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466A -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 Google Patents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4466A KR20210044466A KR1020190127652A KR20190127652A KR20210044466A KR 20210044466 A KR20210044466 A KR 20210044466A KR 1020190127652 A KR1020190127652 A KR 1020190127652A KR 20190127652 A KR20190127652 A KR 20190127652A KR 20210044466 A KR20210044466 A KR 202100444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amp piece
- diameter portion
- underground cable
- ground
- corrugated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에 관한 것으로 대경부와 소경부가 길이방향으로 반복 형성된 관 형상의 본체, 지면에 본체가 수평으로 놓일 때 대경부가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대경부에 구비되되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마다 구비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파형관 설치 시에 바닥 끌기를 허용하여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파형관의 관로 내부에 수분 또는 이물질 등의 침투되는 것을 예방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에 관한 것으로, 파형관 설치 시에 바닥 끌기를 허용하여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파형관의 관로 내부에 수분 또는 이물질 등의 침투되는 것을 예방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관은 지중 매설용 전선케이블 등을 보호하기 위한 관로로 사용되는 것으로, 외부가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외부가 평평한 형태로 형성된 다른 관로용 소재에 비해 내구성 및 내강도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파형관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연결하여 사용함에 따라 설치길이를 조정한다.
파형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원통 형상의 연결관 또는 연결용 슬리브(축 등의 외주에 끼워 사용하는 길이가 긴 통 모양의 부품)를 이용하여, 파형관의 양편에서 돌려서 끼운 다음 슬리브 연결 부분을 씰링테이프, 수밀보호테이프, PVC테이프 등으로 여러 번 감아 시공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파형관은 대규모 신규개발택지 간선설치 공사 등 일일 굴착 물량이 많은 구간에서는 기계장치 활용이 편리하지만, 도심지 지중화공사 등 각종 지하매설물로 인하여 굴착 물량이 소규모인 구간에서는 인력으로 시공하고 있으며, 파형관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현장에서 작업자가 바닥 끌기로 이동시키며, 이에 따라 파형관이 지면에 마찰되면서 관로 내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현장의 지면은 조도가 높기 때문에 파형관이 쉽게 손상되며, 손상된 부위를 통해 관로 내부로 수분 또는 이물질 등이 침투되어 파형관 내부의 지중 매설용 전선케이블 등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칙적으로 파형관의 바닥 끌기를 제한한다 하더라도 작업자들은 습관처럼 바닥 끌기를 사용하게 되고, 길이가 긴 파형관을 바닥 끌기를 사용하지 않고 설치하기에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파형관 설치 시에 바닥 끌기를 허용하여 시공 편의성이 향상되며, 바닥 끌기를 하여도 관로 내부에 수분 또는 이물질 등의 침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경부와 소경부가 길이방향으로 반복 형성된 관 형상의 본체, 지면에 본체가 수평으로 놓일 때 대경부가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대경부에 구비되되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마다 구비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간격은 본체에서 자중에 의해 변형되는 부분이 지면과 닿지 않게 하는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받침부는 본체에서 자중에 의해 변형되는 부분이 지면과 닿지 않게 하는 두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받침부는 대경부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일체로 구비되며, 본체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1실시예에 의하면 받침부가 형성된 대경부는 둘레를 따라 단면이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받침부는 본체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양측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2실시예에 의하면 받침부는 대경부의 외주면에서 돌기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받침부는 지면에 2개 이상 접촉되어 지면에서 본체를 이격시키도록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별도 부재로 구비되는 3실시예에 의한 받침부는 대경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대경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받침부는 대경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2개의 반원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어 힌지에 의해 반으로 폴딩되게 연결된 제1클램프편 및 제2클램프편, 제1클램프편과 제2클램프편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클램프편과 제2클램프편은 내측면에 대경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둥근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잠금부재는 제1클램프편의 힌지의 반대측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 제2클램프편의 힌지의 반대측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제1클램프편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체결돌기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 끌기를 하여도 파형관이 지면과 이격됨에 따라 파형관이 손상되지 않아 관로 내부에 수분 또는 이물질 등의 침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파형관 설치 시에 바닥 끌기가 가능하여 시공 편의성이 향상되며 종래에 파형관을 운반하기 위한 별도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사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2실시예에 의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3실시예에 의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3실시예에 의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3실시예에 의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2실시예에 의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3실시예에 의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3실시예에 의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3실시예에 의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2실시예에 의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3실시예에 의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3실시예에 의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3실시예에 의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은 대경부(110)와 소경부(120)가 길이방향으로 반복 형성된 관 형상의 본체(100), 지면에 본체(100)가 수평으로 놓일 때 대경부(110)가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대경부(110)에 구비되되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d)마다 구비되는 받침부(200)를 포함한다.
파형관은 지중 매설용 전선케이블 등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되며, 본체(100)의 외부가 산부와 골부가 반복 형성된 파형으로 형성된다. 즉, 본체(100)의 형상은 대경부(110)와 소경부(120)가 길이방향으로 반복 형성된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0)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이음관(101)을 통해 연결되어 설치된다.
소경부(120)는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본체(100)의 관로 내부에 위치되는 케이블을 지지한다.
대경부(110)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여 본체(100)의 관로 내부에 위치되는 케이블을 보호한다.
그리고, 소경부(120)와 대경부(110)는 곡선으로 연결되며, 본체(100)가 파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0)는 지중선로들을 지하에 매설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 자체의 길이도 길게 마련되고, 복수개의 본체(100)가 이음관(101)을 통해 연결된 전체 길이는 더 길어지게 된다.
일예로, 통상적으로 본체(100)는 30m ~ 50m의 길이로 제작되며, 10개 ~ 20개의 본체(100)가 연결되어 설치되므로 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작업자가 한쪽을 잡아당겨 이동시키는 바닥끌기로 운반된다.
따라서, 본체(100)에는 바닥끌기로 운반될 때 지면에 대신 닿는 받침부(200)가 구비된다. 특히, 받침부(200)는 본체(100)의 대경부(110)에 구비된다.
받침부(200)는 본체(100)가 수평으로 놓일 때 대경부(110)가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받침대 역할을 하며, 대경부(110)에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간격(d)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로 구비된다.
여기서 설정된 간격(d)은, 본체(100)에서 자중에 의해 변형되는 부분이 지면과 닿지 않게 하는 간격이다.
다시 말해서, 받침부(200)의 간격이 넓으면 본체(100)가 자중에 의해 지면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면서 지면에 끌리게 되기 때문에 받침부(200)는 본체(100)가 지면에 닿지 않을 정도의 설정된 간격(d)으로 대경부(11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본체(100)와 지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받침부(200)의 두께를 두껍게 가공하여 본체(100)가 자중에 의해 지면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되어도 지면에 닿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받침부(200)의 두께인 지면과 대경부(110) 사이의 이격 거리가, 본체(100)의 자중에 의해 변형되는 부분의 변위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받침부(200)는, 대경부(110)에 설정된 간격(d)으로 구비되거나, 본체(100)에서 자중에 의해 변형되는 부분이 지면과 닿지 않게 하는 두께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본체(100)의 길이가 30m ~ 50m로 형성되고 대경부(110)와 소경부(120)의 두께가 3.5mm로 형성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대경부(110)와 받침부(200)의 두께는 7mm ~ 1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웃하는 받침부(200) 사이의 설정된 간격(d)은 4.5m ~ 5.5m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부(200)는 본체(100)의 바닥 끌기로 운반시 지면에 의해 마모될 수 는 있으나, 받침부(200)가 전부 마모 되어야 대경부(110)가 지면에 닿기 때문에, 파형관의 관로 내부의 손상을 예방하는 것이며, 파형관의 관로 내부로 수분 또는 이물질 등이 침투되는 것을 예방한다.
이에 추가로 받침부(200)가 구비되어 본체(100)의 대경부(110)를 보호함에 따라 종래의 파형관 대비 내구성도 향상되며 내강도성도 향상된다.
이러한 받침부(200)는 본체(100)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도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먼저 도 2를 참고하여 일체로 구비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받침부(200)는 대경부(110)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일체로 구비되며, 본체(1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부(200)는 일예로 금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며 파형관의 외측면을 성형하는 금형에서 대경부(110)가 만들어지는 홈에 설정된 간격(d)마다 더 함몰 형성되는 깊은 홈을 가공하며, 이렇게 가공된 금형을 이용하여 받침부(200)가 형성된 파형관이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200)는 본체(100)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구비됨에 따라 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별도 조립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설정된 간격(d)마다 대경부(110)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본체(100)의 내강도성이 향상된다.
또한, 받침부(200)는 지면과의 접촉되는 면적을 줄이기 위해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양측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받침부(20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에서 양측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거나, 받침부(200)의 길이방향의 두께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면 받침부(200)와 지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고, 바닥끌기로 파형관을 운반하기 위한 힘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받침부(200)의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에서 양측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되어 받침부(200)가 지면과 점 접촉되고, 바닥 끌기로 파형관의 운반시 마찰이 줄어들어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파형관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받침부(200)는 둘레를 따라 단면이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둘레의 일부분에서 돌출된 돌기 형태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는 1실시예에 의한 받침부(200)가 형성된 파형관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의 (a)는 본체(100)의 받침부(200)가 구비되지 않은 대경부(110)의 중앙부분을 단면처리한 횡단면도로, 도 2의 A-A부분에 대한 횡단면도이며, 도 3의 (b)는 본체(100)의 받침부(200)가 구비된 대경부(110)의 중앙부분을 단면처리한 횡단면도로, 도 2의 B-B부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받침부(200)는 대경부(110)의 둘레를 따라 단면이 일정한 형상, 즉,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받침부(200)의 어떠한 지점에 지지되어도 지면으로부터 본체(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200)가 구비된 대경부(110)의 두께(t2)는 받침부(200)가 구비되지 않은 대경부(110)의 두께(t1)보다 받침부(200)의 두께만큼 두껍게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부(200)가 구비된 대경부(110)의 두께(t2)와 받침부(200)가 구비되지 않은 대경부(110)의 두께(t1)의 차이만큼 본체(100)가 지면에서 이격된다.
또한, 도 4에는 2실시예에 의한 받침부(300)가 형성된 파형관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받침부(300)는 대경부(110)의 외주면에서 돌기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복수개로 구비된다.
받침부(300)는 대경부(110)에 보울(bowl) 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바닥 끌기로 파형관의 운반시 마찰이 줄어들어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파형관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받침부(300)가 구비된 대경부(110)의 두께(t2)는 받침부(300)가 구비되지 않은 대경부(110)의 두께(t1)보다 받침부(300)의 두께만큼 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받침부(300)는 대경부(1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지면에 2개 이상 접촉되어 지면에서 본체(100)를 이격시킨다.
또한, 받침부(300)가 대경부(110)에 구비되는 원주방향의 등간격은 본체(100)가 지면에 닿지 않을 정도의 원주방향의 등간격이며, 받침부(300)의 돌출량은 본체(100)가 지면에 닿지 않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일예로, 지면에 2개의 받침부(300)가 접촉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본체(100)가 2개의 받침부(300)로 지면에 안착됨에 따라 바닥 끌기로 운반시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받침부(300) 사이에서 본체(100)의 뒤틀림 발생이 줄어들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별도 부재로 마련되어 대경부(110)에 설정된 간격(d)마다 이격되어 구비되는 받침부(400)의 3실시예를 보여준다.
받침부(400)는 대경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중공 형상의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설정된 간격(d)마다 대경부(110)에 구비된다.
또한, 받침부(400)는 별도 부재로 마련됨에 따라 새로운 규격의 파형관을 제작하지 않고도 종래의 파형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받침부(400) 사이의 설정된 간격(d)을 조정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받침부(400)는 파형관의 재질보다 내마모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받침부(400)는 대경부(110)에 설치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반으로 절개되어 일측이 힌지(430)로 연결되고 타측이 잠금부재(440)로 잠금되는 링 형상으로 마련된다.
받침부(400)는 대경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2개의 반원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어 힌지(430)에 의해 반으로 폴딩되게 연결된 제1클램프편(410)과 제2클램프편(420), 제1클램프편(410)과 제2클램프편(420)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부재(440)를 포함한다.
제1클램프편(410)과 제2클램프편(420)은 내측이 대경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링 형상의 부재가 반으로 나누어져 형성된다.
또한, 제1클램프편(410)과 제2클램프편(420)은 내측면에 대경부(110)와 대응되는 형상의 둥근홈이 구비되어 잠금부재(440)가 대경부(110)에 안정적으로 위치된다.
즉, 둥근홈이 대경부(110)에 안착되어 있어서 제1클램프편(410)과 제2클램프편(420)이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또는 대경부(110)와 소경부(120)의 파형을 따라 미끄러지지 않아 받침부(400)가 대경부(110)에 안정적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제1클램프편(410)과 제2클램프편(420)의 일측이 힌지(430)로 폴딩되게 연결되어, 힌지(430)를 기준으로 회동됨에 따라 제1클램프편(410)과 제2클램프편(420)의 타측이 각각 이격되거나 접촉된다.
잠금부재(440)는 걸림 체결되는 체결돌기(411)와 체결홀(422)로 구성되어 제1클램프편(410)과 제2클램프편(420)의 타측에 각각 구비된다.
제1클램프편(410)은 체결돌기(411)가 힌지(430)의 반대측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체결돌기(411)에는 제1클램프편(410)의 단부 측으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이 구비된다.
제2클램프편(420)은 힌지(430)의 반대측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1클램프편(410) 측으로 연장되는 체결플랜지(421)가 구비되고, 체결돌기(4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422)이 형성된다.
즉, 체결플랜지(421)는 제1클램프편(410)과 제2클램프편(420)의 타측의 일부분을 덮는 원호 형상의 판으로 구비되며, 제2클램프편(4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1클램프편(410)의 체결돌기(411)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받침부(400)가 대경부(110)에 위치한 상태에서 힌지(430)로 폴딩되면, 제1클램프편(410)과 제2클램프편(420)의 타측 사이가 가까워지고, 체결플랜지(421)가 체결돌기(411)의 경사면을 따라 제1클램프편(410)의 외주면에 안착되면서 체결돌기(411)가 체결홀(422)에 걸림 체결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바닥 끌기를 하여도 파형관이 지면과 이격됨에 따라 파형관의 관로 내부에 수분 또는 이물질 등의 침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파형관 설치 시에 바닥 끌기가 가능하여 시공 편의성이 향상되며 종래에 파형관을 운반하기 위한 별도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사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대경부
120: 소경부 200,300,400: 받침부
120: 소경부 200,300,400: 받침부
Claims (12)
- 대경부와 소경부가 길이방향으로 반복 형성된 관 형상의 본체; 및
지면에 상기 본체가 수평으로 놓일 때 상기 대경부가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대경부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마다 구비되는 받침부;
를 포함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간격은,
상기 본체에서 자중에 의해 변형되는 부분이 지면과 닿지 않게 하는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본체에서 자중에 의해 변형되는 부분이 지면과 닿지 않게 하는 두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대경부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본체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가 형성된 대경부는 둘레를 따라 단면이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양측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대경부의 외주면에서 돌기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지면에 2개 이상 접촉되어 지면에서 상기 본체를 이격시키도록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대경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대경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대경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2개의 반원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어 힌지에 의해 반으로 폴딩되게 연결된 제1클램프편 및 제2클램프편; 및
상기 제1클램프편과 제2클램프편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편과 제2클램프편은 내측면에 상기 대경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둥근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제1클램프편의 상기 힌지의 반대측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 및
상기 제2클램프편의 상기 힌지의 반대측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클램프편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플랜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7652A KR102370102B1 (ko) | 2019-10-15 | 2019-10-15 |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7652A KR102370102B1 (ko) | 2019-10-15 | 2019-10-15 |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4466A true KR20210044466A (ko) | 2021-04-23 |
KR102370102B1 KR102370102B1 (ko) | 2022-03-07 |
Family
ID=7573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7652A KR102370102B1 (ko) | 2019-10-15 | 2019-10-15 |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010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1691B1 (ko) | 2022-11-10 | 2023-12-07 | 정금시 | 재생 펠릿 생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생 펠릿 생산 방법 |
KR102635857B1 (ko) | 2022-12-15 | 2024-02-15 | 주식회사 그린피앤피 | 재생 펠릿을 이용한 파형관 제조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4294U (ko) * | 1998-10-30 | 1999-01-25 | 이의근 | 케이블 보호관 |
JP2018096481A (ja) * | 2016-12-14 | 2018-06-21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ルゲートクランプ及びコルゲートクランプの組付方法 |
-
2019
- 2019-10-15 KR KR1020190127652A patent/KR1023701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4294U (ko) * | 1998-10-30 | 1999-01-25 | 이의근 | 케이블 보호관 |
JP2018096481A (ja) * | 2016-12-14 | 2018-06-21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ルゲートクランプ及びコルゲートクランプの組付方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1691B1 (ko) | 2022-11-10 | 2023-12-07 | 정금시 | 재생 펠릿 생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생 펠릿 생산 방법 |
KR102635857B1 (ko) | 2022-12-15 | 2024-02-15 | 주식회사 그린피앤피 | 재생 펠릿을 이용한 파형관 제조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70102B1 (ko) | 2022-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I101498B (fi) | Muhviliitos muoviputkia varten | |
KR20210044466A (ko) |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 |
JPH08219333A (ja) | 合成樹脂波形管 | |
US20110061760A1 (en) | Conduits and coupling systems for trenchless applications | |
EP4145033A1 (en) | A tubular assembly, components for forming a tubular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the components | |
CN215185608U (zh) | 电缆管道空孔封堵装置 | |
JP5841496B2 (ja) | さや管補強部材およびロータス管 | |
JP3505377B2 (ja) | ケーブル布設用管路材 | |
JP5787814B2 (ja) | 保護部材およびダクトスリーブ | |
JP7474098B2 (ja) | ケーブル保護管 | |
JPH0139984Y2 (ko) | ||
KR102641813B1 (ko) |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 | |
JP7222143B1 (ja) | 管路の耐震構造 | |
WO2002054553A2 (en) | Cable installations and components therefor | |
WO2023152842A1 (ja) | 埋設管及び埋設管の防護方法 | |
CN215185609U (zh) | 电缆管道空孔封堵器 | |
JP7417436B2 (ja) | 六角形セグメント | |
JP3047714U (ja) | 地中埋設配線用スライド管の防水パッキング兼ストッパー装置 | |
JPH0712793Y2 (ja) | 耐震用推進管の継手部構造 | |
JP2005020921A (ja) | 接続用継手 | |
KR100597276B1 (ko) |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 | |
JP4647157B2 (ja) | 係止部材、吊り部材および防護工法 | |
JP6357333B2 (ja) | ダクトスリーブ | |
JP3098159B2 (ja) | 可撓構造の管路 | |
KR100270336B1 (ko) | 맨홀용 연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