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491U - 집수구 - Google Patents

집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491U
KR19990004491U KR2019970017643U KR19970017643U KR19990004491U KR 19990004491 U KR19990004491 U KR 19990004491U KR 2019970017643 U KR2019970017643 U KR 2019970017643U KR 19970017643 U KR19970017643 U KR 19970017643U KR 19990004491 U KR19990004491 U KR 199900044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catchment
drainage
aggregat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1725Y1 (ko
Inventor
최효선
Original Assignee
최효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효선 filed Critical 최효선
Priority to KR2019970017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725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4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4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7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에 스틸 그레이팅(9)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입구부(12)와, 이 입구부(12)와 연통되게 하부를 이루면서 배수로 또는 홈통(30)과 연결되는 배수부(14)로 구성되어 도로나 교량의 배수로에 설치되는 집수구(1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는 상기 입구부(12) 내에 입자가 작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망구조의 스크린 박스(20)와, 상기 입구부(12)와 배수부(14)의 경계부에 테형상으로 돌출된 플랜지(16)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집수구(10)의 재질이 자갈과 같은 골재(18)가 혼합된 FRP(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s)로 이루어지고 외부표면에는 골재가 돌출되는 구조로 되어 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고안의 집수구는 내부식성이 강하여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또 골재(18)가 외부표면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주변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높은 결합력으로 결합됨으로 서로간에 틈이 발생되지 않게 견고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테형상의 플랜지(16)가 형성되어 있어 설치시 주변 구조물에 하중을 지탱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다. 그리고 입구부(12) 내부에 입자가 작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 박스(20)가 착탈가능하게 실시됨으로 이물질에 의해 배수로 또는 홈통(30)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집수구
본 고안은 교량이나 도로의 가장자리에 빗물이 집수시켜 배수로, 홈통 또는 하수구로 배수시키는 집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물빠짐이 좋도록 가운데가 불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비가 내리게 되면 빗물은 도로에 고이지 않고 신속하게 도로의 가장자리로 흘러내리게 되는데 이와 같이 도로의 가장자리로 흘러내리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배수시키기 위해 배수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수로는 차량사고방지와 이물질 및 토사에 의해 수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를 복개시켰고 대신 일정한 간격으로 집수구를 설치하여 빗물이 배수로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교량에도 이러한 집수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부 교량에는 배수로가 도로와 같이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이에 집수구가 설치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교량에는 빗물이 직접 교량의 하부로 흐르는 하천이나 하수구로 유입되도록 홈통에 직접 집수구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집수구를 설치할 때에는 배수로를 시공할 때 배수로 거푸집을 형성한 후 별도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제조된 집수구를 위치에 배치시켜놓고 곤죽상태의 콘크리트를 붓고 이를 양생시켜 배수로와 일체화되도록 설치한다.
그러나, 서로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 간은 서로 결합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배수로와 집수구는 틈새가 벌어지게 되어 있으며, 이러한 틈새로 물이 침투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을 촉진시키게 되어 집수구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특히 겨울철에는 노면이 빙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염화칼슘을 뿌리게 되는데, 이러한 염화칼슘이 얼음이나 눈이 녹아 형성된 물과 함께 집수구로 흘러들어가면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집수구가 쉽게 부식됨과 동시에 배수로와 집수구의 틈새로 유입되어 서로간의 부식을 촉진시킴에 따라 더욱더 틈새는 벌어지게 됨으로 집수구의 수명을 빨리 단축시키게 된다.
또한 집수구는 표면이 단순한 벽면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어 배수로에 설치될 때 배수로 거푸집에 안착시키기가 까다롭다. 특히 배수로 시공시 집수구의 상단은 배수로의 상부와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때에 따라 집수구의 설치 높이를 현장상황에 따라 조절해야 하는데, 이때 집수구의 표면이 단순한 벽면형상이므로 지지할 때가 없어 집수구 설치공사가 더욱더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집수구의 재질을 내부식성 재질로하여 겨울철에 뿌려지는 염화칼슘에도 부식되지 않도록 하여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외부표면으로 자갈과 같은 골재가 돌출되도록 하여 배수로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결합력을 높여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표면 둘레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시공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집수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집수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집수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8 : 콘크리트 구조물9 : 스틸 그레이팅
10 : 집수구12 : 입구부
14 : 배수부16 : 플랜지
18 : 골재20 : 스크린 박스
30 : 홈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단은, 상부에 스틸 그레이팅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입구부와, 이 입구부와 연통되게 하부를 이루면서 배수로 또는 홈통과 연결되는 배수부로 구성되어 도로나 교량의 배수로에 설치되는 집수구에 있어서, 그 구조는 상기 입구부 내에 입자가 작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망구조의 스크린 박스와, 상기 입구부와 배수부의 경계부에 테형상으로 돌출된 플랜지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집수구의 재질이 자갈과 같은 골재가 혼합된 FRP(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s)로 이루어지고 외부표면에는 골재가 돌출되는 구조로 되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집수구(10)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집수구(1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집수구(10)는 빗물이 유입되는 입구부(12)와, 입구부(1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유입된 물을 배수로 또는 홈통(30)으로 배수시키는 배수부(14)로 이루어져 있는데, 재질은 자갈이나 모래와 같은 골재(18)가 혼합된 내부식성이 양호한 FRP로 되어 있다.
집수구(10)의 입구부(12)는 상광하협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단에 단턱이 형성되어 이에 철편이 격자형태로 연결되어 집수구(10) 행인이나 차량의 바퀴가 빠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입자가 큰 이물질들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스틸 그레이팅(9)이 착탈가능하게 안착된다. 그리고 입구부(12)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부(12)와 같이 상광하협된 형상의 망구조로된 스크린 박스(2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스크린 박스(20)는 내부식성이 강한 재질 즉, 스테인레와 같은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부(14)는 입구부(12)와 연통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설치시 배수로 또는 교량의 경우 홈통(30)에 연결된다. 이때 배수부(14)와 입구부(12)의 경계를 이루는 외주면에는 띠형상으로 돌출된 플랜지(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집수구(10)는 내측면으로는 골재(18)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표면이 비교적 매끄럽게 형상함에 따라 물흐름이 양호하도록 되어 있으며, 외부표면에는 자갈이나 모래 등과 같은 골재(18)가 돌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된 본 고안의 집수구(10)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집수구(10)를 배수로에 설치할 때 배수로의 거푸집에 안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집수구(10)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16)가 거푸집 또는 주변 콘크리트 구조물에 걸려 지지되기 때문에 안착시키기가 용이하다. 특히, 배수로 표면과 집수구(10)의 상단을 일치시키기 위해 높이조절을 해야 할 경우에는 플랜지(16)의 하부에 적당한 높이를 갖는 지지물을 개폐하여 용이하게 높이조절을 할 수가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곤죽상태의 콘크리트를 치게 되면 콘크리트와 FRP와의 결합력은 약하지만 콘크리트 구조물(18)와는 결합력이 양호하고 또 다수개의 골재(18)가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어 배수로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8)과는 견고하게 결합됨으로 배수로와 집수구(10)는 일체화된다. 또한 집수구(10)의 재질이 내부식성이 강한 FRP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겨울철에 부려지는 염화칼슘에도 부식되지 않기 때문에 수명이 오래가게 되며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8)과 집수구(10)는 높은 결합력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서로간에 틈이 발생되지는 않지만 만약 틈이 발생하더라도 플랜지(16)가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기 때문에 수분에 의한 부식이 방지됨과 아울러 염화칼슘에 의한 주변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집수구(10)에 빗물이 유입되게 되면 빗물은 입구부(12)로 유입되어 배수부(14)를 통해 홈통(30) 또는 배수로로 유입되는데 이때 빗물에는 쓰레기, 낙엽 등과 같은 많은 이물질들을 함유한 상태로 유전되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들은 일차적으로 입구부(12)의 상단에 설치된 스틸 그레이팅(9)에 비교적 입자가 큰 이물질들이 걸러지게 되고, 이차로 입구부(12) 내부에 설치된 스크린 박스(20)에 입자가 작은 이물질들이 걸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들이 스틸 그레이팅(9) 및 스크린 박스(20)에 걸러지게 됨으로 배수로 또는 홈통(30)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틸 그레이팅(9) 또는 스크린 박스(20)에 이물질이 다량 걸러졌을 경우에는 이들 집수구(10)로부터 분리시켜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다시 장착시키면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재질이 자갈 또는 모래와 같은 골재(18)가 혼합된 내부식성이 강한 FRP로 이루어져 있어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또 골재(18)가 외부표면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주변의 콘크리트 구조물(8)과 높은 결합력으로 결합됨으로 서로간에 틈이 발생되지 않게 견고하게 설치되며, 외부면에 테형상의 플랜지(16)가 형성되어 있어 설치시 주변 구조물에 하중을 지탱할 수 있고, 아울러 배수로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높이조절이 가능함으로 시공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입구부(12) 내부에 입자가 작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 박스(2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됨으로 이물질에 의해 배수로 또는 홈통(30)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부에 스틸 그레이팅(9)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입구부(12)와, 이 입구부(12)와 연통되게 하부를 이루면서 배수로 또는 홈통(30)과 연결되는 배수부(14)로 구성되어 도로나 교량의 배수로에 설치되는 집수구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10)는 자갈과 같은 골재(18)가 혼합된 FRP(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s)재로 이루어지고, 외부표면에 골재가 돌출되며, 상기 입구부(12)와 배수부(14)의 경계부에 테형상으로 돌출된 플랜지(1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12) 내에 입자가 작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망구조의 스크린 박스(20)가 착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구.
KR2019970017643U 1997-07-03 1997-07-03 집수구 KR200151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643U KR200151725Y1 (ko) 1997-07-03 1997-07-03 집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643U KR200151725Y1 (ko) 1997-07-03 1997-07-03 집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491U true KR19990004491U (ko) 1999-02-05
KR200151725Y1 KR200151725Y1 (ko) 1999-07-15

Family

ID=1950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643U KR200151725Y1 (ko) 1997-07-03 1997-07-03 집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72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8155A (ko) * 2000-11-16 2002-05-23 국천표,오의진 평지형 배수처리시스템
KR100562740B1 (ko) * 2001-08-03 2006-03-23 배영길 지표면의 물을 지하수화 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75670B1 (ko) * 2007-10-31 2010-08-17 (주)대덕화학 쓰레기차단용 우수받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468B1 (ko) * 2011-06-20 2013-06-04 이경섭 집수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8155A (ko) * 2000-11-16 2002-05-23 국천표,오의진 평지형 배수처리시스템
KR100562740B1 (ko) * 2001-08-03 2006-03-23 배영길 지표면의 물을 지하수화 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75670B1 (ko) * 2007-10-31 2010-08-17 (주)대덕화학 쓰레기차단용 우수받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1725Y1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777112U (zh) 市政排水结构
KR101351895B1 (ko) 교량의 교면 배수시스템
JP5181135B2 (ja) 落葉対策用l型縁塊
KR101963429B1 (ko) 측구 구조체
CN109024146A (zh) 高速公路边坡排水结构
KR101013008B1 (ko) 교량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348396B1 (ko)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
KR200151725Y1 (ko) 집수구
KR101429147B1 (ko) 연속배수시설이 구비된 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60008252A (ko)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
KR20110020020A (ko) 세련된 외관을 갖는 빔 지지 교량의 배수구조
KR101535668B1 (ko)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및 이 시공 방법
US9598850B2 (en) Precast stormwater inlet filter and trap
KR101175998B1 (ko)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CN212956842U (zh) 高速公路隔离带的排水系统
KR100529500B1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KR200224137Y1 (ko)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CN114922277A (zh) 一种用于城市道路的海绵型边沟结构
KR200311993Y1 (ko) 우,오수 받이 연결뚜껑
JPH10114993A (ja) 集水用ブロックとこのブロックを用いた排水構造
KR101178211B1 (ko) 경계석 측면 설치용 배수구
CN209194328U (zh) 一种便于维护的桥梁排水用通水管道
KR102609204B1 (ko) 교량 선배수장치
KR200416889Y1 (ko) 맨홀 구조.
KR200327756Y1 (ko) 도로 배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