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965B1 -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 및 미분탄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 및 미분탄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965B1
KR101873965B1 KR1020160173851A KR20160173851A KR101873965B1 KR 101873965 B1 KR101873965 B1 KR 101873965B1 KR 1020160173851 A KR1020160173851 A KR 1020160173851A KR 20160173851 A KR20160173851 A KR 20160173851A KR 101873965 B1 KR101873965 B1 KR 101873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verized coal
supply line
coal supply
air
pulve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1075A (ko
Inventor
배상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3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965B1/ko
Publication of KR20180071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1Injecting additional fuel or reducing agents
    • C21B5/003Injection of pulverulent co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0Arrangements of devices for 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8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of indicators, of alarm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7/00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7B7/14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with means for agitating or moving the charge
    • F27B7/16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with means for agitating or moving the charge the means being fixed relatively to the drum, e.g. composit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033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charging of particulat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7/00Forming, maintaining, or circulating atmospheres in heating chambers
    • F27D7/02Supplying steam, vapour, gases, or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7/00Forming, maintaining, or circulating atmospheres in heating chambers
    • F27D7/02Supplying steam, vapour, gases, or liquids
    • F27D2007/023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는 미분탄의 용광로 취입을 위한 미분탄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미분탄을 분산시키는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분탄 공급라인의 일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기 미분탄 공급라인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중공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미분탄 공급라인을 향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 노즐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 상기 분사노즐과 상기 에어 공급부를 연결하는 에어 공급라인; 상기 에어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제어 밸브; 및 상기 제어 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 및 미분탄 공급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AGGLOMERATION OF PULVERIZED COAL, AND APPARATUS FOR SUPPLYING PULVERIZED COAL}
본 발명은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미분탄 공급 호퍼에서 공급되는 미분탄을 용광로 내부로 취입할 수 있도록 미분탄의 유동을 안내하는 미분탄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미분탄을 분산시킴으로써 미분탄의 뭉침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광로 조업 장치에 있어서, 연료인 코크스와 원료인 철광석은 용광로 상부로부터 장입되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송풍기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의 열풍은 블로잉 파이프를 거쳐 용광로 하부의 풍구를 통해 용광로 내부에 투입된다. 이 때 풍구를 통해 투입된 고온의 열풍에 의해 코크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코크스와 순차적으로 적층된 철광석을 용융시켜 용선을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용광로 조업에 있어서 환경 공해를 최소화시키고 코크스 제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코크스 대체 연료로 미분탄을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용광로의 미분탄 공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용광로(1)는 철광석과 코크스를 장입하여 환상관(50)에 부착된 열풍관(70)에 열풍을 불어 넣어 장입물을 연소시킴으로써 철광석을 용융시키고 있다. 용광로(1)의 열원인 미분탄은 미분탄 공급호퍼(10)에서 미분탄 공급라인(20)을 경유하여 용광로 풍구(90) 측에 설치된 브로우파이프(80) 내에 삽입된 취입랜스(40)를 통하여 용광로(1) 내부로 취입하게 된다. 또한 취입랜스(40)에는 냉각용 질소와 미분탄의 연소성 향상을 위한 고농도 산소가 별도의 라인을 통해 취입되기도 한다.
미분탄 공급호퍼(10)에 저장된 미분탄은 용광로(1) 내에 장입되는 코크스와 철광석의 장입량에 맞추어 일정량이 불출된 후 에어 펌프(30)에 의해 공급된 고압의 이송 공기에 의해 미분탄 공급관(21)과 플렉시블 호스(23)를 경유하여 취입랜스(40)를 통해 용광로 내부로 취입된다. 이 때 고압의 이송 공기와 함께 미분탄 공급라인(20)을 따라 유동하는 미분탄이 서로 뭉치는 경우 뭉쳐진 미분탄은 미분탄 공급라인(20)의 내부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는 용광로(1) 내부로 취입되는 미분탄의 취입량을 불균일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미분탄 공급라인(20) 내부면에 부착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뭉쳐진 미분탄이 분산 상태의 미분탄과 함께 용광로(1) 내부로 취입되는 경우, 미분탄 취입량은 코크스와 철광석의 장입량에 따라 적합하게 계산된 기준 취입량을 초과하게 된다. 반대로, 뭉쳐진 미분탄이 미분탄 공급라인(20) 내부면에 부착되어 분산 상태의 미분탄만이 용광로(1) 내부로 취입되는 경우 미분탄 취입량은 기준 취입량에 미달하게 된다.
게다가, 뭉쳐진 미분탄이 미분탄 공급라인(20)의 내부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미분탄이 공급되는 경우, 부착된 미분탄이 미분탄 공급라인(20)의 직경을 축소시켜 분산 상태의 미분탄이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감소시키며 결과적으로 미분탄의 유동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심한 경우 이러한 미분탄은 미분탄 공급라인(20)을 막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미분탄 공급라인(20)의 막힘이나 유량 감소가 검출되는 경우 미분탄 공급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이를 퍼지하기 위하여 삼방밸브(25)를 제어하여 에어 펌프(30)로부터의 고압의 퍼지 에어를 미분탄 공급라인(20)에 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부착된 미분탄을 제거했다. 그러나 이러한 미분탄 제거 작업 중에는 미분탄의 취입이 중단되는 문제가 있으며, 미분탄에 의해 미분탄 공급라인(20)이 일정 비율 이상 막히지 않은 경우, 즉 미분탄의 유량 감소가 작은 경우 실시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에어 펌프(30)의 퍼지 에어 공급에 의하여 미분탄을 제거할 정도로 미분탄 공급라인(20)의 유동이 감소하지 않더라도, 미분탄 공급라인(20) 내의 미분탄의 뭉침으로 인해 미분탄 공급호퍼(10)에서 미분탄을 일정하게 공급하여도 미분탄의 배출량이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하였다.
도 2는 종래 미분탄의 기준 취입량과 실제 취입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에서 점선은 기준 취입량을 실선은 실제 취입량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시간(t1) 동안 기준 취입량(W1)에 해당하는 일정량의 미분탄을 미분탄 공급호퍼(10)에서 공급하였을 때 경우 취입랜스(40)를 통해 용광로(1) 내부로 취입되는 실체 취입량은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기준 취입량(W1)을 기준으로 편차를 나타낸다. 이는 미분탄 공급라인 내에서 유동하는 미분탄의 유량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기준 취입량 이상의 미분탄이 용광로(1) 내로 취입되거나 기준 취입량에 미달하는 미분탄이 용광로(1) 내로 취입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등록특허공보 제10-1259307에는 미분탄 공급라인에 확관부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미분탄의 용광로 취입을 원활하게 하면서 균일한 양의 미분탄 공급을 가능하게 하여 용선 생산 효율을 극대화시킨 미분탄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미분탄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미분탄 공급 장치는 용광로(1)의 풍구(90) 측에 설치되는 미분탄 취입랜스(40)에 연결되는 미분탄 공급라인(20), 상기 미분탄 공급라인(20)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미분탄 공급라인(20)보다 미분탄 수용공간을 확장시킨 확관부(130), 및 상기 확관부(130)에 연결되어 고압기체를 분사하는 고압기체 투입관(150)을 포함함으로써, 미분탄의 용광로(1) 취입을 원활하게 하면서 일정한 량의 미분탄 공급은 물론 보다 균등한 환경에서 취입을 가능하게 하여, 용선 생산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분탄 공급장치는 확관부 내부로 유입된 미분탄이 뭉쳐지거나 확관부 내부면에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여 미분탄이 불균일하게 용광로 내부에 취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분탄의 취입을 중단하지 않고 취입랜스를 통해 용광로 내부로 취입되는 미분탄이 미분탄 공급라인을 통하여 공급되는 동안 미분탄 뭉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미분탄 뭉칭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뭉침 상태의 미분탄을 분산 상태의 미분탄으로 변환시켜 용광로 내부로 취입함으로써 용광로 노황을 개선시켜 용선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미분탄 뭉칭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는 미분탄의 용광로 취입을 위한 미분탄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미분탄을 분산시키는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분탄 공급라인의 일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기 미분탄 공급라인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중공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미분탄 공급라인을 향하여 적어도 에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 노즐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 상기 분사노즐과 상기 에어 공급부를 연결하는 에어 공급라인; 상기 에어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제어 밸브; 및 상기 제어 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미분탄 공급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에 각각 연결된 제어 밸브의 개폐 동작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내부 직경은 상기 미분탄 공급라인의 직경의 두 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는 일단이 상기 분사노즐과 대향하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고정된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미분탄 공급라인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진동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공급 장치는 미분탄 공급호퍼에서 공급되는 미분탄을 용광로 내부로 취입할 수 있도록 미분탄의 유동을 안내하는 미분탄 공급라인; 및 상기 미분탄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미분탄을 분산시키는 상술한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미분탄 공급라인은, 상기 미분탄 공급호퍼에 연결되어 미분탄 공급호퍼로부터의 미분탄을 공급받는 미분탄 공급관; 상기 용광로 풍구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미분탄을 용광로 내부로 취입하는 취입랜스; 및 상기 미분탄 공급관과 상기 취입랜스 사이에 연결되어 미분탄의 유동을 안내하는 플렉시블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에 설치된다.
상기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는 상기 취입랜스와 연결되는 플렉시블 호스의 선단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뭉침 방지 장치에 의하면, 취입랜스를 통해 용광로 내부로 취입되는 미분탄이 미분탄 공급라인을 통하여 공급되는 동안 미분탄을 분산시킴으로써 미분탄의 취입을 중단하지 않고 미분탄 뭉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뭉침 상태의 미분탄을 분산 상태의 미분탄으로 변환시켜 용광로 내부로 취입함으로써 용광로 노황을 개선시켜 용선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용광로의 미분탄 공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미분탄의 기준 취입량과 실제 취입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미분탄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가 설치된 미분탄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에서 본체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에서 본체의 내부 구성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4 내지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가 설치된 미분탄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미분탄 공급 장치(100)는 미분탄 공급호퍼(미도시)에서 공급되는 미분탄을 용광로(1) 내부로 취입할 수 있도록 미분탄의 유동을 안내하는 미분탄 공급라인(20)을 포함한다. 미분탄 공급라인(20)은 미분탄 공급호퍼에 연결되어 미분탄 공급호퍼로부터의 미분탄을 공급받는 미분탄 공급관(21), 용광로(1) 풍구(90)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미분탄을 용광로(1) 내부로 취입하는 취입랜스(40), 미분탄 공급관(21)과 취입랜스(40) 사이에 연결되어 미분탄의 유동을 안내하는 플렉시블 호스(23) 및 플렉시블 호스(23)에 설치된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110)를 포함한다. 또한 미분탄 공급관(21)과 플렉시블 호스(23) 사이의 연결부 및 플렉시블 호스(23)와 취입랜스(40) 사이의 연결부에는 미분탄 공급라인(20)을 통하여 용광로 내의 열풍이 역류하는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전단 수동밸브(121) 및 후단 수동밸브(123)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110)는 미분탄 공급라인(20) 상에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110)가 미분탄 공급라인(20)의 플렉시블 호스(23)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23)는 미분탄 공급관(26) 또는 취입랜스(40)에도 설치될 수 있다. 실제로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110)를 플렉시블 호스(23)가 아닌 취입랜스(40)에 설치한 결과 미분탄 분산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플렉시블 호스(23)에 설치한 경우에도 취입랜스(40)에 가까운 부분에 설치할수록 더 향상된 미분탄 분산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110a)는 미분탄 공급라인(2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미분탄 공급라인(20)을 일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중공형 본체(111), 상기 본체(111)의 측면에 관통 설치되어 미분탄 공급라인(20)을 향하여 적어도 에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12), 상기 분사 노즐(112)에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113), 상기 분사노즐(112)과 에어 공급부(113)를 연결하는 에어 공급라인(114), 상기 에어 공급라인(114)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공급라인(114)을 개폐하는 제어 밸브(115) 및 상기 제어 밸브(115)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9)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1)는 내부가 중공형인 입면체 형상으로, 일 예로,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미분탄 공급라인(20)을 둘러싸는 측면 및 미분탄 공급라인(2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쌍의 밑면을 가지는, 내부가 빈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에어 공급라인(114)을 개폐하는 제어 밸브(115)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110)는 제어부(119)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115)의 개방하는 것에 의하여 에어 공급부(113)로부터 공급되어 에어 공급라인(114)을 따라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를 분사노즐(112)을 통해 플렉시블 호스(23)를 향하여 분사하거나, 제어부(119)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115)를 폐쇄하는 것에 의하여 플렉시블 호스(23)를 향한 고압 에어의 분사를 차단한다. 이러한 플렉시블 호스(23)를 향한 에어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부(119)에 의해 반복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미분탄 공급라인(20)으로 에어가 분사되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미분탄 공급라인(20)에 충격을 가할 수 있는 한 불활성 가스 등 임의의 적절한 기체가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115)의 개폐 동작에 의한 반복적인 에어의 공급과 차단은 플렉시블 호스(23), 즉 미분탄 공급라인(20)에 충격을 가하게 되고, 이러한 충격은 미분탄 공급라인(20) 내부에 충격파를 형성하게 된다. 미분탄 공급라인(20)의 내부에 뭉쳐있거나 미분탄 공급라인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분탄은 이러한 충격파에 의해 분산되거나 미분탄 공급라인의 내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분산 상태의 미분탄이 된다.
결과적으로,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110)에 의해 분산 상태의 미분탄만이 용광로 내부로 취입되므로, 미분탄의 취입량은 코크스와 철광석의 장입량에 따라 적합하게 계산된 기준 취입량에 근접하여 일정하게 되어 용광로 노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도 5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110a)는 플렉시블 호스(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복수 개의 분사노즐(112)을 포함한다. 각각의 분사노즐(112)은 에어 공급부(113)로부터 고압의 에어를 공급받기 위하여 개별 에어 공급라인(114) 및 개별 에어 공급라인(114)을 개폐하기 위한 개별 제어 밸브(115)에 각각 연결된다.
제어부(119)는 복수의 에어 공급라인(114) 각각에 연결된 제어 밸브(115)를 개폐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분사노즐(112)에 의한 에어의 분사를 제어한다. 복수의 분사노즐(112)에 의한 에어의 분사는 순차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미분탄 공급라인(20)에 인가되는 충격파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발생하여 지속되도록 함으로써 미분탄의 분산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에서 본체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1)는 플렉시블 호스(23)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본체는 플렉시블 호스(23)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118)을 가지며 이 내부 공간의 직경은 설치되는 플렉시블 호스(23) 직경의 적어도 두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분사노즐(112)의 선단과 플렉시블 호스(23)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고 분사노즐(112)에 의한 에어 분사에 의하여 플렉시블 호스(23)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플렉시블 호스의 진동 범위를 커버하기 위함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에서 본체의 내부 구성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는 분사노즐(112)이 설치된 본체(111)의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에 설치된 복수의 탄성 수단(116, 117)을 더 포함한다. 일 예로, 탄성 수단은 일단이 본체(111)의 측면에 고정된 스프링(116) 및 상기 스프링(116)의 타단에 고정되어 플렉시블 호스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진동판(117)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수단(116, 117)은 분사노즐(112)의 개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 수단(116, 117)을 설치함으로써 분사노즐(112)에 의해 플렉시블 호스(23)에 인가된 충격파가 좀 더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110)는 이와 같이 고압의 에어에 의해 미분탄 공급라인(20)에 충격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미분탄 공급라인(20) 내부에 뭉쳐지거나 뭉쳐서 부착된 미분탄을 분산시킴으로써 미분탄의 취입을 중단하지 않고 미분탄 뭉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뭉침 상태의 미분탄을 분산 상태의 미분탄으로 변환시켜 용광로 내부로 취입함으로써 용광로 노황을 개선시켜 용선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110: 뭉침 방지 장치
111: 원통형 관
112: 분사노즐
113: 에어 공급부
114: 에어 공급라인
115: 솔레노이드 밸브
118: 내부공간
116: 스프링
117: 진동판

Claims (6)

  1. 미분탄의 용광로 취입을 위한 미분탄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미분탄을 분산시키는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분탄 공급라인의 일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기 미분탄 공급라인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중공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미분탄 공급라인을 향하여 적어도 에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 노즐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
    상기 분사노즐과 상기 에어 공급부를 연결하는 에어 공급라인;
    상기 에어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제어 밸브; 및
    상기 제어 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분사노즐과 대향하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고정된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미분탄 공급라인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진동판을 포함하는,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미분탄 공급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에 각각 연결된 제어 밸브의 개폐 동작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직경은 상기 미분탄 공급라인의 직경의 두 배 이상인,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
  4. 삭제
  5. 미분탄 공급호퍼에서 공급되는 미분탄을 용광로 내부로 취입할 수 있도록 미분탄의 유동을 안내하는 미분탄 공급라인; 및
    상기 미분탄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미분탄을 분산시키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미분탄 공급라인은,
    상기 미분탄 공급호퍼에 연결되어 미분탄 공급호퍼로부터의 미분탄을 공급받는 미분탄 공급관;
    상기 용광로 풍구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미분탄을 용광로 내부로 취입하는 취입랜스; 및
    상기 미분탄 공급관과 상기 취입랜스 사이에 연결되어 미분탄의 유동을 안내하는 플렉시블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에 설치되는, 미분탄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는 상기 취입랜스와 연결되는 플렉시블 호스의 선단에 설치되는, 미분탄 공급 장치.
KR1020160173851A 2016-12-19 2016-12-19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 및 미분탄 공급 장치 KR101873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851A KR101873965B1 (ko) 2016-12-19 2016-12-19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 및 미분탄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851A KR101873965B1 (ko) 2016-12-19 2016-12-19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 및 미분탄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075A KR20180071075A (ko) 2018-06-27
KR101873965B1 true KR101873965B1 (ko) 2018-07-03

Family

ID=6278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851A KR101873965B1 (ko) 2016-12-19 2016-12-19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 및 미분탄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9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6320A (ja) * 1999-07-16 2001-01-30 Taisei Kogyo Kk 粉体輸送管の閉塞防止方法
KR101259307B1 (ko) 2011-07-05 2013-05-06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의 미분탄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6320A (ja) * 1999-07-16 2001-01-30 Taisei Kogyo Kk 粉体輸送管の閉塞防止方法
KR101259307B1 (ko) 2011-07-05 2013-05-06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의 미분탄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075A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97628B (zh) 固体燃料燃烧器
KR101873965B1 (ko) 미분탄 뭉침 방지 장치 및 미분탄 공급 장치
KR20150044933A (ko) 슬래그 제거장치 및 슬래그 제거방법
KR101203651B1 (ko) 고로의 버드네스트 제거장치
KR101141826B1 (ko) 순환유동층연소보일러의 바닥재 냉각장치
KR101596100B1 (ko) 코크스 오븐용 석탄 장입장치
KR101259307B1 (ko) 고로의 미분탄 공급장치
JPH01230706A (ja) 高炉への微粉炭吹込み方法
KR101798626B1 (ko) 환원로의 원료 배출장치 및 그 배출방법
KR102174160B1 (ko) 고로 폐플라스틱 취입 장치
EP2586877B1 (en) Furnace having even distribution of gas
KR20130002764A (ko) 가탄제 투입장치
CN201531895U (zh) 一种煤粉角式喷射混合器
JP2019167600A (ja) Pciを安定的に行う方法
CN102878797A (zh) 竖炉及其操作方法
CN220722801U (zh) 一种利用喷吹罐进行煤粉罐车拉运煤粉的装置
CN115383635B (zh) 喷砂喷丸设备
KR20020063812A (ko) 경질 물분쇄슬랙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43358A (ko) 분광석 취입장치에서의 취입량 제어장치
KR101245318B1 (ko) 미건류 코크스 연소 장치
SU505680A1 (ru) Воздушна фурма доменной печи
KR101036633B1 (ko) 유동환원설비의 분환원철 저장장치
KR200460539Y1 (ko) 가탄제 투입 장치
KR101892147B1 (ko) 소결광 제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KR20170129413A (ko) 코크스 소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