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416Y1 - 이중보온관의 벽체통과구조 - Google Patents

이중보온관의 벽체통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416Y1
KR200299416Y1 KR2020020029007U KR20020029007U KR200299416Y1 KR 200299416 Y1 KR200299416 Y1 KR 200299416Y1 KR 2020020029007 U KR2020020029007 U KR 2020020029007U KR 20020029007 U KR20020029007 U KR 20020029007U KR 200299416 Y1 KR200299416 Y1 KR 2002994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all
exterior
outsid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장선
Original Assignee
황장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장선 filed Critical 황장선
Priority to KR2020020029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4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4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416Y1/ko

Links

Landscapes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보온관의 벽체통과구조에 관한 것으로, 외관(30)의 외부로 열팽창이나 수축에 의한 신축량을 흡수하기 위한 슬리브관(40)과 열수축시트(44)를 설치하여 제작이 간단하고 지하나 지상 벽체(60)에 매설시에 파손염려가 없어 작업성과 제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내관(10)과 외관(30)의 사이에 일정한 두께의 보온층(20)이 형성되어 상기 내관(10)으로 유체가 이송되는 이중보온관에 있어서, 상기 외관(30) 외부에 끼워지는 슬리브관(40)은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슬리브플레이트(42)에 의해 그 일측이 벽 내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외관(30) 외부에 접착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관(40) 외주면에는 외관(30)의 신축을 흡수하는 열수축시트(44)가 감싸지면서 그 일부가 접착되며, 상기 열수축시트(44) 외부에 감싸진 폼패드(50)를 고정시키도록 그 외주면에 고정밴드(52)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보온관의 벽체통과구조 {A wall passing structure of a double insulation pipe}
본 고안은 맨홀 벽체나 콘크리트 벽체를 통과할 때 사용되는 이중보온관의 벽체통과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의 외부로 벽체를 관통하면서 벽에 접촉고정되는 슬리브관과 상기 슬리브관 외부의 열수축시트에 의해 외관의 열팽창이나 수축으로 인한 신축을 흡수할 수 있어 제작 및 시공하기 용이하며 파손염려가 없는 이중보온관의 벽체통과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은 부정형의 유체를 이송시키는 안내부재로서 그 재질에 따라 강관, 동관, 주철관 및 합성수지관으로 크게 나누어지며, 고온의 유체를 이송시킬 때에는 주로 강관이 사용되고 이송대상물의 온도범위에 따라 동관, 주철관, 수지관 등이 사용된다.
또한 고온의 유체를 이송할 때 사용되는 이중보온관은 주로 강관인 내관과 폴리에틸렌 또는 아스팔트 코팅된 강관 재질의 외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에 단열을 위한 보온층과 진공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이중보온관에서 고온의 유체이송시 내관과 외관의 열팽창이나 수축이 축방향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유체에 접촉되는 상기 내관은 상기 외관에 비해 열팽창량이나 수축량이 상대적으로 크게 되며, 이는 외관의 경우 보온층과 진공층에 의해 온도전달이 차단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관과 외관의 열팽창량이나 수축량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벨로우즈관이 설치되는데, 상기 벨로우즈관은 양단이 각각 내관과 외관에 고정되어 그 일측은 내관을 따라 이동되고 그 타측은 외관에 고정되어 중간의 벨로우즈가 상기 내관과 외관의 팽창량이나 수축량의 차이만큼 팽창 또는 수축되면서 이동되는 구조로구성된다.
그런데 이중보온관이 지하매설 배관시 맨홀 벽체를 통과하거나 지상시공시 콘크리트 벽체를 통과할 때, 상기 이중보온관의 일단에 설치되는 벽체통과부재에 외관의 열팽창량이나 수축량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에 설명한 벨로우즈관을 설치할 경우, 지하매설에 의해 상기 벨로우즈관이 손상되기 쉽고 작업성이 좋지 않으므로 공사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관의 외부로 열팽창이나 수축에 의한 신축량을 흡수하기 위한 슬리브관과 열수축시트를 설치하여 제작이 간단하고 지하나 지상 벽체에 매설시에 파손염려가 없어 작업성과 제작성이 향상된 이중보온관의 벽체통과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벽체통과구조에 의한 이중보온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이중보온관이 벽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보온관의 요부절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벽체통과부재 10 : 내관
20 : 보온층 30 : 외관
40 : 슬리브관 42 : 슬리브플레이트
44 : 열수축시트 46 : 유동접착제
48 : 외관신축흡수부 50 : 폼패드
52 : 고정밴드 60 : 벽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이중보온관의 벽체통과구조는 내관과 외관의 사이에 일정한 두께의 보온층이 형성되어 상기 내관으로 유체가 이송되는 이중보온관에 있어서, 상기 외관 외부에 끼워지는 슬리브관은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슬리브플레이트에 의해 그 일측이 벽 내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외관 외부에 접착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관 외주면에는 외관의 신축을 흡수하는 열수축시트가 감싸지면서 그 일부가 접착되며, 상기 열수축시트 외부에 감싸진 폼패드를 고정시키도록 그 외주면에 고정밴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수축시트는 열팽창이나 수축에 의한 외관의 이동량을 흡수하도록 그 일측이 상기 슬리브관에, 타측은 상기 외관에 각각 접착되는 외관신축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열수축시트는 그 외부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유동접착제가 도포된 2중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보온관의 개략적인 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이중보온관이 벽체에 설치된 상태의 벽체통과구조를 단면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벽체통과구조에 의한 이중보온관의 요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보온관이 지하매설 배관시 맨홀 벽체를 통과하거나 지상시공시 콘크리트 벽체를 통과할 때 설치되는 벽체통과구조는 유체가 이송되는 내관(10)과 외관(30) 사이에 일정한 두께의 보온층(20)이 형성된 이중보온관에서, 상기 외관(30) 외부로 끼워지며 벽체(60)를 관통하면서 벽에 직접 접촉고정되는 슬리브관(40)과, 상기 외관(30)의 신축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관(40)의 외부를 감싸는 열수축시트(44)와, 상기 열수축시트(44) 외부를 감싸며 그 외주면에서 고정밴드(52)로 묶여지는 폼패드(50)로 구성된다.
또한 외관(30) 외부에 끼워지는 슬리브관(40)은 벽체(60)에 직접 접촉되어이중보온관으로부터의 열팽창이 벽체(6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외부로부터의 누수를 차단하며, 그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슬리브플레이트(42)가 벽체(60)에 끼워져 열팽창이나 수축에 의한 외관(30)의 움직임에도 벽체(60)와의 접착이 유지되게 한다.
즉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슬리브관(40)의 일측은 슬리브플레이트(42)에 의해 벽체(60)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그 타측은 매스틱(Mastics)과 같은 유동접착제(46)에 의해 외관(30)에 접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열팽창이나 수축에 의한 외관(30)의 이동과 동시에 상기 슬리브관(40)이 미끄러지므로 벽체(60)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이중보온관의 벽체 통과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외관(30) 외부를 감싸는 열수축시트(44)는 도시가스관, 지역난방관 및 상수도관과 같은 코팅강관의 연결부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외관(30)의 신축시 그 이동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그 외부는 가열시 수축되며 신축력이 있는 가교화 폴리에틸렌(Cross Linking Polyethylene)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는 매스틱(Mastics)과 같은 유동접착제(46)가 도포된 2중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열수축시트(44)의 일부에 구성된 외관신축흡수부(48)는 그 일측이 슬리브관(40)에 타측은 외관(30)에 각각 유동접착제(46)로 접착되어, 열팽창이나 수축에 의한 외관(30)의 이동시에 상기 외관신축흡수부(48)가 신축되면서 그 이동량을 흡수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아울러 열수축시트(44) 외부를 감싸는 폼패드(50)는 열수축시트(44)와 유동접착제(46)의 이동이 원활할 수 있도록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지하매설시 토압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탄력성이 있는 스폰지 형태이며 가공된 폴리에틸렌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폼패드(50)는 그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고정밴드(52)에 의해 이중보온관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밴드(52)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벽체통과구조에 의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는 그 내관(10)과 외관(30)에 기존의 이중보온관의 내관(10)과 외관(30)을 각각 용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본 고안의 벽체통과부재(100)에 형성된 슬리브관(40)의 슬리브플레이트(42)가 벽체(60)의 내부에 위치하여 고정되도록 맨홀의 벽체(60)나 콘크리트 벽체(60)를 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이중보온관의 벽체통과구조에 의하면, 열팽창이나 수축에 의한 외관의 신축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외관의 외부로 슬리브관과 열수축시트가 설치되므로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작이 간단한 것은 물론, 지하의 콘크리트 맨홀 벽체나 지상의 콘크리트 벽체에 매설시에 기존의 벨로우즈관 구조와는 달리 파손염려가 없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3)

  1. 내관(10)과 외관(30)의 사이에 일정한 두께의 보온층(20)이 형성되어 상기 내관(10)으로 유체가 이송되는 이중보온관에 있어서,
    상기 외관(30) 외부에 끼워지는 슬리브관(40)은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슬리브플레이트(42)에 의해 그 일측이 벽 내부에 고정되면서 타측이 상기 외관(30) 외부에 접착되고, 상기 슬리브관(40) 외주면에는 외관(30)의 신축을 흡수하는 열수축시트(44)가 감싸지면서 그 일부가 접착되며, 상기 열수축시트(44) 외부에 감싸진 폼패드(50)를 고정시키도록 그 외주면에 고정밴드(52)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보온관의 벽체통과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시트(44)는 열팽창이나 수축에 의한 외관(30)의 이동량을 흡수하도록 그 일측과 타측이 상기 슬리브관(40)과 상기 외관(30)에 각각 접착되는 외관신축흡수부(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보온관의 벽체통과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시트(44)는 그 외부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유동접착제(46)가 도포된 2중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보온관의 벽체통과구조.
KR2020020029007U 2002-09-27 2002-09-27 이중보온관의 벽체통과구조 KR2002994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007U KR200299416Y1 (ko) 2002-09-27 2002-09-27 이중보온관의 벽체통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007U KR200299416Y1 (ko) 2002-09-27 2002-09-27 이중보온관의 벽체통과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416Y1 true KR200299416Y1 (ko) 2002-12-31

Family

ID=7307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007U KR200299416Y1 (ko) 2002-09-27 2002-09-27 이중보온관의 벽체통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4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7786B2 (ja) 下水管路
KR100261323B1 (ko)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RU72038U1 (ru) Термогидроизолированный сильфонный компенсатор
US5527070A (en) Damage protection for in-ground pipe founded in expansive soils
JP5199164B2 (ja) マンホールと更生管との接続構造およびその接続方法
KR200299416Y1 (ko) 이중보온관의 벽체통과구조
JPS62122738A (ja) パイプ構造体,パイプ用のライニングおよびパイプのライニング方法
US4645243A (en) Insulated iron pipe joint
JPH08109672A (ja) 既設管渠における継目部の更生工法及びその工法に使用する更生用被覆体
RU2703897C1 (ru) Способ теплоизоляции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1059613B1 (ko) 흄관 연결부의 누수방지장치
JP2006037981A (ja) プラスチック管の接続部
KR100550294B1 (ko) 하수도용 신축관
KR100656876B1 (ko) 열팽창 보상용 배관시스템
KR200151434Y1 (ko) 지하 매설용 신축관
JP3098160B2 (ja) 可撓構造の管路
KR100321597B1 (ko)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200425931Y1 (ko) 관 연결구조
JPH0326767Y2 (ko)
JPH05141591A (ja) 断熱二重管の継手構造
KR20060126123A (ko) 관로의 비굴착 보수부재용 고무시트
KR100720063B1 (ko) 관로 갱생용 합성관의 제조 방법
KR100651210B1 (ko) 가스관 연결장치
KR200191982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77317Y1 (ko) 가변곡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