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281B1 -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 Google Patents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281B1
KR101336281B1 KR1020130093368A KR20130093368A KR101336281B1 KR 101336281 B1 KR101336281 B1 KR 101336281B1 KR 1020130093368 A KR1020130093368 A KR 1020130093368A KR 20130093368 A KR20130093368 A KR 20130093368A KR 101336281 B1 KR101336281 B1 KR 101336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exterior
ring
plat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택
전병철
Original Assignee
광일케미스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일케미스틸(주) filed Critical 광일케미스틸(주)
Priority to KR102013009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2Arrangements for supporting insulation from the wall or body insulated, e.g. by means of spacers between pipe and heat-insulating materi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insulated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200) 내부에 내관(100)이 끼워지고, 상기 외관(200) 내부에서 내관(100)을 받치는 지지장치(300)가 구비되며, 외관(200)과 내관(100) 사이에 단열재가 채워져 이중관을 형성하되, 상기 내관(100)이 지지장치(300)에 의해 받쳐진 상태에서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내관(1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내관과 외관의 간격을 소망하는 대로 유지하거나 또는 조절하여 주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내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중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Roller Sliding Support}
본 발명은 지름이 큰 관(이하 '외관'이라고 한다.) 내부에 지름이 작은 관(이하 '내관'이라고 한다.)이 끼워지고 그 사이에 단열재가 채워지는 구조로 되는 이중관에서 상기 내관이 외관 중심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에 관한 것이다.
보온 및 단열이 필요한 액체나 스팀을 이송하기 위해 이중 단열관이 사용된다. 이러한 이중 단열관은 지름이 다른 두 개의 관을 마련하여 지름이 작은 내관을 지름이 큰 외관 내부에 끼워 넣은 다음 그 사이에 폴리우레탄 폼이나 보온재를 채워서 보온 및 단열성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있다. 종래의 이중관 구조를 볼 수 있는 예로 특허등록 제10-1045835-0000호 "이중 단열관"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중관은 되도록 이면 내관이 외관 중심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는 내관과 외관의 간격이 어느 지점에서라도 균일하게 함으로써 단열 성능이 균일해지도록 하기 위해 요구되는 구성이다. 물론 모든 지점에서 내관과 외관의 간격이 한치의 오차도 없이 정확하게 간격이 일정하게 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지만, 최대한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할 필요는 있다는 것이다.
종래에는 내관과 외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일종의 지지대인 스페이서를 내관과 외관 사이에 끼우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상기 등록특허에서 사용되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스페이서를 내관과 외관 사이에 형성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내관 외주면에 스페이서를 고정한 상태에서 내관을 외관에 끼워주는 방식으로 조립하고 있는데, 이때 스페이서가 내관을 외관에 끼우는 작업을 방해하게 되어 불편함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또한 내관이 상기와 같이 구성의 이중관은 내관이 한번 고정되면 위치를 조절할 수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곡선지점에서 이중관을 연결하는 경우와 같이 내관의 위치를 약간씩 조절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환경에서는 별도의 이음관을 마련하거나 관을 잘라서 내관의 위치를 조절하여야 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이중관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관을 외관에 쉽게 끼워 조립하여 줄 수 있으면서도 외관과 내관의 간격유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필요할 경우 내관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줄 수 있게 되는 이중관을 얻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관 하부에 설치되어 외관 내부에서 내관을 받쳐 지지함과 아울러 외관과 내관의 간격을 유지하거나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중심 유지장치를 구비한 이중관을 제안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관을 외관에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하여 이중관을 쉽고 빠르게 형성하여 줄 수 있게 되고, 내관이 외관에 끼워진 상태에서 내관과 외관의 간격을 소망하는 대로 유지하거나 또는 조절하여 주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이중관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관에서 내관을 받치는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가 내관에 설치된 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에 의해 내관이 지지되는 이중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에 의해 내관의 위치가 조절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6, 7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장치에 의해 내관의 위치가 좌우로 조절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장치로 내관을 외관 중심에 위치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내관을 외관에 쉽게 끼워 조립하여 줄 수 있으면서도 외관과 내관의 간격유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필요할 경우 내관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이중관을 얻기 위해,
외관 내부에 내관이 끼워지고, 상기 외관 내부에서 내관을 받치는 지지장치가 구비되며, 외관과 내관 사이에 단열재가 채워져 이중관을 형성하되, 상기 내관이 지지장치에 의해 받쳐진 상태에서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내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관에서 내관을 받치는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가 내관에 설치된 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에 의해 내관이 지지되는 이중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에 의해 내관의 위치가 조절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중관은 외관(200) 내부에 내관(100)이 끼워지고 외관(200)과 내관(100)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단열재가 채워지는 공지의 구성을 포함하되, 상기 내관(100)이 외관(200) 내부에서 지지장치(300)에 의해 받쳐져 중심부에 위치되게 되고, 내관(100)은 상기와 같이 지지장치(300)에 받쳐진 상태에서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장치(300)는 내관(100)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지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외관(200) 내벽에 하단이 접하는 받침대(320)와 상기 받침대(320) 상단에 얹혀져 상기 내관(100)을 받치는 작동대(340)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대(340)는 내관(100)과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내관(100)을 들어서 옮겨 외관(200)에 끼움으로써 이중관을 쉽게 형성하여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대(340)는 상기 받침대(320)에서 좌우방향(내관과 외관의 폭 방향, 이하 동일)으로 이동할 수 있게 얹혀진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대(340)를 이동시켜 내관(100)의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작동대(340)가 이동할 수 있게 얹혀 지는 구성은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받침대(320)의 상단에는 받침판(322)이 형성되고 작동대(340)의 하단에는 작동판(324)이 형성되어 서로 면접하게 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작동판(324)이 받침판(322) 위에서 좌우로 미끄러지며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받침판(322)과 작동판(324)은 평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단면 'ㄷ'자 또는 'ㅅ'자를 이루어 레일 형태로 돌출되는 돌기와 그에 맞는 홈 구조(도시되지 않음)로 되어 서로 맞물리게 접함으로써 작동판(324)이 받침판(322)의 전후 방향(내관과 외관의 길이방향, 이하 동일)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받침판(322) 전후방향 가장자리에는 걸고리(324)가 형성될 수 있다. 걸고리(324)는 'ㄱ'자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작동판(324)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태로 되어 작동판(324)이 상기 걸고리(324)에 걸리게 된다. 걸고리(324)를 통해 작동판(324)이 받침판(322)에서 좌우방향의 이동은 가능하면서 상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제한될 뿐만 아니라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중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내관(100)을 외관(200)에 끼워 조립하는 과정이 필수이고, 내관(100)을 외관(200)에 끼울 때 내관(100)을 들어서 외관(200)에 끼워주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300)가 상기와 같이 내관(100)에서 분리되지 않게 되므로 안정적인 조립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걸고리(324)는 상기와 같이 받침판(322)의 전후방향에 형성됨으로써 작동판(324)이 받침판(322)의 전후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제한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한편, 걸고리(324)가 형성된 상태에서는 작동판(324)이 상기 걸고리(324)의 좌우 측면에서 걸고리(324)를 향해 진입함으로써 받침판(322)에 결합 된다.
받침판(322) 좌우방향 가장자리에는 이탈방지돌기(323)가 형성될 수 있다. 작동판(324)의 좌우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며, 이탈방지돌기(323)의 위치에 따라 작동판(324)의 움직이는 범위가 선택적으로 제한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돌기(323)는 착탈식으로 형성하거나 용접으로 받침판(322)에 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형성하게 된다.
받침대(320) 하단에는 외관(200)의 내벽에 접하여 외관(200)의 길이방향으로 구르게 되는 롤러(328)가 마련된다. 롤러(328)가 구비됨으로써 내관(100)을 외관(200)에 끼울 때 롤러(328)가 외관(200) 내벽에 접한 상태에서 밀어서 끼워줄 수 있게 된다. 보다 원활한 조립 작업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상기 롤러(328)는 적어도 두 개가 한 조를 이루어 좌우 균형을 맞추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320)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수직방향의 선을 기준으로 외관(200)의 폭 방향으로 등 간격을 이루게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 구성은 내관(100)을 두 점에서 지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받침대(320)를 좌우 대칭형태로 형성하고 받침대(320) 좌우방향 중심에서 등 거리에 롤러(328)를 각각 설치하면 상기와 같이 좌우 균형을 맞춘 위치에 롤러(328)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328)는 외관(20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서 적어도 두 개가 일정간격을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하면 적어도 총 네 점에서 내관(100)을 받치게 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300)는 받침대(320)와 작동대(340)의 결합구성을 달리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6, 7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장치에 의해 내관의 위치가 좌우로 조절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장치로 내관을 외관 중심에 위치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장치(300)는 받침판(322) 전후방향 가장자리와 작동판(324)의 전후방향 가장자리를 상하로 연결하는 고리링(360)이 마련되어 받침대(320)와 작동대(340)가 결합된다. 상기 고리링(360)은 링 형태를 이루고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작동판(324)과 받침판(322)의 측면에 각각 체결되는 볼트가 상기 고리링(360)을 관통됨으로써 고정된다.
이로써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100)을 좌우측으로 밀어 작동판(324)이 좌우로 밀리게 되면 상기 볼트가 고리링(360)을 밀어 기울이면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작동판(324)이 이동하여 내관(100)의 위치가 변경되게 된다. 이 경우 고리링(360)에 의해 작동판(324)의 이동 범위는 자연스럽게 제한되는바, 고리링(360)은 작동판(324)이 받침판(322) 범위 내에서만 이동되는 길이로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고리링(360)은 작동판(324)을 들어올렸을 때 받침판(322)이 수평을 유지하게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 고리링(360)은 받침대(320)의 무게 중심점을 지나는 수직 선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수직 선상에서 좌우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리링(360)의 구성을 통해 고리링(360)의 길이만큼 작동판(324)을 상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내관(100)을 외관(200)에 결합시켜 이중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내관(100)을 외관(200) 중심부에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관을 형성기 위해서는 외관(200)을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내관(100)을 외관(200) 내부에 끼워주게 되는데, 이때 내관(100)이 외관(200) 중심부에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내관(100)을 외관(200)에 완전히 끼워준 상태에서 내관(100)을 들어올려 받침대(320)가 외관(200) 내벽에서 떨어지게 하고 그 상태에서 내관(100)을 외관(200) 중심부로 이동시켜 위치를 맞추게 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내관(100)을 들어올릴 때는 좌우 균형을 맞추는 지점을 들어올려야 함은 당연한데, 내관(100)을 들어올려 받침대(320)가 외관(200) 내벽에서 떨어진 상태가 되면 받침대(320)의 자중에 의해 고리링(360)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이루게 되어 받침대(320)가 좌우 균형이 맞춰지게 된다. 그 상태에서 들려진 내관(100)을 외관(200) 중심과 수직선상에 일치되는 위치로 이동키고, 이후 수직 하방으로 하강시킴으로써 받침대(320)가 외관(200) 내벽에 안착되면 자연스럽게 내관(100)이 외관(200) 중심부에 위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내관(100)을 외관(200) 중심에 쉽게 위치되게 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28은 받침대(320)의 하단에 설치되는 롤러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300)는 작동대(340)의 상단이 고정되는 설치링(38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작동대(340)가 설치링(380)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설치링(380)은 내관(100)에 결합되어 지지장치(300)를 내관(10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설치링(380)이 착탈됨으로써 지지장치(300)를 내관(100)에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줄 수 있게 된다.
100 : 내관, 200 : 외관,
300 : 지지장치, 320 : 받침대,
322 : 받침판, 323 : 이탈방지돌기,
324 : 걸고리, 328 : 롤러,
340 : 작동대, 342 : 작동판,
360 : 고리링, 380 : 설치링.

Claims (10)

  1. 외관(200) 내부에 내관(100)이 끼워지고, 상기 외관(200) 내부에서 내관(100)을 받치는 지지장치(300)가 구비되며, 외관(200)과 내관(100) 사이에 단열재가 채워져 이중관을 형성하되,
    상기 외관(200) 내벽에 하단이 접하는 받침대(320)와 상기 받침대(320) 상단에 얹혀져 상기 내관(100)을 받치는 작동대(340)를 포함하는 지지장치(300)가 마련되어,
    상기 내관(100)이 지지장치(300)에 의해 받쳐진 상태에서 상기 작동대(340)가 상기 받침대(320)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내관(1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20)의 상단에는 받침판(322)이 형성되고, 작동대(340)의 하단에는 작동판(324)이 형성되어 서로 면접하게 되는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322) 전후방향 가장자리에는 걸고리(324)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판(324)이 상기 걸고리(324)에 걸려 상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게 되는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322) 좌우방향 가장자리에는 이탈방지돌기(323)가 형성되어 작동판(324)의 이탈을 방지하는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322) 전후방향 가장자리와 상기 작동판(324)의 가장자리를 상하로 연결하는 고리링(360)이 마련되어 서로 분리되지 않게 되되,
    상기 고리링(36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작동판(324)이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상방향으로 들려질 수 있게 되는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링(360)은 작동판(324)을 들어올렸을 때 받침판(322)이 수평을 유지하게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20) 하단에는 외관(200)의 내벽에 접하여 길이방향으로 구르게 되는 롤러(328)가 마련되되,
    상기 롤러(328)는 적어도 두 개가 한 조를 이루어 받침대(320)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수직 한 선을 기준으로 외관(200)의 폭 방향으로 등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328)는 외관(20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서 적어도 두 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300)는 상기 작동대(340)의 상단이 고정되는 설치링(380)을 더 포함하여 상기 설치링(380)이 내관(100)에 착탈됨으로써 지지장치(300)가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KR1020130093368A 2013-08-07 2013-08-07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KR101336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368A KR101336281B1 (ko) 2013-08-07 2013-08-07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368A KR101336281B1 (ko) 2013-08-07 2013-08-07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6281B1 true KR101336281B1 (ko) 2013-12-03

Family

ID=4998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368A KR101336281B1 (ko) 2013-08-07 2013-08-07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2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5318A (ja) * 1997-06-18 1999-03-1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ケーブル用複合管路
KR100261323B1 (ko) * 1998-04-09 2000-08-01 방관수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KR100553250B1 (ko) * 2003-02-15 2006-02-22 주식회사성호철관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
KR101045835B1 (ko) * 2010-07-13 2011-07-01 광일케미스틸(주) 이중 단열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5318A (ja) * 1997-06-18 1999-03-1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ケーブル用複合管路
KR100261323B1 (ko) * 1998-04-09 2000-08-01 방관수 보온/보냉용 이중강관
KR100553250B1 (ko) * 2003-02-15 2006-02-22 주식회사성호철관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
KR101045835B1 (ko) * 2010-07-13 2011-07-01 광일케미스틸(주) 이중 단열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3801A1 (en) Selectable weight stack
CN205093996U (zh) 婴儿床
CN205359406U (zh) 用于洗碗机的碗篮和具有其的洗碗机
US20150330559A1 (en) Lifting support structure
US20180216778A1 (en) Support frame and display assembly
KR101336281B1 (ko)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CN106241405A (zh) 一种通用型屏幕组装设备
CN103758213A (zh) 一种装配式墙板与梁体精准定位安装连接结构
JP2015203223A (ja) 枠組足場用高さ調整用支柱
KR200484826Y1 (ko) 화환받침대
JP2010100374A (ja) 吊装置
CN205841985U (zh) 一种电缆沟内空间利用率高的电缆支架
FR3089510B1 (fr) Dispositif de réglage pour machine de fabrication de matelas en fibres minérales
KR101614933B1 (ko) 자전거 거치대
KR101511897B1 (ko) 하단 다이아프램 거치대
KR101443225B1 (ko) 육류 이송캐리어
JP6970538B2 (ja) 外壁取付具および外壁構造
FR3050468B1 (fr) Procede de realisation d’un batiment demontable, et batiment correspondant.
JP2011153494A (ja) 天井パネルの施工方法およびパネル固定装置
CN203889852U (zh) 自动扶梯及自动人行道的外盖板支撑件定位装置
KR200491911Y1 (ko) 훈련용 벽체칸막이
US1412697A (en) Carrier for photographic backgrounds
CN211254031U (zh) 一种保温箱食材传动系统
KR101434491B1 (ko) 캐리어
KR200481268Y1 (ko) 콘크리트 보 형틀용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