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492U - 자동차의 사이드실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사이드실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492U
KR19990007492U KR2019970021010U KR19970021010U KR19990007492U KR 19990007492 U KR19990007492 U KR 19990007492U KR 2019970021010 U KR2019970021010 U KR 2019970021010U KR 19970021010 U KR19970021010 U KR 19970021010U KR 19990007492 U KR19990007492 U KR 199900074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seal
panel
reinforcement
flange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기중
Original Assignee
이종규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규,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규
Priority to KR2019970021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7492U/ko
Publication of KR199900074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492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사이드실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인 구성은, 상,하단에 후랜지(1)(2)가 형성되는 사이드실 외측패널(3)의 단부를 사이드실 보강재(4)의 상,하단에 형성되는 후랜지(5)(6)의 일측면에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4)의 타측면에 바닥패널(7)의 일단에 형성되는 후랜지(12)를 결합하며, 상기 바닥패널(7)의 상,하측면에 사이드실 상측 인너패널(8)과 사이드실 하측 인너패널(9)의 하단 및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후랜지(11)(10)를 각각 결합하고, 상기 사이드실 상,하측 인너패널(8)(9)의 상단 및 하단을 사이드실 보강재(4)의 후랜지(5)(6)에 각각 결합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차체구조중 차대를 구성하는 부품으로 차대 프레임의 좌,우 바깥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차체의 측면을 보호하는 사이드 실(Side Sill)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하단에 후랜지가 형성되는 사이드실 외측패널의 양단부에 사이드실 보강재의 상,하단에 형성되는 후랜지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의 일측면에 바닥패널의 일단을 결합하며, 상기 바닥패널의 상,하측면에 사이드실 상측 인너패널과 사이드실 하측 인너패널의 일단에 각각 형성되는 후랜지를 각각 결합하고, 상기 사이드실 상,하측 인너패널의 타단을 사이드실 보강재의 상,하측단에 결합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에따라서, 사이드실 외측패널의 내측면에 바닥패널의 단부가 지지되는 보강재를 결합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극히 용이하며, 사이드실의 내측에 설치되는 사이드실 보강재에 의해 측면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탑승자의 부상을 최소화 할수 있고, 보강재와 사이드실 상,하측 인너패널에 의해 두 개의 박스형 공간을 형성하여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며, 보강재를 바닥패널의 중앙부에 결합토록 하여 충격하중을 상,하측에 용이하게 분산시켜 충격흡수 효과를 향상시킬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자동차의 사이드 차량의 차대를 구성하는 부재로서 차대 프레임의 죄,우측 바깥측면에 길이방향실으로 설치되고, 상기 자동차의 차체 측방인 도어의 하측면에 설치되어 도어를 지지하거나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충격을 흡수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자동차 사이드 실 구조는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동차 차체(51)의 바닥패널(52) 단부에 후랜지(53)를 형성하여 사이드실 인너패널(54)의 타측면 하단에 결합하고, 상기 사이드실 인너패널(54)의 일측면 상,하측에 사이드실 아우터(55)의 상,하단에 형성되는 후랜지(56)(57)를 결합하며, 상기 사이드실 아우터(55)의 내측면에 보강패널(58)의 상,하단에 형성되는 후랜지(59)(60)를 결합고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자동차의 사이드 실 구조에 있어서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사이드실 아우터(55)에 작용하는 충격을 일체로 결합되는 사이드실 인너패널(54)에 의해 흡수하여 그 상측에 고정되는 도어등을 지지하며, 상기 사이드실 아우터(55)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사이드실 보강재(58)에 의해 사이드실 아우터(55)의 강성을 향상 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이드 실 구조는, 사이드실 아우터(55)의 내측면에 사이드실 보강재(58)가 결합되어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외부로 부터의 충격력을 용이하게 흡수하지 못하며, 이에따라 탑승자의 부상을 초래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충돌시 사이드실 아우터(55)가 파손될때 이를 보강하는 사이드실 보강재(58)에 충돌 하중이 전달되어 보강재의 역할이 저하되며, 바닥패널(52)이 사이드실 인너패널(54)의 저부에만 결합되어 사이드실 아우터(55)에 하중작용시 사이드실 인너패널(54)의 변형이 쉽게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이드실 외측패널의 내측면에 바닥패널의 단부가 지지되는 보강재를 결합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극히 용이하며, 사이드실의 내측에 설치되는 사이드실 보강재에 의해 측면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탑승자의 부상을 최소화 할수 있고, 보강재와 사이드실 상,하측 인너패널에 의해 두 개의 박스형 공간을 형성하여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며, 보강재를 바닥패널의 중앙부에 결합토록 하여 충격하중을 상,하측에 분산시켜 충격흡수 효과를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사이드실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사이드 실 장착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2는 종래의 사이드 실 구조를 도시한 측면 구조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실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5,6,10,11,12...후랜지 3...사이드실 외측패널
4...바닥패널 7...사이드실 상측 인너패널
8...사이드실 하측 인너패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인 구성은, 상,하단에 후랜지가 형성되는 사이드실 외측패널의 단부에 사이드실 보강재의 상,하단에 형성되는 후랜지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의 일측면에 바닥패널의 일단을 결합하며, 상기 바닥패널의 상,하측면에 사이드실 상측 인너패널과 사이드실 하측 인너패널의 일단을 결합하고, 그 타단을 사이드실 보강재에 결합하는 자동차의 사이드실 결합구조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실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본 고안은, 상,하단에 후랜지(1)(2)가 형성되는 사이드실 외측패널(3)의 단부를 사이드실 보강재(4)의 상,하단에 형성되는 후랜지(5)(6)의 일측면에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4)의 타측면에 바닥패널(7)의 일단에 형성되는 후랜지(12)를 결합하며, 상기 바닥패널(7)의 상,하측면에 사이드실 상측 인너패널(8)과 사이드실 하측 인너패널(9)의 하단 및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후랜지(11)(10)를 각각 결합하고, 상기 사이드실 상,하측 인너패널(8)(9)의 상단 및 하단을 사이드실 보강재(4)의 후랜지(5)(6)에 각각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같은 구조로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사이드실(13)은, 자동차의 도어 저부에 위치하여 차량의 차대를 구성하고, 차대프레임의 좌,우 바깥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착설하며, 상기 사이드실(13)은 차체에 그 일측이 결합되어 상측에 설치되는 도어를 지지함은 물론 차량의 측면 충돌시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차실내에 탑승한 승객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실 외측패널(3) 및 사이드실 보강재(4)와 사이드실 상,하측 인너패널(8)(9)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후랜지가 일체로 결합되어 사이드실 외측패널(3)에 작용하는 충격력은 바닥패널(7) 곧바로 전달됨은 물론 이와 동시에 사이드실 보강재(4)에 의해 분산되어 바닥패널(7)에 전달된다.
계속하여,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4)는, 바닥패널(7)의 일단에 형성되는 후랜지(12)에 결합되어 사이드실 외측패널(3)를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을 바닥패널(7)에 전달하고, 상기 바닥패널(7)의 상,하측면에는 사이드실 상측 인너패널(8)과 사이드실 하측 인너패널(9)의 하단 및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후랜지(11)(10)를 각각 결합하고, 상기 사이드실 상,하측 인너패널(8)(9)의 상단 및 하단을 사이드실 보강재(4)의 후랜지(5)(6)에 각각 결합된다.
이에더하여,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4)와 이에 결합되는 사이드실 상,하측 인너패널(8)(9)에 의해 상,하측에 박스형의 공간을 형성하여 충격력을 용이하게 흡수하며,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4)는 연결되는 요철부를 형성하여 강성을 가일층 증가시키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사이드실 외측패널(3)을 압입하면 그 하중은 사이드실 보강재(4)와 사이드실 상,하측 인너패널(8)(9)에 분산되어 이들이 결합되는 바닥패널(7)에 전달될 때 최소화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실 결합구조에 있어서는, 사이드실 외측패널의 내측면에 바닥패널의 단부가 지지되는 보강재를 결합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극히 용이하며, 사이드실의 내측에 설치되는 사이드실 보강재에 의해 측면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탑승자의 부상을 최소화 할수 있고, 보강재와 인너패널에 의해 두 개의 박스형 공간을 형성하여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며, 보강재를 바닥패널의 중앙부에 결합토록 하여 충격하중을 상,하측에 분산시켜 충격흡수 효과를 향상시킬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사이드실 외측패널(3)의 단부를 사이드실 보강재(4)의 상,하단 일측면에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4)의 타측면에 바닥패널(7)의 일단을 결합하며, 상기 바닥패널(7)의 상,하측면에 사이드실 상측 인너패널(8)과 사이드실 하측 인너패널(9)의 하단 및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후랜지(11)(10)를 각각 결합하고, 상기 사이드실 상,하측 인너패널(8)(9)의 상단 및 하단을 사이드실 보강재(4)의 후랜지(5)(6)에 각각 결합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실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4)에 결합되는 바닥패널(7)과 이드실 상,하측 인너패널(8)(9)은, 두 개의 박스형 공간을 형성토록 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실 결합구조
KR2019970021010U 1997-07-31 1997-07-31 자동차의 사이드실 결합구조 KR199900074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010U KR19990007492U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의 사이드실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010U KR19990007492U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의 사이드실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492U true KR19990007492U (ko) 1999-02-25

Family

ID=69680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010U KR19990007492U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의 사이드실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749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157B1 (ko) * 1999-12-21 2001-11-03 류정열 자동차용 사이드실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157B1 (ko) * 1999-12-21 2001-11-03 류정열 자동차용 사이드실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5892B1 (ko) 측면 충돌에 대한 강성이 향상된 자동차의 플로어 패널조립체
GB2306922A (en) Vehicle body structure with crash boxes at connection of side sill and rear wheel arch
KR19990007492U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결합구조
KR100302741B1 (ko) 차량용사이드실
KR100309612B1 (ko) 고강성구조를가지는자동차의실사이드실
KR0138928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200149821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00334728B1 (ko) 차체의 측면 하부의 보강 구조
KR200145809Y1 (ko) 리어도어 벨트부의 고정부 구조
KR200197184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KR100398555B1 (ko) 정면 충돌에 대한 강성이 향상된 자동차의 플로어 패널조립체
KR200197875Y1 (ko) 자동차의 리어멤버 보강구조
KR200255457Y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200188443Y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200245879Y1 (ko) 차량의바디사이드실구조
KR100188154B1 (ko) 자동차 리어측면도어의 충격흡수용 보강재
KR100278202B1 (ko) 차량용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KR200201345Y1 (ko) 자동차용 플로어 사이드멤버 취부구조
KR200247115Y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강성증대를 위한 가이드빔 구조
KR200192389Y1 (ko) 승용차량의 바디 센터 필러
KR100335194B1 (ko) 자동차용 타이다운후크의 보강구조
KR19980033266U (ko)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 빔구조
KR19980012593U (ko) 자동차의 범퍼어셈블리
KR19980033469U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코어내장형 사이드 에어댐퍼구조
KR20030034448A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