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2667A - 경합금 지지 구조물을 포함한 자동차 - Google Patents

경합금 지지 구조물을 포함한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667A
KR19980702667A KR1019970706073A KR19970706073A KR19980702667A KR 19980702667 A KR19980702667 A KR 19980702667A KR 1019970706073 A KR1019970706073 A KR 1019970706073A KR 19970706073 A KR19970706073 A KR 19970706073A KR 19980702667 A KR19980702667 A KR 19980702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member
frame
motor vehicle
support structur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5759B1 (ko
Inventor
바레스트리니아우구스토
디파르도마시모
프리고구이도
이포리토루이지
마소네안젤로
스카비노지안니
피구라지오르지오
Original Assignee
디.몬티
씨.알.에프.소시에타콘소르티레페르아치오니
로모로쥐에이취아이
콘시글리오나치오날레델레리체르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IT95TO000159A external-priority patent/IT1278971B1/it
Priority claimed from IT95TO000160A external-priority patent/IT1279154B1/it
Priority claimed from IT95TO000161A external-priority patent/IT1278972B1/it
Priority claimed from IT95TO000162A external-priority patent/IT1279155B1/it
Application filed by 디.몬티, 씨.알.에프.소시에타콘소르티레페르아치오니, 로모로쥐에이취아이, 콘시글리오나치오날레델레리체르체 filed Critical 디.몬티
Publication of KR1998070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7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Arrangement of seats relative to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3/00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 B62D23/005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with integrated chassis in the whole shell, e.g. meshwork, tub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62D29/0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the metal being over-moulded by the synthetic material,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8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light alloys, e.g. extr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27Arrangement between th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특히 소형 전동차는 경합금의 망상 프레임(2) 형태인 지지 구조물을 포함한다. 이 프레임(2)은 주조에 의해 형성된 이음부(5)에 용접된 사출성형된 프로우필 요소(4)에 의해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사이드 구조물(3)을 포함한다. 이 사이드 구조물(3)은 나사와 같은, 기계적 결합 장치에 의해 사이드 구조물(3)에 연결된 단부를 가지는 사출성형된 프로우필 요소에 의해 형성된 크로스 부재(6, 7, 8, 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Description

경합금 지지 구조물을 포함한 자동차
종래 기술에 따르면, 각각의 앞좌석은 자동차의 종방향을 따라 시이트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안내장치에 의해 자동차 바닥 패널에 의해 유지되는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안내 장치는 바닥 패널에 고정된 한 쌍의 평행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에 시이트와 결합된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게 장착된 안내 스키드가 있다.
자동차의 앞좌석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좌석 아래에 위치한 바닥 패널의 수평 부분에 종래에는 배치되어서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없는 공간을 차지하고 뒷좌석의 승객은 상기 공간에 발을 둘 수 없기 때문에 뒷좌석의 승객에게 불편함을 주고 2도어 차에서 뒷좌석에 타고 내리는데 어려움이 있다. 시이트가 장착된 바닥 패널의 공간을 측방향으로 한정하는 바닥 패널의 두 수직 측벽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을 가지는 자동차가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자동차의 바깥쪽으로 향한 시이트의 사이드는 각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고 한쪽 사이드에서 시이트 아래 공간으로 접근을 막기 때문에, 상기 해결책은 충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련되고 여러 가지 장점, 예를 들면 비교적 감소된 중량, 감소된 수의 부품 및 증가한 비틀림 강성을 가지는 새로운 형태의 자동차용 구조물을 제시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규모 시장에서도 적당한 대가를 줄 수 있도록, 적은 투자를 요구하는 기술로 제작될 수 있는 새로운 자동차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는 경합금의 망상 프레임으로 형성된 지지 구조물을 가지고, 상기 망상 프레임은 두 개의 사이드 구조물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사이드 구조물은 주조에 의해 얻어지는 이음 부품에 용접된 사출성형된 프로우필 요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구조물은 기계적 결합 장치에 의해 사이드 구조물에 연결된 단부를 가지는 사출성형된 프로우필 요소에 의해 형성된 크로스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전술한 목적들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모든 형태의 자동차에 적용할 수 있지만, 특히 소형 전동차에 적용하기 위해서 발명되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자동차 구조물은 기계적 결합 장치 또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망상 프레임에 연결된 복합재로 만들어진 바닥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 패널은 중심 종방향 터널형 부분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자동차의 전기 모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터널형 부분 아래에 전지를 배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자동차는 2개의 사이드 도어만 가지는 형태이고 망상 프레임은 각 사이드 도어의 배면 비임의 뒤쪽으로 뻗어있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바닥 패널의 중심 종방향 터널형 부품은, 자동차 시이트를 유지하는 안내 장치와 같은 다른 부품을 위한 지지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 복합재로 만들어진 바닥 패널 구조물은 자동차 전기 시스템을 형성하는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끝으로, 망상 프레임을 형성하는 크로스 부재중 하나, 즉 두 사이드 구조물의 하부 배면 이음부와 결합한 크로스 부재는, 상기 크로스 부재의 후방으로 캔틸레버식으로 유지되는, 자동차의 배면 서스펜션과 동력부를 포함하는 기조립된 소조립부품을 위한 지지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는 기계적 결합 도구(나사 또는 리벳) 및/접착제에 의해, 망상 프레임에 연결된 복합재로 만들어진 패널로 이루어진 동체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동차의 각 사이드 도어는, 경합금의 사출성형된 프로우필 요소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과 기계적 결합 수단 및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복합재로 만들어진 내·외부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특징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여러 가지 중요한 장점을 가진다. 이 구조물은 아주 적은 수의 부품들로 구성되므로, 조립 및 정비작업이 좀더 간단하게, 저렴하게 이루어진다. 이 구조물의 중량은 동종의 자동차의 종래의 구조물에 비해 약 30% 정도 가볍고, 비틀림 강성은 약 20% 정도 높다. 제작에 필요한 기술은 낮은 설비 투자를 요구하므로, 비교적 소량 생산시에도 상기 자동차는 적합하다.
전술한 대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먼저 조립된 후 자동차의 지지 구조물에 간단하고 빠른 조작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정비 및 등록 작업이 서스펜션과 동력부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간단한 조작으로 분해될 수 있는 동력부와 서스펜션을 포함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상기 유닛은 다음과 같은 부품을 포함한다:
자동차 지지 구조물에 기계적 결합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사출성형된 금속 프로우필로 형성된, 지지 크로스 부재;
상기 크로스 부재에 고정된 지지물에 의해, 크로스 부재의 종방향과 평행한 공동 축 둘레의 크로스 부재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한 쌍의 종방향 아암, 상기 아암은 각각의 차륜 지지물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자유 단부를 가진다;
크로스 부재에 고정된 지지 비임을 통하여 크로스 부재에 의해 캔틸레버식으로 지지되고, 동력부에 의해 발생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차륜 지지물에 연결된 두 개의 액슬 축을 포함하는, 동력부;
크로스 부재에 고정된 두 지지물과 두 개의 종방향 아암 사이에 삽입된 나선형 스프링과 제동 실린더로 이루어진 한 쌍의 서스펜션 부재.
전동차에 적용할 때, 상기 동력부는 전기 모터와 기어 리듀싱 유닛에 의해 형성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종방향 아암이 피벗식으로 장착되는 지지물, 서스펜션 부재를 위한 지지물과 동력부를 지지하는 비임은 나사에 의해 크로스 부재에 고정된다. 또, 크로스 부재는 그것의 단부에서 나사에 의해 자동차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다.
지지 크로스 부재는 자동차의 지지 구조물을 형성하는 두 사이드 프레임 구조물의 배면 하부 이음부에 연결된 사출성형된 경합금의 프로우필이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복합 플라스틱재의 구조물내에 끼워넣어진 다수의 전선과 복합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진 구조물을 가지는 바닥 패널로 이루어진다.
전동차에서, 바닥 패널내의 전선은, 자동차에 탑재된 전지를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제어장치와 자동차의 전기 모터에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전술한 특징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패널은 제작 작업을 간단하게 한다.
상기 전선은, 바닥 패널의 구조물내에 끼워넣어져 있고 연결된 바닥 패널의 표면에서 전기 시스템의 여러 장치로 일부 돌출한 전기 연결자에 연결된 터미널을 가진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바닥 패널은 샌드위치형 구조를 취하는데, 열경화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매트릭스내에, 예비 형성된 한 층의 강화재를 가지는 마주보는 두 사이드에 피복된 발포성 폴리우레탄 물질의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끝으로, 본 발명은 자동차 시이트를 안내하고 지지하는데 관련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선호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투시도.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자동차 지지구조물의 확대된 투시도.
도 3 은 도 2 의 지지구조물의 분해도.
도 4 는 도 1 에 나타낸 자동차 사이드 도어의 확대된 분해도.
도 5 는 기조립된 동력부와 서스펜션을 포함한, 도 1 에 나타낸 자동차 지지구조물의 투시도.
도 6 은 도 5 에 나타낸 유닛의 분해도.
도 7 은 도 6 에 나타낸 부품의 횡단면도.
도 8 은 자동차 바닥 패널을 나타낸 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바닥 패널의 선호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투시도.
도 10 은 도 9 의 X-X 선을 따라 자른 횡단면도.
도 11 은 시이트를 유지하고 안내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 자동차 바닥 패널의 투시도.
도 12 는 도 11 의 자동차 승객석의 평면도.
* 부호 설명
2...망상 프레임 3...사이드 구조물
4...프로우필 요소 5...이음부
6,7,8,9...크로스 부재 10...바닥패널
11...터널형 부분 12...전지
13...금속 삽입물 14,16,17...패널
19...아암 24...동력부
25...전기모터 26...기어 리듀싱 유닛
27...액슬 축 28...지지 비임
29...서스펜션 유닛 30...제동 실린더
31...나선형 스프링 37...관상 동체
42...전선 45,47,48...시이트
49...보조 지지 구조물 50,51...안내 레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시이트를 안내하고 지지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아주 간단하고 신뢰도가 높으며 전술한 단점들을 모두 극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특징 때문에 상기 결과는 달성된다:
자동차의 바닥 패널은 중심 종방향 터널형 부분을 포함한다;
시이트의 프레임은, 보조 지지 구조물이 삽입된 채 바닥 패널에서 유지된다;
보조 지지 구조물은, 보조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 안내 스키드에 의해 연결되고 수직으로 서로 이격된, 평행을 이루는 두 종방향을 따라 수직벽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을 수단으로, 상기 종방향 터널형 부품의 수직 측벽에 의해 캔틸레버식으로 유지된다;
시이트 프레임은 보조 지지 구조물 위에 장착된다.
전술한 특징 때문에, 시이트 아래의 공간은 완전히 자유로우므로 그 안에 물체를 두거나 뒷좌석에 앉은 승객이 발을 두기 위한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시이트 프레임을 지탱하는 보조 지지 구조물은 바닥 패널의 터널형 부분에 의해 캔틸레버식으로 유지되므로, 자동차의 바깥쪽으로 향한 시이트의 사이드에서, 시이트 아래 공간은 완전히 열려져 있고 이용할 수 있다. 2도어 자동차에서, 뒷좌석에 타고 내리는 승객은 바닥 패널상에서 어떤 문제점도 갖지 않는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시이트 프레임은 경합금, 선호적으로 마그네슘 합금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보조 지지 구조물에 강성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세로축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시이트 프레임은 상기 보조 지지 구조물에 장착된다. 좀 더 쉽게 자동차에 타고 내리기 위해서 자동차 바깥쪽을 향하여 가로 방향으로 상기 시이트는 회전될 수 있다. 시이트 프레임은, 자동차에 쉽게 타고 내리도록 자동차의 바깥쪽으로 가로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을 움직일 수 있는 안내 장치에 의해 보조 지지 구조물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모든 유형의 자동차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설명처럼, 특히 소형 전동차에 적용하기 위해서 발명되었고, 이 자동차에서 시이트를 안내하고 유지하는 바닥 패널의 종방향 터널형 부품은, 자동차의 전지를 그 아래에 수용한다.
본래, 전술한 시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는 운전석과 앞좌석, 뒷좌석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른, 소형 전동차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은 모든 형태의 자동차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 에서, 번호 1 은, 도 2 에서 2로 나타낸 지지 구조물을 가지는, 전동차를 나타낸다. 구조물(2)은 경합금으로 만들어지고 두 개의 사이드 구조물(3)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사이드 구조물은 주조에 의해 얻어진 경합금 이음부(5)에 용접함으로써 연결된 사출성형된 프로우필 요소(4)에 의해 형성된다. 두 사이드 구조물(3)은 크로스 부재(6, 7, 8, 9)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상기 크로스 부재는 경합금으로 만들어진 사출성형된 프로우필 요소에 의해 형성되고, 나사와 같은 기계적 결합장치나 접착제에 의해 사이드 구조물(3)에 연결된 단부를 가진다. 도 2, 3 에서, 망상 프레임(2)은 적은 수의 부품으로 형성되고 비임의 하부 단부에 연결된 크로스 부재(6)의 후방으로, 사이드 도어의 배면 비임의 후방으로 뻗어있는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크로스 부재는, 자동차의 배면 서스펜션과 동력부를 포함하는 소조립품을 위한 지지 부품을 가진다.
도 2, 3 에서, 망상 구조물(2)은, 접시 모양의 부품(13)에 의해 유지되는 전지(12)를 수용하는데 이용되는 중심 종방향 터널형 부분(11)을 포함하면서, 복합재로 만들어진 바닥 패널(10)에 기계적 결합 장치(나사 또는 리벳)와 접착제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전지는 자동차의 전기 모터에 공급되는 역할을 한다. 복합재로 만들어진 바닥 패널에는, 아래에서 나타낸 것처럼 전기 시스템을 형성하는 전선이 심겨져 있다. 또, 상기 중심 종방향 터널형 부분(11)은, 바깥쪽에서 가로 방향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각각의 시이트 아래에 공간을 두도록 중심 종방향 터널형 부분에 의해 캔틸레버식으로 지지되는 앞좌석의 안내 장치와 같은, 다른 부품을 위한 지지 부품으로서 이용된다.
자동차의 동체는 복합재로 만들어진 패널(14)로 이루어지는데, 그중 일부는 도면에 나타나 있고, 상기 패널은 기계적 결합 장치(나사 또는 리벳) 및 접착제로 망상 구조물(2)에 연결된다.
도 4 는 자동차 사이드 도어의 구조물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나사 및 접착제에 의해 프레임(15)에 연결된 복합재로 만들어진 내부 패널(17) 및 외부 패널(16)과 경합금으로 만들어진 사출성형되고 구부려진 프로우필 요소에 의해 형성된 경합금 프레임(15)을 포함한다. 프레임(15)은, 창유리의 틈마개, 밀봉 스트립, 종래의 침입 방지 막대, 도어 로크 및 도어 힌지를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고분자 복합재로 만들어진 내부 패널(17)은, 내부 덮개뿐만 아니라, 문을 열고 창유리를 움직이기 위한 장치를 유지하는데 적합하다. 이런 구조의 장점은 감소된 중량 및 부품의 수, 저렴한 생산비, 복합재로 만들어진 부품내에 액세서리의 용이한 조립과 내·외형의 제조가 용이하다는데 있다. 끝으로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진 패널을 사용하면 부식의 위험을 없앨 수 있다.
도 5-7 에서, 크로스 부재(6)는 자동차의 배면 서스펜션 유닛과 기조립된 동력부를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지지 크로스 부재(6)는, 번호 18 로 나타낸, 동력 및 배면 서스펜션 유닛의 부품을 고정하기 위해, 지지 구조물(2)에 크로스 부재(6)의 단부들을 고정하기 위해 나사머리를 수용하는 T형 단면을 가지는 슬롯(6a)을 포함한다. 크로스 부재(6)는 두 개의 단부 덮개판(6b)을 갖추고 있다. 유닛(18)은 자동차의 배면 서스펜션을 형성하는, 두 종방향 아암(19)을 포함하고, 각각의 아암은 한 단부에 두 개의 레그(19a)를 가지고 각 레그는, 크로스(6)의 종방향, 즉 자동차의 종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공동 연결축(21)(도 5) 둘레에 크로스 부재(6)를 지지하는 접합점을 위한 포크(20)를 가진다. 포크(20)는 크로스 부재(6)에 나사로 고정된 연결 지지부(22)에 의해 크로스 부재(6)에 결합된다.
아암(19)은 각각의 차륜 지지체(23)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자유 단부를 포함한다.
번호 24 는 전기 모터(25)와 리듀싱 기어 유닛(26)으로 이루어진 동력부를 나타내는데 여기에서 두 개의 액슬 축(27)이 튀어나와 있는데 이것은 동력부(24)에 의해 발생된 토크를 차륜에 전달하기 위해서 조인트에 의해 차륜 지지체(23)에 연결된다. 이 유닛은 지지 비임(28)에 고정되고 이것은 차례로 지지 크로스 부재(6)에 나사로 고정되어서, 동력부(24)는 도 5 에서 화살표 A 로 나타낸, 자동차 운동 방향에 대해, 크로스 부재의 후방으로 크로스 부재(6)에 의해 캔틸레버식으로 유지된다. 배면 서스펜션은 두 개의 서스펜션 부재(29)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서스펜션 부재는 제동 실린더(30)와 나선형 스프링(31)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부재는, 아암(19)에 의해 유지되는 지지체(32)와 지지 비임(6)에 나사로 고정된 지지체(33)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설명에서 분명히 나타난 것처럼, 전체 유닛(18)은 미리 조립된 후 간단하고 빠르게 자동차의 지지 구조물에 단일 조작으로 장착된다. 이것은 정비 및 등록 조작을 위해서 분해될 수 있다.
전술한 형태의 모듈 유닛을 사용하면, 예를 들어 다른 크기의 차량에 대해 동일 모듈을 채택함으로써, 생산을 합리화시킬 수 있다. 지지 크로스 부재(6)의 단부에서 기계적 결합 장치에 의해 상기 유닛을 자동차 지지 구조물에 연결하는데, 이것은 조립 및 분해 작업을 아주 간단하게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모든 유형의 자동차에 적용할 수 있지만, 전술한 형태의 차에 적용하면 간단하고 경제적인 자동차 지지 구조체의 구조 때문에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진다.
도 9, 10 에서, 자동차의 바닥 패널(10)은 샌드위치형 구조를 가지는데, 유리 섬유로 예비성형된 층(35)을 가지는 두 개의 마주보는 면에 피복된, 발포성 플라스틱 물질, 선호적으로 폴리우레탄 물질로 만들어진 중심(34)으로 이루어진다. 샌드위치형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 바닥 패널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지는 주형이 제공되는데 여기에 제 1 예비 성형된 층(35)이 놓이고 예비성형된 폴리우레탄 발포층(34)과 제 2 층이 수반된다. 주형은 닫혀지고 Ashland Chemical Inc.에 의해 제조된 수지 Aropol 7343과 같은, 열경화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주입된다. 주형내에 금속 삽입물(13)이 제공되는데 각각의 삽입물은 관상 실린더형 동체(37)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체의 축(38)은 바닥 패널면과 직각을 이루고 두 개의 단부 디스크(39, 40)를 가지면서, 바닥 패널의 전체 두께에 걸쳐 뻗어있다. 관상 동체(37)는, 다른 부품을 바닥 패널에 고정하기 위해 나사로 연결하기 위한 실린더형 구멍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 패널의 제조 공정동안, 주형내에 자동차의 여러 가지 제어장치와 전기 모터에 전지를 연결하는 전선을 갖추고 있다. 도 9 에서 번호 42 로 나타낸 전선은 절연 피복부를 가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 기능은 바닥 패널의 구조물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이다. 도 2 에 나타낸 것처럼, 여러 전선의 터미널은, 각각의 연결자에 연결되도록 바닥 패널 밖으로 뻗어있다. 그러나, 전선(42)의 터미널이 연결된 연결자가 바닥 패널내에 심겨질 수 있다.
도 10-12 에서, 자동차의 바닥 패널(10)은, 수평 상측 벽(43)과 두 개의 수직 측벽(44)으로 이루어진 중심 종방향 터널형 부분(11)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나타낸 실시예는 두 개의 앞좌석(45, 47)과 뒷좌석(48)을 가지면서, 단지 두 개의 사이드 도어만 가지는 자동차에 관련된다. 각각의 앞좌석(45, 47)은 마그네슘 합금으로 만들어진 보조 지지 구조물(49)에 장착되고, 이것은 자동차 바닥 패널(10)의 종방향 중심 터널형 부분(11)의 측벽(44)에 의해 캔틸레버식으로 유지된다. 각각의 측벽(44)에 수직으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평행한 종방향을 따라 배치된 두 안내 레일(50, 51)(도 12)이 고정된다. 자동차의 종방향을 따라 자동차의 바닥 패널(10)에 대해 시이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보조 지지 구조물(49)과 결합된 안내 스키드가 미끄럼 운동할 수 있게 상기 안내 레일(50, 51)에 장착된다.
안내 레일(50, 51)과 스키드의 구조는 본원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세부구조는 공지된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영역내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선택된 종방향으로 시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데, 상기 장치도 공지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 이 장치의 세부 구조는 나타나 있지 않은데, 왜냐하면 이것은 본 발명의 영역내에 포함되지 않고 세부구조를 도면에 나타내지 않으면 이해하기가 좀더 쉽기 때문이다. 전술한 배치 때문에, 도 10, 12 에서 분명히 나타난 것처럼, 시이트 아래 공간은, 이 공간내에 물체를 두거나 뒷좌석의 승객이 발을 두기에 충분하다. 승객들이 뒷좌석에 타고 내릴 수 있도록, 의자 등널을 앞쪽으로 기울인 채 앞좌석은 최대한 앞쪽으로 위치하므로, 바닥 패널은 승객에게 어떤 불편함도 주지 않는다. 또, 시이트 아래 바닥 패널 부분은 하중과 응력을 전혀 받지 않는다. 끝으로, 보조 지지 구조체(7)는 터널(3)에 캔틸레버식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쉽게 측방향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바깥쪽으로 향하고 있는 사이드에서 시이트 아래 공간은 완전히 열려진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특징에 따르면, 세로축(46)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승객이 좀더 쉽게 타고 내리기 위해서 자동차의 바깥쪽으로 시이트를 90°회전할 수 있도록 시이트(45)는 보조 지지 구조체(49)에 장착된 프레임을 가진다. 다른 변형예에서, 승객이 시이트에 좀더 쉽게 타고 내리기 위해서 시이트를 측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움직일 수 있는 안내 장치를 삽입한 채 시이트 프레임은 보조 지지 구조물(49)에 장착된다.
전술한 설명에서 분명히 나타난 것처럼, 앞좌석을 안내하고 지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단순하고 경제적이며, 조작 신뢰도가 높고 전술한 종래 기술의 모든 단점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가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면, 본 발명의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예시로 설명하고 나타낸 실시예에 대해 세부구조를 바꿀 수 있다.

Claims (23)

  1. 경합금의 망상 프레임(2)에 의해 형성된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망상 프레임(2)은 주조에 의해 형성된 이음부(5)에 용접된 사출성형된 프로우필 요소(4)에 의해 각각 형성된 두 사이드 구조물(3)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구조물(3)은 기계적 결합 장치에 의해 사이드 구조물(3)에 연결된 단부를 가지는 사출성형된 프로우필 요소에 의해 형성된 크로스 부재(6, 7, 8, 9)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상 프레임(2)은 종방향 중심 터널형 부분(11)을 포함하는 복합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진 바닥 패널(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형 부분(11)은 자동차의 전기 모터에 공급하기 위해 전지(12)를 아래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상 프레임(2)은 각 사이드 배면 비임의 후방으로 뻗어있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사이드 도어만 가지는 자동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상 구조물(2)에 연결된 복합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진 패널(14)을 포함하는 동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14)은 기계적 결합 장치에 의해 지지 구조물(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7. 제 5 항 또는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14)은 접착제에 의해 지지 구조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8. 제 1 항에 있어서, 각 사이드 도어는, 경합금의 사출성형되고 구부려진 프로우필 요소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 구조물(15), 프레임 지지체(15)에 연결된 복합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진 내부 패널(17)과 외부 패널(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9. 제 1 항에 있어서, 기계적 결합 장치에 의해 자동차 지지 구조물(2)에 고정된 사출성형된 금속 프로우필로 형성된, 지지 크로스 부재(6);
    크로스 부재(6)에 고정된 지지체(22)에 의해, 크로스 부재(6)의 종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공동축(21) 둘레의 크로스 부재(6)에 피벗식으로 연결되고, 각 차륜 지지체(23)가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자유 단부를 가지는, 한 쌍의 종방향 아암(19);
    크로스 부재(6)에 고정된 지지 비임(28)의 크로스 부재(6)에 의해 캔틸레버식으로 유지되고 동력부(24)에 의해 발생된 토크를 차륜 지지체에 전달하도록 차륜 지지체(23)에 연결된 두 개의 액슬 축(27)을 포함하는 동력부(24); 및
    크로스 부재(6)에 고정된 두 지지체(33)와 두 종방향 아암(19) 사이에 각각 삽입된 나선형 스프링(31)과 제동 실린더(30)로 이루어진 한 쌍의 서스펜션 부재(29)를 포함하는 기조립된 동력 및 서스펜션 유닛(1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24)는 전기 모터(25) 및 기어 리듀싱 유닛(26)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1. 제 9 항에 있어서, 종방향 아암(19)이 관절식으로 이어진 지지체(22), 동력부(24)를 지지하는 비임(28) 및 서스펜션 부재(29)를 위한 지지체(33)는 모두 나사에 의해 크로스 부재(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2. 제 9 항에 있어서, 크로스 부재(6)의 단부는 나사에 의해 자동차의 지지 구조물(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3. 제 9 항에 있어서, 크로스 부재(6)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사출성형된 프로우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4. 제 9 항에 있어서, 기조립된 유닛(18)을 지지하는 크로스 부재(6)는 하부 배면 이음부에서 자동차 지지체(2)를 형성하는 두 사이드 프레임 구조체(3)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5. 제 1 항에 있어서, 복합 플라스틱재(10)로 만들어진 구조물을 가지는 바닥 패널과 복합 플라스틱재 구조물내에 심겨진 다수의 전선(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42)은 절연 피복부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42)은 전기 연결자에 연결된 터미널을 가지는데 이 전기 연결자는 바닥 패널(10)의 구조물 내에 심겨있고 상기 전선 터미널은 바닥 패널의 표면에서 일부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8. 제 15 항에 있어서, 열경화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매트릭스내에, 예비 형성된 강화재 층(35)을 가지는 두 마주보는 면에 피복된 발포성 폴리우레탄 물질로 만들어진 중심(34)으로 이루어진, 샌드위치형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9. 제 18 항에 있어서, 바닥 패널(10)의 샌드위치형 구조의 중심(34)에 금속 삽입물(36)이 심겨지는데 각 삽입물은 바닥 패널(10)에 다른 부품을 고정하도록 나사로 죄기 위해, 패널의 전체 두께에 걸쳐 뻗어있는 축 방향의 구멍(4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20. 제 1 항에 있어서, 시이트를 안내하고 지지하기 위한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이트(45)는 자동차의 종방향을 따라 시이트(45)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안 내 장치(50, 51)에 의해 바닥 패널(10)에서 지지되는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안내 장치는 바닥 패널(10)에 고정된 한 쌍의 평행한 레일(50, 51)을 포함하는데 이 바닥 패널에 시이트(45)와 결합된 안내 스키드가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게 장착된 자동차에 있어서,
    자동차의 바닥 패널(10)은 중심 종방향 터널형 부분(11)을 가지고;
    시이트(45)의 프레임은 보조 지지 구조물(49)을 삽입한 채 바닥 패널(10)에서 지지되고;
    보조 지지 구조물(49)은 상기 안내 장치를 수단으로 종방향 터널형 부분(11)의 수직 측벽(44)에 의해 캔틸레버식으로 유지되고, 상기 안내 레일(50, 51)은 수직으로 이격된 평행한 두 종방향을 따라 수직벽(44)에 고정되고 안내 스키드는 보조 지지 구조물(49)에 고정되고;
    시이트 프레임은 보조 지지 구조물(49)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21. 제 1 항에 있어서, 시이트의 프레임은 보조 지지 구조물(49)에 단단히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22. 제 1 항에 있어서, 세로축(46)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시이트의 프레임은 보조 지지 구조물(49)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23. 제 1 항에 있어서, 승객이 좀더 쉽게 타고 내리도록 시이트(45)를 자동차의 가로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움직일 수 있는 안내 장치를 삽입한 채 시이트 프레임은 상기 보조 지지 구조물(49)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19970706073A 1995-03-02 1996-02-27 경합금의 지지구조체를 가진 자동차 KR100375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95TO000159A IT1278971B1 (it) 1995-03-03 1995-03-03 Pianale di autoveicolo di materiale plastico composito, ed autoveicolo comprendente tale pianale.
ITTO95A000162 1995-03-03
IT95TO000160A IT1279154B1 (it) 1995-03-03 1995-03-03 Gruppo preassemblabile di trazione e sospensione per autoveicolo, ed autoveicolo comprendente tale gruppo.
ITTO95A000161 1995-03-03
ITTO95A000160 1995-03-03
IT95TO000161A IT1278972B1 (it) 1995-03-03 1995-03-03 Dispositivo di sopporto e di guida per un sedile di autoveicolo.
ITTO95A000159 1995-03-03
IT95TO000162A IT1279155B1 (it) 1995-03-03 1995-03-03 Autoveicolo con struttura portante includente un'intelaiatura reticolare di lega leggera comprendente elementi profilati estrus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667A true KR19980702667A (ko) 1998-08-05
KR100375759B1 KR100375759B1 (ko) 2003-05-16

Family

ID=27453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073A KR100375759B1 (ko) 1995-03-02 1996-02-27 경합금의 지지구조체를 가진 자동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50410B1 (ko)
EP (1) EP0812282B1 (ko)
JP (1) JPH11500979A (ko)
KR (1) KR100375759B1 (ko)
CN (1) CN1083784C (ko)
DE (1) DE69600543T2 (ko)
ES (1) ES2120808T3 (ko)
WO (1) WO199602751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824B1 (ko) * 2012-03-29 2014-03-13 주식회사 지알켐 전기자동차용 차체의 제조공법
US9266570B2 (en) 2014-03-04 2016-02-23 Hyundai Motor Company Upper-body frame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3792B1 (fr) * 1998-09-25 2000-10-27 Renault Longeron de vehicule automobile
US6845839B2 (en) * 2001-08-23 2005-01-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body platform
US6843336B2 (en) * 2001-08-23 2005-01-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belly pan
DE10210127B4 (de) * 2002-03-08 2007-03-29 Daimlerchrysler Ag Fahrzeug mit einer Brennkraftmaschine
US6969551B2 (en) * 2002-04-17 2005-11-29 L & L Products, Inc. Method and assembly for fastening and reinforcing a structural member
US6601910B1 (en) * 2002-05-31 2003-08-05 Kevin G. Duggan Expandable ram system
DE10237962A1 (de) * 2002-08-20 2004-03-04 Dr.Ing.H.C. F. Porsche Ag Aufbaustruktur für ein Kraftfahrzeug
FR2844766B1 (fr) * 2002-09-25 2005-06-17 Aixam Mega Vehicule automobile
US7258395B2 (en) * 2003-01-24 2007-08-21 Club Car, Inc. Composite body for a golf car and utility vehicle
AU2003273795A1 (en) * 2003-09-16 2005-04-06 Hodieb Abdel Halim Mahmoud Khalifa Method for manufacturing cars bodies from plastics
DE10359786A1 (de) * 2003-12-19 2005-08-04 Daimlerchrysler Ag Rostfreie Rahmenkonstruktion für Kraftfahrzeuge
ITBO20040465A1 (it) * 2004-07-23 2004-10-23 Ferrari Spa Telaio di un automobile provvisto di moduli in materiale composito prodotti con tecnologia rtm
US7389844B2 (en) * 2004-11-19 2008-06-24 Spartan Motors, Inc. Heavy vehicle chassis having lowered rear portion
DE102005024265B4 (de) 2005-05-27 2020-08-06 Audi Ag Karosserieboden für Kraftfahrzeuge
DE102005024263B4 (de) * 2005-05-27 2014-10-23 Audi Ag Karosserieboden für ein Fahrzeug
DE102005024264B4 (de) * 2005-05-27 2016-11-03 Audi Ag Karosserieboden für Kraftfahrzeuge
DE102005055705C5 (de) * 2005-11-23 2010-04-22 Hbpo Gmbh Montageträger in Hybridstruktur
FR2896756B1 (fr) * 2006-02-01 2009-12-11 Plastic Omnium Cie Plancher, ensemble d'un plancher et d'un conducteur electrique, et procede d'assemblage de vehicule automobile
US7677646B2 (en) * 2006-03-13 2010-03-16 Kubota Corporation Vehicle frame for work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GB2443931B (en) * 2006-11-15 2011-05-11 Linde Material Handling Gmbh Industrial truck with a preassembled axle assembly
DE102007060482A1 (de) * 2007-12-14 2009-06-18 Volkswagen Ag Kraftfahrzeug nach Art eines Kompaktfahrzeugs
CN101348130B (zh) * 2008-03-18 2010-06-23 中山大学 一种承载式新型结构电动汽车车架
GB2458956A (en) * 2008-04-04 2009-10-07 Gordon Murray Design Ltd Vehicle chassis
DE102008020527A1 (de) * 2008-04-24 2009-10-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Rahmenstruktur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8036175A1 (de) 2008-08-02 2010-02-11 Audi Ag Karosserieteil aus einem Faserverbundwerkstoff
DE102008036870A1 (de) * 2008-08-07 2010-02-1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aufbau
FR2935950B1 (fr) * 2008-09-18 2012-02-10 Heuliez Vehicules automobiles a quatre roue.
GB2471316B (en) * 2009-06-25 2014-07-30 Gordon Murray Design Ltd Vehicle chassis
US8875828B2 (en) * 2010-12-22 2014-11-04 Tesla Motors, Inc. Vehicle battery pack thermal barrier
US8286743B2 (en) * 2010-12-22 2012-10-16 Tesla Motors, Inc. Vehicle battery pack ballistic shield
CN102730070A (zh) * 2011-04-12 2012-10-17 潘毅 半承载式模块化复合材料电动车车壳及生产工艺
CN102328702B (zh) * 2011-07-27 2013-03-20 应革 一次成型塑料车壳汽车
EP2778025B1 (en) * 2011-11-07 2017-09-2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esin floor structure for vehicle
CN104136310B (zh) * 2012-03-01 2016-08-24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身结构
US8540272B1 (en) * 2012-05-09 2013-09-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xpandable vehicle chassis and method
US20130240274A1 (en) * 2012-03-16 2013-09-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xpandable vehicle systems
KR101415897B1 (ko) * 2012-03-26 2014-07-09 덕원이엔티 주식회사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섀시 프레임 조립구조
US20150158532A1 (en) * 2012-06-08 2015-06-11 Honda Motor Co., Ltd. Fiber-reinforced plastic cabin for vehicle
FR3001185B1 (fr) * 2013-01-24 2015-03-06 Courb Vehicule terrestr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vehicule
GB201309956D0 (en) * 2013-06-04 2013-07-17 Ford Global Tech Llc A motor vehicle plastic panel having an integral electrical u nit
US20160137226A1 (en) * 2013-06-18 2016-05-19 Basf Se Body center module
FR3009708A1 (fr) * 2013-08-14 2015-02-2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ous-ensemble de cote de caisse de vehicule
DE102014204369A1 (de) * 2014-03-10 2015-09-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tragenden Fahrzeugstruktur
HUE049696T2 (hu) * 2014-10-08 2020-10-28 Interactive Fully Electrical Vehicles S R L Elektromos hajtású gépjármû áruszállításhoz, amelynek modulrendszerû csõkerettel alátámasztott, rotációsan öntött teste van
DE102015207603A1 (de) * 2015-04-24 2016-10-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DE102015209519A1 (de) * 2015-05-22 2016-11-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bundbautei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bauteils und Kraftfahrzeug
EP3350063B1 (en) * 2015-09-15 2021-02-24 Mubea Carbo Tech GmbH Automotive body shell
DE102016203209B4 (de) * 2016-02-29 2020-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Zumindest teilweise elektrisch betreibbares Kraftfahrzeug
CN109398501A (zh) * 2018-09-19 2019-03-01 中国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用复合材料集成式中后地板及其制备方法
JP7172746B2 (ja) * 2019-03-06 2022-1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パワーユニット搭載構造
CN110605536A (zh) * 2019-09-11 2019-12-24 奇瑞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铝合金车身的制造方法及具有铝合金车身的车辆
DE102020123312A1 (de) 2020-09-07 2022-03-10 Audi Aktiengesellschaft Strukturbauteil mit integrierter Crashstruktur
CN112550465A (zh) * 2020-12-28 2021-03-26 湖南大学 一种新型车身结构
US20220379796A1 (en) * 2021-05-28 2022-12-01 Paul Spivak Integrally molded recreational vehicle body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7336A (en) 1934-04-16 1936-07-14 Stout Motor Car Corp Motor car
GB498671A (en) * 1937-06-11 1939-01-11 Standard Pressed Steel Co An improved vehicle construction
US2269451A (en) * 1940-05-15 1942-01-13 Ford Motor Co Automobile body construction
FR913631A (fr) * 1946-01-19 1946-09-16 Anciens Etablissements Panhard Carrosserie
FR1046314A (fr) * 1951-01-11 1953-12-04 Châssis de véhicules automobiles
FR1202866A (fr) * 1958-01-23 1960-01-14 Perfectionnement à la construction automobile
US4217970A (en) 1974-01-28 1980-08-19 Chika John J Configuration and construction of four wheeled motor vehicles
US4049309A (en) 1976-02-06 1977-09-20 Board Of Trustees Western Washington State College Automotive vehicle
US4216839A (en) * 1978-07-20 1980-08-12 Unique Mobility Inc. Electrically powered motor vehicle
US4453763A (en) * 1982-04-13 1984-06-12 Trihawk, Inc. Frame and body construction for automotive passenger vehicle
US4438971A (en) * 1982-09-15 1984-03-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stic body panel attachment
JPS59176165A (ja) * 1983-03-26 1984-10-05 Yamaha Motor Co Ltd 小型四輪車
DE3346986A1 (de) * 1983-12-24 1985-07-18 Fleck, Andreas, 2000 Hamburg Wagenkasten
GB2184005B (en) * 1985-09-18 1990-05-23 Goodall Melvyn John Improved vehicle seat
US4824164A (en) * 1987-11-25 1989-04-25 Yazaki Corporation Wire harness incorporated in automotive vehicle doors
JP3034874B2 (ja) * 1988-09-06 2000-04-17 スズキ株式会社 車 両
US5150944A (en) * 1988-12-09 1992-09-2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Joint structure for sandwiched structural body
DE3918283C1 (ko) * 1989-06-05 1990-05-31 Audi Ag, 8070 Ingolstadt, De
US4945682A (en) * 1989-12-04 1990-08-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Plastic motor vehicle door
DE4230529C2 (de) 1992-09-12 2002-04-11 Opel Adam Ag Kraftfahrzeug mit auswechselbarem Heckmotormodul
FR2698591B1 (fr) * 1992-12-02 1995-02-17 Peugeot Banquette avant pour véhicule automobile.
FR2702726B1 (fr) * 1993-03-19 1995-04-28 Renault Jonction d'un longeron avec une traverse et les montants d'une ossature de véhicule.
DE4330014A1 (de) * 1993-09-06 1995-03-09 Porsche Ag Kraftfahrzeug, insbesondere Va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824B1 (ko) * 2012-03-29 2014-03-13 주식회사 지알켐 전기자동차용 차체의 제조공법
US9266570B2 (en) 2014-03-04 2016-02-23 Hyundai Motor Company Upper-body fram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500979A (ja) 1999-01-26
US6250410B1 (en) 2001-06-26
CN1083784C (zh) 2002-05-01
KR100375759B1 (ko) 2003-05-16
ES2120808T3 (es) 1998-11-01
DE69600543D1 (de) 1998-09-24
CN1177321A (zh) 1998-03-25
WO1996027518A1 (en) 1996-09-12
EP0812282A1 (en) 1997-12-17
EP0812282B1 (en) 1998-08-19
DE69600543T2 (de) 199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2667A (ko) 경합금 지지 구조물을 포함한 자동차
US7347490B2 (en) Vehicle floor structure and vehicle body frame structure
JP2017530901A (ja) 調節可能な自動車用シャーシ
US7140640B2 (en) Motor vehicle having a modular structure and a method for assembling it
JPH05201356A (ja) 電気自動車の車体構造
JP3383909B2 (ja) 一体形自動車車体の後部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US4840423A (en) Front body structure of a motorcar
US20110121606A1 (en) Recreational Vehicle Having Chassis with Integral Cap
US4589181A (en) Method of converting a sedan to a limousine
KR101799719B1 (ko) 차량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얻어진 차량
JP3428347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S63314119A (ja) 自動車用電気導線集合体
JP2004529817A (ja) ノッチバック形式車両
CN112319615A (zh) 车辆的下车身以及具有其的车辆
JP3620307B2 (ja) 車体構造
JPH11180336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3364258B2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JPH04300792A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US20230331310A1 (en) Rear Vehicle Body Structure
JPH0585415A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KR200160968Y1 (ko) 철도차량용 선반(a baggage rack for a train)
JP3334737B2 (ja) 車体後部構造
JPH0445986Y2 (ko)
JPH0339323Y2 (ko)
JPH044697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