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105Y1 -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 - Google Patents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105Y1
KR200451105Y1 KR2020080013293U KR20080013293U KR200451105Y1 KR 200451105 Y1 KR200451105 Y1 KR 200451105Y1 KR 2020080013293 U KR2020080013293 U KR 2020080013293U KR 20080013293 U KR20080013293 U KR 20080013293U KR 200451105 Y1 KR200451105 Y1 KR 200451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ner tube
space
exterio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908U (ko
Inventor
이태우
이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기술
Priority to KR2020080013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10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9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9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1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 외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크기에 맞추어 간격 유지부재의 길이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외관이 강제로 추진되는 과정에서 변형되거나 혹은 외관의 직경이 다르게 제작되더라도 이에 맞추어 내관을 외관의 센터로 정확히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내, 외관의 사이 공간으로 모르타르를 충진시키더라도 모르타르의 부력에 의해 내관이 부상하지 않게 됨으로서 내관의 수평레벨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추진공법에 사용되는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를 제공한다.
추진공법, 내, 외관, 간격 유지부재, 폭 조절

Description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gap maintenance means of propulsion method}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을 부설하는 공사에서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간격 유지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 외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크기에 맞추어 간격 유지부재의 길이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하수도관을 부설하는 공사에서 주로 사용되는 추진공법은 외관을 잭으로 강제 추진한 다음, 상기 외관내의 토사를 제거한 후, 다시 상기 외관내로 내관을 삽입시켜 상기 외관은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물로 사용하고, 상기 내관은 상, 하수도관을 흘려보내는 유로로 사용토록 하는 공법을 말한다.
첨부된 도 1은 추진공법으로 시공 완료된 일반적인 내, 외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강제 추진되는 외관(110)내에 삽입되는 내관(112)은 삽입과정에서 외관(110)과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외관(110)의 내경크기 보다 작은 직경크기로 제작된 상태에서 삽입되도록 구성하게 되는 데, 이때 외관(110)의 바닥면에 가이드빔(120)을 길이방향으로 설치한 후, 상기 가이드빔(120)위로 내관(112)을 얹은 상태에서 삽입되도록 하여 외관(110)의 센터로 내관(112)이 정확히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한편, 내, 외관(110, 112)의 시공이 완료되면 상기 내, 외관(110, 11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114)으로 모르타르(116)를 충진시켜 내관(112)의 유동을 방지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가이드빔(120) 위에 내관(112)을 단순히 얹어주는 방식은 외관(110)의 직경크기에 맞추어 내관(112)의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직경크기로 제작된 외관(110)들의 센터에 맞추어 내관(112)을 삽입시킬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내관(112)의 유동방지를 위해 내, 외관(110, 112)의 사이 공간(114)으로 모르타르(116)를 충진시키게 되면 내관(112)은 모르타르(116)의 부력에 의해 위로 부상하게 됨으로서 내관(112)을 외관(110)의 센터상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내관(112)을 하수관로로 사용할 경우에는 하수가 역류하지 않도록 내관(112)의 수평레벨을 정밀하게 맞춰주어야 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모르타르(116)를 충진할 때, 내관(112)의 부상을 잡아주지 못하게 되면 내관(112)의 수평레벨을 맞추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 외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크기에 맞추어 간격 유지부재의 길이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내, 외관의 사이 공간으로 모르타르를 충진시키더라도 내관의 수평레벨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반내에 수평으로 강제 추진되는 외관과, 상기 외관내에 삽입되는 내관 사이 공간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관의 외경 둘레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개의 간격 유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내관의 외경 둘레면에 용접으로 접합 고정되며 양측 외경에는 가이드장공이 관통 형성된 외부파이프와,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양측 외경에는 상기 가이드장공(36)과 수평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구멍이 관통 형성된 내부파이프와, 상기 외부파이프의 가이드장공과 상기 내부파이프의 구멍을 차례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내부파이프의 상, 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 드장공의 상, 하단에 각각 걸려지며 상기 외부파이프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내부파이프의 외부 이탈을 방지시키는 스토퍼핀과, 상기 내부파이프의 상단에 축 결합된 상태로 끼워지며 상기 외관의 내경에 접촉하며 내관의 삽입동작을 가이드하는 롤러 및 상기 내, 외부파이프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내부파이프의 상, 하 이동을 탄력적으로 지탱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는 내, 외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크기에 맞추어 간격 유지부재의 길이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외관이 강제로 추진되는 과정에서 변형되거나 혹은 외관의 직경이 다르게 제작되더라도 이에 맞추어 내관을 외관의 센터로 정확히 삽입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또한 본 고안은 내, 외관의 사이 공간으로 모르타르를 충진시키더라 모르타르의 부력에 의해 내관이 부상하지 않게 됨으로서 내관의 수평레벨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달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추진공법으로 시공 완료된 내, 외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10, 12)은 상기 외관(10)을 잭(미 도시 함)으로 지반내에 수평으로 강제 추진한 다음, 상기 외관(10) 내부로 내관(12)을 삽입시켜 상기 외관(10)은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물로 사용하고, 상기 내관(12)은 상, 하수도관을 흘려보내는 유로로 사용토록 한다.
상기 내, 외관(10, 12)의 사이에는 외관(10) 내부로 내관(12)을 삽입할 때,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외관(10)의 내경 보다 내관(12)이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하여 조립시, 내 외관(10, 12)의 사이로 일정크기 만큼의 공간(14)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공간(14)으로는 모르타르(16)가 충진되어 외관(10)내에 삽입된 내관(12)의 유동을 방지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내관(12)의 외경 둘레면에는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다수개의 간격 유지부재(30)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용접 접합된다.
상기 간격 유지부재(30)들은 외관(10) 내부로 내관(12)을 삽입할 때, 상기 외관(10)의 직경크기에 맞추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하여 외관(10)의 서로 다른 직경크기에 상관없이 외관(10)의 센터로 내관(12)을 정확히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내, 외관(10, 12)의 사이 공간(14)으로 충진되는 모르타르의 부력에 의해 내관(12)이 부상하지 않도록 하여 내관(12)의 수평레벨을 정확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수단인 바, 이러한 간격 유지부재(30)들은 모두 동일한 구조 및 작동방식을 가지게 되는 바, 하기에서는 하나의 간격 유지부재(30)에 관하여 대표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간격 유지부재(30)는 내, 외부파이프(32, 38)와 스토퍼핀(42)과 롤러(44) 및 스프링(48)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외부파이프(32)는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로 상단은 개방시켜 구성하고, 하단은 상기 내관(12)의 외경에 용접(31)으로 접합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외부파이프(32)의 외경 양측에는 가이드장공(36)이 각각 수직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장공(36)으로는 스토퍼핀(40)이 관통한 상태로 끼워지게 된다.
상기 내부파이프(38)는 상기 외부파이프(32)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되, 상기 외부파이프(32) 보다 작은 직경으로 제작하여 상기 외부파이프(32)의 내부공간(34)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내부파이프(38)의 양측 외경에는 구멍(40)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구멍(40)은 상기 외부파이프(32)의 가이드장공(36)의 중앙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장공(36)을 통과한 스토퍼핀(42)이 관통하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핀(42)은 상기 외부파이프(32)의 가이드장공(36) 및 상기 내부파이프(38)의 구멍(40)을 차례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외부파이프(32) 내부에 상, 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내부파이프(38)의 이동거리를 제한하여 결과적으로 내부파이프(38)가 외부파이프(32)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된다. 즉, 전술한 내, 외관(10, 12)의 사이 공간(14)의 폭(W)이 좁을 경우에는 상기 내부 파이프(38)는 눌려지며 외부파이프(32) 내부로 삽입되고, 반대로 내, 외관(10, 12)의 사이 공간(14)의 폭(W)이 넓을 경우에는 스프링(48)의 텐션력으로 외부파이프(32) 외부로 밀려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스토퍼핀(420)은 상기 내부파이프(38)의 이동에 맞추어 상, 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부파이프(32)의 가이드장공(36) 위쪽과 아래쪽에 걸려지며 내부파이프(38) 상, 하 이동거리를 구속하게 됨으로서 사용과정에서 내부파이프(38)가 외부파이프(32)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롤러(44)는 상기 내부파이프(38)의 상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내부파이프(38)와 축(46) 결합되는 롤러로서, 상기 롤러(44)는 전술한 외관(10)의 내경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외관(10) 내부로 내관(12)을 삽입할 때, 상기 내관(12)의 삽입동작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48)은 상기 내, 외부파이프(32, 38) 사이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48)은 내, 외관(10, 12)의 사이 공간(14)의 폭(W)이 좁아 내부파이프(38)가 눌려질 때에는 탄력적으로 수축하고, 아울러 내, 외관(10, 12)의 사이 공간(14)의 폭(W)이 넓어지면 상기 내부파이프(38)를 탄력적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의 작용을 첨부된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5는 내, 외관(10, 12)의 사이 공간(14) 폭(W1)이 좁아질 때의 간격 유지부재(30)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10)을 지반내로 강제 추진시키는 과정에서 외관(10) 이 변형되거나 혹은 직경이 작게 제작된 외관(10) 내로 내관(12)을 삽입하면, 내, 외관(10, 12)의 사이 공간(14) 폭(W1)이 좁아지게 되는 데, 이 상태에서 내관(12)을 삽입하게 되면 상기 내관(12)의 외경에 용접 접합되어 있는 간격 유지부재(30)는 외관(10)의 내경에 접촉하는 롤러(44)를 통해 내, 외관(10 ,12)의 사이 공간(14) 폭(W1)이 좁혀진 만큼, 내부파이프(38)가 눌려지게 됨으로서 간격 유지부재(30)를 내, 외관(10, 12)의 좁아진 공간(14) 폭(W1)에 자동으로 맞추어줄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6은 내, 외관(10, 12)의 사이 공간(14) 폭(W2)이 넓어질 때의 간격 유지부재(30)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10)을 지반내로 강제 추진시키는 과정에서 외관(10)이 변형되거나 혹은 직경이 크게 제작된 외관(10) 내부로 내관(12)을 삽입하면 내, 외관(10, 12)의 사이의 넓어진 공간(14) 폭(W2)에 의해 롤러(44)가 외관(12)의 내경에 접촉하지 않게 되는 데, 이때에는 내, 외부파이프(32, 38)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48)이 내부파이프(38)를 탄력적으로 밀어주게 됨으로서 내부파이프(38)에 축(46) 결합되어 있는 롤러(44)는 상기 내부파이프(38)의 인출 동작에 따라 외관(12)의 내경에 접촉된 상태에서 내관(12)의 삽입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내부파이프(38)의 인출 동작에 따라 외부파이프(32)의 가이드장공(36)과 내부파이프(38)의 구멍(40)을 차례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핀(42)은 상기 내부파이프(38)와 함께 승강 동작하게 되는 데, 이때 스토퍼핀(42)은 일정길이 이상 승강한 후, 가이드장공(36)의 상단에 걸려지게 됨으로서 내부파이프(38)가 더 이상 인출되는 것을 구속하게 되며, 따라서 사용과정에서 내부파이프(38)가 외부파이프(32)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된다.
도 1은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종래 일반적인 내, 외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간격 유지부재의 구성을 입부력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간격 유지부재의 조립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간격 유지부재의 동작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관 12: 내관
14: 공간 16: 모르타르
30: 간격 유지부재 32: 외부파이프
36: 가이드장공 38: 내부파이프
40: 구멍 42: 스토퍼핀
44: 롤러 48: 스프링

Claims (1)

  1. 지반내에 수평으로 강제 추진되는 외관(10)과, 상기 외관(10)내에 삽입되는 내관(12) 및 상기 내, 외관(10, 12) 사이에 형성된 공간(14)에 충진되며 상기 내관(14)의 유동을 방지시키는 모르타르(16)와, 상기 내관(12)의 외경 둘레 전체를 따라 일정간격 유지한 상태로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내, 외관(10, 12)의 사이 공간(14) 크기에 맞추어 그 길이를 조절해가며 내, 외관(10, 12) 사이 공간(14)을 일정하게 유지시킴과 더불어 상기 모르타르(16)의 부력에 의해 내관(12)이 부상하지 않도록 상기 내관(12)의 수평레벨을 정확히 유지시키도록 하는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 유지부재는;
    상기 내관(12)의 외경 둘레면에 용접(31)으로 접합 고정되며 양측 외경에는 가이드장공(36)이 관통 형성된 외부파이프(32)와;
    상기 외부파이프(32)의 내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양측 외경에는 상기 가이드장공(36)과 수평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구멍(40)이 관통 형성된 내부파이프(38)와;
    상기 외부파이프(32)의 가이드장공(36)과 상기 내부파이프(38)의 구멍(40)을 차례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내부파이프(38)의 상, 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장공(36)을 타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장공(36)의 상, 하단에 각각 선택적으로 걸려지며 상기 외부파이프(32)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내부파이프(38)의 외부 이탈을 방지시키는 스토퍼핀(42)과;
    상기 내부파이프(38)의 상단에 축(46) 결합된 상태로 끼워지며 상기 외관(10)의 내경에 접촉하며 내관(38)의 삽입동작을 가이드하는 롤러(44) 및 ;
    상기 내, 외부파이프(32, 38)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내부파이프(38)의 상, 하 이동을 탄력적으로 지탱하는 스프링(48)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
KR2020080013293U 2008-10-06 2008-10-06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 KR2004511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293U KR200451105Y1 (ko) 2008-10-06 2008-10-06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293U KR200451105Y1 (ko) 2008-10-06 2008-10-06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908U KR20100003908U (ko) 2010-04-15
KR200451105Y1 true KR200451105Y1 (ko) 2010-11-25

Family

ID=4444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293U KR200451105Y1 (ko) 2008-10-06 2008-10-06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1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521B1 (ko) * 2012-04-30 2014-10-14 주식회사 젠트로 관 서포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67Y1 (ko) * 2008-10-06 2010-10-21 주식회사 삼영기술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
KR101596100B1 (ko) * 2013-12-12 2016-02-22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
CN107631105B (zh) * 2017-09-15 2019-01-22 四川师范大学 液化页岩气-液氮-超导直流电缆复合能源管道设计方法
CN113418647B (zh) * 2021-06-22 2022-07-12 腾达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围岩中盾构管片的上浮力试验装置和试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323B1 (ko) * 1998-04-09 2000-08-01 방관수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323B1 (ko) * 1998-04-09 2000-08-01 방관수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521B1 (ko) * 2012-04-30 2014-10-14 주식회사 젠트로 관 서포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908U (ko)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105Y1 (ko)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
KR200450667Y1 (ko)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
KR10150026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JP2013133584A (ja) 地中熱利用のための場所打ち杭用鉄筋籠及び地中熱利用熱交換パイプの設置方法
US20170350536A1 (en) Method for mounting an undersea installation comprising at least one section of pipe, and associated installation
KR101741645B1 (ko) 파일의 시공 방법
JP6622476B2 (ja) 更生管の支持部材および既設管の更生方法
JP2010142069A (ja) 管台セット
JP5037301B2 (ja) 既存建造物に対する免震構造施工方法および免震機構
US20150218800A1 (en) Retrofit cavity wall barrier and methods therefor
US10465822B2 (en) Connection system for subsea pipelines
KR20130028312A (ko) 부력형성부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389266Y1 (ko) 슬라이드 레일식 흙막이 장치
JP2016141930A (ja) 更生管の支持部材
KR20160025179A (ko) 선단보강 마이크로파일
CN205772355U (zh) 一种胶管钢丝放线装置
KR20140055450A (ko) 바지선의 잭업장치
KR20170139750A (ko) 외부 지지대를 구비한 석션파일 및 그 설치방법
KR20160096299A (ko) 낙차형 콘크리트 수로관
KR101613425B1 (ko) 프로파일 걸림 장치
KR101622392B1 (ko) 개방형 지열 지중 열교환기용 신축 거동과 이탈 방지가 가능한 케이싱 장치
KR20090004922U (ko) 블록,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물
JP5600471B2 (ja) 管路内作業に用いられる索条のための索条ガイド
JP6086825B2 (ja) 管体敷設方法
KR20200029792A (ko) 지중 열교환기 튜브용 스페이서, 지중 열교환기 튜브의 시공 시스템 및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