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348B1 - 헬멧용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헬멧용 에어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348B1
KR100468348B1 KR10-2003-0018246A KR20030018246A KR100468348B1 KR 100468348 B1 KR100468348 B1 KR 100468348B1 KR 20030018246 A KR20030018246 A KR 20030018246A KR 100468348 B1 KR100468348 B1 KR 100468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se member
helmet
air inlet
inl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3683A (ko
Inventor
홍성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KR10-2003-0018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348B1/ko
Priority to US10/423,817 priority patent/US6763526B1/en
Priority to CNB031412408A priority patent/CN1268246C/zh
Priority to EP03021503A priority patent/EP1462017A1/en
Publication of KR20040083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4Visors with means for avoiding fogging or mist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42B3/283Air inlets or outlets, with or without closure shutte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바이 등을 승차할 때 승차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헬멧에 있어서, 그 헬멧의 내부공기 배출용 에어벤트구조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헬멧의 시일드 아래 양쪽에 에어벤트를 설치하여 그 에어벤트의 공기 흐름에 따라 내부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되, 에어벤트의 공기 흐름 구조를 개선하고, 흐르는 공기의 양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헬멧 착용자의 컨디션과 헬멧 내/외기의 여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전면 개방부(101)와, 상기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한 시일드(200)와, 내부 전면에 걸쳐 준비한 패드(110)와, 상기 개방부 아래의 턱보호부(102) 좌, 우 양측에 형성하되, 외부가 통하도록 연통구멍(103)을 가지는 헬멧 본체(100); 상기 헬멧 본체(100)가 가지는 연통구멍(103)의 바깥쪽 주변을 덮어 씌우도록 고정하되, 헬멧의 전방쪽에 형성한 공기 유입구멍1(131)과, 그 공기 유입구멍1로부터 후방으로 이어지도록 확보된 공기 이동공간부1(132)과, 상기한 공기 이동공간부1(132)에서 일부 공기가 더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 유입구멍2(133)와, 상기한 공기 이동공간부의 후방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배출구멍1(134)을 가지는 베이스부재(130); 상기 베이스부재(130)의 외측면에 내향진 테두리1(141)이 밀착된 채 전, 후 슬라이딩 작동하여 그 선단부1(142)이 상기한 공기 유입구멍1(131)을 개폐할 수 있으며, 그 선단부1 안쪽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멍3(143)과, 그 공기 유입구멍3으로부터 임의의 간격을 두고 후방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멍2(144)를 가지는 도어 베이스부재(140); 상기한 도어 베이스부재(140)의 외측면에 내향진 테두리2(151)가 밀착된 채 전, 후 슬라이딩 작동하여 그 선단부2(152)가 상기한 공기 유입구멍2(133)를 개폐할 수 있으며, 그 후방쪽으로 공기 이동공간부2(153)가 확보된 사이드 도어부재(150)로 구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헬멧용 에어벤트{AIR-VENT FOR HELMET}
본 발명은 오토바이 등을 승차할 때 승차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헬멧에 있어서, 그 헬멧의 내부공기 배출용 에어벤트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상세하게는 헬멧의 전방에 구비되어 있는 시일드의 하방 양측에 에어벤트를 설치하므로 써 상기 시일드의 내면에 발생하는 김서림을 예방하고자 하되, 에어벤트의 개폐정도를 매우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를 승차할 경우, 승차자들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반드시 머리보호용 헬멧을 착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착용하는 헬멧중에서 턱부분까지 덮히는 헬멧(Full-face Helmet)의 경우에는 전방 시일드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의 시일드에 의하면 승용물의 주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방 풍력에 의해 시야의 방해를 받지 않을 수 있으며, 호흡장애를 해소할 수 있고, 겨울철에는 난방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시일드를 가지는 종래의 일반적인 헬멧은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벤트를 구비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시일드를 내려 헬멧의 전방을 가렸을 때, 주행방향으로부터 마주치는 바람을 철저히 차단하므로 시야확보에 유리하고 호흡장애를 극복하는 장점은 있으나, 겨울철과 같이 헬멧 내/외기의 온도차이가 클 때에는 착용자의 입김으로 인해 시일드이 내면에 김서림이 발생하기 때문에 오히려 시야를 더 가리는 단점이 있다.
한편,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에어벤트 수단들이 개발되었는 바, 본원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근래에 특허제10-0299319호(이하 "선발명 특허"라 함)를 제안한 바 있다.
이는 도 1 및 도 2를 통해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패딩(12)을 구비하고, 그 전방 개방부(11)에 시일드(20)를 설치한 헬멧 본체(10)를 준비하되, 상기 헬멧 본체(10)의 전방 양측에서 상기 패딩(12)에 형성한 연통공(13)과, 이 연통공(13)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요홈부(14)를 마련한다.
그리고 상기 요홈부(14) 위에 밀착시켜 고정하되, 일측 끝단은 걸림턱(31)으로써 고정되고 타측 끝단은 체결수단(32)으로써 결합되며, 그 위로 덮개부(33)가 형성되어 통기부(34)가 마련되는 에어밴트부재(30)를 설치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러한 선 발명 특허에 따르면 헬멧 본체(10)의 전면으로부터 측면으로 흐르는 공기가 상기한 에어벤트부재(30)의 덮개부(33) 내측 즉, 통기부(34)의 안쪽을 따라 흐르면서 연통공(13)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유체에 대한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름)
그러나 이러한 선발명 특허의 에어벤트 구조는 단순히 공기의 흐름을 에어벤트부재의 덮개부 안쪽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고, 그 유도부를 개폐하는 개폐구만을 구비한 것이기 때문에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데 있어서 그 양을 조절할 수 없었다.
더 자세히 말해서 연통공(13)의 크기와 통기부(34)의 단면적 크기가 정해져 있고 불변이기 때문에 그 통기부(34)를 따라 흐르는 공기의 양도 항상 일정하며, 따라서 내부의 공기가 연통공(13)을 통해 빠져 나가는 양도 일정하다.
이는 시일드의 김서림이 더 심해져서 공기의 배출양을 늘리고 싶어도 늘릴수 없고, 김서림이 그다지 심하지 않은 상황에서 난방을 목적으로 공기의 배출양을 줄이고 싶어도 줄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헬멧의 시일드 아래 양쪽에 에어벤트를 설치하여 그 에어벤트의 공기 흐름에 따라 내부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되, 에어벤트의 공기 흐름 구조를 개선하고, 흐르는 공기의 양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헬멧 착용자의 컨디션과 헬멧 내/외기의 여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전면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한 시일드와, 내부 전면에 걸쳐 준비한 패드와, 상기 개방부 아래의 턱보호부 좌, 우 양측에 형성하되, 외부가 통하도록 연통구멍을 가지는 헬멧 본체, 그리고 상기 헬멧 본체가 가지는 연통구멍의 바깥쪽 주변을 덮어 씌우도록 고정하되, 헬멧의 전방쪽에 형성한 공기 유입구멍1과, 그 공기 유입구멍1로부터 후방으로 이어지도록 확보된 공기 이동공간부1와, 상기한 공기 이동공간부1에서 일부 공기가 더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 유입구멍2과, 상기한 공기 이동공간부의 후방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배출구멍1을 가지는 베이스부재,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외측면에 내향진 테두리1가 밀착된 채 전, 후 슬라이딩 작동하여 그 선단부1가 상기한 공기 유입구멍1를 개폐할 수 있으며, 그 선단부1 안쪽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멍3과, 그 공기 유입구멍3으로부터 임의의 간격을 두고 후방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멍2을 가지는 도어용 베이스부재, 그리고 상기한 도어용 베이스부재의 외측면에 내향진 테두리2가 밀착된 채 전, 후 슬라이딩 작동하여 그 선단부2가 상기한 공기 유입구멍2를 개폐할 수 있으며, 그 후방쪽으로 공기 이동공간부2가 확보된 사이드 도어부재로 구성하는 것이다.
도 1은 선발명 특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선발명 특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에어벤트장치가 구비된 헬멧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서 본 발명의 에어벤트부분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벤트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각 부품을 보인 정면도 또는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8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9은 도 4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개방1단계의 작동 설명도
도 10는 도 9의 개방1단계에 따른 에어벤트의 정면도
도 11은 도 4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개방2단계의 작동 설명도
도 12은 도 11의 개방2단계에 따른 에어벤트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헬멧 본체 101 : 개방부
102 : 턱보호부 103 : 연통구멍
110 : 패드 130 : 베이스부재
131 : 공기 유입구멍1 132 : 공기 이동공간부1
133 : 공기 유입구멍2 134 : 공기 배출구멍1
135 : 요홈1 136 : 가이드구멍1
137 : 융기부1 140 ; 도어 베이스부재
141 : 내향진 테두리1 142 : 선단부1
143 : 공기 유입구멍3 144 : 공기 배출구멍2
145 : 스톱퍼 돌기1 145a : 탄성편1
146 : 스톱퍼 돌기2 146a : 탄성편2
147 : 걸림돌기1 148 : 가이드 구멍2
150 : 사이드 도어부재 151 : 내향진 테두리2
152 : 선단부2 153 : 공기 이동공간부2
154 : 요홈2 155 : 걸림돌기2
156 : 융기부2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채택한 헬멧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에어벤트부분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벤트 부속물들을 전부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전면 개방부(101)와, 상기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한 시일드(200)와, 내부 전면에 걸쳐 준비한 패드(110)와, 상기 개방부 아래의 턱보호부(102) 좌, 우 양측에 형성하되, 외부가 통하도록 연통구멍(103)을 가지는 헬멧 본체(10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연통구멍(103) 외측에 설치될 본 발명의 에어벤트는 크게 베이스부재(130)와, 도어 베이스부재(140)와, 사이드 도어부재(150)로 이루어진다.
먼저, 베이스부재(130)는 상기 헬멧 본체(100)가 가지는 연통구멍(103)의 바깥쪽 주변을 덮어 씌우도록 고정하되, 헬멧의 전방쪽에 형성한 공기 유입구멍1(131)과, 그 공기 유입구멍1로부터 후방으로 이어지도록 확보된 공기 이동공간부1(132)과, 상기한 공기 이동공간부1(132)에서 일부 공기가 더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 유입구멍2(133)와, 상기한 공기 이동공간부의 후방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배출구멍1(134)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도어 베이스부재(140)는 상기 베이스부재(130)의 외측면에 내향진 테두리1(141)이 밀착된 채 전, 후 슬라이딩 작동하여 그 선단부1(142)이 상기한 공기 유입구멍1(131)을 개폐할 수 있으며, 그 선단부1 안쪽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멍3(143)과, 그 공기 유입구멍3으로부터 임의의 간격을 두고 후방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멍2(144)를 가진다.
또, 사이드 도어부재(150)는 상기한 도어 베이스부재(140)의 외측면에 내향진 테두리2(151)가 밀착된 채 전, 후 슬라이딩 작동하여 그 선단부2(152)가 상기한 공기 유입구멍2(133)를 개폐할 수 있으며, 그 후방쪽으로 공기 이동공간부2(153)가 확보된 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조립 및 슬라이딩 구조는 도 5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다.
즉, 상기한 도어 베이스부재(140)는 상기한 베이스부재(130) 상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되, 그 내측면으로 적어도 한 쌍의 걸림돌기1(147)을 형성하여, 이 걸림돌기1(147)이 상기한 베이스부재(130)의 바닥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구멍1(136)을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상기한 사이드 도어부재(150)는 상기한 도어 베이스부재(140) 상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되, 그 내측면으로 적어도 한 쌍의 걸림돌기2(155)를 형성하여, 이 걸림돌기2(155)가 상기한 도어 베이스부재(140)의 바닥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구멍2(148)를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이들 도어 베이스부재(140)와 사이드 도어부재(150)는 각각 베이스부재(130)와 도어 베이스부재(140) 상에서 슬라이딩 개폐하되 다단의 정지점을 갖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한 도어 베이스부재(140)는 그 내측면을 향한 스톱퍼 돌기1(145)과, 상기한 스톱퍼 돌기1(145)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편1(145a)을 구비하고, 상기한 스톱퍼 돌기1(145)이 상기 베이스부재(130)의 외표면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등간격 나열된 3개 이상의 요홈1(135)들에 접촉할 때마다 각각 정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한 사이드 도어부재(150)는 그 내측면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등간격 나열된 3개 이상의 요홈2(154)들을 형성하여, 이 요홈2(154)들이 상기한 도어 베이스부재(140)의 외측면에 형성하되 스톱퍼 돌기2(146)를 가진 탄성편2(146a)에 접촉할 때마다 각각 정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한 사이드 도어부재(150)는 상기한 탄성편1(145a)의 후퇴를 일부 구간에서 억제하기 위하여 걸림돌기2(155)의 아래에 가로로 융기부2(156)를 형성하였고, 상기한 베이스부재(130)는 상기 탄성편2(146a)의 후퇴를 일부 구간에서 억제하기 위하여 그 하측 가이드구멍1(136)의 위에서 가로로 융기부1(137)을 형성하였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베이스부재(13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구멍1(136)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끼워질 도어 베이스부재(140)의 한 쌍의 걸림돌기1(147)은 끝단이 쐐기 모양의 걸림턱 형태로 되어 있어 위에서 누르면 가이드구멍1(136)을 통과하여 끼워지고, 끼워진 후에는 다시 역으로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이드 도어부재(150)의 걸림돌기2(155) 역시 쐐기 모양의 걸림턱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베이스부재(140)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구멍2(148)에 끼우면 다시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도어 베이스부재(140)에서 탄성편1(145a)에 형성된 스톱퍼 돌기1(145)은 도어 베이스부재(140) 자체가 베이스부재(130) 상에서 슬라이딩 할 때, 그 베이스부재(130)에 형성된 다수의 요홈1(135)들에 걸려 그 위치 마다 정지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한 탄성편1(145a)은 사이드 도어부재(150)에서 걸림돌기2(155)의 아래에 형성한 융기부2(156)에 의해 그 후퇴작동이 일부 구간에서 억제된다.
이는 사이드 도어부재(150)가 먼저 닫힌 다음에 비로소 도어 베이스 부재(140)가 닫히도록 배려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또, 도어 베이스부재(140)에서 탄성편2(146a)에 형성된 스톱퍼 돌기2(146)는 사이드 도어부재(150)가 도어 베이스부재(140) 상에서 슬라이딩 할 때, 그 사이드 도어부재(150)에 형성된 다수의 요홈2(154)들에 걸려 그 위치마다 정지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한 탄성편2(146a)은 상기 베이스부재(130)에서 하측 가이드구멍1(136)의 위에 가로로 형성한 융기부1(137)에 의해 그 후퇴작동이 일부 구간에서 억제된다.
이는 도어 베이스부재(140)가 항상 먼저 열린 다음에 사이드 도어부재(150)가 열리도록 배려하기 위함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에어벤트에 따른 개폐는 사이드 도어부재(15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베이스부재(140) 만을 여는 개방1단계와, 도어 베이스부재(140)가 열린 상태에서 사이드 도어부재(150)까지 여는 개방2단계로 크게 나눌 수 있고, 또 개방1단계와 개방2단계에서 각각 4단계의 세부적인 개폐를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헬멧 착용자가 판단하여 내부 공기의 배출이 필요치 않을 때는 베이스부재(130)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도어 베이스부재(140)와, 도어 베이스부재(140)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사이드 도어부재(150)를 모두 전진시켜 닫는다.
이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이드 도어부재(150)의 선단부2(152)가 도어 베이스부재(140)의 공기 유입구멍3(143)을 막고 있고, 그 상태에서 도어 베이스부재(140)의 선단부1(142)가 베이스부재(130)의 공기 유입구멍1(131)을 막고 있으며, 아울러 베이스부재(130)의 공기 유입구멍2(133)도 도어 베이스부재(140)의 중단부분에 의해 막혀 있기 때문에 공기는 외부 표면 밖으로만 흐르고 내부로는 전혀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헬멧 내부의 공기가 연통구멍(103)을 따라 밖으로 빠져 나갈 수 없다.
이 상태에서 개방1단계는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30) 상에서 도어 베이스부재(140) 만을 후퇴시켜 개방하는 것이다.
사이드 도어부재(15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베이스부재(140)를 후퇴시키면 사이드 도어부재(150)는 열리지 않고, 도 9에서 보듯이 베이스부재(130)의 공기 유입구멍1(131)만이 먼저 열린다.
여기서 베이스부재(130)의 공기 유입구멍1(131)만이 먼저 열리는 이유는 상기한 탄성편2(146a)가 상기 베이스부재(130)에서 하측 가이드구멍1(136)의 위에 가로로 형성한 융기부1(137)에 의해 그 후퇴작동이 억제되고 있고, 그 상태에서 스톱퍼 돌기2(146)가 요홈2(154)에 걸려 있기 때문이며, 도어 베이스부재(140)가 완전히 열린 후에는 상기한 탄성편2(146a)의 후퇴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하여 공기 유입구멍1(131)이 열리면 이 공기 유입구멍1(13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공기 이동공간부1(132)을 따라 후방으로 흐르는데 이 때 흐르는 공기는 압력이 크기 때문에 헬멧 본체(100)에 형성된 연통구멍(103)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이 발생하여 후방의 공기 배출구멍1(134)로 배출된다.
따라서 개방1단계를 통해 헬멧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 시킬 수 있는 것이며, 앞서 작동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개방1단계에서는 탄성편1(145a)에 형성된 스톱퍼 돌기1(145)을 베이스부재(130)상에 형성된 여러개의 요홈1(135) 중에서 앞, 뒤로 선택하여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하면 그 공기 유입구멍1(131)의 개폐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헬멧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양이 달라진다.
개방2단계는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방1단계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 베이스부재(140)의 사이드 도어부재(150)까지 후퇴시켜 개방하는 것이다.
도어 베이스부재(140)가 후퇴된 상태에서 도어부재(150)까지 후퇴시키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 베이스부재(140)의 공기 유입구멍3(143)이 베이스부재(130)의 공기 유입구멍2(133)와 일치되고, 또 공기배출구멍1(134)은 물론 공기배출구멍2(144)까지 개방된다.
따라서 공기 유입구멍1(131), 그리고 서로 일치된 공기 유입구멍2(133) 및 공기 유입구멍3(143)을 통해서 들어오는 공기는 역시 공기 이동공간부1(132)을 통해서 후방으로 흐르며, 후방에서는 공기배출구멍2(144)를 통해 사이드 도어부재(150)가 구비한 공기 이동공간부2(153)를 통해 빠져 나간다.
이는 공기의 유입양과 유출양이 많기 때문에 헬멧 본체(100)의 연통구멍(103) 주변의 공기를 끌어 당기는 힘이 더욱 강해지며, 그에 따라 연통구멍(103)을 통해 빠져 나오는 헬멧 내부의 공기량도 많아진다.
아울러 이와 같은 개방2단계에서도 탄성편2(146a)에 형성된 스톱퍼 돌기2(146)를 사이드 도어부재(150)에 나열된 요홈2(154)들 중에서 앞, 뒤로 선택하여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선택하면 그 공기 유입구멍3(143)의 개폐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역시 헬멧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데 있어서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본 발명의 에어벤트를 닫을 때는 반드시 사이드 도어부재(150)가 닫히는 개방2단계, 도어 베이스부재(140)가 닫히는 개방1단계를 차례로 거치면서 닫힌다.
반드시 사이드 도어부재(150)가 먼저 닫히는 이유는 사이드 도어부재(150)가 열린 동안에는 도어 베이스부재(140)가 닫힐 수 없기 때문이다. 즉, 도어 베이스부재(140)의 탄성편1(145a)이 사이드 도어부재(150)의 융기부2(156)에 의해 후퇴방지 되고, 그 스톱퍼 돌기1(145)이 요홈1(135)에 걸려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에어벤트는 헬멧 착용자가 김서림이 그다지 심하지 않은 상황이어서 공기의 배출량을 적절히 줄이고 싶으면 개방1단계의 4포인트 중에서 선택하여 공기의 배출양을 줄일 수 있고, 반대로 시일드의 김서림이 더 심해져서 공기의 배출양을 늘리고 싶으면, 개방1단계 및 개방2단계를 모두 사용하여 배출량을최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헬멧의 시일드 아래 양쪽에 에어벤트를 설치하고, 그 에어벤트의 공기 흐름에 따라 내부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되, 베이스부재에 대한 도어 베이스부재의 슬라이딩, 그리고 도어 베이스부재에 대한 사이드 도어부재의 슬라이딩으로써 각각 개방1단계, 개방2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가서 각각의 개방1단계와 개방2단계는 4포인트씩 세분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에어벤트를 통한 내부공기의 배출량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헬멧 착용자의 컨디션과 헬멧 내/외기의 여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폭이 크기 때문에 항상 최상의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전면 개방부(101)와, 상기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한 시일드(200)와, 내부 전면에 걸쳐 준비한 패드(110)와, 상기 개방부 아래의 턱보호부(102) 좌, 우 양측에 형성하되, 외부가 통하도록 연통구멍(103)을 가지는 헬멧 본체(100);
    상기 헬멧 본체(100)가 가지는 연통구멍(103)의 바깥쪽 주변을 덮어 씌우도록 고정하되, 헬멧의 전방쪽에 형성한 공기 유입구멍1(131)과, 그 공기 유입구멍1로부터 후방으로 이어지도록 확보된 공기 이동공간부1(132)과, 상기한 공기 이동공간부1(132)에서 일부 공기가 더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 유입구멍2(133)와, 상기한 공기 이동공간부의 후방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배출구멍1(134)을 가지는 베이스부재(130);
    상기 베이스부재(130)의 외측면에 내향진 테두리1(141)이 밀착된 채 전, 후 슬라이딩 작동하여 그 선단부1(142)가 상기한 공기 유입구멍1(131)을 개폐할 수 있으며, 그 선단부1 안쪽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멍3(143)과, 그 공기 유입구멍3으로부터 임의의 간격을 두고 후방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멍2(144)을 가지는 도어 베이스부재(140);
    상기한 도어 베이스부재(140)의 외측면에 내향진 테두리2(151)가 밀착된 채 전, 후 슬라이딩 작동하여 그 선단부2(152)가 상기한 공기 유입구멍2(133)를 개폐할 수 있으며, 그 후방쪽으로 공기 이동공간부2(153)가 확보된 사이드 도어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에어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도어 베이스부재(140)는 상기한 베이스부재(130) 상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되, 그 내측면으로 적어도 한 쌍의 걸림돌기1(147)을 형성하여, 이 걸림돌기1(147)이 상기한 베이스부재(130)의 바닥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구멍1(136)을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에어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사이드 도어부재(150)는 상기한 도어 베이스부재(140) 상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되, 그 내측면으로 적어도 한 쌍의 걸림돌기2(155)를 형성하여, 이 걸림돌기2(155)가 상기한 도어 베이스부재(140)의 바닥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구멍2(148)를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에어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도어 베이스부재(140)는 그 내측면을 향한 스톱퍼 돌기1(145)과, 상기한 스톱퍼 돌기1(145)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편1(145a)을 구비하고, 상기한 스톱퍼 돌기1(145)이 상기 베이스부재(130)의 외표면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등간격 나열된 3개 이상의 요홈1(135)들에 접촉할 때마다 각각 정지하도록 다단으로 개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에어벤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사이드 도어부재(150)는 그 내측면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등간격 나열된 3개 이상의 요홈2(154)들을 형성하여, 이 요홈2(154)들이 상기한 도어 베이스부재(140)의 외측면에 형성한 탄성편2(146a)의 스톱퍼 돌기2(146)에 접촉할 때마다 각각 정지하도록 다단으로 개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에어벤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사이드 도어부재(150)는 상기한 탄성편1(145a)의 후퇴를 일부 구간에서 억제하기 위하여 걸림돌기2(155)의 아래에 가로로 융기부2(156)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에어벤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베이스부재(130)는 상기 탄성편2(146a)의 후퇴를 일부 구간에서 억제하기 위하여 하측 가이드구멍1(136)의 위에 가로로 융기부1(137)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에어벤트.
KR10-2003-0018246A 2003-03-24 2003-03-24 헬멧용 에어벤트 KR100468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246A KR100468348B1 (ko) 2003-03-24 2003-03-24 헬멧용 에어벤트
US10/423,817 US6763526B1 (en) 2003-03-24 2003-04-25 Air vent structure for helmet
CNB031412408A CN1268246C (zh) 2003-03-24 2003-06-03 头盔的通气装置
EP03021503A EP1462017A1 (en) 2003-03-24 2003-09-23 Air vent structure for helm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246A KR100468348B1 (ko) 2003-03-24 2003-03-24 헬멧용 에어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683A KR20040083683A (ko) 2004-10-06
KR100468348B1 true KR100468348B1 (ko) 2005-01-27

Family

ID=32677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246A KR100468348B1 (ko) 2003-03-24 2003-03-24 헬멧용 에어벤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63526B1 (ko)
EP (1) EP1462017A1 (ko)
KR (1) KR100468348B1 (ko)
CN (1) CN126824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7071B2 (en) * 2004-06-18 2007-04-24 Fox Racing, Inc. Ventilated helmet system
JP4848155B2 (ja) * 2005-08-19 2011-12-28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KR100661967B1 (ko) * 2006-02-01 2006-12-28 주식회사 제이텍 헬멧용 벤트의 결합구조
WO2007093059A1 (en) * 2006-02-16 2007-08-23 Jiangmen Pengcheng Helmets Ltd. Air evacuation assembly for a cold climate helmet
CA2536844A1 (en) * 2006-02-16 2007-08-16 Jiangmen Pengcheng Helmets Ltd. Helmet with top vent mechanism
US8117679B2 (en) * 2006-03-22 2012-02-21 Fox Head, Inc. Molded articles and molding methods particularly for a protective helmet
DE102006031751B4 (de) * 2006-07-04 2009-11-12 Schuberth Gmbh Integralhelm
US20110231977A1 (en) * 2009-12-11 2011-09-29 Rupnick Charles J Helmet cooling device
IT1397803B1 (it) 2009-12-22 2013-01-24 Dainese Spa Casco di protezione.
AU2011380179A1 (en) * 2011-11-04 2014-04-17 Ogk Kabuto Co., Ltd. Helmet
WO2016115112A1 (en) * 2015-01-12 2016-07-21 Bell Sports, Inc. Helmet with airflow ventilation through an earpad
US10152083B2 (en) * 2016-02-26 2018-12-11 Htc Corporation Head mounted electronic device and head mounted electronic device cushion
TWI615703B (zh) * 2016-02-26 2018-02-2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頭戴式電子裝置及頭戴式電子裝置軟墊
US10786027B1 (en) 2017-06-29 2020-09-29 Bell Sports, Inc. Helmet vent bezel
DE102017213645A1 (de) * 2017-08-07 2019-02-07 Uvex Arbeitsschutz Gmbh Helm
JP7017532B2 (ja) * 2019-02-22 2022-02-08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用気流制御部材、および、ヘルメット
JP7265935B2 (ja) * 2019-05-31 2023-04-27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およびグロメット
KR102633048B1 (ko) * 2022-04-01 2024-02-05 (주)에이치제이씨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KR20230155774A (ko) * 2022-05-04 2023-11-13 (주) 에이치제이씨 헬멧
KR102627600B1 (ko) * 2022-05-09 2024-01-23 (주) 에이치제이씨 헬멧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1865A (en) * 1977-07-08 1978-04-04 Bergee Mark A Protective helmet and ventilating system therefor
JPS63159508A (ja) * 1986-12-17 1988-07-02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ツト
JPH06406Y2 (ja) * 1989-11-07 1994-01-05 理夫 新井 ヘルメットの換気装置
JPH0663125B2 (ja) * 1990-08-31 1994-08-17 昭栄化工株式会社 乗車用ヘルメット
JPH04135920U (ja) * 1991-05-31 1992-12-17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ツトの空気取入装置
AU661758B2 (en) * 1992-05-20 1995-08-03 Shoei Kako Kabushiki Kaisha Vehicle helmet
JP2517117Y2 (ja) * 1993-08-03 1996-11-13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の空気取入装置
EP0686358A1 (en) * 1994-06-07 1995-12-13 E.D.C. Sa Crash helmet for motorcyclists and the like, provided with adjustable aeration devices
JP3675976B2 (ja) * 1996-07-30 2005-07-27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BE1012651A5 (fr) * 1997-07-09 2001-02-06 Honda Access Kk Casque.
JP3046820B1 (ja) * 1999-05-25 2000-05-29 オージーケー販売株式会社 換気機能を有するヘルメット及び換気用シャッター装置
DE10002398B4 (de) * 2000-01-21 2005-01-27 Schuberth Werk Gmbh Sturzhelm
JP4592871B2 (ja) * 2000-05-09 2010-12-08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62017A1 (en) 2004-09-29
CN1268246C (zh) 2006-08-09
US6763526B1 (en) 2004-07-20
CN1531880A (zh) 2004-09-29
KR20040083683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8348B1 (ko) 헬멧용 에어벤트
CA2039995C (en) Helmet for riding vehicle
US4519099A (en) Helmet
US4081865A (en) Protective helmet and ventilating system therefor
US6405382B2 (en) Helmet
US20050278834A1 (en) Helmet
US8555424B2 (en) Helmet having a guiding mechanism for a compatible visor
EP0474939B1 (en) Helmet
EP0474941A1 (en) Helmet with improved ventilation
SK50993A3 (en) Protective headgear and detachable face protector
EP0638252B1 (en) Air intake device in helmet
US5337421A (en) Air ventilation helmet
EP0638250B1 (en) Helmet for riding vehicle
US7058991B2 (en) Vented eyewear
US20020124298A1 (en) Protective helmet and integrated vent system
US5157794A (en) Helmet
CN107105809B (zh) 穿过耳垫气流通风的头盔
CN111743258B (zh) 具有眼镜和空气偏转器系统的头盔组件和方法
CA2767266C (en) Helmet having a guiding mechanism for a compatible visor
KR100478155B1 (ko) 헬멧용 브레스 가드 조립체
CN110613202A (zh) 骑行头盔配合系统的延伸连接器
EP2774500B1 (en) Helmet
EP2338365B1 (en) Protective helmet with ventilation opening
EP0775453B1 (en) Crash helmet for motorcyclists and the like, provided with adjustable aeration devices
KR100299319B1 (ko) 헬멧용 에어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