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294U - 케이블 보호관 - Google Patents

케이블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294U
KR19990004294U KR2019980021338U KR19980021338U KR19990004294U KR 19990004294 U KR19990004294 U KR 19990004294U KR 2019980021338 U KR2019980021338 U KR 2019980021338U KR 19980021338 U KR19980021338 U KR 19980021338U KR 19990004294 U KR19990004294 U KR 199900042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rotective tube
pole
fitting
restor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3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근
이성근
박분희
Original Assignee
이의근
박분희
이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근, 박분희, 이성근 filed Critical 이의근
Priority to KR20199800213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4294U/ko
Publication of KR199900042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294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광케이블 등의 각종 통신케이블을 전주상에 연결하여 배선할 시에 케이블의 여유길이부가 전주와 접촉하여 마찰됨으로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보호수단에 관한 것인 바,
본 고안은, 전주(13)상에 형성되는 케이블(11)의 여유길이부(11a)측에 결합하여 전주(13)와의 접찰로인한 훼손을 방지하는 보호수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연성, 탄성재질로 되고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조(2,2')가 형성되며, 복원력에 의해 서로 포개어져 있는 중첩부(3)가 원형으로 말리도록 함으로서 케이블(11)에 결합시 내경이 복원력으로 축소되면서 케이블(11)에 압박상태로 밀착고정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보호관
본 고안은 케이블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광케이블(통신케이블) 등을 전주상에 연결하여 배선할 시에 케이블의 여유부가 전주에 접촉하여 마손 및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통신케이블, 이하 케이블이라함) 등은 전주와 전주 사이에 배선할 시에, 전주와 전주 사이의 케이블이 팽팽한 상태로 배선되게 하고 케이블을 전주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와이어를 케이블과 함께 하나의 피복체에 일체형으로 매입시키게 된다.
즉, 케이블은 와이어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전주와 전주사이에 배선할 시에 도 7a, 7b와 같이 와이어12측의 피복체를 벗겨낸 다음 와이어12를 고정브라켓 등으로 전주13상에 고정시킴으로서 케이블11을 전주13상에 고정시켜 연결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은 케이블11의 배선작업에 있어서는 와이어12로서 케이블11을 전주13상에 고정시킬 시에 전주13와 전주13사이에 배선되는 케이블11이 팽팽한 긴장상태가 되므로 이에 대한 여유를 확보하고 특히 단선 등에 의한 보선작업 등을 위하여 소정의 여유길이부11a를 두고 연결하게 된다.
상기한 전주13상에 형성되는 케이블11의 여유길이부11a는 도 7a,7b에 도시한 예와 같이 전주13상에서 아래로 소정길이로 늘어뜨리거나 또는 전주13 일측에 한바퀴 정도 말아서 상기와 같은 단선사고 등의 보선작업과 팽팽한 배선상태의 케이블13에 대한 여유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 전주13마다 소정의 여유길이부11a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주13상에 형성되는 케이블11의 여유길이부11a는 풍우(風雨) 등의 요인에 의하여 여유길이부11a의 케이블11이 전주13와 접찰되어 케이블11을 보호하는 피복이 훼손됨으로서 이로부터 단선 등의 위험이 상당히 높았던 것이다.
전술한 전주13와의 마찰 등에 의한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전주13상에 형성되는 여유길이부11a의 케이블11 외측에 보호테이프를 감아서 보호테이프로 하여금 전주13와 케이블11이 직접 접촉하여 발생하는 마찰 등에 따른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보호테이프의 사용은 보호테이프의 접착력이 저하되면서 보호테이프가 케이블11의 외피를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게 됨으로서 전주13와의 마찰을 방지할 수 없었던 것이다.
즉, 보호테이프는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기온과 풍우 등에 의해 접착력이 저하되어 보호테이프가 한쪽으로 쏠리게 됨으로서 케이블의 여유길이부와 전주간의 마찰을 방지하여야 할 보호테이프가 보호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되고 이의 사용수명 역시 단축되어 그 실용성이 극히 부재한 것이었으며, 특히 이러한 보호테이프의 사용은 보호테이프를 케이블11의 여유길이부11a에 감는 작업과 접착력을 어느 정도 상실한 보호테이프를 교체, 제거하는 작업에도 상당한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전주상에 형성되는 케이블의 여유길이부와 전주간의 마찰을 방지하여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수단을 기존과 같이 보호테이프 등에 의존하지 않고 매우 간편한 작업성과 우수한 보호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제품을 공급함으로서 보다 확실한 케이블 보호기능과 이를 위한 설치 및 보수작업 등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작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작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작용상태도
도 7a, 7b는 본 고안의 일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
1a,1b,1c;보호관 2,2';돌조
3;중첩부 4,4';끼움돌조
5,5';끼움요구 6;본체
7,7';주름부 8;끼움돌조
9;끼움요구 10;연결부
11;케이블 11a;여유길이부
12;와이어 13;전주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작용상태도로서, 본 고안은 연질고무나 연질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케이블11이 삽입되어 압박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는 내경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호관1a은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조2,2'가 형성되고 이면은 평활면으로 되어 케이블11의 외면에 밀착가능하게 되며,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대략 원형으로 말릴 수 있도록 일단이 단절된 상태로 보호관1a을 구성함으로서 상기 보호관1a이 자체 탄성에 의한 복원력으로 원형으로 말릴 시에 케이블11에 압박상태로 밀착되어 고정결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한 보호관1a은 도 2와 같이 케이블11의 규격에 관계없이 양단이 단절되어 중첩되는 중첩부3를 강제로 이격시켜 벌린 상태에서 설치하고자 하는 케이블11측에 결합하여주게되면 자체 탄성에 의한 복원력으로 내경이 축소되면서 케이블11을 압박하여 케이블11 외측에 밀착 고정된다.
즉, 도 2와 같이 케이블11의 직경이 비교적 작을 경우에는 보호관1a의 중첩부3 양단이 벌어진 상태에서 (대략 원형으로) 복귀하려는 자체 탄성에 의해 내측에 삽입된 케이블11을 압박하여 견고한 고정상태로 케이블11에 결합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한 보호관1b의 구성에 있어서, 내측 중첩부3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조4,4'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외측 중첩부3의 내면에는 상기 끼움돌조4,4'가 끼움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요구5,5'을 형성하여 상기 중첩부3의 양 끼움돌조4,4'와 끼움요구5,5'간의 선택적인 결합관계에 따라 케이블11에 삽입 결합되는 보호관1b의 내경이 조절되도록 한다.
즉, 도 4와 같이 자체 탄성에 의한 복원력으로 케이블11을 외측으로 부터 압박하여 케이블11에 고정되는 전술한 일실시예와는 달리 자체 탄성으로 소정의 압박강도를 가지면서도 중첩부3 상에 형성된 끼움돌조4,4'와 끼움요구5,5' 간의 선택적인 결합으로 케이블11의 규격(즉, 외경)에 따라 보호관1b의 내경을 조절하여 케이블11에 결합할수 있게 하고 이들 끼움돌조4,4'와 끼움요구5,5'간의 결합관계로 부터 보호관1b이 케이블11상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게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연결부10가 끼움돌조8와 끼움요구9로 형성되어 이들의 결합으로부터 보호관1c이 관체, 즉 대략 원형의 형상을 말리도록 하고, 보호관1c을 구성하는 본체6에는 신축요소를 구성하여 케이블11을 삽입 고정하기위한 내경을 신축조절토록 함으로서 케이블11에 결합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신축요소는 보호관1c의 본체1c 내외측으로 절개상태로 벌어진 주름부7,7'가 상호 교대로 반복형성되어 일체로 연결됨으로서 이들 주름부7,7'의 신축작용에 의해 보호관1c이 케이블11에 고정밀착되어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도 6과 같이, 결합되는 케이블11의 외경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내외측에 교대로 형성된 주름부7,7'가 작은 전개각으로 형성되지만, 케이블11의 외경이 클 경우에는 보호관1c이 가지는 자체 탄성과 연성으로 주름부7,7'의 각도가 커지면서 늘어나게 되어 케이블11의 외경에 따라 주름부7,7'가 신축작용되는 것이다.
즉, 보호관1c의 내경은 본체6상에 교대로 형성된 주름부7,7'의 신축작용에 따라 원주길이가 탄력적으로 가변되어 보호관1c이 케이블11의 외경크기에 따라 견고히 밀착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 살펴본 본 고안의 각 보호관1a,1b,1c은 주로 압출성형방법 등으로 제작하여 소망 길이로 절단한 다음 도 7a,7b와 같이 전주13상에 형성되는 케이블11의 여유길이부11a측에 결합함으로서 여유길이부11a의 케이블11이 전주13와 마찰되어 발생하는 훼손우려 등을 방지하게 된다.
도 1, 2과 같은 보호관1a의 경우는, 케이블11에 보호관1a을 씌우게 되면 보호관1a이 중첩부3에 의해 단절 상태로 있고 또한 자체 탄성을 가진 연질고무, 연질 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케이블11의 외경에 보호관1a의 내경면이 밀착되면서 탄성복원력에 의해 케이블11의 외경(규격)에 맞추어 고정결합된다.
물론 이때는 탄성적 재질에 의한 복원력으로 중첩부3가 서로 중첩상태로 된다.
그리고 보호관1a의 외면에 형성된 돌조2,2'는 보호관1a이 적정의 휨강도를 가지도록 하게 되는 한편, 케이블11을 감싸서 보호하는 보호관1a이 전주13와 부분적으로만 마찰되게 함으로서 보호관1a이 더욱 연장된 사용수명을 가지도록 하게 된다.
도 3,4과 같은 보호관1b의 경우는 보호관1b의 이웃하는 중첩부3측에 끼움돌조4,4'와 끼움요구5,5'가 형성되어 이들간의 선택적인 결합으로 보호관1b의 내경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므로 케이블11의 외경에 따라 보호관1b을 적정 규격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6과 같은 보호관1c의 경우에 있어서는 보호관1c의 본체6가 신축요소 즉, 내외측에 교호로 벌어진 주름부7,7'가 형성되어 있어, 케이블11상에 보호관1c을 둘러 감은 다음 연결부10의 끼움돌조8와 끼움요구9를 상호 결합하게 되면, 보호관1c의 내경이 자체 탄성에 의한 주름부7,7'의 복원력에 의해 케이블11의 외경에 탄력적으로 밀착하게되어 케이블11에 견고히 고정결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주13간에 연결 배선되는 각종 통신 케이블11에 결합하여 케이블11의 여유길이부11a가 전주13와 마찰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훼손의 우려를 방지하여 이로부터 단선사고 등을 예방하게 되는 것이며, 기존에 비하여 사용수명을 장기화 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에 의한 생산성과 간편한 설치방법 등으로 이에 따른 인력과 시간 등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이득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통신 케이블을 비롯한 각종 케이블의 배선작업시 여러 잇점과 효과를 득할 수 있는 실용성이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3)

  1. 전주13상에 형성되는 케이블11의 여유길이부11a측에 결합하여 전주13와의 접찰로 인한 훼손을 방지하는 보호수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연성, 탄성재질로 되고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조2,2'가 형성되며, 복원력에 의해 서로 포개어져 있는 중첩부3가 형성되어 원형으로 말리도록 함으로서 케이블11에 결합시 내경이 복원력으로 축소되면서 케이블11에 압박상태로 밀착고정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여 중첩되는 중첩부3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조4,4'와 끼움요구5,5'를 형성하여 이들을 선택 결합함으로서 케이블11에 결합되는 보호관1b의 내경이 조절되어 케이블11에 밀착고정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3. 전주13상에 형성되는 케이블11의 여유길이부11a측에 결합하여 전주13와의 접찰로 인한 훼손을 방지하는 보호수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1c은 끼움돌조8와 끼움요구9를 가진 연결부10와, 주름부7,7'가 본체6 내외측에 교호로 형성된 신축수단으로 구성되어 케이블11에 결합시 복원력에 의한 주름부7,7'의 신축으로 케이블11에 밀착고정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KR2019980021338U 1998-10-30 1998-10-30 케이블 보호관 KR199900042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338U KR19990004294U (ko) 1998-10-30 1998-10-30 케이블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338U KR19990004294U (ko) 1998-10-30 1998-10-30 케이블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294U true KR19990004294U (ko) 1999-01-25

Family

ID=69504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338U KR19990004294U (ko) 1998-10-30 1998-10-30 케이블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429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466A (ko) * 2019-10-15 2021-04-23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466A (ko) * 2019-10-15 2021-04-23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1945A (en) Junction assembly
JP4823416B2 (ja) 電力線用放電保護被覆体
CA1209655A (en) Cable joint protection comprising recoverable sleeve and a liner
US10283878B2 (en) Neutral conductor connection protection devices and cover assembly kits, electrical connections and methods including same
KR19990004294U (ko) 케이블 보호관
JP2005504425A (ja) 多部品構成絶縁被覆
CN211507161U (zh) 一种电线绝缘护套
CN112217036B (zh) 同轴电缆组件
GB1603626A (en) Junction assembly
US9786412B2 (en) Cable moisture seal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CN208189794U (zh) 一种导线连接结构
JP2021013253A (ja) グロメット、グロメット止水構造、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4875666B2 (ja) 屋外型電力ケーブル端末および防水処理方法
EP0082010B1 (en) Support for a closure assembly
KR200446541Y1 (ko) 배가름형 튜브
JP4467370B2 (ja) ケーブル接続部用の遮水体およびその固定構造
JPS6346405A (ja) ノンセラミツク碍子
JP3366725B2 (ja) 接続部被覆部材
CN219739939U (zh) 一种电缆用透明耐高温硅胶冷缩管
CN210866682U (zh) 一种汽车线束结构
JP3745216B2 (ja) 電線防護具
JP2002214490A (ja) 光ファイバ複合電力ケーブル
JPH10304546A (ja) 光ケーブル切替接続部の防水保護方法および防水保護構造
JP3585521B2 (ja) ワイヤハーネス
KR200143970Y1 (ko) 전기접속용 플러그의 전선보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