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250B1 -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250B1
KR100553250B1 KR1020030009652A KR20030009652A KR100553250B1 KR 100553250 B1 KR100553250 B1 KR 100553250B1 KR 1020030009652 A KR1020030009652 A KR 1020030009652A KR 20030009652 A KR20030009652 A KR 20030009652A KR 100553250 B1 KR100553250 B1 KR 100553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tube
filled double
plate
doub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3893A (ko
Inventor
이석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호철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호철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호철관
Priority to KR1020030009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250B1/ko
Publication of KR2004007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외관에 삽입되는 내관을 정위치에 안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의 내,외관이 설정된 간격을 정확히 유지하게 하여 주며,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의 제작여건을 개선시켜 주는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는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2)의 내관(2a) 외경에 상응하는 원주크기로서 그 내관의 외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밴드(10)와, 상기 고정밴드(10) 외면의 원주방향 등간격마다 고정 설치되어서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2)의 외관(2b) 내에 삽입되는 내관(2a)을 정위치에 안치시킬 수 있도록 지탱하여 주는 복수개의 지지부재(20)들로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Spacer between inner and outer pipes}
도1은 본 발명 간격유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간격유지장치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일측 단면도
도3은 본 발명 간격유지장치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간격유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장치를 나타낸 것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장치를 나타낸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밴드 11: 링형 띠철판 12: 미끄럼방지용 접지판
20: 지지부재 21: 하부고정판 22: 지지판
23: 구름베어링 24: 보조 지지판
본 발명은 내,외관 사이에 충전재가 채워지는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의 제작시에, 그 외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관을 정위치에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이라 함은 내,외관 사이에 충전재가 채워진 구조로서 지중에 매설되어 상,하수를 통수시켜 주는 지중 매설관을 의미한다. 이러한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은 외관의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내관을 삽입하고, 그 내,외관 사이에 충전재를 채워 넣는 통상의 공장제작 방식으로 만들어서 시공현장에 제공되어 왔다. 최근에는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의 다른 유형으로 현장에서 유압잭을 사용하여 외관(케이싱)을 해당위치의 지중에 근입 설치하고, 그 외관 내에 동심원상으로 내관을 삽입한 후에, 내,외관 사이에 충전재를 채워 넣어서 제작과 동시에 시공이 완료되는(추진식 매설관 시공법이라고 지칭되고 있음) 현장제작 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을 공장제작 하거나 현장제작 함에 있어, 공통적으로 외관 내에 동심원상으로 내관을 삽입하게 되는 바, 외관의 내주면 상부 길이방향 등간격마다 각재 또는 철물로 된 간격유지구를 설치하여서, 외관에 내관이 삽입된 상태에서 충전물을 채우면 부상하는 내관을 간격유지구들로서 정위치에 안치되도록 지탱하여서,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의 내,외관이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작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구는 외관의 내주면 상부에 설치되어서, 실제적으로 내,외관 사이의 상부측에 대한 간격유지기능 만을 발휘하기 때문에, 외,내관 사이에 채워지는 충전물에 의하여 부상하는 내관이 좌우방향으로 치우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구는 첫째 내,외관이 설정된 간격을 정확히 유지하지 못하여서 완성된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둘째 작업자가 외관의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치우치려는 내관을 정위치에 안치시키고자 세심한 주의와 노력을 기울이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외관에 삽입되는 내관을 정위치에 안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내,외관이 설정된 간격을 정확히 유지하게 하여서 품질이 우수한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을 얻을 수 있게 하여 주는 간격유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둘째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의 제작여건을 개선시켜서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주는 간격유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1)는 도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2)의 내관(2a) 외경에 상응하는 원주크기로서 그 내관의 외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밴드(10)와, 상기 고정밴드(10) 외면의 원주방향 등간격마다 고정 설치되어서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2)의 외관(2b) 내에 삽입되는 내관(2a)을 정위치에 안치시킬 수 있도록 지탱하여 주는 복수개의 지지부재(20)들로서 구성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1)는 도2 및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환상형의 고정밴드(10) 외면에 복수개의 지지부재(20)들을 설치하여서 된 구성으로서,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2)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외관(2b)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관(2a)에 길이방향 등간격마다 장착되어서 그 내관을 정위치에 안치시킬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첫째 내,외관(2a)(2b)이 설정된 간격을 정확히 유지할 수 있게 하여서 완성품으로 제작된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2)의 품질을 향상시켜 주며, 둘째 외관(2b)에 내관(2a)을 삽입하는 단순작업만으로 그 내관을 정위치에 안치시킬 수 있는 만큼 불필요한 작업부담을 경감시켜서 단위시간당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2)의 생산량을 증대시켜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은 충전재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밴드(10)는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2)의 내관(2a) 외면에 끼워져서 위치 고정되게 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밴드(10)는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2)의 내 관(2a) 외경에 상응하는 직경크기를 가지는 링형 띠철판(10)으로 만들어서,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2)의 내관(2a) 외면에 끼워서 위치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밴드(10)는 그 링형 띠철판(10)의 내면에 일체로 부설되는 미끄럼방지용 접지판(12)을 가져서,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2)의 내관(2a)에 위치 고정되는 고정밴드(10)가 임의로 유동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용 접지판(12)은 접지능력이 우수한 고무판 또는 합성수지판으로 만들어서 상기 링형 띠철판(10)의 내면에 접착제로서 접합시켜서 설치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고정밴드(10)는 그 링형 띠철판(10)의 일정위치를 절단한 절개부의 양측단에 서로 마주하도록 외향 절곡되어서 통공(131)이 형성되는 1쌍의 날개판(13)들을 가지며, 그 날개판의 통공(131)을 관통하여서 체결되는 조임볼트(14)를 가져서,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2)을 구성하는 다양한 규격의 내관(2a)에 맞추어 상기 고정밴드(10)를 융통성있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지부재(20)들은 상기 고정밴드(10)의 외면에 각각 설치되어서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2)의 외관(2b)에 삽입되는 내관(2a)이 정위치에 안치되도록 지탱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20)들은 각각 상기 고정밴드(10)의 외면에 대접 고정되는 하부고정판(21)과, 그 하부고정판(21)의 중간에 직립되게 세워지는 지지판(22)으로 구성되어서,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2)의 외관(2b)에 끼워지 는 내관(2a)이 정위치에 안치될 수 있게 하여 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0)들은 그 각각의 하부고정판(21)을 상기 고정밴드(10)의 외면에 맞대고 관통하여서 체결되는 복수개의 고정볼트(212)들로서 일체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0)들은 그 지지판(22) 상단부의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부(221)를 형성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2)의 내관(2a)에 본 발명의 간격유지장치(1)를 일정간격마다 장착한 상태에서, 그 내관(2a)을 외관(2b)의 내부에 삽입할 때에, 상기 지지판(22)의 경사부 (221)로서 외관(2b)과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을 감소시켜서, 작업자가 내관(2a)의 삽입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20)들은 그 각각의 지지판(22) 상부에 탄력적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름베어링 (23)을 부가적으로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 구름베어링(23)은 그 내측 중앙에 형성된 축봉(231)을 상기 지지판(22)의 경사부(221)를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장공(222)에 관통시켜서 체결와셔(232)로서 자전하도록 결착하되, 상기 지지판 (22)의 상부에 그 일단이 고정되는 비틀림스프링(233)의 타단을 상기 구름베어링 (23)의 축봉(231)에 걸어서 탄력적으로 높이조절되도록 설치하여서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2)의 내관 (2a)에 본 발명의 간격유지장치(1)를 일정간격마다 장착한 상태에서, 그 내관(2a)을 외관(2b)의 내부에 삽입할 때에는, 상기 구름베어링(23)이 외관(2b)의 내면에 구름접촉하면서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작업자가 내관(2a)의 삽입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동시에, 상기 구름베어링(23)이 탄력적으로 높이조절되어서 외관(2b)의 내부에 내관(2a)을 정위치에 자연스럽게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20)들은 그 각각의 지지판(22)에 형성된 높이조절용 장공(241) 및 양측의 가이드(242)로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보조 지지판(24)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 보조 지지판(24)은 그 중간부에 상하로 굴곡지게 형성된 높이조절용 장공(241)을 상기 지지부재(20)들의 지지판(22) 상부에 형성된 통공(223)과 일치하도록 맞대고 체결볼트(243)로 체결하여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착설하여서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2)의 내관(2a)에 본 발명의 간격유지장치(1)를 일정간격마다 장착한 상태에서, 그 내관(2a)을 외관(2b)의 내부에 삽입하여서 안치시킬 때에, 상기 지지부재(20)의 지지판(22)에 착설되는 보조 지지판(24)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하여서, 외관(2b) 내의 정위치에 안치되는 내관(2a)이 물구배지게 하여 상,하수를 원활하게 통수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는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외관 내에 삽입되는 내관을 정위치에 안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내,외관이 설정된 간격을 정확히 유지할 수 있게 하여서 완성품으로 제작된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의 품질을 향상시켜 줄 뿐만 아니라, 외관에 내관을 삽입하는 단순작업으로 그 내관을 정위치에 안치시킬 수 있는 만큼 불필요한 작업부담을 경감시켜서 단위시간당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의 생산량을 증대시켜 주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2)의 내관(2a) 외경에 상응하는 원주크기로서 그 내관의 외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그 내면에 미끄럼방지용 접지판(12)이 구비되는 고정밴드(10)와, 상기 고정밴드(10) 외면의 원주방향 등간격마다 고정 설치되어서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2)의 외관(2b) 내에 삽입되는 내관(2a)을 정위치에 안치시킬 수 있도록 지탱하여 주는 복수개의 지지부재 (20)들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10)는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2)의 내관 (2a) 외경에 상응하는 직경크기를 가지는 링형 띠철판(10)으로 만들어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10)는 그 링형 띠철판(10)의 일정위치를 절단한 절개부의 양측단에 서로 마주하도록 외향 절곡되어서 통공(131)이 형성되는 1쌍의 날개판(13)들을 가지며, 그 날개판의 통공(131)을 관통하여서 체결되는 조임볼트(14)를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 유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들은 각각 상기 고정밴드(10)의 외면에 대접 고정되는 하부고정판(21)과, 그 하부고정판(21)의 중간에 직립되게 세워지는 지지판(2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들은 그 각각의 지지판(22) 상부에 탄력적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름베어링(23)을 부가적으로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들은 그 각각의 지지판(22)에 형성된 높이조절용 장공(241) 및 양측의 가이드(242)로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보조 지지판(24)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
KR1020030009652A 2003-02-15 2003-02-15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 KR100553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652A KR100553250B1 (ko) 2003-02-15 2003-02-15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652A KR100553250B1 (ko) 2003-02-15 2003-02-15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568U Division KR200312819Y1 (ko) 2003-02-17 2003-02-17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893A KR20040073893A (ko) 2004-08-21
KR100553250B1 true KR100553250B1 (ko) 2006-02-22

Family

ID=37360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652A KR100553250B1 (ko) 2003-02-15 2003-02-15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2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281B1 (ko) * 2013-08-07 2013-12-03 광일케미스틸(주)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KR20150002151U (ko) * 2013-11-28 2015-06-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데크 관통용 파이프 서포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589B1 (ko) * 2014-08-06 2015-04-20 (주)나스텍이앤씨 노후관 재생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후관 재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281B1 (ko) * 2013-08-07 2013-12-03 광일케미스틸(주) 내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KR20150002151U (ko) * 2013-11-28 2015-06-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데크 관통용 파이프 서포트 장치
KR200485919Y1 (ko) * 2013-11-28 2018-03-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데크 관통용 파이프 서포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893A (ko) 200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1706B1 (en) Helical pier with adjustable pierhead plates for supporting a structure above a ground surface
CN102300487B (zh) 用于家具的自稳定支撑组件
CN104532843A (zh) 一种立柱桩的钢立柱定位调直方法
KR100553250B1 (ko)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
KR101020061B1 (ko) 파이프 서포트용 수평재 연결캡
CN211171598U (zh) 桥梁伸缩缝钢筋骨架的安装定位装置
KR200312819Y1 (ko)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
CN107013789A (zh) 一种建筑工程设备减震装置
JP2018033195A (ja) トラフ支持部材、トラフ支持部材の敷設方法およびトラフ橋
KR101498485B1 (ko) 펜스용 지주
CN114045820B (zh) 一种防止灌注桩坍孔的支护方法
CN214500232U (zh) 一种排水管线支护结构
KR100515495B1 (ko)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
CN211228595U (zh) 一种陡坡道路挡土墙结构
CN109537575B (zh) 型钢围护桩施工用定位器及型钢施工方法
CN211596720U (zh) 一种地基基础工程施工沉渣厚度的检测装置
KR200312820Y1 (ko)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
CN114439486A (zh) 一种微型顶管机
CN213271360U (zh) 一种石油管道支撑装置
KR101309212B1 (ko) 맨홀 수평 조절장치
JP4295584B2 (ja) 既設管の更生方法
CN219472944U (zh) 一种便于安装的石油管道支架
CN102930793B (zh) 一种支架
CN203939126U (zh) 汽车轮胎轴式预埋套管辅助定位装置
JP5785792B2 (ja) 内面管の支保工装置及び支保工装置の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