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323B1 -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 Google Patents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323B1
KR100261323B1 KR1019980012657A KR19980012657A KR100261323B1 KR 100261323 B1 KR100261323 B1 KR 100261323B1 KR 1019980012657 A KR1019980012657 A KR 1019980012657A KR 19980012657 A KR19980012657 A KR 19980012657A KR 100261323 B1 KR100261323 B1 KR 100261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ner tube
steel pipe
exterior
double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9841A (ko
Inventor
방관수
Original Assignee
방관수
대경철강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5360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6132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방관수, 대경철강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방관수
Priority to KR1019980012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1323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16L51/025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with several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1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 F16L59/02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with a single sl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온/보냉용 이중강관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온도의 유체가 이송되는 강관으로 이루어진 내관(4)과, 상기 내관(4)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두께로 감싸져서 내관(4)의 열전도를 방지하도록 구비된 단열재(6)와, 상기 단열재(6)의 외주면 상,하측에 고정되어 구비된 클램프부재(8)와, 상기 클램프부재(8)의 외주면에는 열손실을 방지하도록 감싸져서 구비된 보온재(16)와, 상기 클램프부재(8)의 외주면 일측에는 내관(4)의 열팽창시 내관(4)의 움직임을 유도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배관써포트(18)와, 상기 배관써포트(18)의 일측이 그 내주면에 접하고, 강관으로 된 외관(30)으로 이루어진 이중강관(2)을 형성하고, 상기 이중강관(2)에는 이 이중강관(2)의 시공에 요구되는 관 말단부 연결부재(40)와, 벽체 통과부재(60), 고정부재(9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이중강관은 일정한 온도의 유체를 열손실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이송하게 되고, 배관의 매설시 공동구를 설치하지 않고 직접 매설할 수 있으며, 기타 설비 즉, 관 말단부 연결부재와 벽체 통과부재, 고정부재가 용이하게 설치되어 이중강관의 사용범위가 넓어지게 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어 공사비가 절감되며, 열손실이 아주 적어 에너지 이용효율이 높아 운전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본 발명은 보온/보냉용 이중강관(For Keeping Warm And Cool Dual Steel Pip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온도 즉, 고온 또는 저온의 유체를 장거리 이송할 때 사용되는 보온/보냉용 이중강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강관의 보온/보냉방법은 내관(강관)을 배관노선에 따라 시공을 하고, 현장에서 보온재나 단열재로 보온/보냉공사를 하는 방법과 지역난방용으로 쓰이고 있는 이중보온관은 내관인 강관과 외관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관 사이에 폴리우레탄 폼을 발포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내관의 보온/보냉방법중에서 현장보온방법은 반드시 지상에 설치하여야 하며, 부득이 지하에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지면을 파내어 공동구를 만들고 이 공동구안에 배관을 시공하여야 하는데, 이는 보온공사를 위한 작업공간의 확보문제로 공동구가 필요이상으로 커지게 되어 공사비의 증가, 공사기간의 지연은 물론이며, 향후 유지보수를 위하여 배기설비, 전등설치등 부대설비가 필요하고, 내관의 보온을 보온재로만 1차적으로 보온하기 때문에 어느정도 사용 후에는 이 보온재를 통한 열손실이 커지게 되어 에너지 손실이 크게 된다. 또한, 배관의 수명이 10년 이하로 짧기 때문에 잦은 보수로 인한 보수비가 상승되며, 내관의 열팽창과 수축활동에 의한 배관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열팽창 고정장치를 별도 구조물로 설치하여야 하는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지역난방용 이중보온관은 그 사용온도범위가 -10℃∼120℃사이로써 사용폭이 좁고, 폴리우레탄 폼으로 1차적 보온만 함으로써 보온재의 열전도에 따른 열손실량이 많게 되며, 특히 지하매설구간의 경우 수분 침투에 의한 문제점들이 많이 발생되고, 열팽창 고정장치를 별도의 구조물로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온도범위가 극저온에서 600℃까지 사용가능하고, 배관의 매설시 공동구를 설치하지 않고 직접 매설할 수 있으며, 기타 설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단열재와 보온재가 구비되고,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을 진공층으로 유지시켜 열손실을 극소화하여 에너지의 이용효율을 높이는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보온/보냉용 이중강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일정한 온도의 유체가 이송되는 강관으로 이루어진 내관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두께로 감싸져서 내관의 열전도를 방지하도록 구비된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외주면 상,하측에 고정되어 구비된 클램프부재와, 상기 클램프부재의 외주면에는 열손실을 방지하도록 감싸져서 구비된 보온재와, 상기 클램프부재의 외주면 일측에는 내관의 열팽창시 내관의 움직임을 유도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배관써포트와, 상기 배관써포트의 일측이 그 내주면에 접하고, 강관으로 된 외관으로 이루어진 이중강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중강관의 보온재와 외관 사이의 공간부에는 대류현상으로 인한 열전도를 방지하여 보온 및 보냉효과를 얻도록 진공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중강관의 일단에 내관과 외관으로 이루어진 보온/보냉용 관 말단부 연결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관 말단부 연결부재의 외관 일측에는 이중강관의 진공층이 유지되도록 배관의 설치후에 진공층으로 유입된 공기를 빼내도록 구비된 통기구와, 상기 통기구와 이격된 외관의 일측에는 배관시공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이중강관의 내관과 외관 사이로 유입된 물을 배출시키도록 구비된 배출구와,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는 내관의 열팽창이나 수축시 발생되는 팽창량이나 수축량을 흡수하여 진공층이 일정한 진공압력으로 유지되도록 구비된 벨로우즈관과, 상기 벨로우즈관의 내측과 외관의 내측에는 내관에 흐르는 일정한 온도의 유체의 열손실을 방지하도록 내관의 외주면에 감싸져 구비된 보온재로 이루어진 관 말단부 연결부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중강관의 지하매설 배관시 맨홀벽체나 지상시공시 콘크리트 벽체를 통과할 시 이중강관의 일단에 연결되는 내관과 외관으로 이루어진 보온/보냉용 벽체 통과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통과부재의 외관 일측에는 이중강관의 진공층이 유지되도록 배관의 설치후에 진공층으로 유입된 공기를 빼내도록 구비된 통기구와, 상기 통기구와 이격된 외관의 일측에는 배관시공도중에 이중강관의 내관과 외관 사이로 유입된 물을 배출시키도록 구비된 배출구와, 상기 통기구와 배출구에 소정거리 이격된 외관의 외주면에는 벽체를 관통하여 벽에 직접 접촉되도록 구비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일단에는 외관의 미세한 열팽창에 의하여 벽체의 손상을 방지하고, 물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외관과 슬리브를 완전차단시키도록 구비된 외관신축흡수부와, 상기 외관에 그 일측이 삽입되어 내관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이 내관의 열팽창이나 수축시 발생되는 팽창량이나 수축량을 흡수하여 진공층이 일정한 진공압력으로 유지되도록 구비된 벨로우즈관과, 상기 벨로우즈관의 내측과 외관의 내측에는 내관에 흐르는 일정한 온도의 유체의 열손실을 방지하도록 내관의 외주면에 감싸져 구비된 보온재로 이루어진 벽체 통과부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중강관의 내관이 팽창이나 수축시 발생되는 팽창력이나 수축력이 열팽창.수축 보상장치측으로 작용되도록 내관과 외관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부재의 외관 내측에는 그 중앙부로 내관이 관통되며, 이 내관의 외주면과 외관의 내주면에 이격되고, 그 일측이 절개되어 구비된 외관용플레이트와, 상기 외관용플레이트의 전,후면 일측에는 외관의 내주면에 그 일측이 고정되면서 외관용플레이트를 압압하여 고정시키도록 구비된 다수의 외관용브라켓과, 상기 외관용플레이트의 전,후면에는 열전도를 차단하도록 구비된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일면에 구비되어 이 단열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관용플레이트와, 상기 내관용플레이트의 전,후면 일측에는 내관의 외주면에 그 일측이 고정되면서 내관용플레이트를 압압하여 고정시키도록 구비된 다수의 내관용브라켓과, 상기 내관용브라켓 사이에는 내관의 열전도를 차단하도록 내관의 외주면에 감싸져 구비된 보온재로 이루어져 열팽창력이나 수축력을 지지하도록 된 고정부재(Anchor)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1본(本)을 도시한 반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부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강관에 구비되는 관 말단부 연결부재를 도시한 반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강관의 벽체 통과시에 구비되는 벽체 통과부재를 도시한 반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강관에 구비되는 열팽창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D-D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이중강관 4: 내관
6: 단열재 8: 클램프부재
10: 체결부 12: 볼트
14: 너트 16: 보온재
18: 배관써포트 20: 러그
22: 체결핀 24: 로울러
26: 진공층 28: 누수감지부
30: 외관 40: 관 말단부 연결부재
42: 내관 44: 벨로우즈관(Bellows Pipe)
46a,46b: 링플레이트 48,50: 보온재
52: 외관 54a: 통기구
54b: 배출구 60: 통과부재
62: 내관 64: 벨로우즈관
66a,66b,66c: 링플레이트 68,70: 보온재
72: 외관 74a: 통기구
74b: 배출구 76: 슬리브(Sleeve)
78: 외관신축흡수부 80: 탄성링
82: 워터스토퍼(Water Stopper) 90: 고정부재(Anchor)
92: 내관 94: 보온재
96: 외관용플레이트 98: 단열재
100: 내관용플레이트 102: 내관용브라켓
104: 외관용브라켓 106: 외관
120: 벽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1본(本)을 도시한 반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부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온도의 유체를 목적지까지 열손실을 방지하면서 이송시켜 주는 이중강관(2)은 일정한 온도의 유체가 흐르게 되는 강관의 내관(4)을 구비하고, 상기 내관(4)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두께로 감싸져서 내관(4)의 열전도를 방지하는 단열재(6)가 구비되며, 상기 단열재(6)의 외주면 상,하측에는 클램프부재(8)가 구비되어 체결된다.
상기 클램프부재(8)의 양단에는 각각 돌출된 체결부(10)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0)에는 볼트(12)가 삽입되어 너트(14)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클램프부재(8)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부재(8)의 외주면에는 열손실을 방지하는 보온재(16)가 감싸져 구비되고, 상기 클램프부재(8)의 외주면에는 90도 각도로 이격된 4방향형의 배관써포트(18)가 구비되어 내관(4)에 흐르는 일정한 온도의 유체에 의해 내관(4)의 열팽창시 내관(4)의 움직임을 원활히 유도하게 되며, 상기 배관써포트(18)의 일측은 강관으로 이루어진 외관(3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배관써포트(18)는 내관(4)내에 흐르는 일정한 온도의 유체에 의해 열팽창시 내관(4)의 움직임을 원활히 유도하여 내관(4)과 외관(3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여 후술되는 진공층(26)을 일정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내관(4)의 외주면에 구비된 보온재(16)를 내관(4)의 자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클램프부재(8)의 외주면 일측에 러그(20)의 일단을 용접하여 고정시키고, 이 러그(20)의 선단에는 체결핀(2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힌지되며, 내관(4)의 열팽창시 외관(30)의 내주면에 그 일측면이 접하도록 된 로울러(2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관써포트(18)의 형상은 내관(4)의 직경 및 중량에 따라 90도 각도로 이격된 4방향형과 120도 각도로 이격된 3방향형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중강관(2)의 매설시는 외관(30)의 표면에 아스팔트나 폴리에틸렌으로 코팅하여 어뗘한 토양에서도 화학적인 부식이나 전위차에 의한 부식을 방지시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중강관(2)의 보온재(16)와 외관(30) 사이의 공간부에는 대류현상으로 인한 열전도를 방지하여 완벽한 보온 및 보냉효과를 얻도록 된 진공층(26)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층(26)의 일측에는 내관(4)에 흐르는 유체의 누수를 감지하여 내관(4)의 파손부위를 손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 누수감지부(28)가 구비된다.
상기 진공층(26)은 보온재(16)와 외관(30) 사이에 구비된 배관써포트(18)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공간이며, 이 진공층(26)에서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1mbar이하 까지 진공시켜 형성된다.
첨부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강관 말단부에 구비되는 관 말단부 연결부재를 도시한 반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강관(2)의 내관(4)에 밸브 또는 기타 설비를 설치함에 있어서 배관이 이중강관(2)으로는 도저히 설치가 불가능한 부분에 이중강관(2)의 일끝단에 내관(42)과 외관(52)으로 이루어진 보온/보냉용 관 말단부 연결부재(40)를 구비하여 내관(4)과 내관(42), 외관(30)과 외관(52)을 서로 용접하여 설치하게 된다.
상기 관 말단부 연결부재(40)의 외관(52) 일측에는 이중강관(2)의 진공층(26)이 유지되도록 배관의 설치후에 진공층(26)으로 유입된 공기를 빼내기 위해 일반적인 진공펌프(미도시)의 흡입구와 연결되는 통기구(54a)가 용접되어 구비되고, 상기 통기구(54a)의 반대편측의 외관(52) 저면에는 배관시공도중에 이중강관(2)의 내관(4)과 외관(30) 사이로 유입될 수도 있는 물을 배출시키도록 된 배출구(54b)가 용접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관 말단부 연결부재(40)의 내관(42) 외주면에는 내관(4,42)의 열팽창이나 수축시 발생되는 팽창량이나 수축량을 흡수하여 진공층(26)이 일정한 진공압력으로 유지되도록 보호하는 벨로우즈관(44)이 구비된다. 상기 벨로우즈관(44)의 양단에는 이 벨로우즈관(44)을 각각 내관(42)과 외관(52)에 고정시켜 주는 링플레이트(46a,46b)가 구비되는 바, 상기 벨로우즈관(44)의 일단에 구비된 링플레이트(46a)는 벨로우즈관(44)과 내관(42)의 외주면 일측에 용접되어 고정되며, 타단의 링플레이트(46b)는 벨로우즈관(44)의 외주면 일측과 외관(52)의 일단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벨로우즈관(44)의 내측과 외관(52)의 내측에는 내관(42)에 흐르는 일정한 온도의 유체의 열손실을 방지하도록 된 보온재(48,50)가 내관(42)의 외주면에 감싸져 구비된다.
첨부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강관의 벽체 통과시에 구비되는 벽체 통과부재를 도시한 반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강관(2)의 지하매설 배관의 경우 맨홀벽체(120)나 지상시공의 경우 일반 콘크리트 벽체(120)를 통과할 시, 이중강관(2)의 일단에 내관(62)과 외관(72)으로 이루어진 보온/보냉용 벽체 통과부재(60)를 구비하여 내관(4)과 내관(62), 외관(30)과 외관(72)을 서로 용접하여 연결하게 된다.
상기 통과부재(60)의 외관(72) 일측에는 이중강관(2)의 진공층(26)이 유지되도록 배관의 설치후에 진공층(26)으로 유입된 공기를 빼내기 위한 통기구(74a)가 용접되어 구비되고, 상기 통기구(74a)와 이격된 외관(72)의 저면에는 배관시공도중에 이중강관(2)의 내관(4)과 외관(30) 사이로 유입될 수도 있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74b)가 용접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통기구(74a)와 배출구(74b)에 소정거리 이격된 외관(72)의 외주면에는 벽체(120)를 관통하여 벽(120)에 직접 접촉되도록 된 슬리브(76)가 구비되며, 상기 슬리브(76)의 일단에는 미세한 외관(72)의 열팽창이 벽체(120)에 직접 전달되어 발생되는 벽체(12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관(72)과 슬리브(76)를 완전차단시키고, 벽체(1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물이나 기타 이물질을 완전차단시키는 외관신축흡수부(78)가 슬리브(76)에 구비되어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리브(76)와 외관(72) 사이에는 슬리브(76)에 탄성력을 부가하며, 슬리브(76)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도록 개재된 복수개의 탄성링(80)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슬리브(76)의 외주면 일측에는 슬리브(76)와 벽체(120) 사이의 미세한 틈으로 모세관 현상과 같이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도록 된 링형상의 워터스토퍼(82)가 용접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외관(72)에 그 대부분이 삽입되어 구비된 벨로우즈관(64)은 내관(62)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고정된다. 상기 벨로우즈관(64)의 그 양끝단과 외관(72)의 일단에 접하는 벨로우즈관(64)의 일측에는 이 벨로우즈관(64)을 각각 내관(62)과 외관(72)에 고정시켜 주는 링플레이트(66a,66b,66c)가 구비되는 바, 상기 벨로우즈관(64)의 일단에 구비된 링플레이트(66a)는 벨로우즈관(64)의 일단과 내관(62)의 외주면 일측에 용접되어 고정되며, 타단에 구비된 링플레이트(66c)는 내관(62)과 벨로우즈관(64) 사이의 보온재(68)를 보호하고, 내관(62)의 열팽창시나 수축시 내관(62)이 움직일 수 있도록 벨로우즈관(64) 내면에만 용접하고, 내관(62)의 외주면에는 약간의 틈을 두어 내관(62)의 움직임이 원활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벨로우즈관(64) 일측의 링플레이트(66b)는 벨로우즈관(64)의 외주면 일측과 외관(72)의 일단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벨로우즈관(64)은 전술한 관 말단부 연결부재(40)의 벨로우즈관(44)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여 이중강관(2)의 진공층(26)이 일정한 진공압력으로 유지되도록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벨로우즈관(64)의 내측과 외관(72)의 내측에는 내관(62)에 흐르는 일정한 온도의 유체의 온도를 외부온도로부터 보호하여 열손실을 방지하는 보온재(68,70)가 내관(62)의 외주면에 감싸져 구비된다.
상기 보온재(68,70)는 첨부도면 도 2의 보온재(16)와 첨부도면 도 4의 보온재(48,50)와 동일한 목적과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강관에 구비되는 열팽창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D-D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강관(2)의 내관(4)이 팽창이나 수축시 발생되는 팽창력이나 수축력이 열팽창.수축 보상장치(Compensator)(미도시)측으로 작용되도록 하는 내관(92)과 외관(106)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90)를 이중강관(2)에 내관(4)과 내관(92), 외관(30)과 외관(106)을 서로 용접하여 구비되게 한다.
상기 고정부재(90)의 외관(106) 내측에는 그 중앙부로 내관(92)이 관통되며, 이 내관(92)의 외주면에 소정거리 이격되고, 외관(106)보다는 소정량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부와 하단부는 진공처리 작업시나 이물질 배수작업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로 절개된 외관용플레이트(96)가 구비되며, 상기 외관용플레이트(96)의 전,후면 일측에는 외관(106)의 내주면에 그 일측이 용접되어 고정되면서 외관용플레이트(96)를 전,후면에서 압압하여 고정시키는 다수의 외관용브라켓(104)이 구비된다.
상기 외관용브라켓(104)은 외관(106)의 수직한 위치에서 45도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며, 나머지의 외관용브라켓(104)은 최초 설치위치로부터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외관용플레이트(96)의 전,후면에는 열전도를 차단하도록 된 단열재(98)가 후술되는 내관용플레이트(1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단열재(98)의 일면에는 이 단열재(98)와 동일한 형상의 내관용플레이트(1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내관용플레이트(100)의 전,후면 일측에는 내관(92)의 외주면에 그 일측이 용접되어 고정되면서 내관용플레이트(100)를 전,후면에서 압압하여 고정시키는 다수의 내관용브라켓(102)이 구비된다.
상기 내관용브라켓(102)은 외관용브라켓(104)과 45도 어긋난 위치 즉, 외관(106)이나 내관(92)의 수직 또는 수평위치에 설치되고, 나머지의 내관용브라켓(102)은 외관용브라켓(104)과 마찬가지로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단열재(98)는 내관(92)에 흐르는 일정온도의 유체의 온도가 내관용브라켓(102)을 통해 내관용플레이트(100)로 전달되고, 이 전달된 온도가 외관용플레이트(96)를 통해 외관용브라켓(104)으로 전달되어 외부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고, 내관(4,92)의 열팽창이나 수축시 발생되는 팽창력 및 수축력, 그리고 내관(4,92)의 자중과 내관(4,92)에 흐르는 유체의 중량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보다 큰 압축강도를 지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관용브라켓(102) 사이에는 내관(92)의 열전도를 차단하여 열손실을 방지하도록 된 보온재(94)가 내관(92)의 외주면에 감싸져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보온/보냉용 이중강관(2)은 강관으로 이루어진 내관(4)의 외주면에 열전도율이 낮고, 온도변형이 적은 단열재(6)를 소정의 접착재를 매개로 하여 부착시키고, 이 단열재(6)의 외주면 상,하측에는 그 양단에 돌출된 체결부(10)가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러그(20)가 용접되어 고정되며, 이 러그(20)의 선단에는 체결핀(22)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로울러(24)가 구비된 클램프부재(8)를 구비하여 이 클램프부재(8)의 체결부(10)를 볼트(12)와 너트(14)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배관써포트(18)의 최대직경은 외관(30)의 내경직경보다 소정량 작게 즉, 대략 10mm정도 작게 구비한다.
그리고, 이 클램프부재(8)의 외주면에는 보온재(16)가 소정의 띠(Bend)매듭으로 인해 접착되어 부착되되, 상기 클램프부재(8)에 구비된 배관써포트(18)의 로울러(24)는 보온재(16) 외부로 돌출되게 한다.
한편, 외관(30)과 보온재(16)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는 대류현상으로 인한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진공층(26)을 1mbar이하 까지 진공시키고, 이와 같이 형성된 진공층(26)의 일측에 누수감지선으로 이루어진 누수감지부(28)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중강관(2)이 시공 완료되면, 이 이중강관(2)은 내관(4)내에 흐르는 일정온도의 유체를 최종 이송지까지 이송하여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유체가 내관(4)을 따라 이송시는 내관(4)의 외주면에 구비된 단열재(6)에 의해 배관써포트(18)를 통한 유체의 열손실이 1차적으로 방지되고, 아울러 클램프부재(8)의 외주면에 구비된 보온재(16)에 의해 내관(4)내에 흐르는 유체의 열손실이 2차적으로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보온재(16)와 외관(30) 사이에 형성된 진공층(26)은 대류현상에 의한 열전도를 방지하여 내관(4)내에 흐르는 유체의 열손실을 3차적으로 방지하게 되어 상기 이중강관(2)은 완벽한 보온 및 보냉효과를 지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중강관(2)의 내관(4)내에 흐르는 유체의 온도에 의해 내관(4)의 열팽창시는 클램프부재(8)에 그 일단이 고정된 배관써포트(18)의 로울러(24)가 외관(30)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므로 내관(4)의 열팽창력이 아주 작은 마찰력으로 외관(30)의 내주면에 작용되면서 외관(30)과 보온재(16) 사이의 진공층(26)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관(4)의 외주면에 구비된 보온재(16)를 내관(4)의 자중으로 인한 처짐이나 변형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중강관(2)의 내관(4)에 밸브 또는 기타 설비를 설치함에 있어서 이중강관(2)으로 이루어진 배관에는 도저히 설치가 불가능한 부분에는 관 말단부 연결부재(40)를 이중강관(2)의 일끝단에 연결하여 밸브나 기타 설비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관 말단부 연결부재(40)는 이중강관(2)의 내관(4)과 관 말단부 연결부재(40)의 내관(42)을 용접하고, 관 말단부 연결부재(40)의 외관(52)과 이중강관(2)의 외관(30)을 용접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설치시에 이중강관(2)의 진공층(26)으로 공기가 유입되게 되면, 관 말단부 연결부재(40)의 외관(52) 일측에 구비된 통기구(54a)에 진공펌프흡입구를 연결하여 진공층(26)에 유입된 공기를 빼내게 되며, 또한 배관시공중에 이중강관(2)의 내관(4)과 외관(30) 사이로 물이 유입되었을 시에는 배출구(54b)를 통해 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관 말단부 연결부재(40)의 내관(42)과 외관(52) 사이에는 이중강관(2)의 진공층(26)과 동일한 진공상태가 된다.
그리고, 내관(4,42)의 열팽창시나 수축시는 그 팽창력이나 수축력이 축방향으로 작용되는데, 이때 상기 관 말단부 연결부재(40)에 구비된 벨로우즈관(44)이 팽창량이나 수축량을 흡수하여 이중강관(2)의 진공층(26)을 일정한 진공압력으로 보존시키게 된다. 이는 내관(4,42)내에 흐르는 유체에 의해 내관(4,42)의 열팽창이나 수축량은 크고, 외관(30,52)은 보온재(16,50)와 진공층(26)에 의해 온도전달이 차단되어 열팽창이나 수축량이 내관(4,42)에 비해 상대적으로 아주 작게 되는데, 상기 벨로우즈관(44)의 양단이 각각 내관(42)과 외관(5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내관(4,42)의 팽창이나 수축시 축방향으로 작용되는 팽창량이나 수축량이 내관(42)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된 벨로우즈관(44)에 그대로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벨로우즈관(44)의 일측은 내관(4,42)을 따라 이동되나, 이 벨로우즈관(44)의 타측은 외관(5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중간부의 벨로우즈가 내관(4,42)의 이동량만큼 팽창 또는 수축하게 된다. 그리하여, 내관(4,42)과 외관(30,52)의 팽창량이나 수축량의 차이량을 벨로우즈관(44)이 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호 보상하게 되므로 이중강관(2)의 진공층(26)은 일정한 진공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중강관(2)의 지하매설 배관시 맨홀벽체(120)나 지상시공시 일반 콘크리트 벽체(120)를 통과하게 될 시는 이중강관(2)의 일단에 벽체 통과부재(60)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벽체 통과부재(60)는 이중강관(2)의 내관(4)과 벽체 통과부재(60)의 내관(62)을 용접하고, 벽체 통과부재(60)의 외관(72)과 이중강관(2)의 외관(30)을 용접하여 설치한다.
상기 벽체 통과부재(60)의 설치시는 먼저, 이중강관(2)의 일단에 벽체 통과부재(60)를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하여 설치하고, 이 벽체 통과부재(60)의 외관(72) 외주면에 구비된 슬리브(76)에 맨홀의 벽(120)이나 일반적인 콘크리트 벽(120)을 시공하되, 상기 벽(120)의 내부에 슬리브(76)에 구비된 워터스토퍼(82)가 위치되도록 하고, 벽(120)의 일측면에 슬리브(76)의 외관신축흡수부(78)가 밀착되게 시공한다.
그러면, 상기 슬리브(76)가 벽체(120)에 압압되면서 설치되어 이중강관(2)의 미세한 열팽창이 벽체(1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벽체(12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고, 슬리브(76)의 외관신축흡수부(78)가 외관(72)과 슬리브(76) 사이에 용접되어 있으므로 시공시 벽체(120) 내부로 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76)의 내측에 구비된 탄성링(80)은 슬리브(76)에 탄성력을 부가하면서 슬리브(76)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게 되고, 슬리브(76)의 외주면에 구비된 워터스토퍼(82)는 벽체 통과부재(60)의 시공시나 시공후에 슬리브(76)와 벽(120) 사이의 미세한 틈으로 모세관 현상과 같이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여 벽체(120)의 내부의 누수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벽체 통과부재(60)를 시공한 후에는 이중강관(2)의 진공층(26)으로 유입된 공기를 벽체 통과부재(60)의 외관(72)에 돌출된 통기구(74a)에 진공흡입펌프를 연결하여 빼내고, 또한 배관시공중에 이중강관(2)의 내관(4)과 외관(30) 사이로 물이 유입되었을 시에는 배출구(74b)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벽체 통과부재(60)의 벨로우즈관(64)은 내관(4,62)의 열팽창시나 수축시에 축방향으로 작용되는 팽창량이나 수축량을 전술한 관 말단부 연결부재(40)의 벨로우즈관(44)과 같이 상기 벨로우즈관(64)이 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내관(4,62)과 외관(30,72)의 팽창량이나 수축량의 차이량을 상호 보상하여 이중강관(2)의 진공층(26)을 보호하여 일정한 진공압력으로 유지되게 한다.
특히, 상기 이중강관(2)의 지하매설시는 이 이중강관(2)의 외관(30)에 아스팔트나 폴리에틸렌으로 코팅하여 어떠한 토양에서도 화학적인 부식이나 전위차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하게 한다.
한편, 상기 이중강관(2)의 일측에 내관(4)과 내관(92), 외관(30)과 외관(106)끼리 용접되어 구비된 고정부재(90)는 이중강관(2)의 내관(4)이 팽창이나 수축시에 발생되는 팽창력이나 수축력을 열팽창.수축 보상장치(미도시)측으로 작용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내관(4,92)의 팽창이나 수축시 내관(4,92)의 축방향으로 작용되는 팽창력이나 수축력보다 큰 압축강도를 지닌 단열재(98)가 외관용플레이트(96)의 양면에 구비되어 내관용플레이트(100)에 의해 압압되어 고정되는 바, 상기 내관용플레이트(100)를 고정시키는 내관용브라켓(102)은 내관(92)의 외주면에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외관용플레이트(96)를 고정시키는 외관용브라켓(104)은 외관(106)의 내주면에 용접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이 내관용브라켓(102)이 내관(4,92)의 팽창이나 수축시 내관(4,92)을 따라 이동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외관용플레이트(96)와 내관용플레이트(100) 사이에 개재된 단열재(98)와 외관용브라켓(104)에 의해 내관용브라켓(102)의 이동이 저지되고, 그로 인해 내관(4,92)의 이동도 저지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내관(4,92)의 축방향으로 작용되는 팽창량이나 수축량은 열팽창.수축 보상장치측에 작용되게 되고, 열팽창력이나 수축력은 고정부재(90)에서 지지하게 되며, 이 지지력은 매설배관의 경우 토압에 의해 상쇄된다.
따라서, 상기한 이중강관(2)은 내관(4)내에 흐르는 일정한 온도의 유체의 열손실을 방지하면서 이송하게 되며, 전술한 바와 같은 관 말단부 연결부재(40)와, 벽체 통과부재(60), 고정부재(90)에 의해 이중강관(2)의 사용범위가 넓어지게 되고, 공사기간 및 공사비가 절감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온/보냉용 이중강관은 일정한 온도의유체를 열손실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이송하게 되고, 이중강관내에 흐르는 유체의 사용온도범위가 극저온에서 600℃까지 사용가능하며, 배관의 매설시 공동구를 설치하지 않고 직접 매설할 수 있으며, 이중강관의 시공시에 요구되는 기타 설비 즉, 관 말단부 연결부재와 벽체 통과부재, 고정부재를 이중강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이중강관의 사용범위가 넓어지게 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어 공사비가 절감되며, 열손실이 아주 적어 에너지 이용효율이 높게 되므로 운전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일정한 온도의 유체가 이송되는 강관으로 이루어진 내관(4)과, 상기 내관(4)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두께로 감싸져서 내관(4)의 열전도를 방지하도록 구비된 단열재(6)와, 상기 단열재(6)의 외주면 상,하측에 고정되어 구비된 클램프부재(8)와, 상기 클램프부재(8)의 외주면에는 열손실을 방지하도록 감싸져서 구비된 보온재(16)와, 상기 클램프부재(8)의 외주면 일측에는 내관(4)의 열팽창시 내관(4)의 움직임을 유도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배관써포트(18)와, 상기 배관써포트(18)의 일측이 그 내주면에 접하고, 강관으로 된 외관(30)으로 이루어진 이중강관(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강관(2)의 보온재(16)와 외관(30) 사이의 공간부에는 대류현상으로 인한 열전도를 방지하여 보온 및 보냉효과를 얻도록 형성된 진공층(26)과, 상기 진공층(26)의 일측에는 내관(4)에 흐르는 유체의 누수를 감지하여 상기 내관(4)의 파손부위를 감지하도록 된 누수감지부(2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강관(2)의 배관써포트(18)는 내관(4)의 열팽창시 내관(4)의 움직임을 유도하여 내관(4)과 외관(3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진공층(26)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클램프부재(8)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된 러그(20)와, 이 러그(20)의 일단에 체결핀(2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힌지되어 외관(3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된 로울러(2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강관(2)의 일단에 내관(42)과 외관(52)으로 이루어진 보온/보냉용 관 말단부 연결부재(40)를 구비하되, 상기 관 말단부 연결부재(40)의 외관(52) 일측에는 이중강관(2)의 진공층(26)이 유지되도록 배관의 설치후에 진공층(26)으로 유입된 공기를 빼내도록 구비된 통기구(54a)와, 상기 통기구(54a)와 이격된 외관(52)의 일측에는 배관시공도중에 이중강관(2)의 내관(4)과 외관(30) 사이로 유입된 물을 배출시키도록 구비된 배출구(54b)와, 상기 내관(42)의 외주면에는 내관(4,42)의 열팽창이나 수축시 발생되는 팽창량이나 수축량을 흡수하여 진공층(26)이 일정한 진공압력으로 유지되도록 구비된 벨로우즈관(44)과, 상기 벨로우즈관(44)의 내측과 외관(52)의 내측에는 내관(42)에 흐르는 일정한 온도의 유체의 열손실을 방지하도록 내관(42)의 외주면에 감싸져 구비된 보온재(48,50)로 이루어진 관 말단부 연결부재(4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강관(2)의 지하매설 배관시 맨홀벽체(120)나 지상시공시 콘크리트 벽체(120)를 통과할 시 이중강관(2)의 일단에 연결되는 내관(62)과 외관(72)으로 이루어진 보온/보냉용 벽체 통과부재(60)를 구비하되, 상기 통과부재(60)의 외관(72) 일측에는 이중강관(2)의 진공층(26)이 유지되도록 배관의 설치후에 진공층(26)으로 유입된 공기를 빼내도록 구비된 통기구(74a)와, 상기 통기구(74a)와 이격된 외관(72)의 일측에는 배관시공도중에 이중강관(2)의 내관(4)과 외관(30) 사이로 유입된 물을 배출시키도록 구비된 배출구(74b)와, 상기 통기구(74a)와 배출구(74b)에 소정거리 이격된 외관(72)의 외주면에는 벽체(120)를 관통하여 벽(120)에 직접 접촉되도록 구비된 슬리브(76)와, 상기 슬리브(76)의 일단에는 벽체(120)의 손상을 방지하고, 물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외관(72)과 슬리브(76)를 완전차단시키도록 구비된 외관신축흡수부(78)와, 상기 외관(72)에 그 일측이 삽입되어 내관(62)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이 내관(4,62)의 열팽창이나 수축시 발생되는 팽창량이나 수축량을 흡수하여 진공층(26)이 일정한 진공압력으로 유지되도록 구비된 벨로우즈관(64)과, 상기 벨로우즈관(64)의 내측과 외관(72)의 내측에는 내관(62)에 흐르는 일정한 온도의 유체의 열손실을 방지하도록 내관(62)의 외주면에 감싸져 구비된 보온재(68,70)로 이루어진 벽체 통과부재(6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76)와 외관(72) 사이에는 슬리브(76)에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개재되어 구비된 탄성링(80)과, 상기 슬리브(76)의 외주면 일측에는 슬리브(76)와 벽체(120) 사이의 미세한 틈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도록 된 워터스토퍼(8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강관(2)의 내관(4)이 팽창이나 수축시 발생되는 팽창력이나 수축력이 열팽창.수축 보상장치측으로 작용되도록 내관(92)과 외관(106)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90)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부재(90)의 외관(106) 내측에는 그 중앙부로 내관(92)이 관통되며, 이 내관(92)의 외주면과 외관(106)의 내주면에 이격되고, 그 일측이 절개되어 구비된 외관용플레이트(96)와, 상기 외관용플레이트(96)의 전,후면 일측에는 외관(106)의 내주면에 그 일측이 고정되면서 외관용플레이트(96)를 압압하여 고정시키도록 구비된 다수의 외관용브라켓(104)과, 상기 외관용플레이트(96)의 전,후면에는 열전도를 차단하도록 구비된 단열재(98)와, 상기 단열재(98)의 일면에 구비되어 이 단열재(98)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관용플레이트(100)와, 상기 내관용플레이트(100)의 전,후면 일측에는 내관(92)의 외주면에 그 일측이 고정되면서 내관용플레이트(100)를 압압하여 고정시키도록 구비된 다수의 내관용브라켓(102)과, 상기 내관용브라켓(102) 사이에는 내관(92)의 열전도를 차단하도록 내관(92)의 외주면에 감싸져 구비된 보온재(94)로 이루어져 열팽창력이나 수축력을 지지하도록 된 고정부재(9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90)의 단열재(98)는 열전도를 차단하고, 내관(4,92)의 열팽창이나 수축시 발생되는 팽창력 및 수축력, 그리고 내관(4,92)의 자중과 내관(4,92)에 흐르는 유체의 중량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보다 큰 압축강도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KR1019980012657A 1998-04-09 1998-04-09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KR100261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657A KR100261323B1 (ko) 1998-04-09 1998-04-09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657A KR100261323B1 (ko) 1998-04-09 1998-04-09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841A KR19990079841A (ko) 1999-11-05
KR100261323B1 true KR100261323B1 (ko) 2000-08-01

Family

ID=1953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657A KR100261323B1 (ko) 1998-04-09 1998-04-09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13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547B1 (ko) * 2008-09-30 2010-09-02 (주)상수플랜트 이중파이프의 완충장치
KR200451105Y1 (ko) * 2008-10-06 2010-11-25 주식회사 삼영기술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
KR101336281B1 (ko) * 2013-08-07 2013-12-03 광일케미스틸(주)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KR200472614Y1 (ko) 2012-07-09 2014-05-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중 배관
KR101448521B1 (ko) 2012-04-30 2014-10-14 주식회사 젠트로 관 서포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935B1 (ko) * 2002-06-11 2005-03-30 주식회사 지에스티 이중 진공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656876B1 (ko) * 2006-05-09 2006-12-14 (주)파이프텍코리아 열팽창 보상용 배관시스템
DE112007003664T5 (de) * 2007-09-19 2010-07-22 Thermo King Corporation, Minneapolis Wandkonstruktion für eine isolierte Umfassung
KR101466074B1 (ko) * 2014-04-01 2014-11-28 조인트유창써멀시스템 주식회사 냉각수단을 갖는 매립형 단열조인트관
KR101641135B1 (ko) * 2015-04-21 2016-07-29 한국원자력연구원 집속용 솔레노이드, 차폐체, 및 가속관이 일체형으로 정렬된 입자 가속 장치
CN108591624B (zh) * 2018-07-20 2024-03-12 大连科华热力管道有限公司 一种管中管支架
KR102058204B1 (ko) * 2019-05-23 2020-01-22 (유)성문 선박엔진의 연료공급용 액화천연가스 이송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547B1 (ko) * 2008-09-30 2010-09-02 (주)상수플랜트 이중파이프의 완충장치
KR200451105Y1 (ko) * 2008-10-06 2010-11-25 주식회사 삼영기술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
KR101448521B1 (ko) 2012-04-30 2014-10-14 주식회사 젠트로 관 서포트 장치
KR200472614Y1 (ko) 2012-07-09 2014-05-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중 배관
KR101336281B1 (ko) * 2013-08-07 2013-12-03 광일케미스틸(주)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841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323B1 (ko)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US5996643A (en) Foam insulation system for pipes
US66917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pipe
US3351361A (en) Insulated piping system
US2958546A (en) Protective covering for pipes and fittings therefor
US2707095A (en) Underground heat exchanger
US9140386B2 (en) Anchor system for pre-insulated piping
US20070152440A1 (en) Pipe sealing system
US1991455A (en) Conduit and conduit system
JP2000213675A (ja) 二重管用接続継手及び該継手で接続した二重管式断熱配管
US3807183A (en) Underground culverts for pipelin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0656876B1 (ko) 열팽창 보상용 배관시스템
KR102084182B1 (ko) 매립배관 연결부 보호장치
CN219866683U (zh) 一种断桥隔热式防水器
KR102664616B1 (ko)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
KR200299416Y1 (ko) 이중보온관의 벽체통과구조
CN220016377U (zh) 一种井壁密封装置
KR100990982B1 (ko) 지중 배관용 신축장치 일체형 맨홀 유닛
JP2686192B2 (ja) 断熱管の継手装置
CN218914223U (zh) 一种免维护直埋套筒补偿器预制保温装置
JP2005282785A (ja) 配管導設路に敷設した配管の固定構造
CN2460825Y (zh) 直埋式保温热力管道内外固定支座
JP3516903B2 (ja) 集中配管構造
CN219755749U (zh) 蒸汽管道防热桥固定装置
JP3084455U (ja) 給水管又は給湯管の凍結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708

Effective date: 200106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