸(2)에 형성한 벤틸레이션용 관통구멍(13)과, 이 관통구멍(13)을 개폐하는 개폐부재(14)를 구비한 헬멧에 있어서, 개폐부재(14)는 앞쪽이 셸(2)에서 이격방향으로 승강하여 관통구멍(13)을 개폐하는 경사운동판(25)을 구비한 것이므로, 경사운동판(25)의 앞쪽이 셸(2)로부터 이격되도록 승강하는 것에 의해 그 경사운동판(25)의 내면에 유입된 외기가 관통구멍(13)으로 도입된다. 또 경사운동판(25)을 폐쇄하면 셸(2)의 주위에서 외면으로 돌출하는 부분도 적다. 그리고 경사운동판(25)이 승강하므로 헬멧 본체(1)의 전면 이외에 형성되는 벤틸레이션용 관통구멍의 개폐 및 공기의 도입에 유효하다. 또 개폐부재(14)는 셸(2)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부재(16)를 구비하고, 이 슬라이드 부재(16)는 앞쪽에 경사운동판(25)을 승강 가능하게 연결한 조작부인 미끄럼운동판(24)을 가지므로 미끄럼운동판(24)을 전후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경사운동판(25)의 앞쪽이 승강하여 그 경사운동판(25)의 승강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더욱이 개폐부재(14)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16)를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며 셸(2)에 형성한 홈부(12)에 설치되는 장착 베이스(15)를 가지고, 이 장착 베이스(15)에는 미끄럼운동판(24)의 후방이동에 의해 경사운동판(25)이 걸어맞춤되어 그 경사운동판(25)을 폐쇄하는 폐쇄안내부인 폐쇄안내홈(23)을 구비하는 것이므로 후방 이동하면 경사안내면(21)에 경사운동판(25)이 걸어맞춤되어 그 경사운동판(25)이 열리는 한편, 미끄럼운동판(24)을 전방 이동하면 폐쇄안내홈(23)에 경사운동판(25)이 걸어맞춤되어 그 경사운동판(25)이 닫혀 그 개폐조작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경사운동판(25)이 앞쪽을 향해서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단을 향해 폭이 좁은 형상에 의해 열린상태에서도 공기저항이 삭감됨과 동시에 바람 가르는 소리의 발생도 억제된다. 더구나 관통구멍(13)은 경사운동판(25)의 폭방향 일측인 셸(2)의 중앙측에 위치하여 셸(2)에 설치되고, 경사운동판(25)의 폭방향 일측 하부에는 전후방향의 공기안내 리브(30)를 돌출 설치된 것이므로 공기안내 리브(30)에 의해 관통구멍(13)에 외기를 효과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또, 실시예상의 효과로서 공기안내 리브(30)는 그 선단측이 헬멧 본체(1)의 앞쪽 중앙측으로 향하여 주행시의 공기의 흐름과 예각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이루고 있으므로, 주행시에 있어서 공기의 거두어들임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기저항도 적어지게 된다. 또 폐쇄시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16)는 장착 베이스(15)내에 수납됨과 함께 이 수납상태에서 슬라이드 부재(16)의 외면은 셸(2)의 형상에 거의 모방된 상태로 되므로 공기저항을 거의 받지 않는다. 더욱이 폐쇄시에 있어서는 폐쇄안내홈(23)과 홈걸어맞춤부(29A)의 걸어맞춤에 의해 경사운동판(25)의 주위가 외틀부(17)의 내측에 접촉되므로 경사운동판(25)이 덜컹거리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턱 덮개부(4)를 가지는 셸(2)과, 이 셸(2)의 전면에 설치한 개구부(3)를 개폐하며 셸(2)의 측부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쉴드(6)를 구비한 풀페이스형의 헬멧에 있어서, 셸(2)의 정상부 후방에서 상기 측부를 향해 경사진 상측 정류판(101)을 설치한 것이므로 머리부를 하방향으로 움직이면, 전면투영면적에서 하부측의 면적이 커지지만, 머리부를 하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정상부 후방에 설치된 상측 정류판(101)이 상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바람에 의한 모멘트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고속주행 등에 있어서는 곡면형상의 셸(2) 상부를 흐르는 공기에 의한 양력발생을 상기 상측 정류판(101)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또 셸(2)의 후방 하부에 띠 모양의 하측 정류판(131)을 설치한 것이므로 머리부를 좌우로 움직이면, 턱 덮개부(4)가 향한쪽의 전면투영면적이 증가하지만, 그 좌우로 움직인 타측으로 하측 정류판(131)이 상대적으로 이동되므로 바람에 의한 모멘트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쉴드(6)의 회전중심 단부인 장착구멍(146)을 덮어 셸(2)에 설치되는 쉴드 커버(181)에 의해 상측 정류판(101)과 하측 정류판(131) 사이에 경계선이 없고, 쉴드 커버(181)에 의해 상측 정류판(101)이 셸(2)의 일측 측부로부터 타측 측부에 연속한 것으로 되어 머리부 이동시에 있어서 바람에 의한 모멘트의 변화를 양 돌기체(101)(131)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정류판(131)은 중공띠 모양을 이루므로 머리부 이동시에 있어서 투영면적을 크게 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상측 정류판(101) 외면에 전후방향의 정류홈(130)을 형성하였으므로 정류홈(130)이 공기의 흐름을 정류하고, 통상 자세에 있어서 돌기체(101)(131)의 영향을 경감할 수 있다. 게다가 상측 정류판(101)에는 정류홈(130)의 사이에 셸(2)의 관통구멍(112)(122)을 개폐하는 개폐부재인 경사운동덮개체(115)(125)를 설치한 것이므로 경사운동덮개체(115)(125)에 의해 외기를 셸(2)내로 유도할 수 있으며, 별개의 벤틸레이션용 개폐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실시예상의 효과로서 상측 정류판(101)에는 셸(2)의 관통구멍(112)에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재인 위치결정돌기(119)를 설치하였으므로 셸(2)에 설치할 때,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접착 등에 의해 상측 정류판(101)을 셸(2)에 고정하는 경우에 그 고정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더욱이 경사운동덮개체(115)(125)는 전후로 개폐가능한 것이므로 그 조작에 의해 외기의 도입과 배기를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상측 정류판(101)에는 복수의 융기부(113)을 설치하였으므로 이 융기부(113)가 머리부를 좌우로 움직인 때, 공기의 저항을 받는다. 더욱이 높이를 가지는 쉴드 커버(181)의 상부 가장자리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융기부(123)의 사이에 셸(2)의 측부쪽에 근접한 정류홈(1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제 셸(2)의 내면에 충격흡수용 라이너인 모자체 라이너(5B)를 설치한 헬멧에 있어서, 모자체 라이너(5B)는 아우터 라이너(311)와 인너 라이너(312)로 이루어지고, 이들 아우터 라이너(311)과 인너 라이너(312)의 사이에 보강시트(315L)(315R)(315B)를 설치한 것이므로 보강시트(315L)(315R)(315B)에 의해 모자체 라이너(5B)의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모자체 라이너(5B)를 얇게할 수 있으며,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고, 모자체 라이너(5B)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보강시트(315L)(315R)(315B)에 의해 분산되어 충격흡수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모자체 라이너(5B)의 내부 치수를 크게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서 작은 치수의 셸(2)을 구비한 헬멧을 장착할 수 있다. 또 경량화에 있어서는 종래보다 작은 셸(2)의 헬멧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셸(2)의 중량차만큼 가벼운 헬멧을 장착할 수 있다. 더욱이 모자체 라이너(5B)를 얇게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셸(2)을 사용하여 모자체 라이너(5B)의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헬멧의 내부 치수를 사용자의 머리부 치수에 맞춰 설정할 수 있다. 또 보강시트(315L)(315R)(315B)를 아우터 라이너(311)에 부착 설치한 것으로, 보강시트(315L)(315R)(315B)를 아우터 라이너(311)의 내면에 붙여서 설치하였으므로 셸(2)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아우터 라이너(311)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보강시트(315L)(315R)(315B)에 의해 분산되어 충격흡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보강시트(315L)(315R)를 셸(2)의 좌, 우 측부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한 것이므로 모자체 라이너(5B)의 측부 두께를 얇게할 수 있기 때문에, 헬멧의 좌우폭 치수를 억제할 수 있고,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헬멧을 얻을 수 있다. 또 보강시트(315B)를 셸(2)의 후부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한 것이므로 모자체 라이너(5B)의 후부 두께를 얇게할 수 있기 때문에, 헬멧의 전후폭 치수를 억제할 수 있고, 외관 의장성이 우수한 헬멧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보강시트(315L)(315R)(315B)가 수지코팅한 직물체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수지코팅한 직물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유연성과 강성을 얻을 수 있으며, 그 유연성에 의해 아우터 라이너(311)에의 접착붙임이 용이하고, 그 강성에 의해 충격력 및 관통력에 대한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보강시트(315L)(315R)(315B)의 주위에 절개부(316)를 형성한 것이므로, 아우터 라이너(311) 내면의 곡면형상에 맞춰 보강시트(315L)(315R)(315B)를 붙일 수 있다.
또, 실시예상의 효과로서 보강시트(315L)(315R)(315B)를 아우터 라이너(311)의 내면에 부분적으로 붙여 부착하였으므로, 그 내면의 곡면을 따라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균일하게 붙일 수 있으며, 또 벤틸레이션용 통기구멍(543)(513) 및 라이너 관통구멍(511)(521)을 피하여 붙일 수 있다. 더욱이 가장자리(313)에 근접하여 보강시트(315L)(315R)(315B)를 붙여서 설치하므로, 보강시트(315L)(315R)(315B)에 의해 아우터 라이너(311)의 가장자리(313)측을 구속할 수 있다. 또 아우터 라이너(311)의 좌우 측부 및 후부에 보강시트(315L)(315R)(315B)를 붙여서 설치하였으므로 모자체 라이너(5B)의 양측 측부 및 후부의 두께를 얇게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좌우 치수 및 전후 치수가 작은 셸(2)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인너 라이너(312)의 가장자리에는 테두리부(314)를 설치하였으므로, 이 테두리부(314)에 아우터 라이너(311)의 가장자리(313)가 접촉함으로써 양자를 올바르게 위치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들면, 실시예에 있어서는 경사운동판과 미끄럼운동판을 축부에 의해 연결하였지만, 경사운동판과 미끄럼운동판을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예를들면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하여 PP힌지에 의해 미끄럼운동판에 대하여 일체로 설치한 경사운동판이 경사운동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 힌지부인 PP힌지는 다른 부분보다 살이 얇은 부분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를 셸의 홈부에 직접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개방안내부와 폐쇄안내부는 각종 구조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풀페이스형의 헬멧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트(jet)형, 스쿠터(scooter) 등의 반 캡(半 cap)등 각종의 헬멧에 적용 가능하다. 또 상측 정류판과 쉴드 커버를 일체화한다든지, 하측 정류판을 쉴드 커버와 일체화한다든지 할 수도 있다. 또 정류판은 공기을 정류하는 것만은 아니고, 공기에 난류를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더욱이 정류판의 폭이랑 높이등은 적당히 선정 가능하고, 부분적으로 폭이 다른 경우에도 띠모양에 변화는 없다. 또 관통구멍의 개폐부재는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하는 것 등 각종 타입(type)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강시트의 재질 및 형상은 적당히 선정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는 풀페이스형의 헬멧을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제트형, 스쿠터용 반 캡 등의 각종 헬멧에서 충격흡수용 라이너를 가지는 것에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또 보강시트에 실시하는 수지코팅은 염화비닐 코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보강시트의 수지코팅은 편면(片面)만으로도 좋고, 직물체을 사용하므로 한쪽 면에서 수지코팅하는 것에 의해 다른쪽 면에도 수지가 침투한다.
본 발명은, 셸에 형성한 벤틸레이션용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셸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이 슬라이드 부재는 상측이 상기 셸로부터 이격방향으로 승강하여 상기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경사운동판과, 앞쪽에 상기 경사운동판을 승강 가능하게 연결한 조작부를 가지는 것으로, 셸의 외면으로 돌출하는 부분이 적고, 공기저항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헬멧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턱 덮개부를 가지는 셸과, 이 셸의 전면에 형성한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셸의 측부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쉴드를 구비한 풀페이스형의 헬멧에 있어서, 상기 셸의 정상부 후방에서 상기 측부를 향해 경사진 제1의 정류판을 설치한 것으로, 주행중에 장착자가 머리부를 움직여도 바람에 의한 모멘트의 변화가 적은 헬멧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의 셸 내면에 충격흡수용 라이너를 설치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용 라이너는 인너 라이너와 아우터 라이너로 이루어지고, 이들 아우터 라이너와 인너 라이너의 사이에 보강시트를 설치한 것으로, 필요한 강도를 가지면서 종래에 비해 경량화와 슬림화가 가능한 헬멧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셸에 마련한 벤틸레이션용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셸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이 슬라이드 부재는 앞쪽이 상기 셸로부터 이격방향으로 승강하여 상기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경사운동판과, 앞쪽에 상기 경사운동판을 승강가능하게 연결한 조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며 상기 셸에 형성한 홈부에 설치되는 장착베이스를 가지고, 이 장착베이스에는 상기 조작부의 후방이동에 의해 상기 경사운동판이 걸어맞춤되어 그 경사운동판을 여는 개방안내부와, 상기 조작부의 전방이동에 의해 상기 경사운동판이 걸어맞춤되어 그 경사운동판을 닫는 폐쇄안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운동판은 앞쪽을 향해서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경사운동판의 폭방향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셸에 마련되고, 상기 경사운동판의 폭방향 일측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공기안내 리브를 돌출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5. 턱 덮개부를 가지는 셸과, 이 셸의 전면에 마련한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셸의 측부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쉴드를 구비한 풀페이스형 헬멧에 있어서,
    상기 셸의 정상부 후방으로부터 상기 측부를 향해서 경사진 제1정류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셸의 후방 하부에 띠 모양의 제2정류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의 회전중심단부를 감싸 상기 셸에 설치되는 쉴드커버를 형성하고, 이 쉴드커버에 의해 상기 제1정류판과 제2정류판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류판은 중공띠 모양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류판의 외면에 전후방향의 정류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정류판에는 상기 정류홈 사이에 상기 셸의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10. 합성주지제의 셸 내면에 충격흡수용 라이너를 설치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용 라이너는 인너 라이너와 아우터 라이너로 이루어지고, 이들 아우터 라이너와 인너 라이너의 사이에 보강시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시트를 상기 아우터 라이너의 내면에 붙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시트를 상기 셸의 측부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시트를 상기 셸의 후부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시트가 수지코팅한 직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시트의 주위에 절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KR1019980026844A 1997-07-09 1998-07-03 헬멧 KR199900135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84185 1997-07-09
JP9184185A JP3008397B2 (ja) 1997-07-09 1997-07-09 ヘルメットの内装体
JP34039897A JPH11172517A (ja) 1997-12-10 1997-12-10 ヘルメット
JP97-340398 1997-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598A true KR19990013598A (ko) 1999-02-25

Family

ID=2650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6844A KR19990013598A (ko) 1997-07-09 1998-07-03 헬멧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9990013598A (ko)
BE (3) BE1012651A5 (ko)
IT (1) ITUD98011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6301A1 (ko) * 2020-04-08 2021-10-14 문승환 자전거 헬멧
WO2023191286A1 (ko) * 2022-04-01 2023-10-05 (주) 에이치제이씨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2870B2 (ja) * 2000-05-01 2010-12-08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US6289521B1 (en) * 2000-08-30 2001-09-18 Shoei Co., Ltd. Helmet chin cover and helmet attached with chin cover
KR100468348B1 (ko) * 2003-03-24 2005-01-27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에어벤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57760A5 (fr) * 1984-06-18 1986-09-30 Battelle Memorial Institute Casque de protection contre les impacts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 casque.
DE8509980U1 (de) * 1985-04-03 1985-08-01 Schuberth-Werk Gmbh & Co Kg, 3300 Braunschweig Sturzhelm
IT208186Z2 (it) * 1986-07-01 1988-04-11 Nava & C Spa Valvola ad aletta flessibile perl'ammissione e l'intercettazione di aria per la ventilazione di un casco per motociclisti.
IT1223434B (it) * 1987-12-15 1990-09-19 Nolan Spa Casco protettivo per motociclisti e simili provvisto di mezzi di ventilazione, regolabili manualmente
IT1236956B (it) * 1989-10-16 1993-05-07 Cesare Landi Struttura di casco sportivo, provvista di uno o piu' elementi di rinforzo, inseriti fra la calotta e l'imbottitura di protezione.
EP0770338B1 (en) * 1995-10-23 2002-09-25 Honda Access Corp. Cap body of a helmet
JPH10121317A (ja) * 1996-10-17 1998-05-12 Arai Helmet:Kk ヘルメットの換気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6301A1 (ko) * 2020-04-08 2021-10-14 문승환 자전거 헬멧
WO2023191286A1 (ko) * 2022-04-01 2023-10-05 (주) 에이치제이씨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KR20230142185A (ko) * 2022-04-01 2023-10-11 (주) 에이치제이씨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E1014082A3 (fr) 2003-04-01
BE1013470A6 (fr) 2002-02-05
BE1012651A5 (fr) 2001-02-06
ITUD980119A1 (it) 200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73857B1 (en) Helmet
EP0474939B1 (en) Helmet
US5093937A (en) Helmet for riding vehicle
JP4603724B2 (ja) ヘルメット用チンカバーおよびこのチンカバーが取り付けられたヘルメット
JPH086006Y2 (ja) 乗車用ヘルメット
JP5041906B2 (ja) ヘルメット
US6256797B1 (en) Helmet and method of removing the same
US20010034895A1 (en) Inside pad for helmet and helmet using this inside pad
US5157794A (en) Helmet
KR19990013598A (ko) 헬멧
JP3008397B2 (ja) ヘルメットの内装体
JP3028118B2 (ja) ヘルメット
JPH11172517A (ja) ヘルメット
JP3010621B2 (ja) ヘルメット
JP2990688B2 (ja) ヘルメット
JP3063079B2 (ja)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取付構造
JPH026609A (ja) ヘルメット
JPH0441135Y2 (ko)
JPH0532499Y2 (ko)
JPH0441137Y2 (ko)
JPH0685331U (ja) ヘル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