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400U -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400U
KR19990008400U KR2019970021390U KR19970021390U KR19990008400U KR 19990008400 U KR19990008400 U KR 19990008400U KR 2019970021390 U KR2019970021390 U KR 2019970021390U KR 19970021390 U KR19970021390 U KR 19970021390U KR 19990008400 U KR19990008400 U KR 199900084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ignal
relay
lock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준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70021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8400U/ko
Publication of KR199900084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400U/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온시키면 소정 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모든 도어가 로킹되고 시동을 오프시키면 자동적으로 모든 도어가 언로킹되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장치는 자동차 키의 삽탈을 감지하여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이그니션 스위치와,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시간 경과 후 릴레이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바디 콘트롤 모듈과, 상기 릴레이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도어 로크 신호 및 도어 언로크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릴레이와, 상기 도어 로크/언로크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상기 도어를 로킹 혹은 언로킹시키는 다수의 도어 엑츄에이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 키의 착탈 후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도어를 로킹 및 언로킹시키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에는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운전석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어 도어 록의 조작에 의해 모든 도어들이 로킹되거나 언로킹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의 잠금장치는 솔레노이드 혹은 엑츄에이터 등을 이용하여 제어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는 운전자 혹은 탑승자가 승차 후에 일일이 수동으로 도어 록을 눌러 로킹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도어의 로킹상태를 해제할 때에도 일일이 수동으로 도어 록을 위로 당겨 언로킹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운전자 혹은 탑승자가 실수로 도어를 로킹시키지 않고 주행을 하게 되면 차량의 주행중에 도어가 열려 차량이 파손될 뿐만 아니라 대형 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온시키면 소정 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모든 도어가 로킹되고, 시동을 오프시키면 자동적으로 모든 도어가 언로킹되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주행중에 도어가 오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장치는 자동차 키의 삽탈을 감지하여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이그니션 스위치와,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시간 경과 후 릴레이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바디 콘트롤 모듈과, 상기 릴레이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도어 로크 신호 및 도어 언로크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릴레이와, 상기 도어 로크/언로크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상기 도어를 로킹 혹은 언로킹시키는 다수의 도어 엑츄에이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그니션 스위치 12: 바디 콘트롤 모듈
14: 운전석 릴레이 16: 조수석 릴레이
18: 좌측 탑승석 릴레이 20: 우측 탑승석 릴레이
30: 타이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0은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아 자동차 키의 삽탈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이그니션 스위치이다. 참조번호 12는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 10의 스위칭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릴레이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바디 콘트롤 모듈(Body Control Module:이하 BCM 이라 함)이다. 이때 상기 BCM 12에는 상기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예를 들어 약 1분정도 경과 후에 상기 릴레이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머 30이 내장된다. 참조번호 14,16,18 및 20들 각각은 운전석 릴레이, 조수석 릴레이, 좌측 탑승석 릴레이, 우측 탑승석 릴레이 들로서 상기 BCM 12로부터 출력되는 릴레이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도어 로크 신호 및 도어 언로크 신호를 발생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운전석 릴레이 14는 상기 릴레이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운전석 도어를 열고/닫기 위한 도어 로크/언로크 신호를 발생한다. 조수석 릴레이 16은 상기 릴레이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조수석 도어를 열고/닫기 위한 도어 로크/언로크 신호를 발생한다. 좌측 탑승석 릴레이 18은 상기 릴레이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뒷좌석 좌측 도어를 열고/닫기 위한 도어 로크/언로크 신호를 발생한다. 우측 탑승석 릴레이 20은 상기 릴레이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뒷좌석 우측 도어를 열고/닫기 위한 도어 로크/언로크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참조번호 22,24,26 및 28들 각각은 운전석 도어 엑츄에이터, 조수석 도어 엑츄에이터, 좌측 탑승석 도어 엑츄에이터 및 우측 탑승석 도어 엑츄에이터 들로서 상기 각각의 릴레이 14,16,18,20 들로부터 출력되는 도어 로크 신호 및 도어 언로크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자동차의 모든 도어들을 로킹/언로킹시킨다. 다시 말해서, 상기 운전석 도어 엑츄에이터 22는 상기 도어 로크/언로크 신호에 응답하여 운전석쪽에 있는 도어를 로킹 혹은 언로킹시킨다. 상기 조수석 도어 엑츄에이터 24는 상기 도어 로크/언로크 신호에 응답하여 조수석쪽에 있는 도어를 로킹 혹은 언로킹시킨다. 상기 좌측 탑승석 도어 엑츄에이터 26은 상기 도어 로크/언로크 신호에 응답하여 뒷좌석 좌측에 있는 도어를 로킹 혹은 언로킹시킨다. 상기 우측 탑승석 도어 엑츄에이터 28은 상기 도어 로크/언로크 신호에 응답하여 탑승석 우측에 있는 도어를 로킹 혹은 언로킹시킨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BCM 12의 동작 제어 흐름도로서, 이는 BCM 12내의 롬 영역에 마스크되어진 프로그램이다. 우선, 도 1과 도 2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에 앞서 운전석, 조수석, 뒷좌석 왼쪽 및 뒷좌석 오른쪽의 도어들이 모두 언로크된 상태라 가정한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회로가 작동되면, BCM 12는 도 2의 100단계에서 이그니션 스위치 10이 스위칭 온되었는가를 검색한다. 상기 100단계에서 이그니션 스위치 10이 온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BCM 12는 102단계에서 타이머 30을 구동시킨다. 이후 상기 BCM 12는 104단계에서 상기 타이머 30에 설정된 시간 약 1분 정도가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104단계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BCM 12는 106단계에서 릴레이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타이머 30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으면, 상기 BCM 12는 102단계로 진행하여 타이머 30을 계속해서 구동시킨다. 이후 운전석 릴레이 14, 조수석 릴레이 16, 좌측 탑승석 릴레이 18 및 우측 탑승석 릴레이 20은 상기 BCM 12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릴레이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도어 로크 신호를 발생한다. 이어서 운전석 도어 엑츄에이터 22, 조수석 도어 엑츄에이터 24, 좌측 탑승석 도어 엑츄에이터 26 및 우측 탑승석 도어 엑츄에이터 28은 각 릴레이로부터 출력되는 도어 로크 신호에 응답하여 자동차의 모든 도어, 즉 운전석쪽에 위치한 도어, 조수석쪽에 위치한 도어 및 뒷좌석에 위치한 도어들을 각각 로킹시킨다. 이로써, 자동차의 모든 도어들은 로킹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자동차의 모든 도어들이 로킹된 상태에서, 상기 BCM 12는 108단계에서 이그니션 스위치 10이 스위칭 오프되었는가를 검색한다. 상기 108단계에서 이그니션 스위치 10이 오프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BCM 12는 110단계에서 타이머 30을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 10이 스위칭 온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BCM 12는 자동차가 아직 주행중임을 판단하여 모든 도어들을 로킹시킨다. 이후 상기 BCM 12는 112단계에서 상기 타이머 30에 설정된 시간 약 1분 정도가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112단계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BCM 12는 114단계에서 릴레이 구동 신호를 차단시킨다. 이때 상기 타이머 30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으면, 상기 BCM 12는 110단계로 진행하여 타이머 30을 계속해서 구동시킨다. 이후 운전석 릴레이 14, 조수석 릴레이 16, 좌측 탑승석 릴레이 18 및 우측 탑승석 릴레이 20은 상기 BCM 12로부터의 각 릴레이 구동 신호가 차단됨에 따라 도어 언도크 신호를 발생한다. 이어서 운전석 도어 엑츄에이터 22, 조수석 도어 엑츄에이터 24, 좌측 탑승석 도어 엑츄에이터 26 및 우측 탑승석 도어 엑츄에이터 28는 각각의 도어 언로크 신호에 응답하여 자동차의 모든 도어를 언로킹시킨다. 이로써 자동차의 도어는 모두 언로킹 상태로 된다.
본 명세서에는 자동차의 모든 도어를 언로킹 시킬 때 BCM에 내장된 타이머의 일정시간 경과 후에 각각의 릴레이들이 도어 언로킹 신호를 발생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최상의 실시예(Best Mode)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의 모든 도어를 언로킹 시킬 때는 타이머를 구동시키지 않고 이그니션 스위치가 스위칭 오프되면 상기 모든 도어를 언로킹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 장치는 자동차의 모든 도어들을 자동으로 로킹/언로킹시키므로서 자동차의 주행중에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혹은 탑승자가 모든 도어를 수동으로 일일이 로킹/언로킹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편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 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키의 삽탈을 감지하여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이그니션 스위치와,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시간 경과 후 릴레이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바디 콘트롤 모듈과,
    상기 릴레이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도어 로크 신호 및 도어 언로크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릴레이와,
    상기 도어 로크/언로크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상기 도어를 로킹 혹은 언로킹시키는 다수의 도어 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콘트롤 모듈에는 상기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릴레이 구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머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 장치.
KR2019970021390U 1997-08-02 1997-08-02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장치 KR199900084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390U KR19990008400U (ko) 1997-08-02 1997-08-02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390U KR19990008400U (ko) 1997-08-02 1997-08-02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400U true KR19990008400U (ko) 1999-03-05

Family

ID=6969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390U KR19990008400U (ko) 1997-08-02 1997-08-02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840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900B1 (ko) 2019-11-18 2020-05-25 주식회사 카모스 차량 도어의 자동 잠금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900B1 (ko) 2019-11-18 2020-05-25 주식회사 카모스 차량 도어의 자동 잠금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5277B1 (ko) 탑승객 탈출지원장치
US7397146B2 (en) Child lock apparatus
JPH07269208A (ja) 車両のドアロック制御装置
US5874890A (en) Vehicle theft prevention device
KR19990008400U (ko) 자동차 도어의 자동 잠금장치
JPH10140899A (ja) チャイルドロックシステム
JP4542683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制御装置
JP4526699B2 (ja) 自動車におけるドアロック制御装置
JP2000127877A (ja) パワーウィンドウ制御装置及びパワーウィンドウ制御方法
JP2628808B2 (ja) パワーウインド制御装置
JPH05139250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KR100227948B1 (ko) 자동차 도어의 자동 컨트롤 장치 및 그 컨트롤 방법
KR100205581B1 (ko) 자동차 도어의 중앙 잠금 장치
JPH07165017A (ja) 車両用エンジン始動装置
KR100206425B1 (ko) 시동오프시 도어로크상태 자동해제장치
JPH10173687A (ja) 車両用多重通信システム
KR200151523Y1 (ko) 도어 오픈시 주행 금지장치
KR19980039072U (ko) 충돌시 도어록 자동 풀림장치
KR19980031135U (ko) 키삽입하차시 도어잠금방지장치
KR100369024B1 (ko) 자동차의 도어용 자동 잠금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9990019381A (ko) 차량의 윈도우/도어 해제장치 및 그 방법
JP2009019414A (ja) アラームシステム
KR19980062568A (ko) 비상용 도어 록 해제 장치
JPH01116180A (ja) 車両用ドアロック制御装置
JP2005225443A (ja) 車両のリヤゲート駆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