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252A -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252A
KR20060008252A KR1020050122270A KR20050122270A KR20060008252A KR 20060008252 A KR20060008252 A KR 20060008252A KR 1020050122270 A KR1020050122270 A KR 1020050122270A KR 20050122270 A KR20050122270 A KR 20050122270A KR 20060008252 A KR20060008252 A KR 20060008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rt
drainage
opening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영
Original Assignee
최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두영 filed Critical 최두영
Priority to KR1020050122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8252A/ko
Publication of KR20060008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이나 고가도로에 배치되는 배수설비의 상항 수직배수관과 수평배수관의 코너부에 결합하고, 후측부에 개폐구를 힌지 결합한 점검청소부가 연설되고, 하부에는 오물제거용 개폐구를 힌지 결합한 오물수납부가 연설되며, 중앙부에는 오물퇴적상태를 점검하는 투시창을 구비한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구와; 배수설비의 수평배수관 사이에 연설되며 하부에 오물제거용 개폐구를 힌지 결합한 오물수납부가 연설되고 이의 하부개방단에는 개폐 가능한 개폐구를 개폐가능하게 힌지 결합하고 오물퇴적상태를 점검하는 투시창을 구비한 "T"형 직관오물배출구와; 양측 수평배수관과 하향수직배수관 사이에 연설되고, 상측부에는 개폐구를 힌지 결합한 점검청소부가 연설되고, 하부에는 오물제거용 개폐구를 힌지 결합한 오물수납부가 연설되며, 중앙부에는 오물퇴적상태를 점검하는 투시창을 구비한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구와;를 구비하여 배수설비의 배수관 내부에 오물이 퇴적되어 교량 상판의 노면의 빗물 등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한 경우, 오물의 퇴적상태를 투시창을 통하여 용이하게 점검, 확인하여 간편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할 수 있게 한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수설비, 오물, 드레인, 교량, 고가도로

Description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A drainage system of bridge provide with waste drain }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 1은 본 발명을 교량에 적용하여 고량의 측면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고가도로 등의 교각에 적용시켜 설치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의 일부 절개상태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이 부설된 교량 배수설비의 설치상태 단면도로서,
도 4는 오물 퇴적시의 설치 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퇴적된 오물 제거, 배출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기 위한 각 오물배출관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6은 제1"+"자형의 곡관오물배출관이고,
도 7은 "T"자형 직관오물배출관이며,
도 8은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이고,
도 9는 도 6의 제1"+"자형의 곡관오물배출관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7의 "T"자형 직관오물배출관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종래 배수설비의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곡관오물배출관 11: 유입부 12: 유출부
13: 오물점검배출구 14: 오물수납부 15: 투명판
16: 캡너트 17: 투시부 18,19: 외측 개방단
20,21: 개폐판 22,23: 힌지 24,25: 체결나사공
26,27: 체결볼트 28,29,30: 패킹 40: "T"자형 직관오물배출관
43:오물수납부 44: 개방단 45: 개폐판
46: 힌지 47: 체결나사공 48: 체결볼트
49: 패킹 50: 투명판 51: 캡너트
52: 투시부 60: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
61,62: 유입부 63: 배출부 64: 오물점검배출부
65: 투명판 66: 캡너트 67: 투시부
68: 개방단 69: 개폐판 70: 힌지
71: 체결나사공 72: 체결볼트 73: 패킹
본 발명은 고가도로, 교량의 교각이나 측벽에 설치하여 우수 등을 배수하는 배수관으로 구성되는 교량 배수설비에 있어서, 교량배수설비의 코너 곡관부 또는 직관 배수관 사이에 설치하여 배수관 내부로 우수와 같이 유입된 모래 등의 오물의 퇴적상태를 용이하게 점검하고, 이를 간편하게 외부로 유출시켜 제거할 수 있게 함으로서 오물에 의하여 배수설비가 막히는 상태를 배제할 수 있게 함으로서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배수설비를 효과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게 한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교량이나 고가도로에 배치되는 배수설비의 상항 수직배수관과 수평배수관의 코너부에 결합되고, 후측부에 개폐구를 힌지 결합한 점검청소부가 연설되고, 하부에는 오물제거용 개폐구를 힌지 결합한 오물수납부가 연설되며, 중앙부에는 오물퇴적상태를 점검하는 투시창을 구비한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구와; 배수설비의 수평배수관 사이에 연설되며 하부에 오물제거용 개폐구를 힌지 결합한 오물수납부가 연설되고 이의 하부개방단에는 개폐 가능한 개폐구를 개폐가능하게 힌지 결합하고 오물퇴적상태를 점검하는 투시창을 구비한 "T"형 직관오물배출구와; 양측 수평배수관과 하향수직배수관 사이에 연설되고, 상측부에는 개폐구를 힌지 결합한 점검청소부가 연설되고, 하부에는 오물제거용 개폐구를 힌지 결합한 오물수납부가 연설되며, 중앙부에는 오물퇴적상태를 점검하는 투시창을 구비한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구와;를 구비하여 배수설비의 배수관 내부에 오물이 퇴적되어 교량 상판의 노면의 빗물 등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한 경우, 오물의 퇴적상태를 투시창을 통하여 용이하게 점검, 확인하여 간편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 교량 상판의 빗물 등을 배수시키는 교량 배수설비는 대체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B)의 상판(100) 좌, 우측에 배수로(101)를 교량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여 장마 등의 우천시 교량의 상판 노면에 내리는 빗물 등을 유도한 후, 이 배수로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부설된 집수구(102)를 통하여 집수하고, 집수구(102)에 집수된 빗물 등을 집수구(102) 하부에 연통하여 부설된 다수의 직관과 곡간 상태의 배수관(103),(104)을 통하여 지상이나 강 수면으로 배수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 교량 배수설비에 있어 교량(B)의 상판(100)에 내리는 빗물이 상판(100) 좌, 우측으로 유도되어 배수로(101) 상으로 유입되고, 배수로(101)에 유입된 빗물은 배수로(102)에 소정간격으로 배설된 집수구(102)로 유입 집수되어 직관 또는 곡관으로 배설되는 배수설비를 통하여 교량(B) 상판(100)의 빗물을 지상이나 강 수면으로 배출하여 교량(B)의 노면에 빗물이 고이지 않게 하여 운행하는 차량의 안전을 도모하게 되는데, 이때 집수구(102) 내부에는 빗물은 물론 노면에 존재하는 모래, 종이, 나뭇잎, 비닐 등의 오물(W)도 동반하여 유입되어 배수설비로 유입하게 되며, 또한 직관으로 되는 배수관(103)은 통상 교각(40)의 설계를 고려하여 완만한 경사로 배치되어 있어, 직, 곡간상의 배수관(103),(104) 내부에서 정체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이의 정체현상으로 인하여 오물(W)이 퇴적되면서 고착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배수관(103),(104)의 내부 용적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여 우천시 빗물의 유동성의 저하현상을 일으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오물(W) 퇴적으로 인하여 심한 경우 직, 곡관상의 배수관(103),(104)이 퇴적된 오물로 막혀 우천시 특히 폭우가 잦은 장마철에 빗물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여 교량 상판 노면의 빗물을 효과적으로 배수, 제거할 수 없게 되어 교량 상판의 노면이 침수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여 차량통행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불편과 이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직, 곡관상의 배수관(103),(104)의 막힘 현상에 의하여 빗물이 원활하게 배수되지 않고 교량 상판의 노면이 침수되는 경우에는 막대한 인력과 장비를 소모하면서 일일이 막힌 배수설비를 해체하여 오물(W)을 제거하고 청소하여야 하는 작업상의 번잡함과 불편이 있어 교량유지 관리에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결함을 나타내며, 이러한 부담으로 인하여 막힌 상태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허다하여 교통장애는 물론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가중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도 교량 배수설비의 집수구 하부의 빗물이 흐르는 수직 배수관상에 오물걸름망을 삽입하여 배치하여 오물(W)을 걸러주게 하는 것도 등장한 바 있으나, 이는 빗물과 오물이 흐르는 방향 수직배수관 내부의 공간에서 직접 오물을 걸러주는 형태로 설치하고 있고, 걸러주는 오물의 한계가 있어 오히려 걸려진 오물에 의하여 빈번히 쉽게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빗물의 배수를 흐름을 막아 교량 상판의 노면이 침수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수시로 이를 점검, 보수관리하여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어 실용성에 많은 의문점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에 의하여 오물배출구가 형성된 것이 실용신 안등록 제20-0345926호로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자형 또는 "T"자형의 오물배출관의 하방 오물배출구를 개폐하는 커버가 분리형이어서 이들의 결합상태가 불안정하고, 오물제거시 개폐구가 일시에 전부 개방되게 되고, 이에 따라 막혔던 오물이 일시에 외부로 쏟아져 나오는 현상이 발생하여 오물배출, 제거작업에 많은 불편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단순히 배수설비 내부에 퇴적된 오물을 배출하기 위한 구조로 오물의 퇴적상태를 점검확인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과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교량 배수설비의 배수관 내부에 오물(W)이 퇴적되어 교량 상판의 노면의 빗물 등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한 경우 이를 용이하게 투시창을 통하여 작업자의 육안으로 점검하고, 이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교량의 배수설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의 설비는 물론 기존 교량의 배수설비를 교체하거나 설비를 크게 변형시키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설치하여 교량 배수설비의 배수관 내부에 오물(W)이 퇴적되어 교량 상판의 노면의 빗물 등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한 경우, 이를 용이하게 점검하여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교량의 배수설비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관 내부로 유입되는 오물(W)을 빗물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게 직, 곡간의 배수관 하부에 별도의 오물수집부를 연설하여 대량의 오물 (W)을 장기간에 걸쳐 수집하여 오물(W)이 수집실에 퇴적되더라도 빗물의 흐름에는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게 함으로써 교량 배수설비의 점검과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이나 고가도로에 배치되는 배수설비의 상측 수직배수관과 수평배수관 사의의 절곡부에 결합되는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과; 배수설비의 수평배수관 사이에 연결되는 "T"형 직관오물배출관; 및 수평배수관과 하향수직배수관 사이에 연설되는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구와 "T"형 직관오물배출구 및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에는 오물점검용 투시부와 오물수납부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설치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의 일부 절개상태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이 부설된 교량 배수설비의 설치상태 단면도로서, 도 4는 오물 퇴적시의 설치 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퇴적된 오물 제거, 배출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기 위한 각 오물배출관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6는 제1"+"자형의 곡관오물배출관이고, 도 7은 "T"자형 직관오물배출관이며, 도 8은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이고, 도 9는 도 6의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7의 "T"자형 직관오물배출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B)의 상판(100) 좌, 우측에 배수로(101)를 교량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여 우천시 교량의 상판 노면에 내리는 빗물 등을 유도한 후, 이 배수로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부설된 집수구(102)를 통하여 집수하고, 집수구(102)에 집수된 빗물 등을 집수구(102) 하부에 연통하여 부설된 다수의 직관과 곡관상태의 배수관을 통하여 지상이나 강 수면으로 배수되게 한 교량의 배수설비에 있어서,
집수구(102)의 상향수직배수관(105)과 수평배수관(103) 사이에는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10)이 연설된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10)은 유입부(11)와 유출부(12)가 직교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출부(12)의 후측부에는 평행한 위치에 오물점검배출부(13)를 연설하고, 유입부(11)의 하방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오물수납부(14)가 각각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투명판(15)을 캡너트(16)로 체결한 투시부(17)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각 오물점검배출구(13)와 오물수납부(14)의 외측 개방단(18),(19)에는 개폐판(20),(21)이 힌지(22),(23)로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개폐판(20),(21)은 오물점검배출구(13)와 오물수납부(14)의 개방단(18),(19)에 형성된 체결나사공(24),(25)에 체결볼트(26),(27)로 체결 또는 해체할 수 있게 되고, 각각의 개폐판(20),(21)과 투명판(15)은 기밀성을 위하여 패킹(28,29,30)을 개입시켜 밀폐되게 구성한다.
따라서,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10)의 유출부(12)의 반대편에 형성된 오물점검배출부(13)는 내부에 퇴적된 오물을 직접 배출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 아니 라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10) 내부에 오물이 과다하게 퇴적되어 있는 경우, 개폐판(20)을 개방한 후, 오물점검배출구(13)를 통하여 적당한 분쇄용 기구 예컨대 와이어, 철봉 등을 투입하여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10) 내부에 퇴적된 오물, 또는 후속하여 연설되는 수평배수관(103) 내부에 퇴적되어 응고된 오물을 파쇄하여 오물에 유동성을 부여하여 배출을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수평배수관(103) 사이에는 "T"자형 직관오물배출관(40)이 연결되어 진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7,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 직관오물배출관(40)은 양측에 수평배수관(103)과 연결되는 유입부(41)와 유출부(42)를 각각 대향되게 형성하고, 중간 하부에는 오물수납부(43)를 하향시켜 형성하고, 오물수납부(43)의 개방단(44)에는 개폐판(45)이 힌지(46)에 의하여 개폐가능하게 착설되고, 개폐판(45)는 개방단(44)에 형성된 체결나사공(47)에 체결볼트(48)로 체결 또는 해체할 수 있게 되며, 개폐판(45)은 기밀성을 위하여 패킹(49)을 개입시켜 밀폐되게 구성되며, 중앙부에는 투명판(50)을 캡너트(51)로 체결한 투시부(52)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향 수직배수관(106)과 수평배수관(103) 사이를 연설하기 위한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이 구비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은 좌, 우 양측에 유입부(61),(62)를 대향지게 형성되어 있고, 중간 하부에 배 출부(63)가 형성되며, 중앙 상부에는 오물점검배출부(64)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투명판(65)을 캡너트(66)로 체결한 투시부(67)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오물점검배출구(64)의 개방단(68)에는 개폐판(69)이 힌지(70)에 의하여 개폐가능하게 착설되고, 개폐판(69)은 개방단(68)에 형성된 체결나사공(71)에 체결볼트(72)로 체결 또는 해체할 수 있게 되며, 개폐판(69)과 투명판(65)은 기밀성을 위하여 패킹(73)을 개입시켜 밀폐되게 구성한다.
따라서,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의 양측 유입부(61),(62)에 수평배수관(103)을 접속 연결하고 배출부(63)에 하향 수직배수관(106)을 연설하여 오물점검배출부(64)가 상측에 위치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내부에 퇴적된 오물을 직접 배출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 아니라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 내부에 오물이 과다하게 퇴적되어 있는 경우 개폐판(69)을 개방한 후, 오물점검배출부(64)를 통하여 적당한 분쇄용 기구 예컨대 와이어, 철봉 등을 투입하여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 내부에 퇴적된 오물을 파쇄하여 오물에 유동성을 부여하여 배출부(63)를 통하여 배출을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하향수직관(106)을 통하여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와 반대로 배출부(63)를 상방향으로 위치시켜 상향 수직배수관(105)과 연결 설치하여 오물점검배출부(64)가 하부에 위치할 때에는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의 오물점검배출부(64)는 양측 유입부(61),(62)에 연설된 수평배수관(103)을 통하여 흐르는 빗물의 오물(W)을 수집하는 오물수집부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 원리의 본 발명의 배수설비 시스템은 강우시 교량(B)의 상판 (100)에 내리는 빗물이 상판(100)의 좌, 우측으로 유도되어 배수로(101) 상으로 유입되고, 배수로(101)에 유입된 빗물과 빗물에 동반된 모래, 종이, 나뭇잎, 비닐 등의 오물(W)도 같이 유입되어 직하방의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10)으로 유입되게 되는데. 이때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10)의 유입부(11)의 직하방에는 오물수납부(14)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어서 빗물과 같이 유입된 모래, 종이, 나뭇잎, 비닐 등의 오물(W)은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여 오물수납부(14)로 진입하여 정체하게 되고, 빗물만 유출부(12)를 통하여 근접하여 연결된 수평배수관(103)으로 유입되어 배출되게 되어 빗물 등과 같이 동반하여 유입된 오물(W)을 1차 오물수납부(14)에 의하여 분리시켜 수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10)에 의하여 오물(W)이 한차례 분리된 빗물은 수평배수관(103)을 통하여 유동하게 되는데, 이때 수평배수관(103) 사이에는 하부에 오물수납부(43)가 형성된 "T"자형 직관오물배출관(40)과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이 형성되어 있어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구(10)에서 미쳐 걸러지지 않은 오물(W)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T"자형 직관오물배출관(40)과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을 통과하면서 빗물에 동반된 오물(W)이 자중에 의하여 다시 빗물과 분리되면서 오물수납부(43) 및 오물점검배출부(64)의 내부로 낙하, 진입하여 재차 분리되고, 이와 같이 여러 단계 오물(W)이 분리, 제거된 빗물은 원활한 흐름으로 연접하는 수평배수관(103)을 통하여 배수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10)과 "T"자형 직관오물배출관(40)을 통과한 빗물은 수평배수관(103)을 통하여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으로 진입 하여 수직배수관(106)을 통하여 지상이나 하상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도 4 참조)
도 4에 도시된 상기와 같은 작동상태가 장기간 진행되면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구(10)의 오물수납부(14)와 "T"형 직관오물배출구(40)의 오물수납부(43) 및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을 통과하면서 빗물에 동반된 오물(W)이 자중에 의하여 다시 빗물과 분리되면서 오물수납부(14),(43) 및 오물점검배출부(64)에는 빗물 등과 같이 동반되어 지속적으로 유입됨으로써 각각의 오물수납부(14),(43) 및 오물점검배출부(64) 내부에 퇴적되는 오물(W)의 높이가 점점 상승하여 퇴적된 오물(W)에 의하여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10)과 "T"형 직관오물배출관(40) 및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의 오물수납부(14),(43) 및 오물점검배출부(64)의 내부 공간에 수납, 퇴적되어 내부가 점점 폐쇄되어 빗물 등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한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기 이전에 평상시 배수설비의 유지, 점검시 작업자가 육안으로 투시부(17),(52),(67)의 투명판(15),(50),(65)을 통하여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10)과 "T"형 직관오물배출관(40) 및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의 내부 공간에 퇴적된 오물(W)의 퇴적상태를 확인한 후 투시부(17),(52),(67)를 통하여 퇴적된 상태가 감지되면,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10)과 "T"형 직관오물배출관(40) 및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 하부의 오물수납부(14),(43) 및 오물점검배출부(64)의 개방단(19),(44),(68)를 폐쇄하고 있던 개폐판(21),(22),(69)을 개방하여 주면 각각의 오물수납부(14),(43) 및 오물점검배출부(64)에 퇴적되어 있던 오물(W)이 자 중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되게 되고, 수평배수관(103)내에 오물(W)이 퇴적되어 있거나, 각각의 오물수납부(14),(43)에 퇴적된 오물(W)이 응고된 경우에는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10)의 오물점검배출부(13)의 개폐판(20)을 개방하고, 오물점검배출부(13)의 개방단(18)을 통하여 적당한 분쇄용 기구 예컨대 와이어, 철봉 등을 투입하여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10) 내부에 퇴적된 오물, 또는 후속하여 연설되는 수평배수관(103) 내부에 퇴적되어 응고된 오물을 파쇄하여 오물에 유동성을 부여하여 배출을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평배수관(103),(103)과 하향 수직배수관(106) 사이에 연설되는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의 상측에 형성된 오물점검배출부(64)는 내부에 퇴적된 오물을 직접 배출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 아니라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 내부에 오물이 과다하게 퇴적되어 있는 경우, 또는 하향 수직배수관(106) 내부에 오물이 정체되어 퇴적된 경우, 개폐판(69)을 개방한 후, 오물점검배출부(64)를 통하여 적당한 분쇄용 기구 예컨대 와이어, 철봉 등을 투입하여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 내부에 퇴적된 오물을 파쇄하여 하향 수직배수관(106)을 통하여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배수설비에 퇴적된 오물(W)을 하향 수직배수관(106)을 통하여 지상이나 강수면으로 배출시켜 배수설비의 각 관에 퇴적된 오물(W)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청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가도로나 교량(B)의 배수설비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 1"+"자형 곡관오물배출관(10)과 "T"형 직관오물배출관(40) 및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을 선택조합하여 "ㄴ"자형 코너배치, "ㅡ"자형 수평배치, "ㅗ"자형의 역"T"자형 배치 "T" 또는 "Y"형 배치 등등의 배수라인에 선택조합하여 배수설비의 오물퇴적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점검하고 퇴적된 오물을 간단히 제거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설비 시스템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교량의 측면을 따라 각 요소를 조합하여 길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비교적 배수라인이 짧은 고가도로의 교각에도 물론 의 측면을 따라 "ㄴ"자형 코너배치, "ㅡ"자형 수평배치, "T" 또는 "Y"형 배치 등등으로 조합배치하여 교량과 고가도로의 교각등의 배수설비에 간단하게 적용하여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배수설비 시스템을 억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고가도로, 교량의 교각이나 측벽에 설치하여 우수 등을 배수하는 배수관으로 구성되는 교량 배수설비에 있어 교량배수설비의 코너 곡관부 또는 수평 직관배수관 사이 또는 수평직관배수구와 수직직관배수구 사이에 설치하여 배수관 내부로 우수와 같이 유입된 모래 등의 오물의 퇴적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점검하고, 이를 간편하게 외부로 유출시켜 제거할 수 있게 함으로서 오물에 의하여 배수설비가 막히는 상태를 배제할 수 있게 함으로서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배수설비를 효과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으며, 일단 유입된 오물은 오물수납부에 의하여 장기간에 걸쳐 퇴적되게 되고, 오물이 오물수납부에 퇴적되는 동안에는 빗물의 흐름이나 배출에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함으로써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배수설비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고 수행할 수 있으며, 기존의 설비에도 간편하게 교체하여 적용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6)

  1. 교량이나 고가도로에 배치되는 배수설비에 있어서,
    상측 수직배수관과 수평배수관 사의의 절곡부에 결합되는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10)과; 배수설비의 수평배수관 사이에 연결되는 "T"형 직관오물배출관(40); 및 수평배수관과 상향 또는 하향수직배수관 사이에 연설되는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을 구비하고, 각각의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구(10)와 "T"형 직관오물배출관(40) 및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에는 오물점검용 투시부(17),(52),(67)와 오물수납부(14),(43),(63)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10)은 유입부(11)와 유출부(12)가 직교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출부(12)의 후측부에는 평행한 위치에 오물점검배출부(13)를 연설하고, 유입부(11)의 하방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오물수납부(14)가 각각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투명판(15)을 캡너트(16)로 체결한 투시부(17)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각 오물점검배출구(13)와 오물수납부(14)의 외측 개방단(18) (19)에는 개폐판(20),(21)이 힌지(22),(23)로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개폐판(20),(21)은 오물점검배출구(13)와 오물수납부(14)의 개방단(18),(19)에 형성된 체 결나사공(24),(25)에 체결볼트(26),(27)로 체결 또는 해체할 수 있게 되고, 각각의 개폐판(20),(21)과 투명판(15)은 기밀성을 위하여 패킹(28,29,30)을 개입시켜 밀폐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T"자형 직관오물배출관(40)은 양측에 수평배수관(103)과 연결되는 유입부(41)와 유출부(42)를 각각 대향되게 형성하고, 중간 하부에는 오물수납부(43)를 하향시켜 형성하고, 오물수납부(43)의 개방단(44)에는 개폐판(45)이 힌지(46)에 의하여 개폐가능하게 착설되고, 개폐판(45)는 개방단(44)에 형성된 체결나사공(47)에 체결볼트(48)로 체결 또는 해체할 수 있게 되며, 개폐판(45)은 기밀성을 위하여 패킹(49)을 개입시켜 밀폐되게 구성되며, 중앙부에는 투명판(50)을 캡너트(51)로 체결한 투시부(52)가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은 좌, 우 양측에 유입부(61),(62)를 대향지게 형성되어 있고, 중간 하부에 배출부(63)가 형성되며, 중앙 상부에는 오물점검배 출부(64)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투명판(65)을 캡너트(66)로 체결한 투시부(67)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오물점검배출구(64)의 개방단(68)에는 개폐판(69)이 힌지(70)에 의하여 개폐가능하게 착설되고, 개폐판(69)은 개방단(68)에 형성된 체결나사공(71)에 체결볼트(72)로 체결 또는 해체할 수 있게 되며, 개폐판(69)과 투명판(65)는 기밀성을 위하여 패킹(73)을 개입시켜 밀폐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교량 배수설비에는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10)과; 배수설비의 수평배수관 사이에 연결되는 "T"형 직관오물배출관(40); 및 수평배수관과 상향 또는 하향수직배수관 사이에 연설되는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이 적어도 각각 1개 이상 복수로 조합하여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측 수직배수관과 수평배수관 사의의 절곡부에 결합되는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관(10)과; 배수설비의 수평배수관 사이에 연결되는 "T"형 직관오물배출관(40); 및 수평배수관과 상향 또는 하향수직배수관 사이에 연설되는 제2"+"자형 곡 관오물배출관(60)을 구비하고, 각각의 제1"+"자형 곡관오물배출구(10)와 "T"형 직관오물배출관(40) 및 제2"+"자형 곡관오물배출관(60)에는 오물수납부(14),(43), (63)만을 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
KR1020050122270A 2005-12-13 2005-12-13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 KR20060008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270A KR20060008252A (ko) 2005-12-13 2005-12-13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270A KR20060008252A (ko) 2005-12-13 2005-12-13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007U Division KR200409378Y1 (ko) 2005-12-13 2005-12-13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252A true KR20060008252A (ko) 2006-01-26

Family

ID=3711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270A KR20060008252A (ko) 2005-12-13 2005-12-13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825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505B1 (ko) * 2009-07-03 2010-01-19 주식회사 성락종합배관 배수 청소관
CN102383373A (zh) * 2010-09-06 2012-03-21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 应用于平坡的高架桥梁隐形雨水收集系统及其设置方法
KR101127097B1 (ko) * 2009-06-19 2012-03-23 주식회사 성락종합배관 청소용 배관
CN103452042A (zh) * 2013-08-15 2013-12-18 龙口丛林中德车体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铝合金人行天桥排水系统
CN103628401A (zh) * 2013-12-10 2014-03-12 丛林集团有限公司 一种组合式口字形铝合金天桥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097B1 (ko) * 2009-06-19 2012-03-23 주식회사 성락종합배관 청소용 배관
KR100937505B1 (ko) * 2009-07-03 2010-01-19 주식회사 성락종합배관 배수 청소관
CN102383373A (zh) * 2010-09-06 2012-03-21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 应用于平坡的高架桥梁隐形雨水收集系统及其设置方法
CN102383373B (zh) * 2010-09-06 2015-11-25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 应用于平坡的高架桥梁隐形雨水收集系统及其设置方法
CN103452042A (zh) * 2013-08-15 2013-12-18 龙口丛林中德车体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铝合金人行天桥排水系统
CN103628401A (zh) * 2013-12-10 2014-03-12 丛林集团有限公司 一种组合式口字形铝合金天桥
CN103628401B (zh) * 2013-12-10 2016-08-17 丛林集团有限公司 一种组合式口字形铝合金天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777112U (zh) 市政排水结构
KR101222885B1 (ko) 초기 우수를 배제한 우수 포집장치
KR100893952B1 (ko) 교량용 초기우수정화장치.
KR100896015B1 (ko)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US20080229673A1 (en) Rainwater "real time" flow indicator and debris collection device for gutter downspout
KR200459753Y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200409378Y1 (ko)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
KR100721237B1 (ko)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KR101023537B1 (ko)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KR100961152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KR100486105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912590B1 (ko) 교량용 배수시설
KR20060008252A (ko)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
KR100683119B1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101013091B1 (ko) 우수 정화구조물
KR101306943B1 (ko) 교량용 배수장치
KR101531692B1 (ko)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45926Y1 (ko)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
KR101187656B1 (ko)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 역류방지 및 안전한 작업을 위한 오물 제거장치를 구비한 교량배수관
KR20130120052A (ko) 비점오염원 저감 기능을 갖는 도로 및 교량용 집수정 시스템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KR101764398B1 (ko) 정체수 배재 및 역세척 설비를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2526838B1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CN212742195U (zh) 一种市政桥梁道路排水道防堵外设
KR101189252B1 (ko)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427

Effective date: 2008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