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435Y1 - 헬멧의공기통풍장치 - Google Patents

헬멧의공기통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435Y1
KR200202435Y1 KR2019980005538U KR19980005538U KR200202435Y1 KR 200202435 Y1 KR200202435 Y1 KR 200202435Y1 KR 2019980005538 U KR2019980005538 U KR 2019980005538U KR 19980005538 U KR19980005538 U KR 19980005538U KR 200202435 Y1 KR200202435 Y1 KR 200202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opening
control
closing devic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5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175U (ko
Inventor
홍완기
Original Assignee
홍완기
주식회사 홍진크라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완기, 주식회사 홍진크라운 filed Critical 홍완기
Priority to KR20199800055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435Y1/ko
Publication of KR199800191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1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4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42B3/283Air inlets or outlets, with or without closure shutte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42B3/06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specially adapted for cycling helmets, e.g. for soft shelled helme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토바이용 헬멧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헬멧을 벗지 않고서도 헬멧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오토바이용 헬멧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공지의 오토바이용 헬멧에 있어서, 상기 헬멧(10)의 상면부에 내측으로 관통되게 뚫려지는 통풍구(20)와 함께 상기 통풍구(20)를 단속하는 조절구(30)가 구비된 개폐장치(40)를 설치하여 상기 헬멧(10)에 뚫고 있는 통풍구(20)를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되고, 상기 개폐장치(40)는 전방에 공기유입구(50)가 형성되고, 그 배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안내레일(60)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레일(60)에는 통풍구(20)를 단속하는 조절구(30)가 조립되어 상기 조절구(30)가 통풍구(2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되고, 상기 개폐장치(40)는 접착제에 의해 헬멧 표면에 견고하게 접합되고, 상기 개폐장치(40)는 헬멧의 표면에 접합되는 접합면과 조절구를 제외한 나머지부위가 헬멧(10) 표면과 이격되는 공간(80)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개폐장치(40)의 전방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구(50)로 도입되는 공기가 상기 공간을 통해 그 배면에 형성되는 배출구(90)로 빠져나가도록 구성한 것임.

Description

헬멧의 공기 통풍장치
본 고안은 오토바이용 헬멧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헬멧의 상부측에 개폐장치가 구비된 통풍구를 설치하여 운전자가 헬멧을 벗지 아니하고서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 순환시킬 수 있도록 개량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차의 경우 이를 운용하는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여러 가지 보호장구가 제안되었다.
상기한 보호장구에 있어 헬멧은 운전자의 머리에 착용하여 운전자의 안면과 머리 보호를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기에 헬멧을 착용하게 되는 경우 운전자의 머리는 모두 헬멧으로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지만 운전자가 헬멧을 착용하는 경우 헬멧의 공기가 환기되지 않아 시간이 경과할수록 헬멧 내부의 온도는 상승하고, 이처럼 헬멧내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이를 착용한 착용자는 두통이나 어지러움을 느끼게되어 착용 중에 잠시동안 헬멧을 벗었다 다시 쓰는 방법을 통해 헬멧의 공기를 환기시켜 주어야 하는 등의 번거러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은 헬멧을 착용시 공기를 환기시키는 별도의 환기장치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비롯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헬멧의 상면부측에 공기가 입출되는 통풍구를 뚫고 상기 통풍구에는 조절구가 구비된 개폐장치를 부가하여 운전자가 헬멧을 벗지 않고서도 헬멧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오토바이용 헬멧의 공기 통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인 바, 이를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하여 그 구성 및 작용 효과 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헬멧의 예시도,
도2의 (가)(나)는 본 고안의 헬멧 공기 통풍장치에 이용되는 개폐장치의 예시도,
도3은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헬멧 20: 통풍구
30: 조절구 40: 개폐장치
50: 공기흡입구 60: 안내레일
70: 접합면 80: 공간
90: 배출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오토바이용 헬멧에 있어서, 상기 헬멧(10)의 상면부에 내측으로 관통되게 뚫려지는 통풍구(20)와 함께 상기 통풍구(20)를 단속하는 조절구(30)가 구비된 개폐장치(40)를 설치하여 상기 헬멧(10)에 뚫고 있는 통풍구(20)를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개폐장치(40)는 도2의 (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에 공기유입구(50)가 형성되고, 그 배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안내레일(60)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레일(60)에는 통풍구(20)를 단속하는 조절구(30)가 조립되어 상기 조절구(30)가 통풍구(2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되고, 상기 개폐장치(40)는 접착제에 의해 헬멧 표면에 견고하게 접합되어지며 고정되고 있다.
상기 개폐장치(40)의 저부는 도2 (나)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헬멧의 표면에 접합되는 접합면(70)과 조절구(30)를 제외한 나머지부위 즉, 빗금친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헬멧(10) 표면과 이격되는 공간(80)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개폐장치(40)의 전방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구(50)로 도입되는 공기가 상기 공간을 통해 그 배면에 형성되는 배출구(90)로 빠져나가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 결합된 본 고안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장치(40)의 조절구(30)가 통풍구(20)를 개방하게 되면 개폐장치(40)의 공기유입구(50)로 도입되는 공기가 배출구(90)로 빠져나갈 때 헬멧(10)내의 공기도 통풍구(2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와 함께 배출하게 되고, 반대로 조절구(30)가 통풍구(20)를 막게되는 경우에는 공기유입구(50)로 도입되는 공기는 공간(80)을 지나 배출구(90)로 빠져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헬멧(10)에 내측과 연통되는 통풍구(20)를 뚫고, 상기 통풍구(20)를 제어하도록 된 조절구(30)가 구비된 개폐장치(40)를 설치하여 헬멧을 벗지 아니하고서도 상기 조절구(30)의 조작을 통해 헬멧(10)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종래와 같이 헬멧을 벗는 번거러움이나 불편함이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헬멧에 통풍구와 함께 상기 통풍구를 단속하는 조절구가 구비된 개폐장치를 설치하여 헬멧을 벗지 아니한 상태에서도 헬멧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 순환시켜 대기와 동일한 상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종래처럼 헬멧이 밀폐된 구조에 의한 온도 상승으로 인해 착용자가 어지러움이나 두통을 유발하는 것을 사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운전자가 운전 중에 간단한 조작만으로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다는 등의 이점이 있게 된다.

Claims (3)

  1. 공지의 오토바이용 헬멧에 있어서, 상기 헬멧(10)의 상면부에 내측으로 관통되게 뚫려지는 통풍구(20)와 함께 상기 통풍구(20)를 단속하는 조절구(30)가 구비된 개폐장치(40)를 설치하여 상기 헬멧(10)에 뚫고 있는 통풍구(20)를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의 공기 통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40)는 접착제에 의해 헬멧 표면에 견고하게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의 공기 통풍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40)는 전방에 공기유입구(50)가 형성되고, 그 배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안내레일(60)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레일(60)에는 통풍구(20)를 단속하는 조절구(30)가 조립되어 상기 조절구(30)가 통풍구(2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되고, 상기 개폐장치(40)의 저부는 헬멧의 표면에 접합되는 접합면과 조절구를 제외한 나머지부위가 헬멧(10) 표면과 이격되는 공간(80)을 형성하여 공기유입구(50)로 도입되는 공기가 상기 공간을 통해 그 배면에 형성되는 배출구(90)로 빠져나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의 공기 통풍장치.
KR2019980005538U 1998-04-09 1998-04-09 헬멧의공기통풍장치 KR200202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538U KR200202435Y1 (ko) 1998-04-09 1998-04-09 헬멧의공기통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538U KR200202435Y1 (ko) 1998-04-09 1998-04-09 헬멧의공기통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175U KR19980019175U (ko) 1998-07-06
KR200202435Y1 true KR200202435Y1 (ko) 2000-11-15

Family

ID=1953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538U KR200202435Y1 (ko) 1998-04-09 1998-04-09 헬멧의공기통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4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286A1 (ko) * 2022-04-01 2023-10-05 (주) 에이치제이씨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064B1 (ko) * 2000-06-16 2002-05-31 홍완기 안전헬멧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286A1 (ko) * 2022-04-01 2023-10-05 (주) 에이치제이씨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175U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58114A3 (en) Ventilated safety goggles
US4519099A (en) Helmet
EP1689258B1 (en) Helmet with in-mold and post-applied hard shell
US20060031978A1 (en) Ventilated helmet system
KR101816035B1 (ko) 압력보정수단을 구비한 전자제어장치
DE3279280D1 (en) Safety helmet, especially for the users of motor vehicles
JP2003117013A (ja) 呼吸用保護具
DE3578310D1 (de) Schutzbrille.
ITMI20111487A1 (it) Casco di protezione dotato di mezzi di ventilazione
AU2003278619A1 (en) Exhalation system
US20180103711A1 (en) Helmet with fan
KR200202435Y1 (ko) 헬멧의공기통풍장치
KR100466720B1 (ko) 오토바이 헬멧용 에어 마스크
EP0268549B1 (en) Device for improvement of the ventilation inside of a helmet, in particular for motorcycle use
KR100478155B1 (ko) 헬멧용 브레스 가드 조립체
KR930010543B1 (ko) 헬멧에 있어서의 통신용 배선구조
JPH1077521A (ja) 安全帽
JP2878222B2 (ja) 乗車用ヘルメット
JPH0124125Y2 (ko)
GB1573597A (en) Protective helmets
KR100299319B1 (ko) 헬멧용 에어벤트
CN111317217B (zh) 一种具有常闭式挡风镜的头盔
KR200270219Y1 (ko) 통기공이 구비된 스키용 고글
KR200202434Y1 (ko) 헬멧용호흡안내구
JPH072579Y2 (ja) 乗車用ヘルメットの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