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048B1 -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 Google Patents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048B1
KR102633048B1 KR1020220041102A KR20220041102A KR102633048B1 KR 102633048 B1 KR102633048 B1 KR 102633048B1 KR 1020220041102 A KR1020220041102 A KR 1020220041102A KR 20220041102 A KR20220041102 A KR 20220041102A KR 102633048 B1 KR102633048 B1 KR 102633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helmet
vent hole
cover par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2185A (ko
Inventor
김성광
조정현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KR1020220041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048B1/ko
Priority to PCT/KR2023/001418 priority patent/WO2023191286A1/ko
Publication of KR20230142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은 헬멧 본체(10)에 구비되고, 유체를 헬멧 본체(10)의 내외부로 소통시키는 벤트홀(110)이 형성된 벤트부(100), 및 벤트부(100)에 대해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고, 제1 위치에 비해서 제2 위치일 때 벤트부(100)로부터 멀리 이격되며, 제1 위치일 때 벤트홀(110)을 통해서 소통되는 유체의 양이 최소이고, 제2 위치일 때 벤트홀(110)을 통해서 소통되는 유체의 양이 최대인 커버부(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Helmet comprising Vent means}
본 발명은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속도가 동반되는 이륜차 탑승시 착용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 헬멧 착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헬멧은 착용자의 전방시계를 확보하기 위해서 전방에 개방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부에는 운행 중 유입되는 바람, 먼지의 차단을 위해서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헬멧에는 외기가 유입되고, 입김이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벤트가 설치될 수 있다.
KR 20-0168837 Y1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벤트홀이 형성된 벤트부와 벤트부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는 커버부를 구비하여, 벤트홀을 통해서 유입되는 유체의 양과 벤트홀을 통해서 유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은 헬멧 본체에 구비되고, 유체를 상기 헬멧 본체의 내외부로 소통시키는 벤트홀이 형성된 벤트부, 및 상기 벤트부에 대해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1 위치에 비해서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벤트부로부터 멀리 이격되며,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벤트홀을 통해서 소통되는 유체의 양이 최소이고,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벤트홀을 통해서 소통되는 유체의 양이 최대인 커버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에 있어서, 상기 벤트부에는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방향을 일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벤트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커버부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안착부이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돌출된 돌출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은 상기 헬멧 본체의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는 제1 벤트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벤트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벤트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제1 벤트홀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제1 벤트홀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의 유체가 배출되는 제2 벤트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벤트부와 가까워져 상기 제2 벤트홀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이 최소이고,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벤트부와 멀어져 상기 제2 벤트홀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이 최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은 상기 헬멧 본체의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는 제1 벤트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벤트홀은 상기 제1 벤트홀에 비해서 후방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와 상기 벤트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기부,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벤트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돌기부를 고정시키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양단에서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의 간격은 상기 돌기부의 직경보다 작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에 있어서, 상기 벤트부는 상기 헬멧 본체의 상측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벤트홀이 형성된 벤트부와 벤트부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는 커버부를 구비하여, 벤트홀을 통해서 유입되는 유체의 양과 벤트홀을 통해서 유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도 3의 X영역을 확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벤트부와 커버부의 분해사시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벤트부와 커버부의 사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제1,2 체결부의 단면도, 및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은 헬멧 본체(10)에 구비되고, 유체를 헬멧 본체(10)의 내외부로 소통시키는 벤트홀(110)이 형성된 벤트부(100), 및 벤트부(100)에 대해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고, 제1 위치에 비해서 제2 위치일 때 벤트부(100)로부터 멀리 이격되며, 제1 위치일 때 벤트홀(110)을 통해서 소통되는 유체의 양이 최소이고, 제2 위치일 때 벤트홀(110)을 통해서 소통되는 유체의 양이 최대인 커버부(200)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헬멧 본체(10)는 강도가 큰 경질 합성 수지 등의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헬멧 본체(10)의 내부에는 내부부재(20)가 배치된다. 여기서, 내부부재(20)는 발포폴리스타이렌(Expanded Polystyren, EPS) 등으로 형성되어 적절한 강도와 탄성을 갖는 흡수체이다. 이때, 내부부재(20)는 충격 흡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밀도가 서로 다른 제1 내부부재(21), 제2 내부부재(23), 제3 내부부재(2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내부부재(20)는 반드시 3개의 내부부재(20, 제1,2,3 내부부재(21, 23, 25))를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1개의 내부부재(20)를 포함하거나 2개 또는 4개 이상의 내부부재(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내부부재(20)의 내부에는 착용 안정감을 향상시키는 패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쉴드(30)는 헬멧 본체(10)의 전방에 형성된 개방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헬멧 본체(10)의 양측(예를 들어, 라쳇)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헬멧 본체(10)에 대해서 회전하며 개방부를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친가드(50, Chin Guard)는 착용자의 턱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착용자의 턱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호형(弧形)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친가드(50)는 양단이 헬멧 본체(10)의 양측(예를 들어, 라쳇)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용자의 턱의 전방에 배치되거나, 헬멧 본체(10)의 상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은 벤트부(100)와 커버부(200)를 포함하고, 벤트부(100)와 커버부(200)는 예를 들어 헬멧 본체(10)의 상측 중앙에 구비되어, 유체를 헬멧 본체(10)의 내외부로 소통시키는데, 이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상기 벤트부(100)는 헬멧 본체(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딩하는 커버부(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벤트부(100)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형으로 형성되어, 헬멧 본체(10)의 상측 중앙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초부(150)가 헬멧 본체(10)에 결합된 후, 벤트부(100)가 헬멧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고, 기초부(150)는 U형으로 형성된 외곽부(151)와 외곽부(151)를 연결하는 연결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초부(150)의 외곽부(151)는 벤트부(100)의 외측을 둘러싸고, 기초부(150)의 연결부(153)는 벤트부(10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벤트부(100)에는 유체를 헬멧 본체(10)의 내외부로 소통시키는 벤트홀(110)이 형성된다. 여기서, 벤트홀(110)은 벤트부(100)뿐만 아니라 헬멧 본체(10)와 내부부재(20)까지 연장됨으로써, 헬멧 본체(10)의 내외부를 유체 소통시킬 수 있다. 한편, 벤트홀(110)은 제1 벤트홀(113)과 제2 벤트홀(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벤트홀(113)은 헬멧 본체(10)의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는 것으로, 벤트부(100)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용자가 바이크 등을 타고 전진하면 제1 벤트홀(113)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헬멧 본체(10)의 외부의 유체(외기)가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벤트홀(113)은 벤트부(100)에 2개가 형성될 수 있고, 2개의 제1 벤트홀(113)은 벤트부(100)의 가로방향 중앙으로부터 동일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벤트홀(113)은 커버부(200)의 차단부(220)에 의해서 헬멧 본체(10)의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거나 차단될 있는데, 이에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제2 벤트홀(115)은 헬멧 본체(10)의 내부의 유체가 배출되는 것으로, 벤트부(10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즉, 제2 벤트홀(115)은 제1 벤트홀(113)에 비해서 후방에 형성될 수 있음). 구체적으로, 착용자가 바이크 등을 타고 전진하면 제2 벤트홀(115)의 상측에서 헬멧 본체(10)의 외부의 유체(외기)가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2 벤트홀(115)의 상측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져(∵외기의 이동속도 높으므로), 제2 벤트홀(115)을 통해서 헬멧 본체의 내부의 유체가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벤트홀(115)은 벤트부(100)의 가로방향 중앙에 1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벤트홀(115)은 커버부(200)에 의해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이 조절되는데,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부(200)는 벤트부(100)에 대해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벤트홀(110)을 통해서 소통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커버부(200)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형으로 형성되어, 벤트부(100)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200)는 제1,2 가이드부(300, 400)에 의해서 가이드되면서 벤트부(100)에 대해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부(300)는 벤트부(100)에 형성되고, 제2 가이드부(400)는 커버부(200)에 형성되어 제1 가이드부(300)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부(300)는 커버부(20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안착부일 수 있고, 제2 가이드부(400)는 안착부에 결합되어 안착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돌출된 돌출부일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부(300, 안착부)는 제2 가이드부(400, 돌출부)의 말단과 접촉되는 저면부(310)와 제2 가이드부(400, 돌출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의 확대도 참조). 따라서, 제2 가이드부(400)는 제1 가이드부(300)의 측면부(320)에 지지된 상태로 제1 가이드부(300)의 저면부(310)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한편, 제1 가이드부(300)와 제2 가이드부(400)는 2개의 제1 벤트홀(113)의 후방에 각각 1개씩 형성되고, 제2 벤트홀(115)의 좌우에 각각 1개씩 형성되며, 벤트부(100)와 커버부(200)의 가로방향 중앙에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가이드부(300)와 제2 가이드부(400)는 각각 6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00)는 제1,2 가이드부(300, 400)에 의해서 벤트부(100)에 대해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고, 제1 위치에 비해서 제2 위치일 때 벤트부(100)로부터 멀리 이격된다. 즉, 커버부(200)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슬라이딩될수록 벤트부(100)로부터 멀리 이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커버부(20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방향을 일방향(A)으로 정의할 때, 제1 가이드부(300)는 일방향(A)으로 갈수록 벤트부(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부(300)의 저면부(310)가 일방향(A)으로 갈수록 벤트부(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제1 가이드부(300)의 저면부(310)에 접촉되는 제2 가이드부(400)는 일방향(A)으로 갈수록 벤트부(100)와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이드부(400)가 형성된 커버부(200)는 일방향(A,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 방향)으로 갈수록 벤트부(100)로부터 멀리 이격될 수 있는 것이다(도 5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200)는 제1 위치에 비해서 제2 위치일 때 벤트부(100)로부터 멀리 이격되는데, 커버부(200)가 제1 위치일 때 벤트홀(110)을 통해서 소통되는 유체의 양은 최소일 수 있고, 커버부(200)가 제2 위치일 때 벤트홀(110)을 통해서 소통되는 유체의 양은 최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200)는 본체부(210)와 차단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210)는 벤트부(1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차단부(220)는 본체부(210)로부터 벤트부(100) 방향(하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차단부(220)는 커버부(200)가 제1 위치일 때(도 4 참조), 제1 벤트홀(113)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커버부(200)가 제2 위치일 때(도 5 참조), 제1 벤트홀(113)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220)가 제1 벤트홀(113)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경우(커버부(200)가 제1 위치일 때, 도 4 참조), 바이크 등이 전진할 때 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헬멧 본체(10)의 외부의 유체(외기)가 차단부(220)에 의해서 차단되어 제1 벤트홀(113)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차단부(220)가 제1 벤트홀(113)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경우(커버부(200)가 제2 위치일 때, 도 5 참조), 바이크 등이 전진할 때 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헬멧 본체(10)의 외부의 유체(외기)가 차단부(220)에 의해서 차단되지 않고 제1 벤트홀(113)로 유입될 수 있다. 정리하면, 커버부(200)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배치될 때, 차단부(220)와 제1 벤트홀(113)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헬멧 본체(10)의 외부의 유체(외기)가 제1 벤트홀(113)로 유입되는지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200)는 제1 위치에 비해서 제2 위치일 때 벤트부(100)로부터 멀리 이격된다. 따라서, 커버부(200)는 제1 위치일 때(도 4 참조) 벤트부(100)와 가까워져 커버부(200)와 벤트부(100) 사이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또는 폐쇄된다). 결국, 제2 벤트홀(115)을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 흐름의 출구 역할을 수행하는 커버부(200)와 벤트부(100) 사이의 공간이 작아지게 되어(또는 폐쇄되어), 제2 벤트홀(115)을 통해서 배출되는 헬멧 본체(10)의 내부의 유체의 양이 최소가 될 수 있다. 반면, 커버부(200)는 제2 위치일 때(도 5 참조) 벤트부(100)와 멀어져 커버부(200)와 벤트부(100) 사이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커진다. 결국, 제2 벤트홀(115)을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 흐름의 출구 역할을 수행하는 커버부(200)와 벤트부(100) 사이의 공간이 커지게 되어, 제2 벤트홀(115)을 통해서 배출되는 헬멧 본체(10)의 내부의 유체의 양이 최대가 될 수 있다. 정리하면, 커버부(200)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배치될 때, 커버부(200)와 벤트부(100) 사이의 공간이 변화함으로써, 제2 벤트홀(115)로 배출되는 헬멧 본체(10)의 내부의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결국, 커버부(200)가 제1 위치일 때 제1 벤트홀(113)과 제2 벤트홀(115)을 통해서 소통되는 유체의 양은 최소일 수 있고(도 4 참조), 커버부(200)가 제2 위치일 때 제1 벤트홀(113)과 제2 벤트홀(115)을 통해서 소통되는 유체의 양은 최대일 수 있는 것이다(도 5 참조).
한편,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00)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500)는 돌기부(510), 및 슬라이딩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부(510)는 커버부(200)에 벤트부(10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520)는 벤트부(100)의 중앙의 빈공간(521) 형성될 수 있고, 돌기부(51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며, 커버부(20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일 때, 돌기부(5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슬라이딩부(520)는 제1 지지부재(523), 및 제2 지지부재(5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부재(523)와 제2 지지부재(525)는 벤트부(100)의 빈공간(521)에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고, 제1 지지부재(523)의 양단과 벤트부(100)의 빈공간(521) 양단, 및 제2 지지부재(525)의 양단과 벤트부(100)의 빈공간(521) 양단은 연장부(527)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부(520)의 양단(제1,2 지지부재(523, 525)의 양단)에서 제1 지지부재(523)와 제2 지지부재(525)는 돌기부(5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딩부(520)의 양단 사이(제1,2 지지부재(523, 525)의 양단 사이)에서 제1 지지부재(523)와 제2 지지부재(525) 사이의 간격은 돌기부(51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슬라이딩부(520)의 양단에서 제1 지지부재(523)와 제2 지지부재(525)가 돌기부(5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상되므로, 돌기부(510)는 제1 지지부재(523)와 제2 지지부재(525)에 둘러싸여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520)의 양단에서 돌기부(510)는 제1 지지부재(523)와 제2 지지부재(525)에 둘러싸여 고정되는데, 이때 커버부(200)는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520)의 양단 사이에서 제1 지지부재(523)와 제2 지지부재(525) 사이의 간격이 돌기부(510)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돌기부(510)는 제1 지지부재(523)와 제2 지지부재(525)가 휘어져 제1 지지부재(523)와 제2 지지부재(525)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면서 슬라이딩부(520)의 양단 사이를 통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부(5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므로, 이에 대응하도록 슬라이딩부(520)의 양단에서 제1,2 지지부재(523, 525)는 곡선으로 연장될 수 있고, 슬라이딩부(520)의 양단 사이에서 제1,2 지지부재(523, 525)는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커버부(200)에 돌기부(510)가 형성되고, 벤트부(100)에 슬라이딩부(520)가 형성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벤트부(100)에 돌기부(510)가 형성되고, 커버부(200)에 슬라이딩부(52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00)가 벤트부(100)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벤트부(100)에 제1 체결부(600)가 형성되고, 커버부(200)에 제1 체결부(600)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체결부(7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600)는 커버부(20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수용부(610), 및 수용부(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부(610)의 내측에 연장된 연장돌기(6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부(700)는 제1 체결부(600)의 수용부(610)에 삽입되는 삽입부(710), 및 제1 체결부(600)의 연장돌기(620)에 걸리도록 삽입부(710)에 형성된 후크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체결부(700)의 후크부(720)가 제1 체결부(600)의 연장돌기(620)에 걸린 상태에서 제2 체결부(700)의 삽입부(710)가 제1 체결부(600)의 수용부(610)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고, 이때 커버부(200)가 벤트부(100)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체결부(700)의 삽입부(710)가 슬라이딩되는 범위는 제1 체결부(600)의 수용부(610)의 길이로 제한될 있고, 그에 따라 커버부(200)가 슬라이딩되는 범위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로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제2 체결부(700)의 후크부(720)가 제1 체결부(600)의 연장돌기(620)에 걸려, 제1 체결부(600)와 제2 체결부(700)가 서로 체결되므로, 커버부(200)는 슬라이딩 과정에서 벤트부(10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00)가 벤트부(100)에 대해서 제1 위치일 때, 커버부(200)의 차단부(220)는 제1 벤트홀(113)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바이크 등이 전진할 때 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헬멧 본체(10)의 외부의 유체(외기)는 커버부(200)의 차단부(220)에 의해서 차단되어, 제1 벤트홀(113)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커버부(200)가 벤트부(100)에 대해서 제1 위치일 때, 커버부(200)는 벤트부(100)와 가까워져 커버부(200)와 벤트부(100) 사이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제2 벤트홀(115)을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 흐름의 출구 역할을 수행하는 커버부(200)와 벤트부(100) 사이의 공간이 작아지게 되어(또는 폐쇄되어), 제2 벤트홀(115)을 통해서 배출되는 헬멧 본체(10)의 내부의 유체의 양이 최소가 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200)가 벤트부(100)에 대해서 제1 위치일 때, 고정부(500)의 돌기부(510)는 슬라이딩부(520)의 일단(슬라이딩부(520)의 전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200)가 제1 위치일 때, 커버부(200)와 벤트부(100)가 서로 최대한 가까워져, 커버부(200)가 헬멧 본체(10)에 밀착됨으로써, 일체감 있는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00)가 벤트부(100)에 대해서 제2 위치일 때, 커버부(200)의 차단부(220)는 제1 벤트홀(113)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바이크 등이 전진할 때 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헬멧 본체(10)의 외부의 유체(외기)가 차단부(220)에 의해서 차단되지 않고 제1 벤트홀(113)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00)가 벤트부(100)에 대해서 제2 위치일 때, 커버부(200)는 벤트부(100)와 멀어져 커버부(200)와 벤트부(100) 사이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제2 벤트홀(115)을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 흐름의 출구 역할을 수행하는 커버부(200)와 벤트부(100) 사이의 공간이 커지게 되어, 제2 벤트홀(115)을 통해서 배출되는 헬멧 본체(10)의 내부의 유체의 양이 최대가 될 수 있다. 정리하면, 커버부(200)가 제2 위치일 때, 제1 벤트홀(113)를 통해서 헬멧 본체(10)의 외부의 유체(외기)가 유입되고, 제2 벤트홀(115)을 통해서 헬멧 본체(10)의 내부의 유체가 충분히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헬멧 본체(10)의 외부의 유체(외기)가 유입되고, 헬멧 본체(10)의 내부의 유체가 배출되므로, 헬멧 본체(10)의 내부에서는 공기가 순환되어, 착용자의 머리 온도를 낮춰 착용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200)가 벤트부(100)에 대해서 제2 위치일 때, 고정부(500)의 돌기부(510)는 슬라이딩부(520)의 타단(슬라이딩부(520)의 후단)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헬멧 본체 20: 내부부재
21: 제1 내부부재 23: 제2 내부부재
25: 제3 내부부재 30: 쉴드
40: 선바이저 50: 친가드
100: 벤트부 110: 벤트홀
113: 제1 벤트홀 115: 제2 벤트홀
150: 기초부 151: 외곽부
153: 연결부 200: 커버부
210: 본체부 220: 차단부
300: 제1 가이드부 310: 저면부
320: 측면부 400: 제2 가이드부
500: 고정부 510: 돌기부
520: 슬라이딩부 521: 빈공간
523: 제1 지지부재 525: 제2 지지부재
527: 연장부 600: 제1 체결부
610: 수용부 620: 연장돌기
700: 제2 체결부 710: 삽입부
720: 후크부

Claims (11)

  1. 헬멧 본체에 구비되고, 유체를 상기 헬멧 본체의 내외부로 소통시키는 벤트홀이 형성된 벤트부; 및
    상기 벤트부에 대해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1 위치에 비해서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벤트부로부터 멀리 이격되며,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벤트홀을 통해서 소통되는 유체의 양이 최소이고,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벤트홀을 통해서 소통되는 유체의 양이 최대인 커버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벤트홀은 상기 헬멧 본체의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는 제1 벤트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벤트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벤트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제1 벤트홀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제1 벤트홀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차단부;
    를 포함하는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트부에는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방향을 일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벤트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커버부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안착부이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돌출된 돌출부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의 유체가 배출되는 제2 벤트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벤트부와 가까워져 상기 제2 벤트홀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이 최소이고,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벤트부와 멀어져 상기 제2 벤트홀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이 최대인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벤트홀은 상기 제1 벤트홀에 비해서 후방에 형성되는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와 상기 벤트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기부;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벤트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돌기부를 고정시키는 슬라이딩부;
    를 포함하는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양단에서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의 간격은 상기 돌기부의 직경보다 작은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트부는 상기 헬멧 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KR1020220041102A 2022-04-01 2022-04-01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KR102633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102A KR102633048B1 (ko) 2022-04-01 2022-04-01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PCT/KR2023/001418 WO2023191286A1 (ko) 2022-04-01 2023-01-31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102A KR102633048B1 (ko) 2022-04-01 2022-04-01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185A KR20230142185A (ko) 2023-10-11
KR102633048B1 true KR102633048B1 (ko) 2024-02-05

Family

ID=88203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102A KR102633048B1 (ko) 2022-04-01 2022-04-01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33048B1 (ko)
WO (1) WO202319128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0271A (ja) * 2015-03-30 2018-04-12 ダイネーゼ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ーニ 保護ヘルメッ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23434B (it) * 1987-12-15 1990-09-19 Nolan Spa Casco protettivo per motociclisti e simili provvisto di mezzi di ventilazione, regolabili manualmente
JP3675976B2 (ja) * 1996-07-30 2005-07-27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BE1012651A5 (fr) * 1997-07-09 2001-02-06 Honda Access Kk Casque.
KR200202435Y1 (ko) * 1998-04-09 2000-11-15 홍완기 헬멧의공기통풍장치
KR200168837Y1 (ko) 1999-07-30 2000-02-15 주식회사홍진크라운 헬멧용에어벤트
KR100468348B1 (ko) * 2003-03-24 2005-01-27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에어벤트
KR20120003190U (ko) * 2010-10-29 2012-05-09 구본엽 통풍이 가능한 헬멧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0271A (ja) * 2015-03-30 2018-04-12 ダイネーゼ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ーニ 保護ヘルメ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185A (ko) 2023-10-11
WO2023191286A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71065B1 (en) Helmet
US8286270B2 (en) Helmet having a guiding mechanism for a compatible visor
US4519099A (en) Helmet
US20060248631A1 (en) Helmet
KR930002585Y1 (ko) 헬멧의 환기장치
EP0474939B1 (en) Helmet
KR100468348B1 (ko) 헬멧용 에어벤트
EP0638250A2 (en) Helmet for riding vehicle
CN112654269A (zh) 包括机械大小测定器调整系统的防护头盔
KR20070101086A (ko) 헬멧
KR20130016060A (ko) 환기 수단을 겸비한 안전 헬멧
CN111602921A (zh) 头盔用气流控制构件以及头盔
KR102633048B1 (ko)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JP2001020121A (ja) ヘルメット
KR102633045B1 (ko)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KR102582371B1 (ko) 친가드 회동메커니즘
EP2338365B1 (en) Protective helmet with ventilation opening
KR102584882B1 (ko) 헬멧
JP4374489B2 (ja) ヘルメット
KR102646629B1 (ko) 헬멧용 회동 메커니즘
JP2005325461A (ja) フルフェースヘルメット
KR102428292B1 (ko) 헬멧용 친가드 간격 조절수단
KR20230155774A (ko) 헬멧
KR102549784B1 (ko) 헬멧
KR102627600B1 (ko) 헬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