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100B1 -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 - Google Patents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100B1
KR101596100B1 KR1020130154344A KR20130154344A KR101596100B1 KR 101596100 B1 KR101596100 B1 KR 101596100B1 KR 1020130154344 A KR1020130154344 A KR 1020130154344A KR 20130154344 A KR20130154344 A KR 20130154344A KR 101596100 B1 KR101596100 B1 KR 101596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air
pipe
coal
cok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9045A (ko
Inventor
류성곤
백부순
이동규
강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54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100B1/ko
Publication of KR20150069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1/00Charging devices
    • C10B31/02Charging devices for charging vertic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1/00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 C10B41/005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for charging co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로 석탄을 장입시키는 텔레스코프식 이중관 구조의 투입관 유닛과 장입구의 센터링을 일치시키면서 투입관 유닛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는 내부에 원료탄 호퍼로부터 석탄이 배출되는 피더콘이 수용되며, 내관 및 외관이 텔레스코프식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내관이 하강되어 코크스 오븐의 장입구로 인입되어 석탄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투입관 유닛;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를 밀폐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고정된 이물질 차단부재; 및 상기 외관 및 내관 사이에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에어 분사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APPARATUS FOR CHARGING COAL IN COKE OVEN}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로 석탄을 장입시키는 텔레스코프식 이중관 구조의 투입관 유닛과 장입구의 센터링을 일치시키면서 투입관 유닛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에서 용선을 생산할 때 투입되는 부원료인 코크스(Cokes)는 고로 내에서 열원, 환원제 등의 역할과 함께 통기성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석탄 숯의 일종으로써, 코크스 오븐에서 생산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코크스 오븐 조업공정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스 생산과정은 점결성이 있는 석탄을 코크스 오븐(1)의 노상부에서 장입차(Charging Car, 10)를 이용하여 네 개의 장입구(21)를 통하여 코크스 오븐(1)의 탄화실(20)로 장입한 뒤 코크스 오븐(1)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섭씨 1,300도로 간접 가열하여 약 18시간 동안 건류시킨다. 완성된 적열 코크스는 압출차(Pusher Car, 30)에 의해 코크스 오븐(1) 밖으로 압출(Pushing)하게 된다.
이때, 코크스 오븐(1)의 반대편에서 트랜스퍼 카(Transfer Car, 40)에 유도된 적열 코크스를 이동대차(Quenching Car)의 버켓(Bucket)에 적재 후 다음 공정인 C.D.Q.(Coke Dry Quenching)로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코크스가 배출되어 탄화실(20)이 빈 코크스 오븐(1)에 다시 석탄을 장입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반복적이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오븐(1)의 탄화실(20)에 석탄을 장입하기 위해서는 장입차(10)가 사용되는데, 일반적인 코크스 오븐(1)의 장입차(10)에 대한 구성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는 "코크스 오븐의 석탄 장입구로 부터의 화염분출방지장치 (공개특허 10-2004-0017516)" 등에서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코크스 오븐의 석탄 장입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석탄 장입장치(10, 장입차)는 코크스 오븐(1)의 상면에서 주행가능하게 설치되고, 석탄이 저장된 원료탄 호퍼(11)와 상기 원료탄 호퍼(11)에서 배출되는 석탄을 이동시키는 스크류 피더(12)와 상기 스크류 피더(12)의 단부에 설치된 피더콘(13)과 상기 피더콘(13)이 내장되면서 외관과 내관이 텔레스코프식 이중관 구조를 갖는 투입관 유닛(100)을 포함한다.
도 3은 일반적인 석탄 장입장치를 이용하여 석탄을 코크스 오븐에 장입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탄을 코크스 오븐(1)의 탄화실(20)에 장입하기 위해서는 투입관 유닛(100)이 코크스 오븐(1)의 장입구(21)와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장입장치(10)를 코크스 오븐(1) 상면에서 주행시키고, 상기 투입관 유닛(100)의 내관(110)을 외관(120)의 하부 방향으로 인출하여 상기 내관(110)의 하단부가 코크스 오븐(1)의 장입구(21)에 밀착시킨 후, 상기 스크류 피더(12)를 작동시켜 상기 피더콘(13)을 통해 석탄을 배출시킨다. 이에, 상기 피더콘(13)에서 배출되는 석탄이 상기 투입관 유닛(10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장입구(21)를 통해 코크스 오븐(1)의 탄화실(20)로 장입된다.
도 4는 일반적인 코크스 오븐의 석탄 장입장치에서 발생되는 가스 및 화염 분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관 유닛(100)과 장입구(21)의 센터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내관(110)과 장입구(21)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고, 유격이 발생된 상태에서 석탄의 장입이 이루어지면, 탄화실(20)에 장입되는 석탄이 탄화실(20) 내부의 고온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가스 및 화염이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화재에 의해 설비가 소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내관(110)이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내관(110)과 피더콘(13) 사이 유격이 발생되어 다량의 석탄 분진이 함유된 가스 및 화염이 유입되어 상기 피더콘(13) 및 투입관 유닛(100) 내벽에 고착물을 형성하여 상기 내관(110)의 인출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상기 내관(110) 인출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부착물이 탄화실(20) 내부로 유입되면서 화염 및 가스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작업이 지연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공개특허 10-2004-0017516 (2004. 02. 27.)
본 발명은 탄화실에 석탄 장입시 센터링을 정확히 맞춰 내관이 장입구에 밀착시킴에 따라 가스 및 화염이 코크스 오븐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투입관 유닛 및 피더콘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고착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는 내부에 원료탄 호퍼로부터 석탄이 배출되는 피더콘이 수용되며, 내관 및 외관이 텔레스코프식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내관이 하강되어 코크스 오븐의 장입구로 인입되어 석탄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투입관 유닛;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를 밀폐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고정된 이물질 차단부재; 및 상기 외관 및 내관 사이에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에어 분사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 분사유닛은,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라인; 상기 에어라인에서 공급받은 에어를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 공간으로 분사하도록, 일측은 상기 에어라인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외관을 관통하여 설치된 노즐; 상기 에어라인을 개폐하도록 상기 에어라인 상에 설치된 제1 밸브; 상기 제1 밸브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에어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변; 및 상기 감압변에서 압력이 조절된 에어를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하도록 상기 에어라인을 개폐하는 제2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에어는 비활성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는 상기 외관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내관 승강시 편향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센터링 유닛;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센터링 유닛은, 일측이 상기 외관의 외주면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내관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브라켓; 상기 내관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브라켓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 가이드 롤러; 및 상기 내관 인출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상기 브라켓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탄성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석탄 장입방법은 장입장치를 탄화실의 장입구 상부로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장입장치에 구비된 텔레스코프 내부로 이물질 및 화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텔레스코프 내부로 에어를 분사하는 과정; 상기 텔레스코프를 하강하여 상기 장입구에 밀착시키는 과정; 및 상기 장입구를 통해 석탄을 상기 탄화실 내부로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를 분사하는 과정에서, 석탄을 장입하기 위해 개방된 상기 장입구를 통해 이물질 및 화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텔레스코프 내부로 분사되는 에어는 상기 장입구 방향으로 배출되고, 상기 에어는 비활성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화실에 석탄 장입시 투입관의 내관과 장입구의 센터링이 일치되도록 내관을 하강시킴에 따라 내관과 장입구를 정확히 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내관과 장입구 사이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관과 장입구 사이로 가스 및 화염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입관의 외관과 내관 사이에 이물질 차단부재를 설치하여 외관 및 내관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고착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탄화실에 석탄 장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화실에 석탄 장입시 투입관 내부로 비활성 가스를 분사하여 화염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투입관의 내관 승강시 폭발 등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코크스 오븐 조업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코크스 오븐의 석탄 장입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일반적인 석탄 장입장치를 이용하여 석탄을 코크스 오븐에 장입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일반적인 코크스 오븐의 석탄 장입장치에서 발생되는 가스 및 화염 분출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의 부분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이물질 차단부재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링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는 내부에 원료탄 호퍼(11)로부터 석탄이 배출되는 피더콘(13)이 수용되며, 내관(110)과 외관(120)으로 구성된 텔레스코프식 이중관 구조로 형성된 투입관 유닛(100)과 상기 외관(120) 및 내관(110) 사이를 밀폐하는 이물질 차단부재(200) 및 상기 외관(120) 및 내관(110) 사이로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에어 분사유닛(300)을 포함한다.
텔레스코프라고도 불리는 상기 투입관 유닛(100)은 코크스 오븐(1)의 상면에서 주행되는 장입차(10)에 설치되어 원료탄 호퍼(11)에서 배출된 석탄이 스크류 피더(12)를 통하여 이동된 후 피더콘(13)을 통해 배출되어 탄화실(20) 상부에 구비된 장입구(21)로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스크류 피더(12)의 단부에서 상기 피더콘(13)이 내장되도록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의 관이다.
이때, 상기 투입관 유닛(100)은 그 설치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외관(120)과 내관(110)이 텔레스코프식 이중관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내관(110)이 하강되면서 상기 내관(110)의 하단부가 상기 장입구(21)에 인입되어 밀착된다. 이때, 상기 내관(110)의 하단부는 상기 장입구(21)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의 부분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이물질 차단부재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200)는 상기 내관(110)의 하단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외관(120) 및 내관(110) 사이 유격된 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200)는 그 내주면이 상기 내관(110)의 하단부 외주면을 감싸 고정되고, 상기 외관(120)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관(110)이 승강함에 따라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200)가 상기 내관(110)의 외주면에서 탈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200)의 상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200)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 분사유닛(300)은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라인(310)과, 상기 내관(110) 및 외관(120) 사이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에어라인(3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외관(120)을 관통하여 설치된 노즐(320)과, 상기 에어라인을 개폐하는 제1 밸브(330)와, 상기 노즐(320)에서 분사되는 에어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변(340) 및 상기 감압변(340)에서 압력이 조절된 에어가 이동되는 상기 에어라인(310)을 개폐하는 제2 밸브(350)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320)은 상기 에어라인(310)에서 공급받은 에어를 상기 내관(110)과 외관(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내관(110) 및 외관(120)에 부착된 고착물 등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때, 상기 노즐(320)은 상기 내관(110)이 하강하는 방향 즉 하부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외관(120)을 경사지게 관통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외관(120) 및 내관(110) 사이로 공급된 에어가 하방향으로 배출되어 상기 투입관 유닛(100)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 석탄 분진 및 화염 등이 상기 투입관 유닛(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노즐(320)에서 분사되는 에어는 아르곤(Ar), 질소(N2) 등 비활성 가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하방향으로 배출되는 에어가 상기 탄화실(20)의 고온에 반응하여 폭발 등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 밸브(330)는 예를 들어 볼 밸브, 게이트 밸브, 그로브 밸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밸브(330)는 전술된 실시예에 제시된 밸브의 종류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에어라인(310)을 개폐하여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밸브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압변(340)은 상기 내관(110) 및 외관(120)의 고착물 형성 여부 또는 작업 환경 등에 따라 상기 제1 밸브(330)를 통과한 에어의 압력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내관(110) 및 외관(120)에 형성된 고착물의 량이 많아 질수록 상기 노즐(320)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의 압력이 높아지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2 밸브(350)는 상기 노즐(320)을 통한 에어 분사가 자동화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사용하며, 이때, 상기 제2 밸브(350)는 사전에 시간이 설정된 타이머 등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밸브(350)를 통과하여 상기 노즐(320) 방향으로 이동된 에어를 우회시키는 바이패스 라인 및 바이패스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제1 밸브(330) 또는 감압변(340) 이상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조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는 상기 내관(110) 하강시 상기 내관(110)과 장입구(21)의 센터링이 일치되도록 일측이 상기 외관(120)의 하부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내관(110)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된 센터링 유닛(400)을 더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링 유닛의 설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링 유닛(400)은 일측이 상기 외관(120)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내관(110)이 인출되는 하방향으로 연장된 브라켓(410)과 상기 브라켓(410) 타측 단부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420) 및 상기 브라켓(4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탄성 스프링(430)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410)은 상기 외관(120)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상기 장입구(21) 방향으로 인출되는 상기 내관(110)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롤러(420)는 상기 내관(110)의 외주면을 따라 구름운동 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410)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가이드 롤러(420)는 상기 내관(110)의 외주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반복함에 따라 마모가 발생될 수 있는 소모품으로, 마모 등 이상이 발생된 경우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탄성 스프링(430)은 하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브라켓(4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롤러(420)가 상기 내관(11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내관(110) 승강시 이물질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탄성 스프링(430)은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스프링(430)은 전술된 실시예에 제시된 스프링의 종류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가이드 롤러(420)가 상기 내관(110)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내관(110) 승강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탄성수단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를 이용한 석탄 장입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탄을 장입하기 위하여 상기 투입관 유닛(100)이 상기 장입구(21) 상부로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노즐(320)을 통해 에어를 상기 외관(120)과 내관(110) 사이에 분사한다. 상기 투입관 유닛(100)을 따라 에어가 상기 장입구(21) 방향으로 배출되어, 상기 장입구(21)를 통해 석탄 분진 또는 화염이 상기 투입관 유닛(100) 내부로 유입되어 고착물을 형성하거나, 주위 설비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노즐(320)을 통하여 에어를 분사하면서, 상기 투입관 유닛(100)의 상기 내관(110)을 상기 장입구(21) 방향으로 하강시켜 하단부를 상기 장입구(21)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브라켓(410)의 단부에 고정된 상기 가이드 롤러(420)가 상기 탄성 스프링(430)의 탄성에 의해 상기 내관(11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내관(110)과 상기 장입구(21)의 센터링을 일치시킨다.
상기 내관(110)의 하단부가 상기 장입구(21)에 밀착되도록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스크류 피더(12)를 작동시켜 상기 피더콘(13)을 통해 배출된 석탄이 상기 투입관 유닛(100)을 따라 상기 장입구(21)를 통해 상기 탄화실(20) 내부로 공급된다.
석탄 장입이 완료되면 상기 내관(110)을 상승시키고, 상기 노즐(320)을 통한 에어 분사를 중단하여 작업이 완료되며, 이와 같은 작업은 코크스 오븐의 조업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번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코크스 오븐 10: 장입차
11: 원료탄 호퍼 12: 스크류 피더
13: 피더콘 20: 탄화실
21: 장입구 30: 압출차
40: 트랜스퍼 카 100: 투입관 유닛
110: 내관 120: 외관
200: 이물질 차단부재 300: 에어 분사유닛
310: 에어라인 320: 노즐
330: 제1 밸브 340: 감압변
350: 제2 밸브 400: 센터링 유닛
410: 브라켓 420: 가이드 롤러
430: 탄성 스프링

Claims (7)

  1. 내부에 원료탄 호퍼로부터 석탄이 배출되는 피더콘이 수용되며, 내관 및 외관이 슬라이딩 관체 형상의 텔레스코프식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내관이 하강되어 코크스 오븐의 장입구로 인입되어 석탄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투입관 유닛;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를 밀폐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고정된 이물질 차단부재;
    상기 투입관 유닛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외관에 설치되어 상기 내관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에어 분사유닛; 및
    일측은 상기 외관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내관 승강시 편향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센터링 유닛;를 더 포함하는,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유닛은,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라인;
    상기 에어라인에서 공급받은 에어를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 공간으로 분사하도록, 일측은 상기 에어라인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외관을 관통하여 설치된 노즐;
    상기 에어라인을 개폐하도록 상기 에어라인 상에 설치된 제1 밸브;
    상기 제1 밸브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에어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변; 및
    상기 감압변에서 압력이 조절된 에어를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하도록 상기 에어라인을 개폐하는 제2 밸브;를 포함하는,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에어는 비활성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유닛은,
    일측이 상기 외관의 외주면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내관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브라켓;
    상기 내관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브라켓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 가이드 롤러; 및
    상기 내관 인출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상기 브라켓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30154344A 2013-12-12 2013-12-12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 KR101596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344A KR101596100B1 (ko) 2013-12-12 2013-12-12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344A KR101596100B1 (ko) 2013-12-12 2013-12-12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045A KR20150069045A (ko) 2015-06-23
KR101596100B1 true KR101596100B1 (ko) 2016-02-22

Family

ID=5351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344A KR101596100B1 (ko) 2013-12-12 2013-12-12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1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342B1 (ko) 2016-12-19 2018-09-07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장입장치
KR102080175B1 (ko) * 2018-05-24 2020-02-21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투입관 자동 센터링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2658A (ja) * 1998-04-23 1999-11-02 Sumitomo Metal Ind Ltd コークス炉の石炭装入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40017516A (ko) 2002-08-22 2004-02-27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의 석탄 장입구로 부터의 화염분출방지장치
KR200451105Y1 (ko) * 2008-10-06 2010-11-25 주식회사 삼영기술 추진공법으로 시공된 내, 외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부재
KR20110000130A (ko) * 2009-06-26 2011-01-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장입차 낙탄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045A (ko)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805B1 (ko) 코크스 오븐 상승관 내화물 형성기구
KR101421816B1 (ko) 코크스 오븐 가스 누출 방지장치
JP2014506605A (ja) 受け入れ容器内の新たな高温コークスバッチの分割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596100B1 (ko)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
KR101442919B1 (ko)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압력 제어 장치
KR101051198B1 (ko) 가열로용 도어의 열차단장치
KR101522083B1 (ko) 상승관 내화연와 보수장치
KR200444221Y1 (ko) 전기로의 부원료 씰링장치
KR101453665B1 (ko) 피더콘 가스누출 방지장치
KR101453658B1 (ko) 내화물 보수용 스프레이 장치
KR101534127B1 (ko) 원료 공급 장치
KR101138185B1 (ko) 코크스 오븐 스탠드 파이프의 카본 제거 장치
KR101463355B1 (ko) 코크스 오븐용 막힘 방지기능을 갖는 안수 공급장치
KR101453655B1 (ko) 코크스 오븐
KR101726261B1 (ko) 코크스 오븐의 수집관 제어 장치
KR101587727B1 (ko) 코크스 오븐 도어
KR101269163B1 (ko) 이물질 제거 장치가 장착된 피더콘
KR101495400B1 (ko) 코크스 오븐 탄화실 가스 누출 방지 시스템
KR101562450B1 (ko) 코크스 오븐용 고열 배기장치
KR101651982B1 (ko) 가열장치
KR101523654B1 (ko) 개폐 장치
KR101109482B1 (ko) 낙탄 방지형 장입차
KR101873965B1 (ko)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 및 미분탄 공급 장치
KR101360694B1 (ko) 코크스오븐 보수용 가스공급장치
KR20170129413A (ko) 코크스 소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