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774A - 헬멧 - Google Patents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774A
KR20230155774A KR1020220055384A KR20220055384A KR20230155774A KR 20230155774 A KR20230155774 A KR 20230155774A KR 1020220055384 A KR1020220055384 A KR 1020220055384A KR 20220055384 A KR20220055384 A KR 20220055384A KR 20230155774 A KR20230155774 A KR 20230155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ver
protrusion
support
helm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만근
Original Assignee
(주) 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 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KR1020220055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5774A/ko
Priority to PCT/KR2023/003396 priority patent/WO2023214673A1/ko
Publication of KR20230155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42B3/283Air inlets or outlets, with or without closure shutte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헬멧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헬멧은 내부 공간이 외부와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일 측에 형성되는 통풍홀을 포함하는 헬멧 본체; 상기 통풍홀을 커버하고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공간이 외부와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일 측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도록 상기 커버가 배치되는 제1 위치와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상기 제1 위치의 일 측에 위치하는 제2 위치를 왕복 운동하되, 상기 커버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커버의 상기 제1 위치 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Description

헬멧{Helmet}
본 발명은 헬멧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이륜차의 경우 사고 시 충격이 그대로 탑승자에게 전달될 위험이 매우 높다. 또한, 근래 널리 보급되고 있는 전동킥보드, 싱글휠, 투휠(호버 보드) 등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개인형 이동수단(Personal Mobility, PM)의 경우도 사고 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륜차를 비롯한 개인형 이동수단의 탑승차에게는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승차용 안전모 즉, 헬멧의 착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헬멧은 착용자의 머리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헬멧 본체와, 헬멧 본체에 부착되는 다양한 부착 요소를 포함한다. 최근 개인형 이동수단의 증가와 함께 헬멧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헬멧 생산 업계에서는 헬멧 착용 시 헬멧 본체의 내부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요소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헬멧 본체의 내부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도록 제공되는 요소로는 외부의 공기가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관통홀만 구비되는 경우, 착용자의 머리 일부가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뿐만 아니라, 비나 눈이 오는 경우 헬멧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273124호 (2005.10.06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헬멧 본체의 내부에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헬멧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헬멧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늘릴 수 있는 헬멧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헬멧은 내부 공간이 외부와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일 측에 형성되는 통풍홀을 포함하는 헬멧 본체; 상기 통풍홀을 커버하고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공간이 외부와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일 측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도록 상기 커버가 배치되는 제1 위치와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상기 제1 위치의 일 측에 위치하는 제2 위치를 왕복 운동하되, 상기 커버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커버의 상기 제1 위치 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지지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돌기를 가이드하되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 돌기가 상기 헬멧 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면; 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 면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커버 측으로 볼록하며 상기 관통홀 측 일 단부가 타 단부보다 상기 헬멧 본체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가이드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되,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왕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를 가이드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슬릿;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은 중심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돌기의 외주면과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탄성 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도록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지지 돌기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제1 지지 돌기는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를 가운데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면은 한 쌍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제1 가이드 면은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을 가운데 두고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지지 돌기; 상기 제1 지지 돌기의 일 측면에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가이드 돌기; 상기 제1 지지 돌기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지지 돌기; 및 상기 제2 지지 돌기의 일 측면에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 가이드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돌기 및 상기 제2 지지 돌기의 일 측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면; 및 상기 제2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왕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지지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슬릿; 및 상기 제3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왕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3 가이드 돌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지지면에 형성되는 제3 가이드 슬릿;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 슬릿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커버 측으로 볼록하며 상기 관통홀 측 일 단부가 타 단부보다 상기 헬멧 본체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3 가이드 슬릿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 단부가 상기 제2 가이드 슬릿의 일 단부보다 상기 헬멧 본체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 슬릿은 상기 커버가 상기 제3 가이드 돌기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I)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지지 돌기 및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 한 쌍의 상기 제1 지지 돌기의 내측 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은 한 쌍의 상기 제1 지지 돌기의 내측 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은, 관통홀과 이를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헬멧 본체의 내부에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은, 관통홀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커버의 전방 단부가 헬멧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헬멧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폐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개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베이스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폐쇄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선을 따라 개방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B-B선을 따라 폐쇄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B-B선을 따라 개방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C-C선을 따라 폐쇄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C-C선을 따라 개방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폐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개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베이스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폐쇄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선을 따라 개방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B-B선을 따라 폐쇄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B-B선을 따라 개방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C-C선을 따라 폐쇄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C-C선을 따라 개방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1)을 설명한다. 이때, 도 1의 X축이 향하는 방향은 전방, Y축이 향하는 방향은 우측 방향, Z축이 향하는 방향은 상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1)은 헬멧 본체(100), 베이스 부재(110), 커버(200) 및 탄성 부재(3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 본체(100)는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구형으로 형성된다. 다만, 헬멧 본체(100)는 사용자의 머리를 감쌀 수 있으면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헬멧 본체(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머리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헬멧 본체(100)는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머리 전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므로, 종래에는 사용자가 헬멧 본체(100)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헬멧 본체(100) 내부와 외부가 공기 소통이 어려웠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땀을 흘리는 경우 헬멧 본체(100)의 내부 공간의 습도와 온도가 올라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1)의 헬멧 본체(100)에는 일 측에 헬멧 본체(100)의 내부 공간이 외부와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통풍홀(101)이 형성된다. 이때, 통풍홀(101)이 형성되는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풍홀(101)이 사용자의 머리의 전두부 측, 즉 헬멧 본체(100)의 전방 상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10)는 상술한 통풍홀(101)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 부재(110)는 후술하는 커버(200)와 결합됨으로써 통풍홀(101)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베이스 부재(110)는 헬멧 본체(100)와 별개로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10)가 헬멧 본체(100)와 별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베이스 부재(110)가 헬멧 본체(100)와 별개로 형성됨으로써, 헬멧 본체(100)의 형상이 다르게 설계되더라도 베이스 부재(110)를 혼용하여 사용하여 베이스 부재(110) 및 후술하는 커버(200)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10)에는 헬멧 본체(100)의 내부 공간이 외부와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관통홀(104)이 일 측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는 관통홀(104)과 헬멧 본체(100)의 통풍홀(101)을 통해 헬멧 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때, 관통홀(104)이 형성되는 위치는 외부 공기가 관통홀(104)과 통풍홀(101)을 경유하여 내부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으면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10)의 전방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04)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관통홀(104)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세 개의 관통홀(104)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는 베이스 부재(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커버(200)는 도 1에 도시된 제1 위치와 도 2에 도시된 제2 위치를 왕복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는 헬멧 본체(100)의 외면을 따라 전후방으로 배치된다. 즉, 커버(200)는 베이스 부재(110) 위에서 전방과 후방을 왕복하여 이동하게 된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는 관통홀(104)을 개폐하게 된다. 즉, 커버(200)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관통홀(104)은 폐쇄되고 커버(200)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관통홀(104)이 개방된다.
이때, 이하에서는 커버(200)가 제1 위치에 배치되어 관통홀(104)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폐쇄 상태로 규정하고, 커버(200)가 제2 위치에 배치되어 관통홀(104)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개방 상태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커버(200)가 관통홀(104)을 폐쇄하는 구조에는 제한이 없다. 커버(200)의 내면이 관통홀(104)의 상측에 배치되어 관통홀(104)을 폐쇄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격벽에 의하여 격벽과 커버(200)의 내면을 통해 관통홀(104)을 폐쇄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방 단부가 베이스 부재(110)로부터 이격되며, 반대로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방 단부가 베이스 부재(110) 측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커버(200)는 관통홀(104)을 개폐할 뿐만 아니라, 제2 위치에서 커버(200)의 전방 단부가 베이스 부재(11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개방 상태에서 관통홀(104)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단면적을 넓히게 되어 공기의 유입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때, 커버(200)가 베이스 부재(110)의 위에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110)에는 제1 가이드 슬릿(112)이 형성되고, 커버(200)의 내면에는 제1 가이드 슬릿(112)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 돌기(210)가 돌출된다.
제1 가이드 슬릿(112)은 제1 가이드 돌기(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면 형성되는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슬릿(112)은 관통홀(104)의 후방에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슬릿(112)은 관통홀(104)이 관통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제1 가이드 슬릿(112)은 제1 가이드 돌기(210)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돌기(210)는 커버의 내측면(202)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제1 가이드 돌기(210)는 제1 가이드 슬릿(112)의 관통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돌기(210)의 외주면이 제1 가이드 슬릿(112)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1 가이드 돌기(210)가 제1 가이드 슬릿(112)의 전방 단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커버(200)는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제1 가이드 돌기(210)가 제1 가이드 슬릿(112)의 후방 단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커버(200)가 제2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슬릿(112)은 제1 가이드 돌기(210)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양 단부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300)는 제1 가이드 돌기(210)의 외주면과 제1 가이드 슬릿(112)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300)는 제1 가이드 돌기(210)가 제1 가이드 슬릿(112)의 좁은 중심부를 지나가는 과정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다.
탄성 부재(300)는 제1 가이드 돌기(210)가 제1 가이드 슬릿(112)의 전방 단부 또는 후방 단부에 위치한 상태, 즉 커버(200)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탄성적으로 변형되지 않는다.
반면, 커버(20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거나,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가이드 돌기(210)가 제1 가이드 슬릿(112)의 중심부를 지나는 과정에서 탄성적으로 변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200)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또는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가압하는 힘이 탄성 부재(300)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기 어려운 정도의 힘이라면, 탄성 부재(300)의 변형을 유발하지 못하여 제1 가이드 돌기(210)가 제1 가이드 슬릿(112)의 전방 단부에서 후방으로 또는 후방 단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반면, 커버(200)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또는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가압하는 힘이 탄성 부재(300)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정도의 힘이라면, 탄성 부재(300)의 변형을 유발하여 제1 가이드 돌기(210)가 제1 가이드 슬릿(112)의 전방 단부에서 후방으로 또는 후방 단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제1 가이드 슬릿(112)의 좁은 중앙부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탄성 부재(300)는 제1 가이드 돌기(210)의 외주면과 제1 가이드 슬릿(112)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면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돌기(210)에 끼움 결합되도록 탄성 부재(300)는 제1 가이드 돌기(210)의 돌출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탄성 부재(300)가 손상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탄성 부재(300)를 제1 가이드 돌기(210)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제1 가이드 돌기(210)의 선단부에는 탄성 부재(3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면으로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탈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는 커버의 내측면(202)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지지 돌기(220)를 포함하고, 베이스 부재(110)는 제1 지지 돌기(220)의 선단부에 접촉되어 제1 지지 돌기(220)를 가이드는 제1 가이드 면(130)을 포함한다.
제1 가이드 면(130)은 관통홀(104)의 개폐에 영향이 없으면, 베이스 부재(1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위치에 제한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홀(104)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 가이드 면(130)은 제1 가이드 슬릿(1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에 따라 제1 지지 돌기(220)가 제1 가이드 면(130)에 접촉된 상태로 제1 가이드 면(130)을 따라 움직일 때, 커버(20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왕복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는 제1 지지 돌기(220)의 후방 측에 커버의 내측면(202)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지지 돌기(230)를 더 포함한다.
제2 지지 돌기(230)는 제1 지지 돌기(220)와 별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돌기(220)와 제2 지지 돌기(230)가 하나의 격벽의 일부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지지 돌기(230)는 제1 지지 돌기(220)가 제1 가이드 면(13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 지지 돌기(230)의 선단부가 헬멧 본체(100)의 외주면의 곡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 지지 돌기(230)의 선단부가 지지되는 면으로써 제2 가이드 면(140)은 헬멧 본체(10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베이스 부재(110)의 상부면에 헬멧 본체(100)의 외주면의 곡면과 동일하게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면(140)이 베이스 부재(1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2 가이드 면(140)은 제1 가이드 면(130)의 후방에 형성되고, 전후방으로 연장된다.
제1 가이드 면(130)과 제2 가이드 면(140)은 커버(20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왕복하면서 움직이는 모션에 관여한다. 즉, 커버(200)는 제1 가이드 면(130)과 제2 가이드 면(140)의 형상에 의하여 이동하는 모션이 결정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면(130)은 관통홀(104) 측 일 단부, 즉 전방 단부가 후방 단부보다 헬멧 본체(100)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가이드 면(130)을 따라 움직이는 제1 지지 돌기(220)의 선단부가 제1 가이드 면(130)의 전방 단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헬멧 본체(10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가이드 면(130)의 후방 단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헬멧 본체(10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반면, 제2 지지 돌기(230)는 헬멧 본체(100)의 곡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커버(200)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있는 경우라도 헬멧 본체(100)로부터 이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지지 돌기(220) 및 제2 지지 돌기(230)와 함께 움직이는 커버(200)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지지 돌기(220)에 의하여 전방 단부가 베이스 부재(110)로부터 이격되고, 후방 단부는 베이스 부재(11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면(130)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1 가이드 면(130)의 굴곡되는 형태는 커버(200)가 제2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전방 단부가 헬멧 본체(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면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가이드 면(130)의 형태는 커버(20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 지지 돌기(230)의 선단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회전축(I)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돌기(220) 및 제2 지지 돌기(230)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지지 돌기(220)와 한 쌍의 제2 지지 돌기(230)는 제1 가이드 돌기(210)를 가운데 두고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돌기(220)와 제2 지지 돌기(230)가 한 쌍으로 형성됨에 따라, 이에 대응되도록 제1 가이드 면(130)과 제2 가이드 면(140)도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1 가이드 면(130)과 한 쌍의 제2 가이드 면(140)도 제1 가이드 슬릿(112)을 가운데 두고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10)에는 제1 지지 돌기(220)의 일 측면이 지지될 수 있는 지지면(1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면(116)은 제2 지지 돌기(230)의 일 측면을 함께 지지할 수 있도록 전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116)은 베이스 부재(11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지지면(116)이 형성되는 위치는 제1 가이드 슬릿(112)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돌기(220)와 제2 지지 돌기(230)가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경우, 지지면(116)도 한 쌍의 제1 지지 돌기(220)와 제2 지지 돌기(230)를 모두 지지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면(116)은 한 쌍의 제1 지지 돌기(2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써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한 쌍의 제1 지지 돌기(220)가 한 쌍의 지지면(116)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커버(20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왕복하는 과정에서, 한 쌍의 지지면(116)에 의하여 한 쌍의 제1 지지 돌기(220) 및 제2 지지 돌기(230)가 지지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커버(200)의 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커버(200)가 왕복 운동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116)에는 제2 가이드 슬릿(150)이 형성되고, 제1 지지 돌기(220)에는 제2 가이드 돌기(240)가 제2 가이드 슬릿(150)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2 가이드 슬릿(150)은 측 방향으로 지지면(116)을 관통하거나 함몰되어 형성되고, 제2 가이드 돌기(240)는 제2 가이드 슬릿(1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지지 돌기(220)의 일 측면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2 가이드 슬릿(150)은 한 쌍의 지지면(116)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가이드 돌기(240)도 한 쌍의 제1 지지 돌기(220)의 내측 면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슬릿(150)은 커버(200)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왕복하는 과정에서 제2 가이드 돌기(240)를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커버(200)가 베이스 부재(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116)에는 제2 가이드 슬릿(150)의 후방에 제3 가이드 슬릿(160)이 형성되고, 제2 지지 돌기(230)에는 제3 가이드 돌기(250)가 제3 가이드 슬릿(160)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3 가이드 슬릿(160)은 측 방향으로 지지면(116)을 관통하거나 함몰되어 형성되고, 제3 가이드 돌기(250)는 제3 가이드 슬릿(16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지지 돌기(230)의 일 측면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3 가이드 슬릿(160)도 한 쌍의 지지면(116)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3 가이드 돌기(250)도 한 쌍의 제2 지지 돌기(230)의 내측 면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가이드 슬릿(160)은 커버(200)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왕복하는 과정에서 제3 가이드 돌기(250)를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커버(200)가 베이스 부재(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슬릿(150) 및 제3 가이드 슬릿(160)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제2 가이드 돌기(240)와 제3 가이드 돌기(250)가 각각 제2 가이드 슬릿(150)과 제3 가이드 슬릿(160) 따라 움직일 때, 커버(20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왕복하게 된다.
제2 가이드 슬릿(150)과 제3 가이드 슬릿(160)은 커버(20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왕복하면서 움직이는 모션에 관여한다. 즉, 커버(200)는 제2 가이드 슬릿(150)과 제3 가이드 슬릿(160)의 형상에 의하여 이동하는 모션이 결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슬릿(150)은 관통홀(104) 측 일 단부, 즉 전방 단부가 후방 단부보다 헬멧 본체(100)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가이드 슬릿(150)을 따라 움직이는 제2 가이드 돌기(240)는 제2 가이드 슬릿(150)의 전방 단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헬멧 본체(10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가이드 슬릿(150)의 후방 단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헬멧 본체(10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가이드 슬릿(160)은 헬멧 본체(100)의 곡면을 따라 형성된다. 즉, 제3 가이드 슬릿(160)의 양 단부는 헬멧 본체(100)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3 가이드 슬릿(160)을 따라 움직이는 제3 가이드 돌기(250)는 커버(200)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있는 경우라도 헬멧 본체(100)로부터 이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돌기(240) 및 제3 가이드 돌기(250)와 함께 움직이는 커버(200)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 가이드 돌기(240)에 의하여 전방 단부가 베이스 부재(110)로부터 이격되고, 제3 가이드 돌기(250)에 의하여 후방 단부는 헬멧 본체(100)의 외주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슬릿(150) 및 제3 가이드 슬릿(160)은 후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2 가이드 슬릿(150)의 굴곡되는 형태는 커버(200)가 제2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전방 단부가 헬멧 본체(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면 연장되는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2 가이드 슬릿(150)과 제3 가이드 슬릿(160)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가이드 슬릿(160)은 헬멧 본체(100)의 외주면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슬릿(150) 및 제3 가이드 슬릿(160)은 커버(200)가 제3 가이드 돌기(250)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I)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커버(20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제3 가이드 돌기(250)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I)을 기준으로 커버(200)를 바라볼 때 커버(200)는 회전축(I)을 중심으로 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 가이드 슬릿(150) 및 제3 가이드 슬릿(160)에 의하여 커버(200)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방향은 커버(200)의 전방 단부가 헬멧 본체(10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헬멧 150 제2 가이드 슬릿
100 헬멧 본체 160 제3 가이드 슬릿
101 통풍홀 200 커버
104 관통홀 202 커버의 내측면
110 베이스 부재 210 제1 가이드 돌기
112 제1 가이드 슬릿 220 제1 지지 돌기
114 제1 가이드 슬릿의 중심부 230 제2 지지 돌기
116 지지면 240 제2 가이드 돌기
130 제1 가이드 면 250 제3 가이드 돌기
140 제2 가이드 면 300 탄성 부재

Claims (11)

  1. 내부 공간이 외부와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일 측에 형성되는 통풍홀을 포함하는 헬멧 본체;
    상기 통풍홀을 커버하고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공간이 외부와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일 측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도록 상기 커버가 배치되는 제1 위치와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상기 제1 위치의 일 측에 위치하는 제2 위치를 왕복 운동하되, 상기 커버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커버의 상기 제1 위치 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헬멧.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지지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돌기를 가이드하되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 돌기가 상기 헬멧 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면; 을 포함하는, 헬멧.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면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커버 측으로 볼록하며 상기 관통홀 측 일 단부가 타 단부보다 상기 헬멧 본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헬멧.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가이드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되,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왕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를 가이드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슬릿; 을 더 포함하는, 헬멧.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은 중심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돌기의 외주면과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탄성 부재; 를 더 포함하는, 헬멧.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도록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헬멧.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돌기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제1 지지 돌기는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를 가운데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면은 한 쌍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제1 가이드 면은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을 가운데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는, 헬멧.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지지 돌기;
    상기 제1 지지 돌기의 일 측면에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가이드 돌기;
    상기 제1 지지 돌기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지지 돌기; 및
    상기 제2 지지 돌기의 일 측면에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 가이드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돌기 및 상기 제2 지지 돌기의 일 측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면; 및
    상기 제2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왕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지지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슬릿; 및
    상기 제3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왕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3 가이드 돌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지지면에 형성되는 제3 가이드 슬릿; 을 더 포함하는, 헬멧.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슬릿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커버 측으로 볼록하며 상기 관통홀 측 일 단부가 타 단부보다 상기 헬멧 본체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3 가이드 슬릿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 단부가 상기 제2 가이드 슬릿의 일 단부보다 상기 헬멧 본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헬멧.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슬릿은 상기 커버가 상기 제3 가이드 돌기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헬멧.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돌기 및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 한 쌍의 상기 제1 지지 돌기의 내측 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은 한 쌍의 상기 제1 지지 돌기의 내측 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는, 헬멧.
KR1020220055384A 2022-05-04 2022-05-04 헬멧 KR20230155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384A KR20230155774A (ko) 2022-05-04 2022-05-04 헬멧
PCT/KR2023/003396 WO2023214673A1 (ko) 2022-05-04 2023-03-14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384A KR20230155774A (ko) 2022-05-04 2022-05-04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774A true KR20230155774A (ko) 2023-11-13

Family

ID=88646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384A KR20230155774A (ko) 2022-05-04 2022-05-04 헬멧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55774A (ko)
WO (1) WO202321467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3124A (ja) 2004-03-23 2005-10-06 Zai Hee In オートバイ用通風ヘルメッ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646Y1 (ko) * 2001-06-19 2001-11-16 주식회사 키프코 헬멧의 통풍장치
US20040064873A1 (en) * 2002-05-29 2004-04-08 Muskovitz David T. In-mold protective helmet having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KR100468348B1 (ko) * 2003-03-24 2005-01-27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에어벤트
JP4848155B2 (ja) * 2005-08-19 2011-12-28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DE102010027012A1 (de) * 2010-07-13 2012-01-19 Anton Pfanner Schutzhelm, insbesondere für Forstarbei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3124A (ja) 2004-03-23 2005-10-06 Zai Hee In オートバイ用通風ヘルメ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4673A1 (ko)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37064A (ja) 産業用衝撃吸収保護キャップ
CN102281782B (zh) 安全帽
KR100487844B1 (ko) 고글
CN110785096B (zh) 头盔
JPH04100907A (ja) ジェット型ヘルメット
JP2001316929A (ja) ヘルメット
EP2027787B1 (en) Wake stabilizer for helmet and helmet
JPH0466926B2 (ko)
JPH0715734U (ja) ヘルメットの空気取入装置
CN107618640B (zh) 潜水罩
KR20040083683A (ko) 헬멧용 에어벤트
US11638455B2 (en) Helmet airflow control member and helmet
KR20230155774A (ko) 헬멧
JP2001020121A (ja) ヘルメット
ITRM980278A1 (it) Complesso di talaio per chiusura a tapparella del vano di passaggio del piantone di sterzo nell'abitacolo di un autoveicolo
KR102627600B1 (ko) 헬멧
KR20030010919A (ko) 헬멧
JP7025004B2 (ja) ヘルメット用シールド
US6640345B2 (en) Full-face type helmet for vehicular users
KR102633048B1 (ko)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JP4374489B2 (ja) ヘルメット
US20140124606A1 (en) Webbing exit protection boot for a webbing of a seat belt and seat belt system
US20230404198A1 (en) Helmet and cheek pad
EP4289304A1 (en) Helm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elmet
US853809A (en) Automobile-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