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813B1 -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 - Google Patents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813B1
KR102641813B1 KR1020230044426A KR20230044426A KR102641813B1 KR 102641813 B1 KR102641813 B1 KR 102641813B1 KR 1020230044426 A KR1020230044426 A KR 1020230044426A KR 20230044426 A KR20230044426 A KR 20230044426A KR 102641813 B1 KR102641813 B1 KR 102641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eripheral surface
pipe
bending
ben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드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드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드아이
Priority to KR1020230044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01Bends; Siphons made of metal
    • F16L43/002Bends; Siphons made of metal and formed from sheet having a circular pass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16L1/036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the pipes being composed of sections of short l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5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for underground pipe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단열재(120)가 감싸진 내부 케이싱(120)(130); 상기 내부 케이싱(120)(130)에 결합되어 상기 단열재(120)를 감싸는 외부 케이싱(120)(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Piping casing structure}
본 발명은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싱의 꺾이는 영역을 단면이 타원이 되도록 하여 케이싱 내측 공간을 더 크게 확보한 새로운 구성의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거나 지중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배관은 다수개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배관 경로상의 지상 환경 내지 지중 환경은 매우 다양한데, 도로와 같이 하중의 변화와 진동이 심한 곳에서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배관을 보호하기 위하여 배관을 둘러싸는 케이싱을 설치하고 있다. 배관이 보다 큰 지름의 강재 원형관으로 제작된 케이싱을 관통하는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고, 배관의 외주면에는 단열재를 설치하여 배관과 케이싱 사이를 절연하게 된다.
다시 말해,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 내측에 보온 케이싱이 배관을 둘러싸고 배치되어, 동파를 방지하고, 뜨거워진 배관을 사람이 직접 터치하지 못하도록 하게 된다. 케이싱 내측에 배관이 위치하고 케이싱과 배관 사이에는 보온재가 배치된다.
이때, 도 1에서와 같이, 케이싱(12)이 꺾이는 영역에서 배관(11)의 외주면에 보온재가 들어가는 공간확보를 하기 위하여 케이싱(12)을 제작하기도 하였는데,기존의 케이싱(12)의 경우 돌출된 부분(12P)으로 인하여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만큼 케이싱(12)의 시공시 제약이 따르는 문제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17854호(2019년08월28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2278222호(2021년07월12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048867호(2011년07월06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2153444호(2020년09월02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싱의 꺾이는 영역을 단면이 타원이 되도록 하여 케이싱 내측 공간을 더 크게 확보하고 시공시 주변 환경으로 인하여 제약이 따르는 경우를 방지하는 새로운 구성의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11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꺾이는 부분이 단면으로 볼 때에 타원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배관(11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케이싱(120); 상기 케이싱(120)에 구비되어 방향이 꺾이는 벤딩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벤딩부(122)가 단면이 타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배관(110)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싱(120)의 내주면 사이에 공간이 확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벤딩부(122)는 상기 케이싱(120)의 일부를 일정 각도로 절곡하여 형성되며, 상기 벤딩부(122)는 단면으로 볼 때에 Y축 방향의 직경(D2)가 X축 방향의 직경(D1)에 비하여 더 크게 이루어져서 상기 벤딩부(122)가 단면으로 볼 때에 타원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과 달리 케이싱의 꺾이는 부분인 벤딩부에서 돌출된 부분이 생기지 않아서 케이싱의 돌출된 부분으로 인하여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를 해결한 효과가 있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를 해결한 만큼 케이싱의 시공시 제약이 따르는 문제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싱의 벤딩부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관과 케이싱 및 벤딩부 서포트 프레임 사이에 보온재가 충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의 벤딩부를 형성하기 의한 케이싱 슬리브 모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케이싱 슬리브 모재를 절곡시켜서 형성된 케이싱과 배관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다른 주요부인 코어 서포트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는 배관(11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꺾이는 부분이 단면으로 볼 때에 타원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관(11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케이싱(120); 상기 케이싱(120)에 구비되어 방향이 꺾이는 벤딩부(1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벤딩부(122)가 단면이 타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배관(110)의 외주면과 케이싱(120)의 내주면 사이에 공간이 확장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과 달리 돌출된 부분이 생기지 않아서 돌출된 부분으로 인하여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를 해결한 효과가 있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를 해결한 만큼 케이싱(120)의 시공시 제약이 따르는 문제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주요부인 케이싱(120)에서 돌출된 부분이 생기면, 배관(110)과 케이싱(120)이 설치되는 주변 물품(예를 들어, 건물의 천정 슬라브나 덕트 등의 물품)에 케이싱(120)에 꺾이는 부분에 생기는 돌출부가 걸리게 되어서 배관(110)과 케이싱(120)의 설치시 제약이 있게 되지만, 본 발명은 케이싱(120)에서 돌출된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케이싱(120)에서 벤딩부(122)를 타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배관(110)과 케이싱(120)이 설치되는 주변 물품(예를 들어, 건물의 천정 슬라브나 덕트 등의 물품)에 케이싱(120)에 꺾이는 부분에 생기는 돌출부가 걸리게 되는 경우가 없게 되므로, 배관(110)과 케이싱(120)의 설치시 제약이 있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케이싱(120)에서 꺾이는 부분을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케이싱(120) 내측 공간을 더 넓혀줄 수 있고, 케이싱(120)의 더 넓어진 내측 공간에 그만큼 더 두꺼운 두께로 보온재(124)를 충전할 수 있으므로, 배관(110)의 보온 효과를 더 높여주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벤딩부(122)는 상기 케이싱(120)의 일부를 일정 각도로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벤딩부(122)는 단면으로 볼 때에 Y축 방향의 직경(D2)가 X축 방향의 직경(D1)에 비하여 더 크게 이루어져서 상기 벤딩부(122)가 단면으로 볼 때에 타원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싱(120)를 형성하기 위한 케이싱(120) 슬리브 모재를 Y축 방향에서 X축 방향으로 내리 눌러서 절곡할 때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작은 X축 방향으로 케이싱(120) 슬리브 모재를 누르는 힘에 저항하는 케이싱(120) 슬리브 모재 자체의 저항력이 상대적으로 더 낮아지게 되므로, 상기 케이싱(120) 슬리브 모재를 절곡하여 상기 케이싱(120)에서 꺾이는 부분인 상기 벤딩부(122)를 형성하는 과정이 보다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싱의 벤딩부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관과 케이싱 및 벤딩부 서포트 프레임 사이에 보온재가 충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의 벤딩부를 형성하기 의한 케이싱 슬리브 모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케이싱 슬리브 모재를 절곡시켜서 형성된 케이싱과 배관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다른 주요부인 코어 서포트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케이싱(120)에서 꺾이는 부분인 벤딩부(122)를 형성하기 위한 케이싱(120) 슬리브 모재의 외주면 일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벤딩 가이드홈(1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케이싱(120)를 형성하기 위한 케이싱(120) 슬리브 모재를 Y축 방향에서 X축 방향으로 내리 눌러서 절곡할 때에 상기 벤딩 가이드홈(132)으로 인하여 케이싱(120) 슬리브 모재가 더 원활하고 쉽게 절곡되기 때문에, 상기 케이싱(120)에 벤딩부(122)를 형성하는 과정이 보다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케이싱(120)를 형성하기 위한 케이싱(120) 슬리브 모재를 Y축 방향에서 X축 방향으로 내리 눌러서 절곡할 때에 복수개의 벤딩 가이드홈(132)이 다른 부분보다 더 잘 늘어나고 눌려지기 때문에, 상기 케이싱(120) 슬리브 모재를 Y축 방향에서 X축 방향으로 내리 누르는 힘이 상대적으로 덜 들어가면서도 벤딩 공정은 보다 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케이싱(120)에 벤딩부(122)를 형성하는 과정이 보다 더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링형 코어 프레임편(142)의 내주면에 복수개의 코어 스트랩(144)이 연결되어 구성된 벤딩부 서포트 프레임(1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벤딩부 서포트 프레임(140)이 상기 배관(110)의 외주면과 케이싱(12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배관(110)과 케이싱(120)이 항상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게 되므로, 케이싱(120) 설치 구조가 더욱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링형 코어 프레임편(142)의 외주면은 케이싱(120)의 내주면을 받쳐서 지지하고, 복수개의 코어 스트랩(144)과 링형 코어 프레임(142)의 내주면은 배관(110)의 외주면을 받쳐서 지지하게 된다. 이때, 복수개의 상기 코어 스트랩(144)은 연성이 있는 스트랩(즉, 휘어질 수 있는 스트랩)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벤딩부 서포트 프레임(140)을 상기 배관(110)의 외주면과 케이스의 내주면 사이의 벤딩부(122) 내부로 투입할 때에 복수개의 상기 코어 스트랩(144)이 배관(110)의 외주면과 케이싱(120) 내주면의 곡선형 스페이스를 따라 원활하게 휘어지기 때문에 상기 상기 벤딩부 서포트 프레임(140)을 상기 배관(110)의 외주면과 케이스의 내주면 사이의 벤딩부(122) 내부로 투입하는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관(110)의 외주면과 벤딩부 서포트 프레임(140)과 상기 케이싱(12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마다 보온재(124)를 충전하여 벤딩부 서포트 프레임(140)에 의해 보온재(124)를 지지하는 기능도 하기 때문에, 배관(110)과 케이싱(120) 사이에 충전되는 보온재(124)가 더욱 안정적으로 배관(110)과 케이싱(12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120)의 내주면과 배관(110)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코어 서포트 프레임(1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코어 서포트 프레임(150)은 서로 나란한 복수개의 코어 서포트 스트랩(154)이 복수개의 나란한 코어 서포트 링체(152)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개의 상기 코어 서포트 스트랩(154)은 상기 배관(110)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복수개의 상기 코어 서포트 링체(152)의 외주면은 상기 케이싱(120)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 서포트 프레임(150)이 상기 배관(110)의 외주면과 케이싱(12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된다. 물론, 코어 서포트 스트랩(154)과 배관(110)의 외주면과 케이싱(120)의 내주면 사이에 보온재(124)가 충전된다.
따라서, 상기 코어 서포트 프레임(150)이 배관(110)과 케이싱(120)을 받쳐주어서 배관(110)의 외주면에서 항상 일정한 간격으로 케이싱(120)이 배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므로 배관(110)에 작업자 등의 신체가 직접 접촉되는 경우를 더욱 획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110)과 케이싱(120) 사이의 결합 지지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구현 가능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배관 120SM. 케이싱 슬리브 모재
120. 케이싱 122. 벤딩부
124. 보온재 132. 벤딩 가이드홈
140. 벤딩부 서포트 프레임 142. 링형 코어 프레임편
144. 코어 스트랩 150. 코어 서포트 프레임
152. 코어 서포트 링체 154. 코어 서포트 스트랩

Claims (3)

  1. 배관(11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꺾이는 부분이 단면으로 볼 때에 타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관(11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케이싱(120);
    상기 케이싱(120)에 구비되어 방향이 꺾이는 벤딩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벤딩부(122)가 단면이 타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배관(110)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싱(120)의 내주면 사이에 공간이 확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벤딩부(122)는 상기 케이싱(120)의 일부를 일정 각도로 절곡하여 형성되며, 상기 벤딩부(122)는 단면으로 볼 때에 Y축 방향의 직경(D2)가 X축 방향의 직경(D1)에 비하여 더 크게 이루어져서 상기 벤딩부(122)가 단면으로 볼 때에 타원형으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링형 코어 프레임편(142)의 내주면에 복수개의 코어 스트랩(144)이 연결되어 구성된 벤딩부 서포트 프레임(1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 서포트 프레임(140)이 상기 배관(110)의 외주면과 케이싱(12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배관(110)과 케이싱(120)이 항상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고,
    상기 배관(110)의 외주면과 벤딩부 서포트 프레임(140)과 상기 케이싱(12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마다 보온재(124)를 충전하며,
    상기 케이싱(120)에서 꺾이는 부분인 벤딩부(122)를 형성하기 위한 케이싱(120) 슬리브 모재의 외주면 일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벤딩 가이드홈(1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
  2. 삭제
  3. 삭제
KR1020230044426A 2023-04-04 2023-04-04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 KR102641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426A KR102641813B1 (ko) 2023-04-04 2023-04-04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426A KR102641813B1 (ko) 2023-04-04 2023-04-04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813B1 true KR102641813B1 (ko) 2024-02-28

Family

ID=90052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426A KR102641813B1 (ko) 2023-04-04 2023-04-04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81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1679A (ja) * 1994-10-19 1996-05-17 Inoac Corp 配管カバーの継手
KR101048867B1 (ko) 2008-11-12 2011-07-13 덕원이엔티 주식회사 에어커튼을 이용한 이중덕트형 환기장치
KR20130059799A (ko) * 2011-11-29 2013-06-07 이종태 보호관이 구비된 배관
KR102017854B1 (ko) 2019-01-24 2019-09-03 손정환 리턴식 이중덕트형 냉온풍 순환 시스템
KR102153444B1 (ko) 2018-11-09 2020-09-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중덕트를 이용한 실외기실의 환기시스템
KR20200107475A (ko) * 2019-03-08 2020-09-16 주식회사 대원인듀스트릴 배관 보호용 지지대 일체형 배관 커버
KR102278222B1 (ko) 2019-07-16 2021-07-16 전희준 미세먼지 저감형 흡배기 이중덕트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1679A (ja) * 1994-10-19 1996-05-17 Inoac Corp 配管カバーの継手
KR101048867B1 (ko) 2008-11-12 2011-07-13 덕원이엔티 주식회사 에어커튼을 이용한 이중덕트형 환기장치
KR20130059799A (ko) * 2011-11-29 2013-06-07 이종태 보호관이 구비된 배관
KR102153444B1 (ko) 2018-11-09 2020-09-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중덕트를 이용한 실외기실의 환기시스템
KR102017854B1 (ko) 2019-01-24 2019-09-03 손정환 리턴식 이중덕트형 냉온풍 순환 시스템
KR20200107475A (ko) * 2019-03-08 2020-09-16 주식회사 대원인듀스트릴 배관 보호용 지지대 일체형 배관 커버
KR102278222B1 (ko) 2019-07-16 2021-07-16 전희준 미세먼지 저감형 흡배기 이중덕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30303A (en) Composite tubing structure
KR101212120B1 (ko) 이중배관
JP2015094091A (ja) 地下構造物用の可撓継手の耐火構造
JP2006514249A (ja) 管状の穴と管との間の空間を封止するシステム
KR102641813B1 (ko)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
KR102370102B1 (ko)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JP2006249721A (ja) 二重可撓継手の取付構造
JP2017106304A (ja) セグメント
JP2023014156A (ja) 配管支持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26405B1 (ko) 배수로관연결장치
JP4743725B1 (ja) ライニング体及びそれを用いたライニング構造物
JP2004169741A (ja) 断熱二重管における内管保持装置
KR100550294B1 (ko) 하수도용 신축관
JP7222143B1 (ja) 管路の耐震構造
KR200470403Y1 (ko)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CN212718633U (zh) 一种钢带波纹管
JP2012016121A (ja) ケーブル用導管
KR101307487B1 (ko) 락볼트
JP5566951B2 (ja) 樹脂配管の分岐構造およびこの形成方法
KR200251627Y1 (ko) 지하구조물 배관용 방수 슬리브
JP6246145B2 (ja) マンホールの継手構造及びマンホールとその施工方法
CZ338692A3 (en) Wall leadthrough
JP2016056855A (ja) 配管モジュールおよび貫通部構造
KR200299416Y1 (ko) 이중보온관의 벽체통과구조
JP6761169B2 (ja) コンクリート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